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y Confident in 2nm. About the Pan-Japan Semiconductor Coalition Rapidus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1 июн 2023
  • Maybe the following words are words that we need to remember carefully. Rapidus is the name of a Japanese semiconductor company which have 2nm vision.
  • НаукаНаука

Комментарии • 350

  • @seungyoupjeon3455
    @seungyoupjeon3455 Год назад +79

    가젯서울님
    컨텐츠 올려주실 때마다 느끼는거지만 이번편은 정말 대단하네요.
    정보의 폭과 깊이도 놀랍지만 미래를 내다보는 인사이트에 더욱 감탄합니다.

  • @Jeonghunlee911
    @Jeonghunlee911 Год назад +2

    항상 빠른시장 분석에 감사드립니다

  • @EverydayWorkingHard
    @EverydayWorkingHard Год назад +1

    라피더스 이야기 언제 나오나 했습니다. 관심 없는 사람들에게는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 @user-user-user_user
    @user-user-user_user Год назад +2

    정보의 퀄리티가 대단합니다.

  • @user-sk8ex7lb1o
    @user-sk8ex7lb1o Год назад +1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한국반도체 응원해여

  • @hsyu88
    @hsyu88 Год назад

    대단히 공감되는 Contents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andodesjoke8742
    @andodesjoke8742 Год назад

    엄청 중요한 내용이네요. 잘 보겠습니다!

  • @moonseongwan
    @moonseongwan Год назад +75

    가능할지 두고보고 싶네요. 한국도 정말 고생해서 올라온 길인데..
    한국반도체 응원합니다!

    • @Aaaa-kg9ss
      @Aaaa-kg9ss Год назад +6

      일단 타임라인으로는 불가능합니다. 4나노까지도 수율 맞추면 진짜 기적입니다.

    • @moonseongwan
      @moonseongwan Год назад +2

      @@Aaaa-kg9ss 네. 저도 안될거라 생각은 해요. 두고 봤다가 놀리고 싶어서요^^;;

    • @hohohohohoho1900
      @hohohohohoho190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moonseongwan가능한것 보다는 더 봐야되는건 레거시라도 파이를 얼마만큼 가져가는게 더 큰 문제라 보여지네요

  • @user-mp7ob7hg8p
    @user-mp7ob7hg8p Год назад

    오늘도 좋은 자료 항상 감사드립니다 공짜로 보기에는 너무 송구스럽습니다 최곱니다 👍
    한국반도체의 미래가 많이 걱정이 되지만 한국도 가만히 있지만은 않을거라 믿어보고싶네요

  • @ZY_MAIN
    @ZY_MAIN Год назад +1

    오늘도 잘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machinehead6057
    @machinehead6057 Год назад +1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user-vd7yy3pl8p
    @user-vd7yy3pl8p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내용 퀄리티가 엄청 높네요

  • @voninctrl
    @voninctrl Год назад +10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이런 도전들이 하나둘 성공하고 더이상 반도체가 고급 기술 제품이 아니게 된다면
    지금의 최선두 업체들은 어떤 방향으로 갈지 궁금하다.

  • @majejjan
    @majejjan Год назад +9

    라피더스사의 FAB이 착곧한지 얼마되지 않았기에, 현재 라피더스 채용되신 분들은 2년간 미국의 IBM 연구소에서 재직하다가 홋카이도 FAB 완공후 일본으로 돌아올 예정이라고 합니다. IBM이 사실상 라피더스에 전면적 기술지원을 하고있는셈이네요.

  • @user-rm4xz7rj5e
    @user-rm4xz7rj5e Год назад +2

    잘봤습니다.

  • @user-yo8nn2cb8i
    @user-yo8nn2cb8i Год назад +1

    Tsmc 2nm 시험생산에 대해서도 이야기 해주세요!!!

  • @SNIinWL
    @SNIinWL Год назад +1

    영상의 모든것에서 진심이 느껴집니다 ㅠㅠ

  • @lys7284
    @lys7284 Год назад

    사람이 문제가 없다면 꿈만으로 완성되는 일이 아닌 현실로써 가능하다는게 느껴지네요.

  • @user-fx4cw1sf8w
    @user-fx4cw1sf8w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 @enviromin
    @enviromin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 @69MadnezZ
    @69MadnezZ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2나노를 만드는 자체도 진짜 힘들지만
    설령 성공을 하더라도 지옥의 수율이
    기다리기 있기에 일본의 목표는 사실
    불가능한 목표라고 확신함..

  • @grief_88
    @grief_88 Год назад +1

    될지 안 될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되면 상황이 상당히 재미있어지긴 하겠네요 삼성 입장에서는 경쟁자가 생기니 좀 그렇긴 하겠지만

  • @junwoolee3526
    @junwoolee3526 Год назад

    가젯 서울님, 대단 합니다.

