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교육 STUDY] 2024 경기주요업무계획 정책1-1 미래에듀테크 활용 학력향상 [100%_100PRO]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2024경기교육주요업무계획#경기교육주요업무계획#임용고시#임용고시2차#면접#교육공무원#장학사#교육전문직#교사#교감면접#사무관승진
    2024 경기교육주요업무계획 [정책 1 미래를 열어갑니다]에서 1-1 에듀테크 활용 학력향상 부분에 대한 분석 영상입니다. 주요업무계획이 압축적으로 정책내용을 제시하고 있고 2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이라 나눠서 탑재를 할 예정입니다. 조금 느리더라도 지치지 않고 선생님들과 함께 공부하겠습니다. 늘 함께해주시는 구독자님들 감사드리며, 오늘도 힘내서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2024 경기교육주요업무계획 다운로드: www.goe.go.kr/...

Комментарии • 14

  • @박승연-w2p
    @박승연-w2p Год назад +2

    여러가지 업무도 바쁘시고, 감기로 힘드실텐데 저녁 시간에 쉬시지도 못하고 귀한 영상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처음에는 운전하며 가볍게 들어야지 하고 생각했는데 설명해 주시는 부분에 중요한 내용이 많아 이제는 책상에 앉아서 집중하며 시청하고 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이상민-i4c
    @이상민-i4c Год назад +2

    2차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선생님~~

  • @하이하이바이바이-z3c
    @하이하이바이바이-z3c Год назад +2

    다음꺼 기다리고있을게요, 감사합니다!

  • @오네시모-f7n
    @오네시모-f7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 @100_10PRO
      @100_10PR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응원해 주셔서 힘이 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키다리195
    @키다리19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

    • @100_10PRO
      @100_10PR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고,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100_10PRO
    @100_10PRO  Год назад +2

    동영상 설명 부분에 주요업무계획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곳을 남겨놓았습니다. 다운로드하여 함께 보시면 더욱 좋겠습니다. ^^

  • @inahsung9466
    @inahsung9466 Год назад +2

    교원의 생활지도 고시도 해주세요 ~~~

  • @doong0131
    @doong0131 Год назад +2

    1-1-2. 기초학력 보장 강화의 추진 내용 중 학교맞춤선택제를 실시한다는 내용이 있는 걸 봤습니다. 교육청 입장에서 학교맞춤선택제를 실시하면 학교의 실정에 맞는 기초학력 사업을 운영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가 되는데...학교 입장에서 예산배정, 정산, 결과 보고의 업무가 경감된다는데 이 부분이 이해가 되지 않는데 혹시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100_10PRO
      @100_10PRO  Год назад +2

      선생님 안녕하세요. 주요업무계획 말고 교육과정정책과 기본문서를 한 번 참고하시면 더 자세한 내용 확인하실 수 있고요. 개인적인 생각을 말씀드리면 1. 학교맞춤선택제는 도교육청과 지역청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기초학력보장정책을 한 번에 안내하고 학교에서 선택적하게 함으로로써 '기초학력' 이라는 동일한 분야에 통합공문 형태로 안내되다보니, 학교에서는 여러 번에 나눠서 계획수립 및 신청공문을 보내는 일이 없어집니다. (업무 경감) 2. '1'과 마찬가지로 추후 결과보고에 있어서도 통합공문으로 안내가 되어 있기에 공문 1개로 신청한 사업에 대해 결과 및 예산에 대한 정산까지 가능합니다. 3. (이게 가능하다면) 학교에서 해당 예산을 목적사업비로 받아 활용할 때 동일한 사업이기에 사업 간 연계를 통해 예산의 유연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선생님께서는 학교 현장에 계시기 때문에 이러한 통합공문이 실제로 교원들이 얼마나 체감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고민하고 계시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 또한 이 계획이 나왔을 때 선생님께서 의문을 갖고 계신 부분에 대해서 생각을 했거든요. 그래서 혼자 고민을 해보니 말씀드린 1, 2, 3 정도의 업무 경감이 될 수 있겠다는 수준으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기 바랍니다. 선생님의 자세한 생각을 보내주시면, 더 의미있는 의견 교류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함께 공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yount-4765
    @yount-4765 Год назад +3

    하이러닝의 정의와 사례가 뭔가요? 너무 추상적이라 이해가 안됩니다ㅜㅜ

    • @100_10PRO
      @100_10PRO  Год назад +1

      포털사이트에 하이러닝을 검색하시면 해당 페이지 들어가실 수 있으니 한 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제가 연수를 받으며 느낀 점은 해당 사이트를 이용하여 본인 교과의 수업자료를 제작하고 학생들과 공유할 수 있으며, 나아가 교과 관련 콘텐츠를 탑재해서(다양한 교사의) 학생의 자기주도학습까지 지원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 @yount-4765
      @yount-4765 Год назад

      @@100_10PRO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