곧 유료로 바꿀까 말까 고민하고 있는 영상입니다. (찐 문학 만점 비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6 июн 2024
  • 00:00 시작
    03:00 고전 소설
    08:39 현대 시
    23:45 (나) 해설
    29:00 수필
    37:48 현대 소설
    53:01 고전 시가
    국어 공부를 하루 3~4시간씩 해도 성적이 안 오르는 3,4등급 학생들에게 정말 추천하는 책입니다.
    인생이 바뀔 거라 자신합니다.
    너를 국어 1등급으로 만들어주마 책 소개
    blog.naver.com/bjdmc4/2226169...
    국일만 독서편 구매
    bit.ly/46UEEJN
    국일만 문학편 구매
    bit.ly/41heuzG
    국일만 노베 독서편 구매
    bit.ly/3S3ME7l

Комментарии • 196

  • @beomjaka
    @beomjaka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4

    제가 고3이라면 이 영상 최소 2번은 돌려볼 거 같습니다.
    [국일만 독서편 구매📚]
    bit.ly/46UEEJN
    [국일만 문학편 구매📚]
    bit.ly/41heuzG
    [국일만 노베 독서편 구매📚]
    bit.ly/3S3ME7l
    [국일만 노베 문학편 구매📚]
    bit.ly/47LEqFa
    대한민국 수험생분들 항상 응원합니다! :)

    • @bailey-io9ug
      @bailey-io9u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과외 수업 가능하면 하고 싶은데요

    • @user-si1zk6ut3k
      @user-si1zk6ut3k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국일만 문학 비문학 다 구매했습니다! 그런데 문학편을 공부할때 현대시를 다 하고 그 다음 유형 고전시가로 넘어가야하나요? 아니면 현대시 1개 고전시가 1개 현대소설 1개 이런식으로 해야하나요??

  • @user-ui9us5cn4s
    @user-ui9us5cn4s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73

    국일만 이름을 바꾼다면 나는 "국밥"으로 바꿀것이다. ㅈㄴ든든하다

  • @user-km9mv9qs4y
    @user-km9mv9qs4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7

    가지가 담을 넘을때..
    내 수험생활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너무 좋은 시네요 여기에 해설까지 금상첨화였구요
    고개를 주억거리며 잘 봤습니다

  • @Y2k3323
    @Y2k3323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와 저 수능 안본 사람인데 수능국어를 이렇게 친절하게 이해가게 설명해 주시다니 ㄷㄷㄷ

  • @user-vt1bt8tw9l
    @user-vt1bt8tw9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A4 용지에 지금부터 적으면서 들어볼게요!! 비문학도 잘 들었는데 이런 좋은 영상 감사해요!!

  • @user-kd9wn6rb3x
    @user-kd9wn6rb3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오늘 이거보고 방법대로 하는데 정답률도 엄청 올라갔어요.. 근데 정답률 올라간 것만 아니라 지문에 공감하고 이해되는데 문제도 풀리니 그냥 재미없던 공부가 재미있어지기 시작한다는 것..

  • @daeundldi
    @daeundld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저는 이미 30살이 넘은 성인인데요, 책을 제대로 읽고싶어서 검색해보다가 범작가님을 알게됐어요! 글은 이렇게 읽어야 한다는걸 10대때부터 알았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살짝 안타까운 맘이 들었네요 ㅠㅠ 수능을 떠나 독서하는 방법이라던지, 추천하는 책도 궁금합니다!!

  • @user-bd5uu1nr3z
    @user-bd5uu1nr3z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ㅜㅜ 방금전까지 공부하고 미라클모닝때문에 이제 잠들어요.. 내일까지라두 영상 풀어주세여 ㅜㅜ🥺🥺😭😭

  • @gudhnjkgjfgfd8952
    @gudhnjkgjfgfd895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예전부터 문학은 공부를안해도 너무 공감되고 시에서 말하는걸 느낄수 있어서 점수 잘나왔었는데 기출풀어보니까 슬슬 안풀리는 지문이 생긴다

  • @user-cw1hm2xd8w
    @user-cw1hm2xd8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9:04 와.. 진짜 공감가네요.. 솔직히 다들 보기먼저 보라고 하는데 그건 실전가서 시간을 단축시키는 스킬이라고 생각합니다. 진짜 문학 실력을 올리려면 문제를 안보고 오로지 그 지문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맞춰서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문학도 보기를 봐야지만 지문이 읽히는게 아닌 지문만 보고도 충분히 숨겨진 의미를 찾아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user-ff6ey2jh6x
    @user-ff6ey2jh6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국일만 문학편을 읽고있는 중입니다. 아직 현대시 반정도까지밖에 읽지 못했는데, 아직 고전시가와 소설 읽는 법을 몰라서 각 파트별로 최대한 읽고 난 후에 이 영상을 보고싶습니다. 혹시 언제쯤 유료화되는지라도 알 수 있을까요ㅠㅠ?

  • @user-bb3ee5wj8v
    @user-bb3ee5wj8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우리 큰아들 2024 수능 국어 폭망해서 재수 시작했는데요 엄마인 제가 국일만 교재 추천해서 커리 시작했어요.
    아들이 엄마 엄지척👍해주더라구요 교재 너무 잘만드셨데요
    작가님이 국어 일타강사 되시는거 아닌지 작가님강의는 수능 첫세대인 엄마인 제가 들어도 너무나 쉽게 와닿는거 같아요 다시 수능보면 잘 볼거같은 느낌이 팍팍 드네요 ㅎ

  • @user-tg3nd6fv1z
    @user-tg3nd6fv1z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범작까님 사랑합니다♡

