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eda crash, Why didn't JAL516 go around?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янв 2024
  • A350 coming into Haneda collided with a small turbo prop airplane. As an airline pilot, I go into this accident and why this happened.
    #Haneda #JAL516 #pilot #coastguard #airpremia
  • РазвлеченияРазвлечения

Комментарии • 152

  • @forthebettertomorrow3177
    @forthebettertomorrow317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이번 영상에서 전하시고자 한 바를 마치 어나운서의 그것처럼 명확하고, 흔들림없이 말씀해주셔서 더 잘 와닿습니다.
    또한 기술적으로도 공항 3D 그래픽을 가져온 것이라던지, 그와 딱 맞아 떨어지는 자막과 나레이션까지 집중에 도움이 됐습니다.
    일어나서 될 사고가 아니었지만 말씀하신대로 JAL 탑승 승무원과 승객들이 모두 안전하게 피신한 부분은 정말 배울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에게 애도를, 다치신 분들의 쾌유를 빕니다.

  • @user-cv2ln7wq7z
    @user-cv2ln7wq7z 5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기장님 항상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좋은하루 보내세요!

  • @user-yangpyeong1939
    @user-yangpyeong193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항상 챙겨보고있습니다. 이렇게 좋은 영상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생각이 많아지게되네요;;

  • @user-dc3ou4mr8z
    @user-dc3ou4mr8z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user-zx3pv5mr9x
    @user-zx3pv5mr9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사고진실이 대중에게 밝혀질지는 의문이지만 그래도 이 사고로 인해 목숨을 지킨 분과 잃은 분이 공존하기에 마음이 아픕니다. 항공사 직원 한분 한분이 계시기에 해외로 출입국하는 전세계 국민들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었습니다. 안전하게 늘 비행 해주신 승무원, 기장님 부기장님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말씀 너무 감사합니다. 조종사뿐 아니라 관련 종사자들이 모두 좀 더 세심히 노력을 기울여야지 않을까 싶네요...

  • @user-zn1qd4ph6m
    @user-zn1qd4ph6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오늘도 감사해요~

  • @danielcho1310
    @danielcho131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너무나 안타까운 사고입니다. ㅠ.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불행중 다행으로 JAL 승객 모두가 신속하게 대피하여 다행입니다. 이번 사고를 보면서 저의 생각이지만 관세탑, 그리고 충돌한 항공기 기장님 및 운항사분들의 "견시"가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한번 느꼈습니다. 다시는 재발되지 않기를 바래봅니다. 기장님 항상 안항 하십시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댓글 감사드립니다.. 보다 세심한 노력이 필요한 부분이지요 ㅠㅠ 안타까운 사고입니다..

  • @Aviator._.
    @Aviator._. 5 месяцев назад +9

    기장님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뉴스로 처음 봤을때 너무 놀랬던 사건이였는데 기장님의 시선으로 설명해주셔서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추가로 7:17에서 영어 자막에 승객을 passenger 대신에 soul로 써주신 디테일!!
    삼가고인의 명복을 빌며 기장님도 늘 안전비행 하세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우앙 ㅠㅠ 후반부에 있는 영어 자막까지 보신다니.. 감동입니당, 늘 감사해요~ 😉
      저도 더 정진하겠습니다~

    • @Aviator._.
      @Aviator._.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captainjksaviationlife248 이미 충분히 잘하시고 계신걸요 저도 기장님 영상보며 영어공부 열심히 하고있습니다!!

  • @Jo-rc6tt
    @Jo-rc6tt 5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오늘도 수많은 생명이라는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비행하시는 기장, 부기장님들께 경의를 표합니다. 다시는 이런일이 불행한 일이 발생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 @nicalingding
    @nicalingdin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koe_hosino
    @koe_hosin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매우 안타까운일이에요 😭
    일본에선 1.2.3일 연속으로 안좋은 사건이 일어나다보니 많이 뒤숭숭해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러게 말입니다 ㅠㅠ 시즈오카는 별 일 없으시죠.. 그래도 정말 천만다행입니다. 물론 다섯 분이 희생되긴 했지만.. 😔

  • @JS-wv6rj
    @JS-wv6rj 5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정말 안타깝고 놀랬습니다. 안그래도 지인이 참단한 사고로 연착이 되었다는 소식 들었습니다. 정말 확률 적으로 낮을텐데 왜그랬을까? 해서 많은 정보를 찾아 보았는데, 재연 정도만 나와서 실체가 궁금했는데 이렇게 기장님께서 설명을 해주니 어떤 상황이였을지 제대로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고맙습니다. 양쪽 조종사도 모두 있고, 블랙박스, 관제 기록 등.. 사고 조사 결과는 금방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항공 사고는 조그만거라도 워낙 인명 피해가 클 수 있어서 저도 이런 소식에 가슴이 뛰곤 하네요..

  • @charlestoast4051
    @charlestoast405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The biggest miracle is that everyone on board JAL516 survived despite the first exit door being opened a full 6 minutes after the collision, and the last passengers and the captain leaving the plane a massive 18 minutes after the collision. Something was seriously amiss.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Hello hi.. I think I have to wait for official investigation report but.. personally I think it like this.. as an airline pilot..
      Purser is one in charge of the cabin, that being said, He (she) can't just initiate the evacuation his own judgement without captain's decision
      Because pilots know much more about what to do for the accident
      All that flight attendants know about the accident is "Something happened.."
      They have no idea about the nature of the accident.. which side is safer or which doors are not safe to evacuate.. things like that
      That's why they're supposed to wait for some time until the captain tell them to do so
      In the case that no contact at all from the cockpit, purser can make his own decision to evacuate the passengers
      and.. pilots also have something to do for the accident
      Sometimes they need to run the checklist in case of fire.. or even crash landing
      Evacuation itself can never be done without checklist
      I don't know exactly what was happening in the A350 cockpit and cabin..
      Or like you said, something went wrong terribly...
      but I just told you the general nature of the accidents
      Thank you so much for your comment!! 👍🏻👍🏻

  • @user-ff7yj1yp9f
    @user-ff7yj1yp9f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너무나 안타깝네요
    고인들의 명복을빕니다

  • @RacerYun
    @RacerYu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6

    구호활동을 가시던 분들이 명을 달리하셔서 마음이 무거워 약간은 조심스럽습니다만...개인적으로 저번부터 강조하신 영어소통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사건이라 생각합니다. 이번 사고에서도 해상보안청 소속 항공기가 hold short instruction을 복창하고도 활주로에 들어갔는데, 활주로앞에서 통상적으로 매일 반복하던 문구라 그것이 무슨 의미인지 되새기지 않고 몸이 반응하여 활주로에 들어가지 않았나 싶습니다. 특히나 영어에 미숙한 조종사였다면 더 그럴 수도 있었다 생각합니다. 여러 악재가 물론 더 겹쳤지만 너무 안타깝습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8

      같은 일본인의 교신이라 영어로 인한 직접적 원인은 아니겠으나.. 말씀하신대로 타성에 젖은 교신과 액션이 문제가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어찌됬든 참으로 안타까운 사고입니다 ㅠㅠ

  • @user-ce9oy5tu7f
    @user-ce9oy5tu7f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사고의 이유를 정확히 알았습니다,,,,작은 비행기는 중간에 이륙을 할수 있네요,,,,처음 알았습니다.....감사합니다....
    그래서 늘 기장님 방송 보면서 공부 하고 있습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고 ㅎㅎ 늘 시청해 주시는 것 만으로도 너무 감사하죠.. 초기부터 항상 감사하고 있는 1인 😄

    • @sylee481
      @sylee481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규정을 바꿔..........작은 비행기든, 큰 비행기든 활주로 끝에서 이륙하는 것으로........오히려 불편할까?