  • @user-cg4lg9dv9q
    @user-cg4lg9dv9q Год назад

    기업과 정부의 역할. 시장은 어떻게 흘러갈까 ?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 @harukaze5719
    @harukaze5719 Год назад +58

    라피더스의 출범을 범상치 않게 보고 있었지만, EUV를 비롯해 "실질적인 반도체 제조 기술"이 일본에는 부족할텐데 2나노라는 목표, 야심차지만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해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영상에서 IMEC과 IBM이라는 키워드를 알게되고 조금 더 일본이 어떠한 과정으로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지 그 윤곽을 좀 더 명확히 볼 수 있었네요.
    그럼에도 한국 기업인 삼성, 하이닉스 그리고 DB하이텍 등이 그러한 일본의 추격을 허용하지 않게 더욱 탄탄한 역량을 구축했으면 하네요.

    • @remido9321
      @remido9321 Год назад +4

      이번 SK 하이닉스 기숙사 사태보고 느끼는 건데 뭐... 어느 기업이나 사내 정치질이 문제지만 저 동네도 상당하겠구나 느꼈음.

  • @user-zi5qv4sx3h
    @user-zi5qv4sx3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더욱 기술을 갈고 닦아
    다른 나라들이 감히 따라오지 못할 정도로 앞서가기 바랍니다...전세계 압도적인 반도체 기술굴기 대한민국이 되

  • @sangbumlee4592
    @sangbumlee4592 Год назад

    논리정연하네요❤

  • @bae6780
    @bae6780 Год назад

    정말깔끔함

  • @user-unidentified227
    @user-unidentified227 Год назад +2

    07:06 imec은 벨기에
    아인트호벤이 아니고 벨기에 루벤에 있어요. 아인트호벤은 asml본사가 있는 veldhoven옆동네에요

  • @glutathione1
    @glutathione1 Год назад

    여러분들이 이미 많이 알고 계신 = 이미 내가 영상에서 말해줬다 혹은 이 정도면 너희도 알고있다
    그래서 그런지 정주행 싹 하니까 순간 ㅇ? 하는 회사건 이미 알고 있던 회사건 응응 하게 만드는 매력적인 설명 ㅠ

  • @user-nf8fy7zg4i
    @user-nf8fy7zg4i Год назад

    목소리 다시 좀 좋아지신것같네요. 항상 화이팅입니다.

  • @Ychan1016
    @Ychan101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잘은 모르겠지만.. 삼성이 도전힐때 많은 일본 기업이 안될거다 라고 생각했던 그 안일한 생각 만큼은 없길 바랍니다..

  • @doug-zk3ck
    @doug-zk3ck Год назад +9

    미중갈등을 이용해서 일본의 재부흥 계획이 현실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보입니다.
    우리도 K-반도체 밸리계획을 차질없이 잘 진행해야 할 것 같네요. 우리도 제대로 지원해봅시다.

  • @bangdoll4500
    @bangdoll4500 Год назад +141

    0. 사람들이 많이 착각하는게 있는데... 미국은 지금까지 단 한번도 반도체 종주국의 지위를 뺏긴적이 없습니다.
    대량양산만 다른나라가 가져갔을 뿐이고, 매출과 수익면에서 지금도 미국이 압도적 입니다.
    (실제로 반도체로 가장 많이 돈을 벌고 있는 나라는 미국)
    1. 엘피다, JDI, 르네사스 라는 이름이 겹치지 않나요?
    엘피다 : NEC, 히타치, 미쓰비시전기 3사의 메모리사업부를 일본정부의 주도로 통합해서 만든 합작법인.
    엘피다는 독일 키몬다와 연합하여 2007년에 2차 메모리 치킨게임을 삼성전자에 전쟁선포 했으나,
    하필 2008년에 리만브라더스 사태로 세계 금융위기, 2011년에 도호쿠대지진 크리티컬 타격을 맞고,
    5년넘게 신공정 거짓말과 븐식회계 하다가 망함.
    2. JDI
    일본정부 주도의... 소니,도시바 히타치 LCD사업부문을 통합한 회사.
    2012년 출범후... 계속된 횡령, 분식회계 사건.
    23년 현재, 중국 저가 LCD 파상공세에 힘들어하고 있으며, 애플에 대한 디스플레이 납품도 중국에게 밀리는중,
    중국HKC와 합작해서 차량용(토요타) OLED 만들겠다고 하는데...그닥.
    3. 르네사스
    NEC, 히타치, 미쓰비시전기의 비메모리 반도체 사업부를 일본정부 주도로 통합한 합작회사.
    주로 자동차 소부장 반도체 업체.(토요타)
    자체팹은 40나노에서 그만두고, 지금은 TSMC 위탁생산.
    제가 왜 이렇게 일본회사들을 나열 했냐하면...
    지금 여기에 소개된 일본정부 주도의 합작 반도체 법인이 라피더스가 첨이 아니고, 이게 벌써 4번째 이며,
    여태 잘 된적이 없으며...
    가장 큰 이유는... 일본 특유의 경직되고 배타적인 기업문화 때문 이랍니다.
    그리고...
    여기 제가 나열한 회사들의 공통점을 말하면...
    1. 망해가는 NEC, 히타치, 미쓰비시전기, 소니등의 공통 사업부문을 각각 분리해서, 일본정부 돈(세금)을 투자해서 회사를 통합하여 살려준 것.
    2. 주된 돈줄이 세금. 해먹기 좋음.
    3. 실제로 횡령, 분식회계 계속 걸림. 그리고 그래도 안망하고 일본정부가 연명시켜줌.
    4. 라피더스 :
    여기 언급된 8개의 일본 회사의 출자금 총합은 각각 10억엔씩 총 80억엔(800억원)
    일본정부의 3300억엔(3조3천억원) 출자가 진짜 자본금.
    마지막으로...
    삼성전자와 TSMC의 3나노 팹 건설비용만 50조원(5조엔) 입니다.
    소문으로는 2나노 팹 건설비용은 이제 70조원(7조엔) 이랍니다.
    자, 여기서... 동영상의 히가시가 말했다는 7조엔의 근거가 어디서 나왔는지 알겠죠?
    참고로...
    70조원으로... 땡전한푼 안 아끼고... 라피더스가 기술개발 성공하고 팹 건설해도... 팹 1개밖에 안됩니다.
    그리고... 라인 만들고, 양산에 필요한 수율 올리는데 드는 비용은 또 다른 문제...
    삼성전자가 앞으로 5년간 괜히 450조 투자, 기흥에 라인 동시 두개건설, 동시에 텍사스에 라인건설 하는 이유가 다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모든 반도체 기술은... 과거 구공정 기술의 연장선상 입니다. 쉽게 말하면...
    핀펫을 오랜동안 계속 해왔기 때문에 EUV도 할수 있는 겁니다.
    근데, 앞으로 5년만에 2나노 최선단을... 10나노 핀펫도 해본적 없는 일본기업들이 모자르는 자금으로 하겠다구요?
    그렇게 반도체 공정개발과 양산이 쉬우면 여태 개나소나 다 했고, 그 많은 기업들이 안 망했지.
    개인사견 : 이게... 미국기업들이 이렇게 한다고 했으면 무서웠겠지만, 일본기업들이 이렇게 또 한다니까 비관적임.
    그리고, 구마모토 TSMC 20나노 신공장 건설이나, 지금 라피더스나 모두...미국의 반도체패권 관련해서 일본이 새롭게 추진하는 반도체 전략의...
    목적 1순위는 모두 토요타 자동차용 소부장 반도체를 위한 겁니다.