  • @hehe0000
    @hehe0000 3 месяца назад +2

    본질을 정확하게 알려주네 진짜 와

  • @user-xb8re8fj2c
    @user-xb8re8fj2c Месяц назад +3

    고2인데 감상하라는거 너무 인정합니다
    고3 평가원 기출이랑 수능 9~10년치를 풀어봤는데 고전에 약한 것 같아서 (어휘 등..) 1타강사 분 문학 강의를 들어봤는데요 (고전 말고도 다른 부분에서도 얻어갈게 있지 않을까 해서 고전만 다루는 강의 말고 모든 문학을 다루는 강의를 들었습니다)
    고전 뿐만 아니라 평소에 잘 읽던 현대시 같은 경우에도 강의를 들으면 들을수록, 강사가 하라는 대로 할 수록 이야기가 아니라 텍스트를 읽게되는 것 같고 문제도 안풀릴더러 그림도 잘 안그려지더라고요..
    평소에 문학을 좋아해서 따로 찾아읽는 편인데 뭔가 되게 충격스러웠고.. 강의를 듣길 바로 그만뒀습니다
    아직 배움의 정도가 부족해서 함부로 결론 내리기엔 조심스럽지만 내신도 그렇고 수능도 그렇고 문학이라는 과목은 본질을 알면 쉽게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내신은 암기 아니냐고 할 수 있는데 암기는 그저 부가사항이고요
    교과서 목차나 학습목표에 나오는 내용에 따라서 핵심을 파악하고, 그에따라 감상한 다음 서술형 대비를 위해 선생님이 말씀하신 것 몇개만 암기하면(당얀히 이해가 선행되어야함) 조금만 공부해도 문제를 틀릴수가 없는 것 같아요
    수능 문학도 비슷하게, 특히 보기 문제 같은 경우에는 보기의 견해와 핵심을 파악하고, 그것을 힌트와 길잡이 삼아 감상한 다음 문제를 풀면 다 맞더리고요 물론 문학 개념어 등 형식적인 특징 같은 부분은 감상 영역 밖으로 어느정도 익히긴 해야겠지만요
    어쨌든 문학에서는 감상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감상하지 않으면 명작 소설과 시가 하나의 비문학 글이 되고 이해할 수 없는 단어만 줄줄 늘여놓은 것이 될테니까요..

  • @user-td6rn3ei3g
    @user-td6rn3ei3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갈래 복합의 경우에도 이론부분(독서?) 다 읽고 작품들 읽고 풀면 될까요?
    그리고 만약 가, 나 지문 풀때 가 지문 읽고 가에 해당하는 문제 풀고, 나 지문 읽고 나에 해당하는 문제 풀고 하는 식으로 해도 괜찮을까요?

  • @user-dn6wc8wc7v
    @user-dn6wc8wc7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얼른 국일만 문학 노베 나와라ㅏㅏㅏㅏㅏㅏ

  • @sjsj09
    @sjsj0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그냥 수능 국어계의 Goat

  • @user-px2sc8hk2n
    @user-px2sc8hk2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오늘 유익한 영상 올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저는 예비 고1인데요, 혹시 문학을 하기 위해 따로 한자 문제집을 사서 한자 공부를 해야 하나요, 아니면 문제를 풀면서 모르는 단어를 꾸준히 익혀야 하는 걸까요..?

    • @beomjaka
      @beomjaka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문제집 살필요 없습니다! 그냥 풀면서 익히면 돼요!

    • @user-px2sc8hk2n
      @user-px2sc8hk2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beomjaka 넵! 답변 감사합니다

  • @user-fx3xg1te4r
    @user-fx3xg1te4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최근에 작가님을 알게 되었는데요 지금부터 작가님 커리큘럼을 따라가면 잘 할수 있을까요.??ㅠ

  • @user-cm2bc2rz2p
    @user-cm2bc2rz2p 4 месяца назад

    현대시 지문 또박또박 읽고 문제를 풀면서 이해하고 풀어도 괜찮던데 잘못된 방법인가요? 인강에서 는 이렇게 가르치시던데..ㅜ

  • @cbroooonze
    @cbroooonz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마침 오늘 적용편 읽고 음악 들으러 열었는데 딱 있으시네요 ㅋㅋㅋㅋ 고3 화이팅~~

    • @cbroooonze
      @cbroooonz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진짜 읽고 적용하는 족족 날마다 기출이 쉬워지는 느낌이 들어요^^ 올해 수능 1 받아서 후기 남길게요❤❤❤❤

  • @user-sv8ey6yj8d
    @user-sv8ey6yj8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혹시 속발음이 있는 경우엔 어떻게 해야할까요...속으로 발음을 안하고 그냥 눈으로 읽고 넘어가면 이해가 안돼요. 평소 읽는것처럼 속발음으로 읽고 문제를 풀어보면 많이 맞춥니다. 근데 여기서 속도를 올리려고 눈으로 읽으려하면 이해가 안되니까 문제를 많이 틀리더라고요
    비문학은 속발음 없이 읽는건 엄두도 안나고요ㅜㅜ
    교정 방법이 있을까요
    저같은 방식으로 글 읽는 사람이 주변에 없어서 조언을 구하기도 힘드네요

    • @user-xp9eq1gb4b
      @user-xp9eq1gb4b 4 месяца назад

      범작가님께서 속발음 하지 말라고 하셨나요?? 저도 속발음 하는데..

    • @user-sv8ey6yj8d
      @user-sv8ey6yj8d 4 месяца назад

      @@user-xp9eq1gb4b 그런 얘긴 없었고 딱히 언급을 안하셨어요
      다른분들도 속발음에 대해선 거의 얘기를 안하시더라고요...

    • @user-xp9eq1gb4b
      @user-xp9eq1gb4b 4 месяца назад

      @@user-sv8ey6yj8d 이건 그냥 많이 해보는 게 해결책일 거 같네요ㅠ

  • @CloudFairy99
    @CloudFairy9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속발음 때문에 너무 힘든데 속발음에 대해서도 제작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wkd2808
    @wkd280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범작가님. 지금 국일만 문학편을 사서 해보고 있는데요. 말씀하신대로 최대한 한구절한구절 이미지화, 나름해석한 후에 지문해설을 보는데요😅 저는 진짜 뭐라는건지 1도 모르겠는 구절도 엄청 고심해서 나름대로 납득 가능하게 해석해보거든요? 근데 그렇게 나름의 자신감을 갖고 지문해설을 보면 완전 딴판인게 좀 있습니다 😢 대표적으로 과 '지조 높은 개'가 짖는 에서 느꼈어요 😂. 괜찮은거겠죠? 우직하게 하다보면 제 해석도 지문해설에 수렴하겠죠?