  • @user-io5fl3no9n
    @user-io5fl3no9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안녕하세요 기장님. 그렇잖아도 이 사건을 다뤄주시지 않을까 해서 들어와 봤는데 영상이 있네요. 일반인의 시선과 조종사의 시선의 차이가 어떤지 궁금했었습니다.
    그냥 저 불타는 영상을 보고 있을 해상보안청기에 탑승했던 사망자와 생존자 가족들 생각하면 가슴이 너무 아픕니다. 혼자 살아남아 고통받는 해상보안청 기장님도, 떠나신 분들도 그저 기도밖에 해 드릴게 없습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저도 애도하는 마음으로 영상을 만들었습니다. 이런 일이 있을 때마다 맘이 뒤숭숭하네요 ㅜㅜ

  • @user-lg4tc5mj7c
    @user-lg4tc5mj7c 5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착륙허가를 내고 ...똑같은시간에 이륙허가를 또내준 관제사잘못인줄알았는데
    해상청비행기 조종사가 어겼을 확률이 크다는거군요...ㅠㅠ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댓글 주셔서 빨리 영상 올릴 수 있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아직 공식적 발표는 아니지만.. 관제 기록 스크립트에 해상보안청 비행기에 발부된 활주로 진입 허가는 없다고 하네요.
      모든 건 사고 조사 공식 발표가 나올 때까지는 정황 상 예측입니다~

    • @user-lg4tc5mj7c
      @user-lg4tc5mj7c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captainjksaviationlife248피곤하실텐데 너무 감사합니다!!!

  • @user-jc2pz7zg3r
    @user-jc2pz7zg3r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참 안타까운 사고네요...
    인터섹션 테이크오프를 C2에서 했더라면 상황은 정말 달랐을 수도 있겠네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4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가볍고, 바쁜 비행기라 C2로 가서 이륙을 했을 확률은 적지만, 못내 아쉬운 부분 중 하나입니다.

  • @jbs7946
    @jbs794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짐 챙기려고 꾸물대거나, 먼저 나가겠다고 다른 승객 밀치는 손놈들 있으면..... 승무원한테 면책 규정이 꼭 필요합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정말 그런 건 큰 문제입니다. 아마도.. 일본인들이라 그렇게 침착히 탈출이 가능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고..
      얄미울 때도 많지만 배워야 할 점이 많은 나라예요. 아마 다른 나라였으면... 짐 챙기고 서로 밀치느라 아마 쉽지 않았을 듯

    • @Terence_Fernando_Joo
      @Terence_Fernando_Jo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귀중품보다 생명이 우선이죠.

  • @Poky_Ahhh
    @Poky_Ahh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정말 이번 사고는 더 큰 사고로 번지지 않은게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나저나 영상 제목에 JAL 516 이 JAL 556이라고 오타가 난 것 같습니다. 아무튼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 ㅎㅎ 감사합니다.. 빨리 올리려다 보니, 역시 모든 건 천천히..😊

  • @ggjjpp4195
    @ggjjpp4195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관제사가 이륙 준비 항공기 와 착륙 항공기 레이더를 확인해 활주로에 진입하는 항공기를 발견 했다면
    해상청 기장 부기장 둘중 한명이라도 활주로 진입 및 이륙 허가 확인을 한번더 체크했다면
    에어라인 기장 부기장 둘중 한명이 활주로 에 있는 항공기 를 확인하고 복행 했다면
    단 하나의 실수가 아닌 여러개의 아쉬운점과 실수들이 사고로 이어진것 같아요
    모두가 항상 해왔던 절차 매뉴얼 이라 익숙해 그저 복명 복창만 했을지도 모르고... 정말 안타까운 사고입니다 ㅠㅠ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모든 항공 사고는 대개 한가지 실수나 이슈로 사고가 잘 나지는 않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여러가지 체인이 뚫릴 때 그렇게 안타까운 사고로 이어지더라구요. 안타까운 사고죠 ㅜㅜ

  • @RelaxNChillOut
    @RelaxNChillOut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thanks Captain, its good to have an understanding from a pilot perspective. People including me will never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how difficult it is at the time. Some people like the below have an opinion, I respect that but they were not there. What if the radio wasn't working and the tower can't contact the cockpit? what if the fire was raging outside and they open the door on the wrong side? I would still rather wait a few minutes try to assess the situation as best as possible before opening those doors. pre-judgement is not ok. The Pilot and Flight attendants literally have to make life and death decisions at that moment.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Thank you so much for comment! Your comment means a lot to me.. 😊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Absolutely right.. Always Better safe than sorry!!
      When pilots lost contact with ATC, there's a special procedure called Lost Comm and of course we will try to call them by as many way as possible.
      Now we have data communicator and also beautiful satellite phone on board.
      One of the instructors who resigned from legacy airlines in the US once told me.. when I faced an emergency,
      "Try to have 10 seconds before you do somthing"
      Like you said, doing something without thinking is worse than doing nothing..
      Thank you very much and I look forward seeing your comments again.. Have great day 😉

    • @RelaxNChillOut
      @RelaxNChillOut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captainjksaviationlife248 thank you Captain for the great insight!

  • @jh_jang
    @jh_jan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6

    개인적으로 해상보안청 항공기에 한가지 더 아쉬운 점은 활주로에 진입할 때 파이널 체크를 제대로 했으면 진입 후 40초간 대기할 때 조종사가 이상한 점을 눈치채고 관제사에게 물어봐서 사고를 피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chulgim1
      @chulgim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공항의 멈춤표시 라이트가 고장으로 꺼져있던게 더 큰 문제..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넵 맞습니다, 활주로에 진입하는 조종사는 그 어느 때보다도 여러번 확인을 해야 하는데.. 진입 허가도 없이, 파이널 체크도 없이 진입을 한 것이죠 ㅠㅠ

  • @user_kiss5246
    @user_kiss524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약간 오버 해서 말하면 운전 잘 하고 있는데 갑자기 길에서 무단횡단 하는 사람이 갑자기 튀어나와서 사고 난듯한데 ! 누구는 왜 못피했냐고 하고 누구는 왜 무단횡단을 하냐고 하는 그런 상황 처럼 느껴지네요!~ 조종사 님들이나 관제사 님들이 한번 더 경각심을 갖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좋은 영상 매번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비슷한 예시입니다~ 암튼 조종사나 관제사 모두 일신하는 계기가 되었음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consciousness7899
      @consciousness789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무단횡단은 맞지만 문제는 1분이라는 시간이 잇엇음.. 그리고 무단횡단과 다르게 활주로에 들어오는 비행기가 육안으로 보인다고 하던대요... 거기에 관제사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햇습니다..