    • @kingoman530
      @kingoman530 Год назад +23

      좋은 글이네요 ㅋ

    • @omcgwoo
      @omcgwoo Год назад +16

      한국정부가 일본의 소부장기업을 다시 회생시키고 일본을 적극적으로 도와줄 겁니다.

    • @dd-cw8zb
      @dd-cw8zb Год назад

      엘피다, jdi랑 비슷하게 보이죠
      이구조의 문제는 여러기업들이 모여서 하다보니 투자에도 소극적이게 된다는건데 그 결과 실패했습니다 근데 라피더스는 상황이 좀 다릅니다 미국정부가 이번에 일본 반도체를 살려주기로 결정했다는겁니다 한국이랑 대만 중심으로는 자국의 반도체 공급에 불안하니 5월 27일에 미일 반도체 협력을 선언했습니다 90년대에 미국이 일본 반도체 죽이기 위해서 한국 반도체에 기술도 넘겨줬던거 생각하면 이게 무서운거죠 한국, 대만 반도체기업은 옥죄면서 일본 반도체를 키워주겠다는건데 긴장해야합니다 지금 라피더스의 목표에 비해 투자금이 너무 적긴 한데 이건 의지의 문제인거지 일본이 마음 먹으면 투자는 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래서 삼성이 걱정입니다 미국에 기술털리고 흔들리는건 아닌지.....

    • @user-tc6jd9yd8r
      @user-tc6jd9yd8r Год назад +9

      맞는말입니다 그렇지만 전략적 관점에서 일본의 최선의 수이며 그렇기에 더 유심히 지켜봐야겠죠 도요타 소부장이더라도 무시못하는 물량이니까요

    • @user-xr4nm2bh3e
      @user-xr4nm2bh3e Год назад +7

      겉으로는 2나노, 속 마음은 5나노, 그러나 현실은 14나노.

  • @J15102
    @J15102 Год назад +1

    미국, 중국, 일본도 정부 차원에서 투자를 하는데 우리나라도 늦지 않게 결정을 해야될거 같습니다. 예전에는 국가가 기업에 투자금을 지원하면 WTO에 제소됐던거 같은데 지금은 아닌가 보네요.

  • @davepark3177
    @davepark3177 Год назад

    고견 감사합니다. 46년 반도체의 거목 이네요. 그래도 반도체 선단 공정은 힘들 것이라 봅니다.

  • @milkitmoon
    @milkitmoo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결국 요점은 반도체 등 전략 기술에 대해서(향후 배터리 등에도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봄)
    미국과 일본이 국가적 차원에서 손을 잡았고...
    문제는 우리는 반도체 및 배터리 등 차세대 전략기술에서 팽당하는 상태라 지금 당장에 경쟁력과는 별개로 나라의 미래가 위태한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도대체 이런상황인데도 외국나가서 기타준다고 실실 쪼개고나있는 우리 정부는 뭐하고 있는 걸까요...

  • @cancun7786
    @cancun7786 Год назад +71

    정부차원에서 전폭적인 지원을 해야합니다.