    • @beomjaka
      @beomjaka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넵 처음에는 당연히 그래요! 100프로 똑같이 못해도 되니까 되는 부분만이라도 노력하면서 꾸준히 나아가시면 됩니다!

  • @user-iwanttogohomee22
    @user-iwanttogohomee2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고) 범준작가님 문학 개정판 p203쪽에 오타있습니다!!
    김범준 작가를 내가 더 일찍봤다면
    검토단에 들어가려고 엄청 애썼을것같다. 부산에서 젤 큰 서점에 노베편 말고 문학편 개정판 샀는데
    저는 노베인데도 되게 만족할만한 수준입니다 솔직히 문제 다 틀리는데 재밋음

  • @KYLE.S178
    @KYLE.S17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2

    범작가님의 쇼츠 중에 운동을 하면서 공부를 해야한다는 내용을 접해서 바로 운동을 하기 시작했고 이제 2주차동안 지속했습니다. 그리고 어느순간 의자에 앉아있는 시간이 매우매우 길어지고 집중이 잘 되는것이 느껴졌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user-rd2im1ij6x
      @user-rd2im1ij6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쇼츠 찾아봐도 안 보이는데 무슨 운동 하셨나요?

    • @user-rd2im1ij6x
      @user-rd2im1ij6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알려주세요 ㅠㅠㅠㅠㅠ

    • @user-kl7tn2sf8j
      @user-kl7tn2sf8j 5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rd2im1ij6x범작가님 쇼츠 인기순 9번째 영상인 것 같아요

    • @user-xp9eq1gb4b
      @user-xp9eq1gb4b 4 месяца назад

      @@user-rd2im1ij6x그냥 5-8층 정도 되는 계단 오르기나 50분 공부하고 5분 잠깐 걸으시는 것 또는 그냥 스쿼트 열개 이정도로도 충분하다고 하셨어요

    • @user-wn2zs9kz4d
      @user-wn2zs9kz4d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rd2im1ij6x유산소 운동이나 테니스 배드민턴 농구같은 뇌를 쓰면서 하는 유산소 운동이 좋습니당

  • @Simmen297
    @Simmen29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범작가님 번외적인 질문이지만
    노베 독서편 시작하려는데
    공부법 쪽을 다 1회독을하고 적용파트 들어가는건가요 아니면 하루 10,20페이지 읽고 그냥 적용편 하는건가여

  • @stum6680
    @stum668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심찬우 선생님 강의를 듣는중인 학생인데요, 선생님께서는 국일만에서 가능한 한 이미지화가 되면 무조건 떠올리고 충격을 받아야한다. 라고 해주셨습니다. 그런데 심찬우 선생님께서는 미시적이거나 특정한 부분들을 가리키며, 이건 평가원이 절대로 안낸다. 하면서 그냥 넘어가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런 부분들까지 저는 이미지화를 하는데요(가능한 부분이기에)(예를 들어, 반추위를 네개로 쪼개고 그 맨 위를 산소없는 공간 이미지화)
    굳이 이런 거 까지 이미지화할 필요가 있을까요?? 강의도중에 이런 부분들이 약간의 충돌이 있능 거 같아서 고민입니다

    • @codemaster9332
      @codemaster933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왜 축복받은 능력을 애써 부정하려 하십니까ㅠ 자동으로 되면 좋은 거죠

  • @user-je4fi2jw4u
    @user-je4fi2jw4u 3 месяца назад

    국일만 다 읽고 적용해서 기출 풀어보는중인ㄷ 혹시 다 맞았고 문제 풀때 다 이해된 지문은 어떻게 기출분석을 해야할까요..?? ㅜㅠ

  • @user-nh5pf5pf5g
    @user-nh5pf5pf5g 4 месяц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범작가님 최근 국일만 교재를 사서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교재에서 현대시를 풀 때 보기를 먼저 보지말고 시부터 보라고 하셨는데 소설을 풀 때도 보기를 보지않고 소설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은 후 문제를 풀어야 될까요?

  • @user-uj5ov2cu7i
    @user-uj5ov2cu7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나 에서 24번 2번이 좀 낚이라거 만든듯 나도 3번이랑 구민하다가,.. 정확한 근거가 뭐죠 이번 ㅌ,ㄹ린이유

  • @ojtukw3160
    @ojtukw3160 4 месяца назад

    국일만 독서 문학 사서 공부중인디요!! 제가 미대 입시생이라 공부 시간이 적게ㅡ나서 ㅠㅠ 혹시 독서랑 문학을 격일로 세 시간씩 공부하는거랑 하루 한시간 반씩 둘 다 하는거 중에 뭘 추천하시나요??

  • @user-hi1wx9ob3r
    @user-hi1wx9ob3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작가님 중학생과 고등 2학년 국어는 어떤식으로 어떤 문제집으로 해결 해야 할까요?

  • @user-mu2fk3py3t
    @user-mu2fk3py3t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국일만 보면서 질문이 있는데 질문은 어떻게하나요 😢😢

  • @user-lr4hb9tg3q
    @user-lr4hb9tg3q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문학공부를 하면서 의구심이 들고 찜찜했던게 왜그랬는지 정확히 알게 되었습니다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범작가님

  • @user-uj5ov2cu7i
    @user-uj5ov2cu7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리고 수필 보기 문재 2번에서 타인과 자신의 관계? 왜 타인이 나오지해서 2번 햇는데 마지막 믄단에 타인이 살짝 나오더라구요..