    • @JohnSmith-jz7hu
      @JohnSmith-jz7hu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consciousness7899 안보여요. 일본트위터에서 현직 조종사가 야간 활주로 사진 보여준거있는데 아무것도 안보임

  • @ljh3139
    @ljh3139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이사건 물어보고싶엇는데 영상이있었네요

  • @banyajeong9576
    @banyajeong957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3중 안전망이 다 뚫려서 사고난 경우 관제사가 해상보안청 기장이 진입대기 해야는데 진입할걸 놓친실수 해상 보안청 기장은 대기 하라는 지시를 복창하고도 진입으로 착각하고 진입한것 JAL기 기장은 착륙시 시각으로 확인 하지 않은것

  • @user-bo6io7wu6t
    @user-bo6io7wu6t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사고 직후 비행기 안에서 짐을 챙기느라 통로를 막는 사람이
    있다면 다른 사람의 빠른 탈출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겠죠.
    각국 사람들이 만나는 공간인 공항에서...
    1)비행기 내에서 이착륙시 안전벨트 풀지 않기
    비행기 이착륙시 안전벨트를 풀 경우, 사고 상황에서 저 혼자 죽는 거야
    말릴 수 없지만, 날아다니며 다른 사람을 치는 흉기가 된다.
    2) 공항에만 가면 사람들이 들떠서인지 일반적인 교양 수준이 잘 드러난다.
    무빙워크에서 걷지 않고 버텨서서 길 막는 사람,
    대기줄에서 뒤에 바짝 붙어 미는 사람, 늦게 탑승하는 사람,
    짐을 있는대로 기내에 들고 들어오는 사람,
    자기 짐 올리느라 오랫동안 통로 막는 사람 등
    긴 여행으로 다같이 피곤한 상황에서 웬만한 자비와 인내심 없이는
    참기 힘들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모두 정확히 잘 지적하셨네요 ㅜㅜ 조금씩만 배려심을 보여 주시면 더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

  • @user-oh3ws1gl6y
    @user-oh3ws1gl6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기장님 안녕하세요!
    혹시 이런 사고들로 인해서 조종사라는 직업이 사라지고 조종사의 자리를 로봇(컴퓨터)으로 대체가 되는게 가속화 될까요?? 현직자로서 조종사는 곧 사라질 직업으로 보이시는지 궁금합니다.

    • @user-oh3ws1gl6y
      @user-oh3ws1gl6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미 대부분 컴퓨터의 힘을 받고 있는 사실은 알지만 아예 조종실에서 조종사가 사라질 것 같은지 기장님의 소견이 궁금합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이미 여러 기업과 항공기 제작사에서 그런 도전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에어버스사가 좀 빠르긴 하구요..
      언젠가는 모든 조종사가 없어지는 날이 분명 올 것입니다.. 하지만, 해결 되어야 할 과제가 너무나 많습니다.
      현재 최신의 항공기인 A350 이나 B787 과 같은 비행기에 많은 부분의 컴퓨터 제어가 들어와 있지만
      그저 조종사를 조금 도와주는 정도에 그치고 있지요.
      3차원이 아닌 2차원의 자동차.. 완전 자율 주행을 도전하고 있는 테슬라나 많은 기업체에서 아직 비슷한 단계에도 오지 못했습니다.
      하물며, 3차원을 다니는 비행기, 그 많은 비행기들과, 악기상, 기타 시스템 오류 등등 셀 수 없을 만큼 해결 과제가 많죠.
      그 "곧" 이란.. 아직 아무도 모릅니다. 어느 날 갑자기 완벽한 AI 가 탄생한다면 모를까.. 현재로선 수십년이 걸릴 지, 더 걸릴 지
      아무도 예측을 하기 어렵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seungoh332
    @seungoh33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사고 보고서가 발표되지 않은 상태에서 말하기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으로 궁금한 몇가지를 언급하자면
    1. 하네다 공항 활주로 34L - 1월 2일 오후에는 34L은 활주로가 오픈되었을까? 왜 활주로 34R 에서 이륙/착륙을 동시에 수행했을까? 34L이 조금 짧은것은 알겠는데, 그래도 대형기 이륙은 34L 전용, 착륙은 34R 전용으로 운용했으면? 인천공항처럼....
    2. 공항 지상관제사가 JS722 편에 한번만이라도 Report (Identify) your position 을 했더라면...
    3. 추론이지만 JS722 편의 예정 출발이 지연되지 않았을까? 보통 이 경우에 기장, 부기장이 이륙을 서두르는 경우가 있지요. 그러면서 temporary mental lapse (brain fart) 가 일어날수도... 테네리페 공항 참사도 알고보면 KL4805의 베테랑 기장의 조급함도 사고에 일조를 했으니까.. 그리고 JS722가 활주로에 진입하는 순간 (C5 에서 34R활주로에 정렬하기 전에) JS722 오른쪽에 앉아있는 FO는 고개를 오른쪽으로 돌려서 혹시나 공중에서 그리고 지상에서 내쪽으로 접근중인 항공기가 있는지 visual 확인을 했을까?
    4. JL 516 (A359)편에는 세명의 운항승무원들이 있었는데, 어느 누구도 활주로에 있는 소형기를 인지하지 못했을까? 왜 착륙포기를 외치지 못했을까?
    JS722편은 활주로에 임팩트 이전 기준으로 40초 동안 그대로 활주로에서 대기중이었는데.....혹시 일본항공 JL516편의 운항승무원들은 공항 어프로치중에 ILS 와 계기판에 집중을 해서 정착 visual 전방주시를 소홀히 하지 않았을까? PM, 관숙 이 한번만이라도 터치다운 존을 전방주시를 했더라면.
    5. C2 에서 이륙 대기를 하던 수대의 민간 항공기는 활주로에 진입한 JS722를 왜 인지하지 못했을까? 적어도 이륙을 위해서 C2에 있거나 유도로로 움직일때, 왼쪽에 앉아있는 승무원은 해상보안청 JS722 동체를 쉽게 볼수 있었을터인데.
    6. 언론에서는 90초 룰을 말하지만, 실제 JL 516편의 기장이 마지막으로 슬라이드에 점프한것은 5분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
    7. JL 516편 (A359)의 착륙당시 항공유 적재 상황도 중요하지 않을까? 만약에 회항과 긴급을 제외한 항공유만 있었으면 JL 516 편에 저런 정도의 화재가 있었을까? OZ214, AF358 참고
    아니면 최소한의 항공유만 있어도 엔진에 손상이 생기면 동체 전손의 화재는 필연인가? 보잉이나 에어버스에서 실제로 테스트는 못하겠지만 시뮬레이션은 가능할까?
    8. 개인적인 생각으로 1월 2일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 항공기 충돌사고의 과실정도는
    JS722 75 퍼센트
    지상관제 15 퍼센트
    JL516 10 퍼센트
    아니면 말고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와.. 감동적인 분석의 글이십니다.. 짝짝짝~~ ❤❤
      저의 생각을 덧붙여 보겠습니다^^
      1. 하네다 운항을 한 지 오래되어 기억이 흐릿하지만, 하네다는 무척 바쁘고 활주로 운영이 엄청 자주 바뀌는 공항 중 하나입니다.
      아마 34L 역시 뜨거나 착륙이 가능했을 것이고, 보안청 항공기의 위치가 아마 34R와 가깝지 않았을까 하는 예상입니다.
      2. 그렇죠 ㅜㅜ 하지만.. Hold short of runway를 지시한 후 재차 확인할 만큼 여유가 있지는 않았을거라 생각합니다.
      3. 전적으로 동감입니다. 아마도 뭔가 서둘렀을 확률이 커 보입니다.
      4. 3명의 조종사 모두 접지 때까지 보지 못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그 부분은 저도 생각이 반반입니다..
      거기에 확실히 누가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없다면 찾아내기 쉽지는 않았을거라 생각이 듭니다.
      5. 그것도 의문이네요.. 다른 주변 항공기가 있었으면, 하지만 다들 절차에 바쁜 터라 다른 상황까지 파악하기는 쉽지 않았을 듯..
      6. 90초 룰은 항공기 개발 과정에서 맞춰야 하는 제한치구요, 실제 상황에서 5분 만에 탈출한 건 상당히 빠른 편입니다.
      객실 사무장도 일단은 기장의 지시를 기다려야 하고.. 등등 판단이 기계적으로 일어나지는 않거든요 ㅜㅜ
      7. 기름.. 엄청 중요하죠. 보통 필요한 연료보다 많이 가지고 다닙니다. 예비 연료라고 해서 여러 이유로 그렇게 합니다.
      날씨가 좋아도 워낙 하네다가 바쁜 공항이라 관제 지연을 이유로 예비 연료를 많이 가지고 가는 편이었습니다.
      8. 저도 그 정도 확률로 예상이 되네요.. 😊