    • @leedaq7767
      @leedaq7767 Год назад +26

      지원 안하고 못합니다 바이든이 미국에 반도체 공장 짓고 기술 토해내라고 석렬이한테 한마디했더니 아예 갖다 바침..

    • @SPIRIT3523
      @SPIRIT3523 Год назад +4

      @@leedaq7767 이렇게 중요한 때에 하필 ,,,,ㅜㅜ

    • @honeylee7022
      @honeylee7022 Год назад

      @@leedaq7767 좌ㅃ만 없었어도 일본애 밀어주진 않겠지 정권만 바뀌면 여기붙었다 저기 붙었다 하는데 누가 밀어줌?? 리짜이밍이 중국에 붙었는데??
      생각좀 하고 살자
      일본 봐라 ㄸㄲ도 핥을 정도로 친미니까 스텔스도 파는거 우리한테 팔면 좌ㅃ놈들이 분해해서 중국에 갖다 바치니까 못파는거지 안파는게 아니라

    • @zhinagou
      @zhinagou Год назад +10

      @@leedaq7767 중국에 갖다 바치는거 보단 낫지 싶다

    • @user-wm9ge8ip6r
      @user-wm9ge8ip6r Год назад +17

      ​@@zhinagou 그게 어떻게 더 나아 우리가 겪을 리스크는 같은데 어디 모자람?

  • @leedhsee
    @leedhsee Год назад +3

    TEL장비중 가장 점유율높은게 photo공정 track장비인데 이게 일본특유의 장인정신이 맞아떨어지는 장비인데 이걸 ASML처럼 기술적으로 획기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야되는데 이게 힘들다는거임..ASML은 노광장비의 원탑이 되었고 TEL도 track장비의 원탑이 되어버렸음

  • @keyonha5051
    @keyonha5051 Год назад +6

    라피더스, 인텔 많은 기업들이 반도체 기술 전쟁을 준비하고 있고, 시작하고 있는 시점입니다. 우리의 위치와 문제점도 한번 다뤄 주세요

  • @ssibal-why-hanguel-andoe
    @ssibal-why-hanguel-andoe Год назад +1

    애플 mr헤드셋에 대해 논평 해주세요 🙏❤😊

  • @HackyDrone
    @HackyDrone Год назад +52

    잘 될 수 있는 이유들을 잘 열거해주셨습니다. 그러면 제가 안될 이유를 몇개만 열거해 보겠습니다.
    1. 연합이란 것이 힘을 합친다는 면에서는 긍정적이나 사공이 많다는 뜻도 됩니다.
    히노마루 반도체, JOLED 다 망한 이유 중의 하나가 이 연합입니다.
    2. 전부 70조원? 많은 돈으로 보이지만 원대한 목표에 비해 턱없이 작은 돈입니다. TSMC와 삼성이 쏟아붓는 돈에 비하면 말이지요.
    3, Imec이 설사 신기술의 노광장비를 개발한다고 해도 실험실 수준이 아닌 대량생산에 적용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요구 될 것입니다. IBM 역시 실험실적 기술에서는 일부 제공할 것이 있을지 모르지만 글세요?
    4. 장비가 갖춰지고 준비가 되어도 수율이 문제입니다. 수율을 끌어 올리는 것은 월반이 안됩니다.
    5. Imec이 신기술로 딴 살림을 차리려 할 때, ASML은 어떤 정책을 펼칠까요? ASML + TSMC +SAMSUNG 연합이 생길 것 같은데요?

    • @omcgwoo
      @omcgwoo Год назад +3

      한국정부가 일본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며 도와줄 겁니다.

    •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 Год назад +2

      @@hellosalamander JOLED는 정부산하 펀드에서 쬐끔쬐끔 투자한거고ㅋㅋㅋㅋ. 미쓰비시UFJ가 들어간거보면 수조엔 투자한다는 의미임. 거기에 소니 사내유보금이 6조엔. 도요타 내부유보금만 29조엔임.

    •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 Год назад

      @@hellosalamander 원래 그렇게 도박성 사업하던게 일본임. 근데 2008년 서브프라임모기지터지고 슈퍼엔고나면서 일본전자기업들의 가격경쟁력이 박살나면서 대부분 사업부 사상최악의 적자내면서 사내유보금이 거덜나니깐 투자를 못한거지. 원래 기업 사내유보금을 가지고 저돌적으로 투자하면서 치킨게임 벌리던게 일본기업들 특징이였음. 동일본대지진터지고 나서 임금상승 억제하면서까지 사내유보금 모은거 보면 칼은 갈고있음.
      소니가 2012년에 사내유보금 고작 5000억엔 수준이였는데 2022년 현재 사내유보금 6조엔에서 7조엔까지 축적한거고.

    •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 Год назад +3

      @@hellosalamander 그리고 라피더스는 조별과제가 아닌게 지분구조상 어느기업이 독단적으로 지휘권을 가지고있는 구조도 아닐뿐더러 CEO자체도 8개 기업에서 내려보낸 낙하산도 아닌 별개기업에서 활동하던 분을 뽑음. 그리고 제일 중요한건 개발과정이나 경영도 일체 간섭이 없음. 말그대로 서포터역할만 할뿐. 기술개발도 소니, NEC, 키옥시아에서 진행하는게 아니라 IMEC, IBM에서 중점적으로 하니깐.