  • @user-je5x
    @user-je5x 4 месяца назад

    형 지금 국일만 독서랑 문학중에 하나만 돌리고 나머진 학기중에 돌릴려고하는데 지금 독서랑 문학중 뭘해야할까요...

  • @user-ef7kq9jx7k
    @user-ef7kq9jx7k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심찬우 선생님 프리패스 듣는 고3인데요 심찬우선생님 강의랑 국일만이 추구하는 방향성이 같아서 국일만도 같이 해야할지 고민중인데 같이 하는 게 좋을까요?ㅠㅠ

    • @beomjaka
      @beomjaka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심찬우 선생님 강의를 체화하는 용도로 사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다만 100% 무조건 해야한다는 건 아니라서, 강의만으로 충분하다 싶으시면 강의만 수강하셔도 돼요!

    • @user-zd8ij4vf3k
      @user-zd8ij4vf3k 5 месяцев назад

      ​@@beomjaka 책만 읽고 있는데 심찬우 선생님도 병행 해야 할까요..?

  • @universe9708
    @universe9708 26 дней назад

    마지막에 이비에스보는거 약간 지양한다고 말하신거같아서 그러는데 그러면 저 국일만 책 반복하고 기출학습하는게 나을까요? 그래도 이비에스작품들도 저렇게 좀 해석하고 가면 좀 든든할거같은데 그래도 되나용

  • @user-gv7dm4zl2z
    @user-gv7dm4zl2z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예비고1인데 수능 풀고 이 영상을 보는게 나을까요
    이 영상을 보고 수능을 풀어보는게 나을까요?

  • @user-lp4xy3vn7y
    @user-lp4xy3vn7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녕하세요 선생님! 예비고 1 입니다!
    저는 중학교때 자격증을 따느라 공부를 거의 놨어요. 그래서 국어가 지금 노베이스인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문법을 너무 모르겠어요..😂 지금 국어학원을 다니고 있는데 중학교가 기초라 문법을 하는데 어려움을 많이 느낍니다. 학원을 끊고, 인강과 문제집을 독학해야 할까요?😮

    • @user-id1ng1zo6f
      @user-id1ng1zo6f 11 дней назад

      중학교때 공부안했으면 수학 완전 망했네 ㅋㅋ 지금꺼 아무리 개념확실하게 공부하고 풀어도 쉬운문제인데도 중딩때꺼 개념모르면 못품 ㅋㅋ 국어챙길게아니라 수학부터 챙겨야될거같은데

  • @user-eg4nd2pm8z
    @user-eg4nd2pm8z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선생님 시를 저혼자 내면 세계를 감상한다음에 그 감상한게 맞은지 틀린지는 어떻게 파악합니까?

  • @user-rw2ry3qd9p
    @user-rw2ry3qd9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많은 학생들이 감상하는 방법을 기르는 과정에서 포기하는 이유는 딱 하나입니다.
    어느 순간 "내가 과연 이런 방식으로 시험장에서 읽을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스치는 순간 포기하고 싶어지죠.
    정답부터 말하자면 약 70-80% 정도만 근본적인 ‘감상’에 성공할 것 입니다.
    분명 이해 못하는 부분이 있을 거란 말이죠.
    그런데 어떻게 문제를 풀고 맞출 수 있을까요?
    여기서 기출짬이 튀어나옵니다.
    여러분은 수능장에서 노베이스인 상태로 문학을 읽지 않을 겁니다.
    해당 작품에 대한 직, 간접적인 배경지식을 갖고 있을 거란 얘기가 아니라, 천천히 문제를 풀면서 기출을 이해하고 분석했던 짬이 자연스럽게 녹아있어
    “어? 이런 정서 익숙한데? 이런 선지? 익숙한데? 이것보단 이걸로 먼저 판별해서 지우는 게 낫겠다. 이 시에서는 이런 정서가 제일 중요한 거 같은데?”
    이런 내면의 목소리들이 함께할 것입니다.
    그러니 기출, 특히 옳은 선지들이 왜 옳은지 깊게 감상하며 선지들을 스스로 이해하고 납득하는 시간들을 가지고 충분히 반복하며 데이터베이스를 만드시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 @user-aqcjtewh
    @user-aqcjtewh 3 месяца назад

    선생님 국일만 노베 문학편 40쪽에 멍든 거리 나오는 부분이 앞쪽 시 구절에 나오지 않는데 혹시 어디에 나온 걸까요?

  • @user-qd3hv4yh8c
    @user-qd3hv4yh8c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고3인데 노베라서 기본적인 국어 공부를 하고 국일만을 보는게 나을까요,,

  • @user-ud2zg2ry8w
    @user-ud2zg2ry8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문학이든 비문학이든 한마디로 정리하면 지문 해석을 꼼꼼히 하라는 말씀이신가요? 해석을 꼼꼼히 하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마음속으로 초조하고 불안해지는데 계속 연습해 봐야 하는 건가요?ㅠㅠㅠ 범작가님 그리고 모든분들 답장 해주실 수 있나요 ? 부탁드려요.ㅠㅠ

    • @MiRo-dy9eb
      @MiRo-dy9eb Месяц назад

      여러개를 대충 하는것보다 하나의 기출 지문을 깊이있게 해석하는것이 중요합니다!

  • @user-vb3jf4sh6w
    @user-vb3jf4sh6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범작가님 ㅠㅠ 화작도 다뤄주세옹 ㅠㅠㅠ

  • @junmin1207
    @junmin1207 4 месяца назад

    문학 개념공부(비유법,오감각이미지 등등)
    이걸 먼저 공부를 하고나서
    적용시키는게 맞는걸까요?

  • @hanaho9314
    @hanaho9314 Месяц назад

    선생님 늘 감사드립니다~!
    질문 있어요! 문학 기출문제 풀고, 해당 지문 분석 공부할 때, 그 지문의 갈래가 뭔지 볼 필요가 있나요?