    • @seungoh332
      @seungoh33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captainjksaviationlife248
      1. 와, 저도 감동적인 대댓글에 감사드립니다. 짝짝짝~~~
      최종결과보고서가 발표되면 모든것을 알수 있겠지요.
      2. 일전에 AF447 운항승무원들이 혼란에 빠졌을때, 제 생각으로는 두 승무원들이 가장 먼저 해야 할 행위는
      (1) 85퍼센트 엔진 추력 세트
      (2) 5 degree pitch up 세트
      엔진출력과 피치가 안정되면 그상황에서 항공기는 안정적으로 비행이 가능할것입니다. 그리고 나서 해결책을 모색한다.
      귀중한 몇분, 몇십분의 시간이 주어지니까요. 적어도 한 사람은 이제 모든것을 문제 해결에 집중할수 있습니다.
      (3) 기장을 호출한다.
      (4) CRM 으로 문제점을 찾는다.
      3. 일전에 97년 KE801편 사고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적은 글이 있는데, 시간이 나시면 한번 읽고 의견을 바랍니다. 제가 여전히 잘못 알고 있는것이 있다면 지적 바랍니다.
      그때 당시 괌 공항의 '글라이드 스코프'의 오작동 때문이라고 언론에서는 '깠'지만, 개인적으로는 전형적인 CRM의 부재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만약에 부기장이 (PM)이 조종간에 손을 대고 착륙포기를 고 어라운드를 햤으면, 기장이 비행후에 관습적인 부기장에 대한 평가 항목에 어떤식으로 기술할지는....
      AF447편 역시도 CRM 부재... 오른쪽에 있던 PF와 그나마 선임이었던 왼쪽의 PM 사이에 계기판 reading call, 해결시도 등이 육성 녹음이 거의 없었지요.
      www.milemoa.com/bbs/board/10116520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 @kyu5435
      @kyu5435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seungoh332 댓글이 좋길래 대댓남깁니다
      CRM 의 부재가 맞는데 그 이면에는 기장과 부기장의 권력차이라는게 존재하죠
      문제는 권력불균형의 항공사의 문화와 시스템이지 조종사 자체라고 보기는 어려워요
      이번에도 권력파워가 불균형한 군조종사죠 ?
      그런데 기장이 권력을 갖을수 밖에 없는게 더 잘하고 많이알고 정확하게 알기도 하고 책임도 지기때문인데
      조종말고 회사나 학교에서 프로젝트 할때도 주장을 하려면 그에맞는 지식과 실력 또한 본인과 다른 의견을 따지는것으로 여기지 않는 백인문화가 유리한것이고 부기장 또한 그에 준하는 기량이 있어야 가능하죠. 또한 왼쪽 기장이 오른쪽 부기장의 성적과 진급에 영향을 끼치는 사람이라면 권력차이는 더욱 커지겠죠
      그리고 CRm의 부재가 아닐수도 있는게 부기장은 경력이 많은 기장과 달리 대부분 시야나 선구안이 약해요
      근본적으로 보면 서두르면 워크로드가 올라가기에 서두르지 말자고 표현하고 정확하게 비행하는 관을 들여야하고
      택시 어프로치 랜딩때는 이러한 사고들을 평소 유념하며 비행하는 습관을 들여야겠네요( 클리어런스 받아도 활주로에 비행기가 있는지 확인, 컨펌라인업 클리어런스 )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seungoh332 우리 구독자님들 항공 지식 수준이 어마어마하네요..
      2. 각 기종은 Pitot tube 결빙 등으로 인한 speed 오류가 확인이 되었을 때 바로 취하는 절차가 있습니다.
      긴급한 조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체크리스트를 꺼내 수행하는 것이 아닌, 늘 외우고 있어야 하는 메모리 아이템이라고 하는데요..
      A330 기종을 떠난 지가 오래되서 정확한 파워와 항공기 피치를 기억하지는 못하지만.. 말씀 하신 것과 비슷한 정도의 것입니다.
      3. 기장을 부르긴 했으나 너무 늦은 때였죠..
      4. 이 부분이 아쉬운데요.. 선배 부기장이 항로 기장 자격으로 기장석에 앉아 있었는데 왜 막지 못했을까...
      아마도 Pitot tube 의 결빙을 둘 다 인지하지 못한 걸로 생각됩니다.
      갑작스레 속도가 막 올라가니 처음엔 speed brake을 당겼을 것이고, 그래도 계속 늘어나 제한 속도를 초과하니
      패닉에 빠져 조종간을 계속 당겼던 걸로 보입니다.
      에어버스의 조종간 체계가 그렇습니다. 보잉과 달리 한쪽 조종사가 당기는 지 미는 지를 확인하기 쉽지 않고..
      둘 다 동시에 조작을 하게 되면 vector의 원리로 합쳐지거나 상쇄가 되는 원리입니다.
      선배 부기장이 정확히 속도계의 오류라는 걸 알았다면 아무리 본인이 PM이었어도 컨트롤을 뺏어 왔을겁니다.
      이 사고 이후, 전세계 항공사 모든 장거리의 3 pilot 근무 패턴이 바뀌었습니다.
      원래는 항로기장을 포함한 2명의 부기장과 기장 1명 편조였는데, 사고 이후 2명의 기장과 1명의 부기장으로 바뀌었죠.
      언제든 기장이 한 명은 최소한 조종실에 있어야 한다.. 이런 원칙이 생기게 된 겁니다.
      ** 괌사고에 대한 글은 읽어보는대로 또 의견 드리겠습니다!
      좋은 저녁되세요^^