    • @user-wk2jd9fh7u
      @user-wk2jd9fh7u Год назад

      @@omcgwoo 왜 한국정부가 일본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합니까??????
      이런 뜬금없느 개소리가 좌파들을 욕먹게 하는겁니다

  • @user-ji4mi1gi3z
    @user-ji4mi1gi3z Год назад

    수율이 나오면야 좋은데, 그게 아니면 꼭 2나노를 해야되나 싶네요; vcache 같이 쌓는게 2나노보다 더 어려운가..;

  • @UnhasJ
    @UnhasJ Год назад +17

    ibm이 붙었다는데 큰 의미는 없는 것이 ibm이 쓰는 돈 없이 기술에 대한 라이선스료만 받아먹는거라
    미국정부 입장에선 일본이 해본다는데 되면 좋고 안되면 말지 뭐 그정도지 않나 싶습니다 잘봤습니다

  • @Lee-sg3mu
    @Lee-sg3mu Год назад +1

    요즘 근데 선단공정 노드 줄이는거 연구 잘 안하지 않나요? 연구비 투자 대비 가성비가 더이상 안나와서 패키징쪽을 더 개발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아시는분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 @user-ke4cy7pw9t
    @user-ke4cy7pw9t Год назад

    이 영상 주제와는 다른 댓글이어서 뜬금없겠지만, 과거 영상들도 수익 창출을 위해서 광고를 삽입하는게 어떨까? 합니다.
    오늘 갑자기 2년전 영상인 HBM-PIM 영상이 눈에 보여서 시청하게 되었는데요. 실제로 PIM 제품이 상용화 된다면 누군가는 예전 영상을 찾아 보기도 할 것이고, 연구 주제 및 호기심에 찾아 볼 수 있을거라 생각되네요.
    예전에도 말씀드렸지만, 꾸준한 컨텐츠 제작에는 그에 맞는 합당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jijijiilillillllllllllllll
    @jijijiilillilllllllllllll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일본 기업 리스트만 봐도 ㅎㄷㄷ. . 진짜 브랜드 가치는 압도적. .

  • @Coca-Cola-911
    @Coca-Cola-911 Год назад +26

    라피더스인지 비피더스인지 보다 인텔이 더 무섭습니다 ^^;

  • @user-hd6lj3zk8m
    @user-hd6lj3zk8m Год назад

    예전 J-oled인가요. 과거에 사례가 있었죠... 다음에 기회가 되면 낸드플래쉬 시장에 대해 한번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떤 테크커뮤니키서 내년에도 전망이 좋지 않고
    결국 디램처럼 몇개기업만 안남고
    치열하게 싸울거라는 전망글도 있어서 다뤄주시면 재밌을것 같습니다.

  • @Kogurean
    @Kogurea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얻어터지기 전에는 언제나 그럴듯한 계획이 있다.

  • @user-gc9ef7zz7x
    @user-gc9ef7zz7x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 @leedaq7767
    @leedaq7767 Год назад

    이번 영상 Ai로 생산한 목소리 학습 한건가요? 뭔가 평소랑 다르네요?

  • @Vivaldi-Winter
    @Vivaldi-Winter Год назад

    항상 그랬듯 미국은 목표한 하나를 쓰러뜨리기 위해 미래의 잠재적인 위협에 힘을 실어서 그것을 제거했고 , 또 그것이 자국에 화살이 되어 목을 겨눌때 또 다른 대안을 찾곤했지. 문제는 한국도 답을 늘 그랬듯이 답을 찾을 것이지만 , 선제적으로 써먹을 전략이 있느냐가 관건임

  • @exRebirth
    @exRebirth Год назад

    EUV장비 수급 자체가 어려울텐데 과연 어떻게 흘러가게될지 궁금하네요.

    • @user-jf7bk4nj4o
      @user-jf7bk4nj4o Год назад +1

      야네는 지금 그 euv까지 독자라인으로 갈려는거 아닐까요?? 원래 euv도전하다 포기한걸로 아는데 다시 광학장비는 있으니 다시 도전하려는거 같긴한데 글쎄요 4년만에 뚝딱하고 나올수가 있는거면 중국은 벌써 원탑찍었을거 같은데 말이죠. 시제품이라도 만들어내면 대단한거라 봅니다

  • @RealTalker16
    @RealTalker16 Год назад

    정말 훌륭한 영상이네요.
    추상적으로 JDI정도 하다 고꾸라지겠지 싶었는데 좀 많이 다른 느낌이네요.

  • @mister_9523
    @mister_9523 Год назад

    근데 기술적으로 생략해서 바로 2나노로 넘어가는게 가능함? 708090년도 때 처럼 미국이 기술 그대로 전수해주는 상황도 아닌데...😅

  • @thekite3h
    @thekite3h Год назад

    중간과정없이 도달할 수 있다는 근자감.