  • @yawn-vj2ry
    @yawn-vj2r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국일만 노베이스 문학은 2/14 예약발송이던데 그때부터 시작해도 안 늦겠죠?ㅜㅜ

  • @user-lf6lm6uz8u
    @user-lf6lm6uz8u Месяц назад

    그럼 이미지화랑 내면세계 공감을 연습할때는 시간을 안재고 책읽는다는 생각으로 읽고 문제푸는게 맞을까요??ㅜㅜ답변 부탁드려용..

  • @imapilotcause8395
    @imapilotcause8395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선생님 한 달전에 국일만을 샀고 현재 현대시 파트를 한 번 돌린 상태입니다. 시 하나하나 읽고 최대한 내 방식대로 생각해보고 문제풀고 채점하고 선생님 해설이랑 비교하는식으로 공부를 하는데 해설에 있는 설명과 선생님이 말하시는 내면세계 공감이라는 공부법이 정말 저에겐 크게 와닿아서 좋은 공부법이라 생각은 드는데 체화하는게 쉽지가 않네요 ㅠ 자꾸 시를 읽고 뭔 말인지 모르겠어서 공감이 전혀 안되고 스트레스 받아서 넘겨버리고 이런 안 좋은 습관먼 늘어가는 거 같고….. 그냥 국일만 교재만 하는걸 추천하시나요…? 아니면 이 상황에서 뭘 곁들이는게 맞을까요…?(기출같은거) 꼭 답변 남겨주시면 너무 감사할거 같아요 재수생이라 너무 간절해요 살려주세요 선생님 ㅠㅠㅠㅠ

    • @beomjaka
      @beomjaka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쉬운 기출에 천천히 적용해나가시면 좋을 거 같아요! 국일만에 있는 건 기출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것들이라 쉽지 않은 게 맞아요 ㅎㅎ!

    • @imapilotcause8395
      @imapilotcause8395 2 месяца назад

      @@beomjaka 좋은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ㅠㅠ 선생님 정말 죄송한데
      1. 현대시를 한 번 돌렸으나 찝찝하고 내 것으로 만든 시가 많지 않은 것 같아서 고전시가 들어가기 전에 현대시를 한 번 더 해보고 내것으로 만들고 고전시가 하려는데 이 방법 추천하시나요….? 최대한 생각해보고 해설과 비교를 하든 하는게 더 나은 것 같아서요 ..
      2. 쉬운 기출부터면 2006학년도 정도일텐데 이때 기출이랑 국일만 3세트씩 하면서 병행하면 오를 수 있을까요…? ㅠㅠ
      영상 너무 잘보고 있어요 선생님 제가 간절한 상태라 자꾸 질문 드려서 죄송합니다 ㅠㅠㅠㅠㅠ

  • @nycto_offline3085
    @nycto_offline3085 29 дней назад

    저 같은 경우에는 시보다 항상 고전, 현대 소설에서 틀리는데 그 이유를 모르겠어요ㅠ 혹시 아직 그런 종류의 글에 익숙해지지 않아서 그런걸까요?

  • @user-hw9xp9je2p
    @user-hw9xp9je2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고전 소설 어휘가 부족해서 임진록, 소대성전과 같은 글을 읽는데 어려움을 느낍니다ㅜㅜ 이런 어휘력을 향상시키고.. 저런 단어를 암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 @user-nq5jg3rk6e
    @user-nq5jg3rk6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범작가님 혹시 마닳같이 모의고사 형태로 기출학습을 할 때 실전처럼 하고 긔 뒤에 고쳐야하나요? 아니면 처음 읽을때부터 완전히 이해하고 넘어가야 하나요?

    • @beomjaka
      @beomjaka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3등급 이상이시면 실전처럼 하고, 이후에 분석하시고 그 이하라면 사실 실전처럼 푸는 게 의미가 없기 때문에, 처음부터 완전히 이해하시면서 분석 들어가면 됩니다!

    • @user-asdlfhadfhal
      @user-asdlfhadfha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beomjaka학원에서 모의고사를 풀 때는 실전처럼 할까요 아니면 천천히 할까요? 지금 선택과목을 안 배웠고 시간 부족해서 고전시가 날리고 53점 나왔어요. 천천히 읽어야겠죠?

  • @user-gy3hs3wl3j
    @user-gy3hs3wl3j Месяц назад

    많은 분들이 말씀하시는 건, 보기를 먼저 읽고 범작가님이 말씀하시는 의 가닥을 잡으라는 거 아닌가요? 시에 대한 정보가 일절 없는 상태보단, 평가원이 제시하는 시에 대한 감상의 틀(23번 보기처럼 주제를 제시해 주는 경우)을 먼저 읽고 지문을 읽으면 말씀하시는 이 더 수월한 건 분명한 듯 합니다. 문학의 보기 유형을 보면 23번처럼 주제나 해석의 틀을 제시해주는 보기도 있고 지문 해석에 큰 도움이 안되는 형식상의 보기(산문에서 서술자, 시점 관련 보기, 24.9모 문의당기 유사성 어쩌고 보기 등등..)도 있습니다. 제가 말하는 건 전자의 보기입니다. 일례로 24.6모에 출제된 비연계 현대 시 오규원의 봄 같은 경우는 보기 없이 해석하기엔 굉장히 까다로운 작품이었습니다.
    보기만 읽는다고 문제가 술술 풀리는 건 당연히 아니죠. 보기와 지문을 선지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선지의 오류를 잡지 못하기에 틀리는 거죠. 23번 정답 또한 보기의 방향성과 반대되어 적절하지 않은 오답이고, 24.9모의 성산별곡/사설시조 보기 문항, 월훈의 보기 문항 또한 모두 보기와 반대되는 논리에 의해 정답이 도출됩니다. 난이도가 올라간 최근 24학년도 9모.수능만 하더라도 보기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죠.
    문학 작품 감상의 피지컬 자체를 올리기 위해선 보기 없이 지문을 스스로 읽어내며 연습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만, 촌각을 다투는 실전에서 비연계 문학 작품을 풀 때 굳이 보기를 나중에 읽을 필욘 없는 듯 합니다.
    영상보다가 의견 나누고 싶어 댓글 남깁니당. 반박시 님말이 다 맞음 🤍

  • @user-mm3gw2vd8l
    @user-mm3gw2vd8l 4 месяца назад

    새해에는 모두 이루어지시고 건강하시길.........