  • @user-jo8ic2lt8s
    @user-jo8ic2lt8s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헐~ 사고라니 무섭네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가장 안전한 교통 수단이긴 하지만.. 날아다니고, 워낙 빠르고.. 큰 규모의 수단이라 사고가 나면 참 무섭죠 ㅠㅠ
      모든 사고가 여러 요인들이 겹쳐 일어나는 데, 일단 조사 결과를 기다려 봐야겠습니다~

  • @drmusicfood
    @drmusicfoo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 @user-or7ol1jz3l
    @user-or7ol1jz3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점프트럭과 케스퍼의 충돌이라고 봐야겠네요
    5명의 소중한 생명이 안타깝네요
    지상에서 사고가 많다는 사실이 놀랍네요
    실제 탈출현장을 보니 너무 무서워요
    오늘도 많이 배우고 갑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네, 지상 사고는 여전히 꽤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 @jbs7946
    @jbs794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예전에 '아르고' 라는 영화 본 게 생각나네요.... 79년 주 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 이 배경인데....
    인질들이 탄 비행기가 활주로에서 이륙하는데, 인질들이 도망친 걸 뒤늦게 눈치챈 혁명수비대 소속 군인들이 차를 몰고 활주로에 무단 진입 하더군요..... ㅎㄷㄷ

  • @mmser132
    @mmser13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인터폰도 작동되지 않은 상황에서 정확한 판단으로 안전한 도어만 개방하여 탈출 했다는 점이 놀라운 사고입니다
    다른 도어를 열었다면 전원 탈출이 불가 할 수도 있었을텐데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짧은 순간의 선택.. 정말 쉽지 않은 결정인데 참 잘한 결정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 @hayu812
    @hayu81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기장님 오늘 많이 피곤해 보이십니다. 이번 사고...보고 너무 놀랬습니다 ....영어 의사 소통의 문제가 있었는지도 궁금합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영어 의사 소통의 문제는 아니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예리하십니다 ㅎㅎㅎ 제가 이번 영상은 빠른 업로드를 위해 처음으로 집 밖에서 촬영을 했는데요,
      LA에 체류하는 동안에 찍은 영상입니다. 아무래도 피곤한 모습이 보이죠 게다가..
      거기서 동기 기장님을 만났는데, 촬영 곧 한다고 했는데도 와인 한잔만 하고 가라고 우겨서
      눈이 게슴츠레 나왔네요. 앞으로 음주 촬영은 하지 않을 것을 다짐합니다!!~ 😁

    • @hayu812
      @hayu81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captainjksaviationlife248 ㅋㅋ레드아이스가 보였습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hayu812 ㅋㅋㅋ 송구합니닷

    • @hayu812
      @hayu81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captainjksaviationlife248 아닙니다 피곤해보여서 걱정되서 댓글 남겼습니다

  • @user-bb4it3ez3s
    @user-bb4it3ez3s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고어라운드 무리하게 했다면 작은 비행기에 랜딩기어만 충돌해 부러진 채로 애매하게 재상승해 오히려 승객을 다 죽일 수도 있었다고 봅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동의합니다.. 늦은 고어라운드는 오히려 더 큰 재앙이 왔을 수도 있습니다. 조금 일찍 발견이 되어 미리 고어라운드를 했었다면 최선이었겠지요..

  • @jbs7946
    @jbs794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제 규정이 더 강화?되겠네요..... 크기 상관없이 끝단에서만 활주로 진입하라는 규정 생기지 않을까 생각 듭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음.. 그렇지는 않을 거 같아요. 워낙 많이 사용되는 절차이기 때문에..

  • @user-ot6dh3gf7c
    @user-ot6dh3gf7c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소형기가 허가없이 활주로 진입부터 이륙 정렬까지 1분가까이 들어가 있었는데도 관제탑에서는 육안으로 확인할수가 없나요? 아무리 바쁜 시간이었다해도 관제탑에서 육안 확인을 못할정도면 관제탑의 문제도 있어 보입니다. 관제탑 인력을 충원하던지 나중에 또 이런일이 발생되지 말라는법이 없으니까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실 말씀하신 부분이 맞을 수도 있습니다. 바빠서 못 봤다면 인원이 더 필요한 게 맞겠지요. 하네다 공항이나 나리타 공항 모두 세계에서 손 꼽는 바쁜 공항입니다.
      조사 결과가 나와봐야 과실 부분이 확실해지겠지만, 여러 아쉬운 부분들이 보입니다...

  • @jskim1746
    @jskim174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타 유툽서 언급된 스위스 치즈 모델이 못내 아쉬웠습니다 ㅠㅠ 앞으론 이런 불상사가 더이상 없기를..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모든 항공 사고는 스위스 치즈 모델이 적용되지요.. 단 하나의 이슈로 나는 사고는 거의 없다고 보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안타까운 사고이며, 천만 다행이기도 한.. 다시는 일어나지 말아야지요 ㅠㅠ

  • @user-tf9wc3vh9o
    @user-tf9wc3vh9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뉴스보고 진짜 깜놀 했습니다.
    그냥 어어하고 어떻게 소리 밖에 안나왔어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습니다, 안타까운 사고죠 ㅠㅠ 정말 그리고 천만 다행이구요...

  • @user-uo4de9fp8y
    @user-uo4de9fp8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 영상보니.. 어제 나리타에서 타고오던 비행기의 엔진에 새가 들어가서 불난상황이 다시 생각나네요.. 엔진 뒷편의 좌석에 앉아 있었는데.. 파바박 하면서 1분정도 엔진에 불이 붙고..꺼지고를 반복하더니.. 고어라운드 후 무사히 재착륙 했습니다.. 정말 무서웠지만.. 무사히 집에 돌아올수 있어서 다행이었습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제 그런 일이 있었군요.. 그래도 무사히 도착하셨다니 다행입니다!