  • @danpark6750
    @danpark6750 Год назад +3

    삼성도 TSMC도 기술하나 적용하는데 개 고생을 하고 넣는데 갑자기 한방에 이걸 전부 비집고 들어오는게 가능할까 과연?

  • @jhh7933
    @jhh793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라피더스도 2나노를 충분히 만들수는 있다고 봅니다
    문제는 경제성을 확보하는 수율이죠
    삼성이 tsmc에 밀리는 이유도 공정을 못 만들어서가 아니라 수율에서 tsmc에 밀리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수율은 그야말로 경험의 싸움입니다 7나노 4나노 3나노를 다 건너 뛴 라피더스가 2나노에서 제대로 된 수율을 낼수 있을 거라 예상하는 전문가가 하나도 없는 이유이기도 하죠

  • @user-gy5ml1kk4h
    @user-gy5ml1kk4h Год назад

    항상 근데 양산의 기준이 뭘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수율이.. 반도체 과연 수율을 맞출수 있을것인가... 그렇지만 기초과학의 강국 일본은 무섭긴합니다

  • @user-hc9tj9yw2q
    @user-hc9tj9yw2q Год назад

    사실 여기 포함된 IBM의 이전 사례만 봐도 알기 쉬운게, 일본이 목표로 하는 단순 Xnm 생산은 가능할겁니다. 그런데 양산을 목표로 하면 다른 이야기가 되는거죠.
    그동안 IBM은 이게 가능한가 싶은 기술도약급의 메모리, 시스템 반도체를 연구실 단계에서 구현하는것은 성공해왔으나, 결국 제대로된 양산으로 이어진적이 없어왔죠
    그리고 단순히 MOS를 구현하는데서 그치지 않고 로직 단계로의 진행에 대해서도 의문을 주는게 사실이죠. 단순 선형이 아니라 복잡한 구조의 구현이 가능해야하니까요.
    또한 현재 TR들은 프론트엔드 쪽 뿐만 아니라 백엔드 쪽의 성능이 매우 중요해져서 겨우 프론트엔드 구현을 했다고 큰 의미를 가지지도 않죠.
    특히나 FINFET부터는 저층부 메탈의 기생 성분들이 많은 문제를 야기하는데 이것 또한 공정사들만의 레시피로 해결해왔던건데 이 부분에서는 매우매우 의문이 커지다보니
    누구나 IP열람하는 IMEC(이쪽으로 해결이 가능했으면 이미 중국이 했겠죠)이라던가 양산 실적이 매우 처참한 IBM을 모은게 사실상 기술지원에 가장 필요한 기업은 아예 없는거 같아보이네요

  • @RRR-uf1xg
    @RRR-uf1xg Год назад

    형 목소리 너무 멋있어❤

  • @kalavinkas
    @kalavinkas Год назад

    전공정에 있다가 후공정 Apps로 온 지금은 전공정의 면면을 모두 알지는 못하지만.. 일본 특유의 기업문화가 기술경쟁의 속도면에선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일본과 한국이 잘 하는것이 엔지니어 개개인의 역량보다는 이를 시스템적으로 매뉴얼화 해서 잡는건데 글쎄요.. 삼성은 그 시스템을 성공시켰고 (시스템의 삼성이라고 불리는 이유죠.) 미국은 엔지니어들 역량이 높은 편입니다. 과연 ibm의 시스템과 일본의 시스템이 융화가 될지 의문입니다.
    아마도 실험실 레벨에선 아주 잘 나올겁니다.. 다만 양산은 돈이 들어가는 문제이고 원가절감, 양산능력의 차이겠죠.. 사공이 많은 배에 월급은 한 루트다? 과연 잘 될까요? ㅎㅎㅎ

  • @user-cx7kx1rt7b
    @user-cx7kx1rt7b Год назад +1

    미국처럼 국내 내재화 한다 그 정도로 볼수 있겠네요

  • @nts6759
    @nts675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가장 큰 약점은 글로벌 조별 과제라는 점. 이런 프로젝트가 성공한적이 있나?

  • @Chaerokk
    @Chaerokk Год назад +8

    2~3년 후엔 일본도 견제해야한다니...우리도 sk랑 삼성믿고 손놓고 있을 때가 아니라 대대적인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힘과 판을 키워야 합니다!

  • @user-bj8ij9uj6z
    @user-bj8ij9uj6z Год назад

    오늘도 잘 봤습니다!
    앞으로도 쟁쟁할 것 같은데 일본이 비집고 들어오려는 것을 보면 반도체 생산캐파가 무지막지 하게 늘어날려나 보네요. 흥미진진합니다😂

  • @S82Y
    @S82Y Год назад +1

    그런데 지금 돌아가는 형국이 미국은 중국 반도체뿐만 아니라 한국 반도체도 희생 플라이 정도로 써먹으려는 것 같아서...

  • @leejun9229
    @leejun9229 Год назад

    만약 몇년 뒤 반도체 수요 박살나버리면 어쩌려고 저러지...? 라는 생각이 듬

  • @tomorrow97.
    @tomorrow9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투자금액이 생각보다 적다. 그럼으로 쉽지않음 그럼에도 일본이 반도체 시장에 참여 할려고 하는 이유는 반도체 자립화로 반도체 무기화를 억제 시킬려는 의도로 보여진다.
    미국도 한국 대만처럼 위험한 지역보다. 자국과 일본에 반도체 공장 건설 하려는 이유도 있다고 봅니다.

