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액 연봉을 받는 분야의 특징 (유망 분야는 고액연봉을 보장하지 않는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8

  • @abantu_AI
    @abantu_AI  День назад

    중간에 언급되는 예시는 무선통신이 아니라 무선충전입니다.

  • @민재-q9h
    @민재-q9h День назад +1

    제가 한국에너지공대 kentech을 다니는중인데, 에너지 분야(수소 그리드 ai 신소재 기후기술) 중 그리드나 전기전자관련 과목을 많이 들으려고 합니다. 그런데 제가 공부를 할수록 공대공부가 맞지않고 일반고 출신이다보니 의대지망이였어서 암기쪽이나 영어 과목을 좋아하고 잘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학부 졸업후에도 대학원을 가야할지 아니면 학사취업을 택하여 학부때 프로젝트와 학교활동을 성실히 해서 지역인재를 활용하여 한전이나 관련계열사 공공기업을 도전해볼지 많은 생각이듭니다.
    또, 신설학교다 보니 학과가 미래에 유망할지, 5개 트랙중 어떤트랙에 맞춰서 과목을 수강해야 취업할때 수월할지 고민이 됩니다.
    제가 다니는 학교과가 괜찮은 편인지,
    대학원은 취업이 목적이라면 연구가 안맞더라도 가는게 좋은지 궁금합니다.
    (저희학교 학부지원과 교수님들은 정말 좋고 친절합니다.)

    • @abantu_AI
      @abantu_AI  День назад

      공기업 연계 대학과 대학원은 아주 좋게 보고 있습니다. 신설이긴 하지만, 이후 취업 시장에서 유리하고 그 취업의 질도 너무 좋습니다. 저는 오히려 주변에 추천하는 편입니다.
      대학원을 갈지는 사실 타겟이 다르기 때문에 뭐라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졸업반쯤 되시면 갈지 안 갈지 분명하게 판단이 서실 것입니다.
      다만 근본적으로 느껴지는 것은 의대에 미련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아직 젊으시면 도전해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 @byul665
    @byul665 День назад

    영상 잘 봤습니다 아반투님.
    저는 이제 석박통합으로 인공지능학과를 입학합니다.
    꼭 연구하고 싶은 분야가 있으며 제가 연구하고 싶은 분야는 인공지능과 타 학문의 융합입니다.
    아직은 그 분야가 이름이 확실하게 따로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향후 이 분야가 독자적인 학과로 새로 생겨날 것이라는 믿음으로 밀고 나가도 될지 고민입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abantu_AI
      @abantu_AI  День назад

      멋지시고 낭만이 있습니다. 독자적인 길은 외로우실 가능성이 높으나 정착 시키면 국내에서 권위자가 되고 그 영역을 독점하게 됩니다. 도전해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과정에서 노하우와 실력, 경력이 쌓이고.. 최악의 경우에 그 분야가 사장되더라도 다른 분야로 전환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 @byul665
      @byul665 День назад

      @abantu_AI 항상 감사합니다 아반투님

    • @abantu_AI
      @abantu_AI  День назад +1

      @@byul665 새로운 분야를 일으키시고, 많은 이들의 귀감이 되는 연구자로 성장하실 것입니다. 화이팅!

    • @byul665
      @byul665 День назад

      @@abantu_AI 감사합니다 늘 힘을 얻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