  • @djjcxsxjr
    @djjcxsxjr 4 месяца назад +2

    8:05 일사분란 -> 일사불란

  • @HHms77
    @HHms7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고어라운드를 왜 안했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 하지만 이 사건에서 전개 될 수 있었던 최악의 시나리오는 순간적으로 항공기를 보고 고어라운드를 결심했으나 그 과정에서 충돌하여 화재, 엔진페일, 기체 손상으로 인한 조종능력 상실 등 겉잡을 수 없이 악화 돼 다시 선회해 내리는 그 시간마저 버티지 못하고 공중에서 잘못 됐을 가능성이죠.. 어쩌면 300여명의 추가 사망자가 나왔을 수도 있었을 ..이만하길 불행 중 다행이라 생각해야 할 것 같네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렇죠 ㅠㅠ 상황이 사실 인지하기 쉬운 상황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아쉽긴 합니다..
      정확히 지적을 하셨네요, 혹시나 저고도 고어라운드 하는 상황에서는 스치기만 해도 바로 참사로 이어지기에...
      지금의 결과가 어쩌면 다행이었을지도...

  • @maxiflihan
    @maxifliha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ruclips.net/video/ioCwZhhL8vE/видео.html 일본항공 사고 당시 승객이 찍은 영상입니다. 기체에 불이 난 상태에서 비행기가 멈췄지만 승객이 실제로 탈출하기까지 6분 가량을 좌석에 앉아 있었습니다. 이 승객은 조금만 더 앉아 있었으면 기내에 퍼지는 연기에 다들 질식해 죽었을 것이라 말합니다. 뒷편에 앉아있던 승객이 앞쪽 비상구로 탈출하는데 걸린 시간은 30초도 채 걸리지 않았습니다. 승무원들은 비행기가 멈추자마자 승객들을 바로 탈출시키지 않고 뭘 꾸물거리고 있었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왜 비상 탈출이 늦어졌는지 짐작이 가는 이유가 있을까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우선 비행기의 사고와 비상 탈출은 운항과 객실의 절차로 크게 나뉩니다.
      항공기의 책임자는 기장이고.. 객실 사무장이 객실의 장이지만 일단 항공기가 사고나게 되면 바로 자의적 판단으로 탈출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기장의 결정과 지시를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왜냐면 객실보다 조종실이 사고의 원인이나 환경 이해에 훨씬 좋기 때문이기도 하고
      조종사들이 아무래도 사고를 빨리 분석하고 지시할 수 있는 조종실에 있다는 이유가 되겠죠.
      몇 분을 기다려야 한다.. 뭐 이렇게까지 절차화 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당시 사고로 인해 조종실과 객실의 인터폰 통화가 원활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떤 일인지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채.. 어느 쪽으로.. 어떤 문으로 탈출해야 하는지 잘 모르는 채 탈출을 시작하는 건
      사실 잠시 시간이 지체 되는 것보다 오히려 더 큰 화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편 조종사들은 사고가 났을 때 항공기의 상태를 파악하고 해당 체크리스트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화재나 이런 것들을 체크리스트로 일단 제압할 수도 있기 때문이죠.
      충돌 당시까지 충돌임을 인지하지 못한 것이 가장 심각하긴 하지만 그런 이유로 기장의 탈출 지시가 늦어졌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탈출도 그냥 마이크 들고 탈출하시오~ 라고 하는 건 아니구요, 탈출 체크리스트가 있어서 그걸 토대로 수행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예전 어느 항공사에서 조종사들이 비행기의 엔진을 다 끄지 않고 탈출을 지시해서 탈출 과정에서 안전 문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절차의 일반적인 내면을 말씀드린 것이고, 이번 사고가 그랬을 것이다라는 의견은 아니니 참고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곧 나올 사고 보고서에 상세히 발표가 되겠지요.

  • @yskimg89
    @yskimg89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저 소식을 접하면서 과거 LA공항에서 발생했었던 US1493/Skywest 5569 활주로 충돌 사고가 생각이 났었습니다. 해당 사고를 방영했었던 NGC 항사수 봤을 당시 NTSB에서 왜 US1493항공기가 Skywest 5569를 보지 못한 이유에 대해서도 언급했었더군요. 공통점을 보니 두 사고 모두 야간에 발생했네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4 месяца назад

      아 ㅠㅠ 그렇군요.. 사실 쉽게 보이지는 않는 게 사실입니다. 어두운 것 말고도 환경이 낮과는 너무나 다르기 때문에..

  • @user-bs2dw1zk3x
    @user-bs2dw1zk3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타 영상에서 예상하고있는 원인으로는
    1. 해상보안청 항공기의 무단침입
    2. 무단침입했음에도 이를 알리지않고 방치한 관제사
    3. 착륙과정에서 일찍 인지를 못하고 고어라운드 하지 못한 일본항공 조종사
    이 세가지로 보고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네.. 확연히 드러나는 요인은 그렇게 3가지입니다. 사고 조사에서 각각의 상세한 부분들이 드러나면 과실의 비율과
      배경 등 여러가지 원인이 나오겠지요..
      현재로선 저도 비슷한 생각입니다~

  • @user-rk1zn6co3p
    @user-rk1zn6co3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매우 안타까운 뉴스입니다. 정확한 사고조사가 이뤄지겠지만~ 노토반도 지진 현장에 급파하기 위해 해상보안청 항공기가 긴급출격(Scramble)하는 상황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래서 이륙까지의 소요시간을 최소화하는 과정에서 관제사 및 조종사가 서둘러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항공종사자에게 있어 ‘서두름’은 많은 Error를 유발할 수 있음을 항상 유념하지만~~ 어떤 상황에 처하면 스스로 제어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당하신 말씀을 해 주셨습니다! 혹시... LCH 기장님이신지.. 조종사는 손이 빨라서도 안되고, 마음이 빠르면 더 안되고 그런 거 같습니다!!~

  • @ksh_-vi1ex
    @ksh_-vi1ex 4 месяца назад +2

    7:10 바램X -> 바람O

  • @LEEkyouho
    @LEEkyouh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공항 등화류가 점검을 위해 소등되어있었다고 합니다. (제가 전공자가 아니라 어느 수준까지 꺼져있었고 그게 A350 입장에서 육안상 어떻게 보일진 모르겠네요), 그리고 해상보안청 소속 항공기가 등화류를 소등했다는 기장의 진술이 일본언론에 보도됐습니다. (관제탑으로부터 이륙허가를 받고 그걸 기억하기위해 항공기 등화류를 조작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활주로에 진입한지 1분이 넘었다고 합니다.