  • @kimchi_taco
    @kimchi_taco Год назад

    니콘 케논 DUV장비가 ASML보다 훨씬 싼걸 생각해보면, 일본이 리소 시장 독점을 깨주면, 양산의 한국 입장에서는 훨씬 좋은 선택지들이 생긴다고 봅니다.
    미국과 네덜란드가 EUV팔때, 일본은 전자빔 리소그라피 (Electron-beam direct write Lithography)에 더 투자하다 전쟁에 진것 같은데. 전자빔은 아예 고려대상이 아닌가 보군요. 전자빔이 양산을 어떻게 할껏인가가 큰 의문이긴 하지만, 잘되면 섭나노 스케일로 쉽게 가능할것 같은데. 뭐 ASML이 EUV로 양산 가능하다는걸 증명 했으니, 광학과 소재에서 자신있는 일본이 EUV를 택하는것이 더 합리적인것 같긴 합니다.
    최근 10년 일본 손만대면 모조리 죽쑤고 있는데 (가령 중대형 여객기), EUV는 잘 개발되서 ASML독점좀 깨줬으면 합니다.

    • @Selfcntrol
      @Selfcntrol Год назад +2

      미국이 asml 초기에 투자도많이했고 관련핵심기술도 들어감. Asml이 뛰어난건 기술력도있었지만 애초에 미국이 의도적으로 밀어준거임. 그리고 현 공급망을 보면 굳이 일본이 euv까지먹게되는걸 미국도 원치는않을거에요. 적어도 슈퍼을인 노광장비사가 서유럽에 있는게 지정학적으로도 리스크관리측면에서 좋고요.

  • @yhe2501
    @yhe2501 Год назад +1

    미국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잘 될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우린.. 어카죠?

  •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 Год назад +5

    1979년 소니 세계최초 휴대용카세트 워크맨 발매
    1981년 소니, 필립스 세계최초 cd 발매
    1982년 세이코 엡손 세계최초 TFT-LCD 양산성공
    1985년 일본 도시바 세계최초 플래쉬메모리 발명
    1985년 일본 도시바 세계최초 랩탑 PC 개발
    1987년 일본 샤프 세계최초 TFT-LCD 탑재 모니터 개발
    1989년 세이코엡손 세계최초 LCD비디오 프로젝터 개발
    1991년 일본 소니 세계최초 리튬이온전지 양산 성공
    1993년 일본 히타치 세계최초 IPS-LCD 양산성공
    1993년 일본 NEC 세계최초 1GB D램 개발성공
    1997년 일본 NEC 세계최초 4GB D램 개발성공
    1998년 일본 NEC, 산요, 파이오니아 세계최초 OLED디스플레이 양산기술개발 성공
    1999년 일본 NEC 세계최초 양자비트 개발성공
    1999년 일본 NTT 세계최초 휴대폰 무선 인터넷접속 I MODE 서비스 개시.
    1999년 일본 NTT 세계최초의 이모티콘 개발 및 도입.

    • @johnbillon7757
      @johnbillon775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하지만 상용화하면 폭망했음. 기술개발과 상용화는 다른 이야기.

    • @Ondayonemil
      @Ondayonemi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옛날이랑 지금은 다르니. 저땐 일본 반도체가 엄청났을때고 지금은 흠..ㅋㅋ

  • @rickychung3291
    @rickychung3291 Год назад

    아인트호벤은 네덜란드 아닌가요?

  • @CFACharter
    @CFACharter Год назад +20

    재팬디스플레이를 보면 기대나 위협감을 느끼긴 어렵네요.
    일단은 인텔과 smic를 견제하는게 더 우선인거 같아요

  • @HS-eg4sc
    @HS-eg4sc Год назад +1

    긴장되네요. 우리나라도 정신 바짝 차려야겠습니다.

  • @gokarlie
    @gokarlie Год назад +6

    이 회사가 성공하려면 개발이 곧 양산 성공을 보증해야 하는데 개발과 양산은 또 다른 얘기라는게 함정이다.

    • @gokarlie
      @gokarlie Год назад

      양산 물량확보가 관건이죠. 결국 미국고객사 확보가 관건인데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것이냐. 그 것이 문제로다.

  • @viralkorea240
    @viralkorea240 Год назад +2

    GOAT 가젯서울

  • @jssjssj
    @jssjss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미국이 반도체 산업계의 다각화를 위해 IBM을 통해 일본에 기술지원해주는거 아닐까요?

  • @jiyongshin6279
    @jiyongshin6279 Год назад

    이게 그 전설로 내려오는 완전체 1군 같은거냐?

  • @dd-cw8zb
    @dd-cw8zb Год назад

    삼성전자 화이팅!!!

  • @tomma8345
    @tomma8345 Год назад +2

    대일본제국의 영광이 다시 한반도를 비춰주기를!!! 대일본제국 만세!

