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설비유지관리자의 경력에 관한 또 다른 견해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2

  • @코파플레이
    @코파플레이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면허업체 자격자 보유필수인원은 중급 1명 초급 2명 기능계 1명이 필수인원입니다.

  • @병윤조
    @병윤조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파트에다 선임을 걸도록강제하면서
    자격증을 취득후 근무했는데 경력을 인정을 안해준다ㆍ 웃기네 ㆍ 관련없종도 아닌곳에 왜 선임은 의무냐
    ㅣ🦀🦀

  • @뭉히-u2d
    @뭉히-u2d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정말 웃긴게..
    소방은 소방공사 일했던사람이 소방안전관리 경력 인정을 못받더라구요..
    근데 정보통신은 공사한사람이 선임할 수 있다고 되는건데 이건 당연히 맞다고 생각하나, 초급선임걸고 일했던 사람이 경력인정을 못받아서 중급 고급으로 못간다는것은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전기나 기계는 공사경력 관리경력 둘다 인정되어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관리만 하다가 공사가는경우는 좀 패널티가 있긴 하지만...
    소방,정보통신은 좀 이상하다고 생각됩니다..

  • @1995년생아저씨
    @1995년생아저씨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앞으로 시설관리에서 자동제어가 필수라고 합니다.
    전기산업기사에서 전기안전관리자 선임하려면
    경력 4년을 쌓아야 하니까
    4년 동안 PLC, 캐드 설계만큼은 필수로
    공부하는 것이 좋을까요?

  • @kbob8876
    @kbob887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생은 도전님 질문이 있는데요
    법개정을통해서
    경력을 완화해서 등급 변동도 있을것 이라고 예고 됐었는데
    언제쯤 이루어질까요 ?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월 29일까지 의견 받는다고 했으니 그 이후에 얘기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 @qazwjd5780
    @qazwjd578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수첩 이젠 자격증 없어도 경력만으로 특급 가능해서 의미 없게 된거 아닌지 싶네요 통신직 일해본 사람 누구나 고급은 물론이고 특급도 엄청나게 늘어날겁니다.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기존에 기술사 자격만 특급이고 기사자격과 경력으로는 고급이 끝이었는데 특급을 기사 + 경력 + 교육으로 특급을 주겠다는 것으로 바뀐다고 알고 있습니다 바꿔말해 기술사자격이 없어도 기사자격증으로 특급을 갈 수 있다는 것으로 봤고 자격증이 아예 없으면 무급자격수첩으로 알고 있는데요 혹시 말씀하신 부분에 대한 법령이나 시행령 시행규칙 나온 바가 있으면 알려주시기 부탁드립니다 저는 처음들은 얘기라서요

  • @어짜피국민은
    @어짜피국민은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자격증 취득전 경력도 절반 정도 받을 수 있을까요? 받으면 무조건 중급이고 잘하면 고급까지 노려볼만 한데... 그 정도면 상주 과장은 가능 하겠죠?

    • @uf-uz8qn
      @uf-uz8q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절반도 협회에 등록되었거나 공공기관 근무만 50% 인정됩니다. 협회에 공사업 등록기준이 중급1,초급3 정도고 자본금 1억5천에 고정사무실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동안 다니신 회사가 큰곳이라면 의외로 회원사일수도 있고요. 그리고 등록된 공사업체에 다녔다고해서 호락호락하게 경력인정 안해줍니다. 어떤 공사를 했는지 소명을 했던걸로 기억하고요 엄청 까다로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 @최영진-o2w
    @최영진-o2w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런 질문 가능할까요?
    일근직 아닌 격일근무자는 공휴일, 일요일이 없이 근무하는데 따로 수당은 없는건가요?
    년차 수당은 있는거 같은데 시설 근무하는 분 급여와 복지가 너무 형편 없어 질문 드려 봅니다.

    • @인생은도전
      @인생은도전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따로 주말 휴일 수당이 다 합쳐져서 책정된 급여이더라고요 산정기준은 최저임금 기준으로 판단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