    • @LEEkyouho
      @LEEkyouh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추가로 a350의 탈출은 약 5분 정도 걸렸다고 합니다. 기장이 마지막에 남은 승객이 있나 확인하며 꼬리칸까지가서 탈출했고 덕분에 미쳐 탈출하지 못한 승객을 데리고 나왔다고하죠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런 일이 있었군요.. 아마 활주로 진입 관련 등화일겁니다. 다른 활주로 등화가 작동이 안되면 야간 착륙이 불가하거든요.
      정확한 조사 보고서가 나와야 확실한 판단이 될 듯 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LEEkyouho 실제 사고 상황에서 400명 가까운 인원의 탈출이 5분이라면 정말 놀라운 일입니다. 비행기의 인가 과정에서 다 준비하고
      준비, 시작~ 하고서도 시간이 1분이 넘어가니 말입니다. 기장님도 아무튼 책임감 있는 분이네요. 세월호 그분과 참 대조됩니다 ㅜㅜ

    • @LEEkyouho
      @LEEkyouh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captainjksaviationlife248 a350의 8개 탈출구 사용시 90초내 탈출로 설계되어있는데 3개만 사용해서 탈출했으니 단순하게 산술계산만해도 탈출에 4분이 걸리는데 사고로 복잡한 상황에서 5분 탈출했다니 정말 대단하죠.

  • @colemangray1339
    @colemangray1339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이래서 공포의 11분 이라는 거군요.. 😢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그렇습니다.. 말 그대로 신속, 정확이 요구되는 과정입니다.

  • @chulgim1
    @chulgim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뉴스에는 해상보안청 기장이 관제를 잘옷알아들어 생긴 사고처럼 나오던데,애초에 활주로 대기장소에 멈춤신호가 얼마전부터 꺼져있었고, 그게 없으니 보안청 뱅기가 대기장소를 벗어난거죠. 따라서 관제사가 이어진 관제명령에서 jal이 착륙중이라는 걸 보안청 기장에게 언급만 했어도 나았을듯. 한마디로 노련하지 못한 관죄사와 하네다 공항의 장비 고장 문제가 두 요인이 아니었나싶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요즘은 말씀하신대로 큰 공항에는 활주로 진입 여부를 알 수 있는 정지 라이트가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조종사들은 이 라이트의 점등과 함께 반드시 관제사의 진입 허가를 확인해야만 활주로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라이트가 꺼져 있다 해도 이번 상황은 활주로에 절대 들어가서는 안되는 상황이죠.
      정황을 보면 관제사도, 해상 보안청 기장도 모두 아쉬운 부분이 보이네요..

  • @deungwoo7403
    @deungwoo7403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야간비행이 이렇게 어려운 것이지....보여야 피하지...보여야 관제하지....자기도 안경끼고 있으면서....정말 무책임한 소리를 정말 이렇게 까지 할 수 있나 싶네....

  • @tgvpos4402
    @tgvpos440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번의 참사가 일어나기전엔 몇번의 중대한 징후와 많은 사소한 원인이 있다는 하인리히 법칙이 생각납니다. 모든 안전수칙과 절차는 피로 쓰여졌다는 금언을 다시끔 되뇌입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습니다.. 모든 비행의 절차는 사고 이후 만들어진 피의 절차라고 하죠. 수십 년 항공 역사에서 많은 사고로 새로운 절차가 수립되었고,
      지금도 그러고 있습니다...

  • @bombtroll9403
    @bombtroll9403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밤에 비행기가 터치다운 라이트 쯤에 있으면 비행기가 안보임. 특히 큰비행기가 아니면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네.. 실제로 야간 비행에 활주로의 라이트들로 인해.. 그리고 최신 기종들은 HUD가 있어 활주로의 시야를 다소
      가리게 되는 면도 한몫 하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입니다...

  • @mink6967
    @mink696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ruclips.net/video/-OrkSFn5wv0/видео.html
    여러관점에서 이야기 하는 분도 있습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사고 보고서가 아직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저도 그렇고 정황 상 예측과 경험 상 이야기를 많이들 하십니다.
      해당 채널은 제가 그리 신뢰를 하지 않는 채널이라 영상에 대한 언급은 생략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ㅜㅜ

  • @user-nw2bc4zv2w
    @user-nw2bc4zv2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진에어 조종사님의 하네다 시뮬레이터 봐도 높이 50피트 에서는 전방 터치다운존 근처에있는 엔진 라이트나 스트로브 라이트는 보이겠더더라고요
    그리고 전방 랜딩기어가 무너지고 이미 화재가 발생중인데 5분이상 대기만 하라고했던 캐빈승무원들 대처가 적절했는지는 의문입니다 연기는 많이났지만 엔진폭발이없었고 화재가 천천히 번져서 늦은 탈출에도 운이좋아 전원 생존한거라고 봅니다
    1차적으로 활주로 무단 침입한 비행기 조종사 잘못이 가장 크겠지만 그걸 관제모니터에 빨간색으로 표시가됨에도 40초가넘게 아무런조치없이 방치하고있었던 하네다 타워 관제사 그리고 파이널 어프로치에서 발견하지못한 jal 의 3명의 조종사들 그리고 비상탈출이 늦은 캐빈 승무원들 전부다 총체적 문제라고봅니다
    저같으면 jal 다시안탈듯

    • @jh_jang
      @jh_jan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6

      dash-8 항공기는 정말 작은 항공기 입니다. 스트로브 라이트나 비콘라이트 정도는 밝게 빛나고 있는 타치다운존 라이트나 센터라인 라이트에 충분히 가려질 수 있죠.
      일본항공 A350 조종사들은 34R 하이웨이 비주얼 접근중이였습니다. 조종사가 부주의해서 항공기를 보지 못했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죠 따라서 350 조종사들은 집중을 했음에도 해상보안청 항공기를 보지 못한 것이고 보지 못한 항공기를 피하거나 고어라운드를 할 수는 없었겠죠. 실제로 일본항공 칵핏에 있던 3명 조종사 모두가 터치다운시에도 발견을 못했다고 진술했습니다. 이 상황에서 일본항공 조종사들에게 무슨 잘못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안녕하세요, 말씀하셔서 진에어 기장님의 영상을 저도 막 보고 왔습니다.
      사실 씨뮬레이터라는 환경이 실제 비행과 비슷하게 구현은 하고 있지만, 특히 비주얼 부분 그러니까 밖으로 보이는 모습들은
      아직도 실제와 괘리가 꽤 있습니다. 씨뮬레이터 처럼 깔끔하게만 보인다면 말씀처럼 진입하는 비행기를 볼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현실에서는 런웨이 라이트들의 광량이 더 많고 번지고 그렇게 보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랜딩 플레어 중인 조종사의 시선은 활주로 끝쪽으로 이미 옮겨져 있고, 터치 다운존은 주변시로만 보게 됩니다.
      물론 JAL 조종사의 과실이 전혀 없다고 말씀 드리는 건 아니지만, 현실적 그 상황에서 발견하기란 쉬운 일은 아닐거란 생각입니다.
      진에어 기장님 역시 같은 의견을 영상에서 말씀하셨더라구요.
      허드슨 의 기적이라 불리는 설리 기장님 경우도 사실 책상에 앉아 올바로 된 판단이냐를 따지던 NTSB 위원들의 눈에는 분명
      다른 공항으로 바로 향했다면 착수를 하지 않았어도 되는 것 아니냐.. 하고 따졌지만.. 현실 속의 조종사나 승무원들은
      그렇게 자로 잰 듯 바로 기계적인 행동이 나오기 어렵습니다.
      관제사의 그런 실수는 제가 미처 듣지 못한 터라 영상에서는 언급을 못 했지만 40초나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면 무단 진입한
      조종사 못지 않은 큰 책임을 면치 못할 것 입니다. 정보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jjk7379
      @jjk737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에휴 땅에서는 무슨 말을 못할까

    • @HHms77
      @HHms7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jh_jang 그 정도 시력이면 그만 두는게 맞습니다

    • @njoykang
      @njoykan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좀 더 주의 깊게 보지못한 관제사와 jl516에서도 아쉬움(개인적으로는 어느정도의 과실)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것은 관제를 무시하고 활주로로 들어간 해상청 비행기의 잘못이라고 생각됩니다.