  • @sexyboys3939
    @sexyboys393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형 화작 선택했는데 어떻게 할까..

  • @user-ph9uy3ub1r
    @user-ph9uy3ub1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국일만 노배이스 책에 최소 4시간 공부를 해야 한다고 나와있는데 책에 나와있는 하루치 분량을 풀면 1시간도 안걸릴 때가 많아요. 그럼 4시간 채울 때까지 나눠져 있는 분량 신경쓰지 말고 계속 풀어야 되나요?

  • @adeblue1664
    @adeblue1664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선생님 국1만 커리큘럼 따라가려고 하는데 수특 수완은 안 보고 선생님 커리큘럼만 따라가도 되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수특 수완은 그냥 시간여유가 더 나오면 보면 되나요?

    • @adeblue1664
      @adeblue1664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user-vi6sf5mj3k 저도 알고 있는데 국일만 커리큘럼만 따라가도 되는지를 여쭌거예요 커리큘럼을 보면 국일만 시리즈 외에 공부는 다른 교재라던가 수특에 대한 설명은 없고 기출풀이만 강조 되어 있어서 질문한겁니다

  • @minhyeokseo4252
    @minhyeokseo425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영상 대부분에 동의하나
    개인적으로는 19:56 에서
    전체 내용만을 감상할때 를 먼저 보지 않고서는 "화자는 문이 열릴 시기가 다시온다라는걸 알아서 서럽지 않았다"라는 맥락까지 이어지기는 힘들거 같다고 생각이 드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용

    • @user-tp5ph1uj9e
      @user-tp5ph1uj9e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고통, 시련 뒤에 성장 혹은 긍정적인 어떤 것이 온다는 소재는 수능 문학에서 엄청 많이 나옵니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이 시도 그런 내용이겠거니 생각하신 것 같습니다

    • @user-eq5uo4ni6u
      @user-eq5uo4ni6u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런건 윗분 말씀대로 많은 지문에서 나타나는 특징입니다.설령 읽는 도중에 못알아챈다고 하더라도 선지에서 물어봤을때 충분히 끄집어낼 수 있는 내용이라 봅니다ㅎㅎ

  • @user-id1ng1zo6f
    @user-id1ng1zo6f 11 дней назад +1

    와 도대체 문학은 얼마나 문해력이 뛰어나야 저걸 풀수있는거야

  • @user-si1zk6ut3k
    @user-si1zk6ut3k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국일만 문학 비문학 다 구매했습니다! 그런데 문학편을 공부할때 현대시를 다 하고 그 다음 유형 고전시가로 넘어가야하나요? 아니면 현대시 1개 고전시가 1개 현대소설 1개 이런식으로 해야하나요??

    • @user-xp9eq1gb4b
      @user-xp9eq1gb4b 4 месяца назад

      따로 기출문제 푸는 거 말씀하시는 건가요?

    • @user-xp9eq1gb4b
      @user-xp9eq1gb4b 4 месяца назад

      국일만 책은 순서대로ㅜ하시는 게 좋고 기출로 공부하실 땐 좀 섞어서 하시는 거 추천드립니다. 한가지 유형만 하다보면 사고방식이 그 유형 중심으로만 고정될 수 있어서요

  • @user-mh7ok2hi9r
    @user-mh7ok2hi9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범작가님 문학 비문학 책 개정되어 나오자마자 바로 하루에 15페이지씩 읽고 있습니다. 초반에는 도움이 많이 된다고 생각했는데 특히 문학에서 체화가 안되는 느낌이 계속 듭니다ㅠㅠ 책 읽기 시작한지 그래도 꽤 됐는데 알려주신대로 읽어도 뒤에 해설 보고서야 이게 이런 의미였구나 깨닫는게 너무 많아요ㅠㅠ 혼자서 끙끙 생각해봐도 잘 파악이 안돼서 알아차리는게 아닌 해설만 정독하는 느낌이라 자꾸 실력이 늘고 있는게 맞나? 싶은 생각이 들어요ㅠ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ㅜㅜ😭

    • @user-jp1no8bq3u
      @user-jp1no8bq3u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도 지금 님이랑 비슷한 수준인거 같은데요 전 해설을 읽고 기출에서의 내면세계가 반복되는것을(국일만 해설에서 알려줌) 많이 읽어보고 최대한 다음 지문에 적용하는 연습하고 있어요^^

    • @user-xp9eq1gb4b
      @user-xp9eq1gb4b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시인은 단어 하나,조사 하나도 몇시간동안 고민하고 쓴다는 걸 항상 인지하시고 하나하나 왜 이렇게 썼지? 무슨 의미일까? 생각하시면서 공부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걍 내면세계 틀 잡으시고 그 틀 안에서 별의 별 생각 다 해보시는 거 추천드려요

    • @moolbum
      @moolbum 2 месяца назад

      지금은 아직 성적이 오르지 않아도 꾸준히 올바른 방법으로 하신다면 성과가 나오리라 믿습니다..!

  • @user-wx4xn5rk9j
    @user-wx4xn5rk9j 2 месяца назад

    지렸다

  • @user-of6me1gk8p
    @user-of6me1gk8p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범작가님 제발 답변 부탁드려요ㅜㅜ!
    고전소설 읽을때 모르는 한자어나 단어가 너무 많아서 내용자체가 뭐라는지 감이 안잡힐때가 너무너무 많은데 어떻게 공부해야할까요??ㅜㅜ 도와주세요!!

    • @user-lx5ls4ri7r
      @user-lx5ls4ri7r 4 месяца назад

      .