    • @koreanchinese1836
      @koreanchinese1836 Год назад

      대조선 만세 , 후조선 소중국 대한민국 만세!!!

  • @user-jb6hm7ge4w
    @user-jb6hm7ge4w Год назад +1

    일빠 입니다

  • @ahnnak
    @ahnnak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일본의 가장큰 문제는 인력이 아닐지 이미 망가진 생태계를 살려내려면 그만큼의 기간이 필요할텐데 지속적 투자가 이루어질지 j디스플레이보면 알수 있을듯 사공이 많으면 힘들다

  • @fgjkns6982
    @fgjkns6982 Год назад +1

    인텔도 지금 되냐 마냐 이러고 있는데 오합지졸 모아봐야....단 기간안에 힘들다고 생각함 이게 20세기 때는 자국 밀어주기 하면서 될수도 있겠지만 만약에 일본 업체들이 라피더스 제품을 사준다면 일본 제품 품질 자체가 떨어질거라고 생각함 그전까지 범 국가차원에서 했던 프로젝트 한번도 성공한적이 없음....ibm도 과연 어디까지 진심일지 euv 장비 들여와도 그걸 쓸수 있는 인력이 없다는 소식도 들어오고 있어서 단기간에 가려고 한다면 또 돈 낭비하고 끝날 가능성이 높음...

  • @ganda21moon
    @ganda21moon Год назад

    10위 안에 드나요 ?

  • @5rinuguri
    @5rinuguri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일본 반도체 기술이 성공적이면 좋겠네요. 기업들간의 경쟁이 더 좋은 기술을 인류가 쓸 수 있게될테니 말이죠. 각 국가들이 더 좋은 제품들을 만들어 내는 날을 기대해봅니다.

  • @tima6495
    @tima6495 Год назад

    재진입에 최적기

  • @user-cu8gn2iw8j
    @user-cu8gn2iw8j Год назад

    형. 자주좀 올려줘 ㅎ

  • @nvidia486
    @nvidia486 Год назад +1

    대단히 좋은 내용이었습니다 하지만 안될거에요 연합이 성공하려면 서로 내주는게 있어야 할텐데 일본은 그게 안되니까요 다만 경계는 해야함은 마땅합니다

  • @taenggu7454
    @taenggu7454 Год назад

    완전 드림팀이네요
    법과 질서를 지키면 지는 게임이고 반칙이 당연해 질텐데
    씹선비의 나라 걱정됩니다

  • @user-di9cy9gy5l
    @user-di9cy9gy5l Год назад +1

    euv 장비를 직접 만드려는게 아닐까요?

  • @nolanchris4425
    @nolanchris4425 Год назад +1

    무섭네요ㅠ

  • @user-qr1pu8ts1k
    @user-qr1pu8ts1k Год назад

    눈에 한번 들어오면 안누를래야 안누를 수가 없는 제목

  • @jinokim8914
    @jinokim8914 Год назад +13

    반도체에 대한 지식은 부족하지만 나름 경영 공부를 한 사람의 입장으로 보자면, (영상으로 어림짐작할 뿐 정확한 상황은 잘 모르지만) 라피더스 프로젝트를 이끌어가는 리더십이 불분명해보입니다. 지금 반도체 시장을 보면(반도체 시장 뿐 아니라 대부분의 주요 산업군에서) 거의 모든 성공한 플레이어는 단일화된 리더십 아래 일관된 목표를 가지고 나아갔죠. 너무 많은 이해관계자(일본의 여러기업, 일본 정부, 미국기업, 유럽기업까지)가 얽힌 이 프로젝트가 효율성과 속도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반도체 시장에서 잘 구동될지 모르겠습니다.

    • @Selfcntrol
      @Selfcntrol Год назад +3

      이미 많은 반도체 역사를 다룬책에서 일본반도체의 실패중하나를 리더십을 언급하긴했습니다 ㅋㅋ 더군다나 관민주도로 진행하니 책임소재도 불분명해지고 여러 이해관계가 겹치니 의사결정도 더디었죠.
      더군다나 지정학적요소까지 고려해야하는 현상황에 어느업종보다 빠른 인사이트가 필요한 반도체업종이면 말다했죠 ㅋㅋ

    • @tkrhkdhkd
      @tkrhkdhkd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리더쉽 한마디로 책임질 놈이 없다는거죠.

  • @sjyoon0603
    @sjyoon0603 Год назад

    joled꼴 나지 않을까 조심히 예상해 봅니다.

  • @user-gy9bg3xe7t
    @user-gy9bg3xe7t Год назад

    아...참... 글로벌 싸움에 우리는 뭐하는건지...ㅜㅜ

  • @user-iu2os2by4y
    @user-iu2os2by4y Год назад

    조합이 너무 많아서 현장에서 수많은 변수와 문제들이 발생하겠죠. 서로 책임 떠넘기고 탓하고..

  • @fierwalt
    @fierwalt Год назад

    중국보다 더 위협적인 곳은 따로 있었군요.

  • @Jojocrown
    @Jojocrown Год назад

    ASML EUV장비에 들어가는 기술들이 미국기업의 집약체인걸 보면 미국을 등에 업은 일본의 움직임은 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