  • @majimira
    @majimira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안타까운 일입니다. 추가로 일본뉴스들을 확인해보니 해상보안청기 기장은 "이륙허가를 받았고, 이 내용을 같이 들은 다른 승무원에게도 이륙허가를 받았음을 확인했다"고 추가 진술을 했습니다. 일종의 집단착각현상이라고 봐야할까요? 너무나.... 미스테리한 일입니다. 요 며칠 일본뉴스에서는 관제쪽의 책임을 부각하는 뉴스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본쪽 기사에 따르면 관제에서는 사고가 난 직후에도 충돌이 아닌 화재라고 인식하였다는걸 보면, 해당 활주로에서 해상보안기가 활주로로 진입한걸 전혀 알지못했고, 따라서 충돌사고가 날거라는걸 전혀 인지하지 못한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해 일본 국토교통성은 대책 중 하나로 하네다 공항에서 관제시 넘버원,넘버투등으로 이륙순서를 알려주는걸 금지했다고 하는데, 이 대책이 타당한 것인지 저는 개인적으로 매우 의문스러운데 기장님 생각은 어떠신지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렇군요.. 저도 대시8 항공기의 조종사가 진입 허가를 받았다고 진술한 걸 본 것 같아요.
      비행뿐 아니라 사실 많은 부분에서 그런 현상이 있기도 하지요. 관제 기록이나 음성 기록 장치 등 분석이 완료되면 결과로 나올테니
      기다려봐야지요. 넘버원, 넘버 투 등 사실 자주 쓰는 용어는 아니긴 한데, 사람이 서두르다 보면 그런 것들이 까딱 잘못 오인될 수는 있을 것 같아요.
      그런 조치가 얼마나 효과적일지는 사실 조금 의문이긴 합니다..

  • @cornuni1417
    @cornuni141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그래도 대형기가 폭발했음에도 그 비행기에서 한명도 안죽은기 천만 다행이라 생각함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습니다.. 원인이나 배경은 사고 조사에서 밝혀지겠고.. 비록 다섯분이 희생되었지만 많은 승객과 승무원들이 생명을 지켜낸 건
      너무나 다행스런 일이죠...

  • @tory6482
    @tory648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왜 고어라운드 안했는지 궁금했는데 C5에 있었군요...이 사건을 계기로 모든 비행기는 끝단에서 출발하도록하는 규정이 생겼으면 하네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반드시 중간 지점에 있었기 때문에 보지 못하고 내렸다고 단정짓기는 어렵지만, 조종 경험 상 그럴 확률이 높아 보였습니다.
      아마 자세한 조사 결과 나와봐야 알겠지만, 중간으로 들어간 게 사고의 촛점은 아닐테니 그런 조치가 있기는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 @user-vz2oy9eb7l
    @user-vz2oy9eb7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這一陣子國土交通省航空局首都圈空港課真的要把皮繃緊一點,不過這一些都是羽田空港(HND)航班太頻繁太密集,導致容錯率非常低造成的現象,成田空港(NRT)要多吸收一些國際航班與國內航班。😅😅😅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羽田空港に行って久しいので記憶がはっきりしていませんが、本当に忙しい空港です。 手続きも複雑で難しいです。 行くたびにすごく緊張しました。
      しかし成田空港も侮れません 😂😂 今日も成田空港に行ってきましたが、そこも本当に忙しい空港の一つですよね。 羽田の飛行機をもっと吸収できるかは未知数です。 コメント本当に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そして亡くなった日本人パイロット5人を悼みます!!

  • @user-fn3fh3fe2t
    @user-fn3fh3fe2t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미국도 넘버원 이라는 관제사 말을 사용 하나요? 왜 소형기에 쓸데없이 넘버원 이라는 말을 했나 싶네요. 사람은 듣고 싶은것만 들으니까 문제일수도요. 그나마 다행이 대형 여객기었으면. 예전 라스 팔마스 공항에서처럼 수많은 사망자가 나올뻔했네요. 그리고 소형 항공기가 위치가 더 안 좋은 위치에 있었으면 사망자도 많았게죠. 어쩌면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또 교훈을 삼아야 하지만. 인간은 항상 실수를 하기 마련이죠.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4 месяца назад

      넘버 원투.. 이런 말을 자주는 아니지만 이륙 순서를 알려줄 필요가 있을 때 가끔씩 사용합니다.
      미국뿐 아니라 모든 나라에서 적용됩니다.. 암튼 이번 사고는 천만다행이라고 밖에는 할 말이 없습니다 ㅜㅜ

  • @a-kangbubu
    @a-kangbubu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이번사고 소지품 보상금 200만원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4 месяца назад

      아.. 그렇군요. 다른 나라 탈출 모습과 참 대조되는 사례같아요. 탈출한 승객들의 손에는 가방이나 개인 소지품들이 들려있는 모습이 많이 보였었는데.. 그렇게 한 사람이 10초, 20초 짐챙기느라 소요되는 시간때문에 뒤에 나오는 승객들의 생명이 위협받는다는걸 ㅠㅠ
      암튼 탈출의 모범?사례로 보이는 사고였지 않나 싶습니다. 비록 2백만원이 부족한 승객들도 있겠지만요..

  • @studiogzscaniashooter9411
    @studiogzscaniashooter9411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자동착륙했다에. 한표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4 месяца назад

      그랬을 수도 있습니다. 가끔씩 필요에 의해 날씨가 좋을 때도 자동 착륙을 하거든요.
      일단 사고 보고서가 나와봐야 정확한 이야기가 될 듯 합니다..

  • @jeanghunoh853
    @jeanghunoh853 24 дня назад +1

    활주로에 무단 침범한 해상보안청 뱅기를 방치한 하네다 관제사는 과실이 없을까요?

    • @captainjksaviationlife248
      @captainjksaviationlife248  24 дня назад +1

      아직 정식 사고 보고서를 보지 못했는데요.. 아마 과실이 없지는 않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