    • @user-xp9eq1gb4b
      @user-xp9eq1gb4b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이건 그냥 많이 접해보며 모르는 거 나올 때마다 검색해서 찾아보고 대충 감이 생길 때까지 하는 게 방법인듯 합니다ㅜ

  • @user-ff6ey2jh6x
    @user-ff6ey2jh6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30:00 수필은 모든 문장을 꼼꼼히 읽고 날려읽지 말아야한다고 하셨는데, 해당영상 수필('잊음을 논함')을 읽을 때 예시가 나열되어있는 문장도 하나하나 이해하며 꼼꼼히 읽어야할까요? 1문단 필자의 주장을 이해했음을 전제로요! 다음 예시문단은 대충 날려서 이게 잊어도좋을것을잊지못하는것인지 잊어서는안될것을잊는것인지 범주만 파악하면 되는 것 아닌가요?

    • @user-gy3hs3wl3j
      @user-gy3hs3wl3j Месяц назад

      예시 열거는 하나의 의미 단위로 묶어서 빠르게 읽는 게 좋지 않을까유

  • @user-fb1rn2fb3b
    @user-fb1rn2fb3b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으악 ㅜㅜ 내일 아침 전까지는 유료로 돌리지 말아주세요🥹 오늘 밤에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ㅜㅜ

  • @gooookan
    @gooooka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지금 국일만 문학편 공부중인데 저만 문학 한 지문공부할 때 시간이 많이 걸리나요? ㅠㅠ

    • @user-bu2ms3mg3l
      @user-bu2ms3mg3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기출 많이 풀 필요 없음 제대로 모르고 계속 문제만 풀면 기출만 아까웡

  • @user-mh8lb6on6h
    @user-mh8lb6on6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선생님 화작러면 화작도 24년부터 06년까지 기출 회독해야할까요??

    • @user-jx5xc3ir5h
      @user-jx5xc3ir5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근데 그정도 양으로 공부할려면 그냥 언매를..

  • @user-kd1db3xq8i
    @user-kd1db3xq8i 2 месяца назад

    국일만 책 이미 봤는디 이거 따로 안 봐도 되나요?

  • @JjdjJejj
    @JjdjJejj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가 나 다로 나뉘어져 있는 문제가 있을 때 영상에서 처럼 가를 읽고 가에대한 문제를 풀고 나를 읽기 시작하는게 맞을까요?

    • @user-xp9eq1gb4b
      @user-xp9eq1gb4b 4 месяца назад

      네 최대한 그 지문에 대한 기억이 많이 남아있을 때 문제를 처리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user-ty9ne1kj1e
    @user-ty9ne1kj1e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와 ㅁ친 ㅈㄴ 잘가르쳐 진짜 신세계야 나 안그래도 t랑 f 반반인데 진짜 조금만 집중하고 몰입해서 읽어보면 이건 그냥 재미있는 동화(?) 수준인데..? 범작가님 왜 저 안뽑아줘요

  • @user-vl3yi8ku1p
    @user-vl3yi8ku1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김종길 문에서 왜 눈물나지..ㅠㅠㅠ그러나 험상궂어 가는 것이 서럽지 않았다 부분에서 찔끔;;😂

  • @user-xv6bb9rb9m
    @user-xv6bb9rb9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시험시간에 감상을 하고 빠르게 풀려면 많은 연습이 기반으로 잡혀있어야 하는거겠죠?많은 연습을 기반으로 하고 감상을 하며 읽으라는 것 맞죠?

    • @user-xp9eq1gb4b
      @user-xp9eq1gb4b 4 месяца назад

      넵 비문학,문학,선택과목 합쳐서 하루 세네시간씩 연습하시면 됩니다

  • @user-hh8hj3mg8u
    @user-hh8hj3mg8u 16 дней назад

    감상을 하면서 읽으면 시 하나당 시간을 얼마정도 써야하는건가요?

  • @user-zo6ci4if6x
    @user-zo6ci4if6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현대 시에서 낙타가 물을 마시는 행위도 행복한 건가요?

  • @namhanhalbae
    @namhanhalbae Месяц назад

    인강강사는 꾼이다.

  • @user-ih6ke9ko9d
    @user-ih6ke9ko9d 4 месяца назад

    비문학도 구절을 다 이해하며 읽어야 하나요?

  • @user-jk1gw5br7d
    @user-jk1gw5br7d 20 дней назад

    내면세계, 이미지화. 감상을 완벽히 이해해서 인물잡고 풀기

  • @bp1616
    @bp1616 2 месяца назад

    국일만 책은 계속 판매하시나요?

  • @SYJ_pharm
    @SYJ_pharm 4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덕분에 국어공부법 잘 알아갑니다.

  • @yuuki0430
    @yuuki043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이제 고3 올라가는 학생인데 지금 국일만 사서 공부해도 늦지 않았겠죠…?

    • @user-wz7wb7cm8x
      @user-wz7wb7cm8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진짜 좋은책임 처음에는 실력 안느는데 계속하면 느는게 눈에 보임

  • @user-mx1br3jw8b
    @user-mx1br3jw8b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국일만 비문학편을 사서 풀었는데 지문이 어려워서 그런지 오답이 하나씩은 있던데
    이럴 때는 그 오답이 왜 오답인지 끝까지 물고 이해해야 독해력이 느는건가요??
    오답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하는 지를 모르겠습니다..

    • @Y.u.m.s
      @Y.u.m.s 4 месяца назад

      저도요

    • @user-xp9eq1gb4b
      @user-xp9eq1gb4b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네 근거를 찾으셔야해요 오답이 왜 오답인지 본인 스스로 깨닫지 않고 그냥 넘긴다면 실력은 오르지 않습니다

  • @ohohkb
    @ohohkb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 영상의 내용이 노베책에 있는 건가요?

    • @beomjaka
      @beomjaka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학습 방법은 노베 책에도 동일하게 담겨 있습니다 :)

  • @user-kb1lz6wc7d
    @user-kb1lz6wc7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문법도 가시죠

  • @user-vs1ob6zx8o
    @user-vs1ob6zx8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대학 붙고 국일만 보기 개꿀잼ㅋㅋ

  • @user-ep9ck6ch3m
    @user-ep9ck6ch3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고3인데 사촌오빠가 준 국일만 독서, 문학 두 권 있는데 올해 개정된 걸로 새로 구매해야 할까요..?

    • @user-do1pb3kk2r
      @user-do1pb3kk2r 4 месяца назад

      개정됬다 해도 뒤에 내용 적용하는 지문만 다를꺼임 그냥 그거 ㄱㄱ 중요한내용은 같음

  • @user-gb9vt7un8k
    @user-gb9vt7un8k Месяц назад

    작가님 24수능 보러가셨나요??

  • @user-eg9uw5qv8c
    @user-eg9uw5qv8c 3 месяца назад

    저거 1번 정답은... 뭐랄까... 다들 1번을 너무 당연하게 아니겠지 했을 듯...

  • @user-dk8pm3os1r
    @user-dk8pm3os1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발 유료 안돼요ㅠㅠ 학원 스케쥴 없는 순 자습시간 일욜에 보게요ㅠㅠㅠㅠㅠ

  • @23kim43
    @23kim43 Месяц назад

    선생님 말 무시하고 감상도 타고난 놈들이나 하는거지 34등급 서민들은 걍 보기지...구조 독해지....ㅈㄹ하다가 망하고 이 방법대로 하고 있어요....진짜 문제 풀때마다 감동이 느껴져요...

  • @user-so5pn6rv4u
    @user-so5pn6rv4u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보기를 먼저 보라는 선생님이 계시고 봐도 도움안된다는 선생님이 계신데 뭐가 맞는걸까요😢

    • @sion0240
      @sion024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보기의 내용에 따라 다름

    • @user-iq3lu6zs2n
      @user-iq3lu6zs2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국일만 보긴 하셨나요..

    • @advc106
      @advc10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국일만 읽지도 않고 질문하네ㅋㅋㅋㅋ

    • @beomjaka
      @beomjaka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저는 개인적으로 바로 작품부터 읽는 게 시간 상 더 유리하다고 봅니다 :) 구체적인 내용은 국일만 문학편에 써놓았어요!

  • @whghftf
    @whghftf 18 дней назад

    현대시는 괜찮아졌는데 현대소설이 왜케 어렵지 팁 있나요

  • @YK-ii4xu
    @YK-ii4xu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내면세계 공감, 이미지화

  • @user-sh6pg1wz9w
    @user-sh6pg1wz9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잊음을 논함은 시험장에서 시간부족할때 읽으먼 정신줄놓기 딱좋은 지문이네요

  • @user-sx2wo1gn8c
    @user-sx2wo1gn8c 3 месяца назад +1

    한 가지 의아한 점이 있어서 말씀 드립니다 문학 풀 때 보기를 보지 말고 순수 작가의 의도를 공부 하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수능에서 문학 문제는 실제 작가에 생각과 다른 경우도 존재합니다 그의 일례로 2009년 최승호 시인은 자기가 쓴 작품을 푼 결과 모두 다 틀리는 경우가 생겼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작가의 의도로 읽는 것 보단 평가원 의도 즉, 보기를 바탕으로 읽는게 더 수능의 관점에서 더 맞지 않나 생각됩니다. 윤혜정 EBS강사를 비롯한 여러 강사들이 보기를 읽고 거기에 대한 의도에 맞게 읽으라고 학생들에게 가르치십니다.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이번에 수능을 준비하는 학생입니다 너무 국일만으로 공부하고 있는데 너무 혼란 스럽습니다
    띄어쓰기, 맞춤법 등이 다소 틀릴 수 있습니다 죄송합니다

    • @beomjaka
      @beomjaka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최승호 시인이 풀었던 그 당시 시험은 수능 시험지가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최승호 시인이 풀었던 문제 선택지를 보면 수능처럼 내면세계를 묻는 선지도 아니었고요.
      를 읽지 말라고 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먼저 읽으면 작품 들어갔을 때 섬세한 독해가 어려움. 에 있었던 말들과 비슷한 부분들만 눈길을 주고 다른 구절은 제대로 안 읽음. 그러면 문제에서 다른 구절의 의미를 물어 봤을 때 틀림.
      2. 를 읽고 들어가도 어차피 문제 풀 때 다시 봐야 함. 시간 2배로 걸림.
      3. 를 안 주는 작품들이 있음. 이 경우에는 시 자체를 읽고 이해해야 함. 그런데 맨날 읽고 비비는 학생들은 감상력이 없기 때문에 이런 문제에서 다 틀림. 예시로 2024학년도 수능 '가지가 담을 넘을 때'와 관련된 단독 문제 참고해보면 알 수 있음.

    • @user-sx2wo1gn8c
      @user-sx2wo1gn8c 3 месяца назад

      @@beomjaka 답변 감사합니다!!

    • @user-bw4ze9sx7e
      @user-bw4ze9sx7e 2 месяца назад

      그러면 다른 강사들이 보기부터 읽으라는 건 무슨 뜻 일까요??

  • @user-cz5fh3rh8c
    @user-cz5fh3rh8c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국어 시험때 지문을 온전히 이해하고 정답을 100%로 맞추는 실력은 문제가 없지만, 텍스트 자체를 읽는 속도가 느려서 시간이 지체가 많이 되는 편입니다. 이 또한, 독해력의 근본적 문제일까요?

    • @user-xj6ry6tr3b
      @user-xj6ry6tr3b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ㅇㅇ

    • @beomjaka
      @beomjaka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넵 독해력이 오르고, 평가원 글 형식에 익숙해지면서 글 읽는 속도는 빨라지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user-vq2kg7fh7i
    @user-vq2kg7fh7i 4 месяца назад

    심찬우가 했던 말이 맞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