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you dry the Bracken, it can be kept for a long time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Bracken #Farming #KoreanCountry #Countryside #shorts
    Bracken: The world's most prevalent fern, a perennial plant that flourished to conquer the world during the Paleozoic era, but the ferns that people commonly know emerged from the early Cenozoic era.
    It is widely used for food worldwide, and is mainly eaten cooked, salted, or dried raw. In Korea, it is an essential ingredient in Yukgaejang and Bibimbap along with vegetables during the holidays. It is high in fiber and contains a lot of vitamin C, vitamin B2, and calcium. In particular, it is rich in calcium, which is also helpful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in growth. It is also rich in iron, so it is good for people with anemia or pregnant women. However, the leaves have vitamin B1 degrading enzymes, so you should not eat them raw if possible. It is said that adding salt when boiling is good for removing the bitterness.
    It can be used instead of meat, but if you boil small raw ferns of about 5 to 6 cm first and season them strongly in Yukgaejang, the fern tastes and texture like a torn beef brisket. If you add dried taro stems, it's icing on the cake. It is a method used as a vegetarian diet, but it cannot be supplemented with vitamin B, so you must add shiitake mushrooms.
    In Sakhalin, agriculture and livestock were restricted on barren land, and while the Russians were starving, Koreans settled down and began to eat bracken, which was followed by Russians, and later, a considerable amount of Korean food, including bracken and other foods.
    In Japanese cuisine, there is a rice cake called "warabimochi" that has a very soft glutinous rice cake-like texture and is transparent and clear enough to be water droplets or ice. In the past, it was made with starch drawn from the roots of bracken, but in modern times, it was replaced with starch due to unit price problems.[5] The rice cake itself doesn't taste like much, and it is eaten with seasoned grain syrup and bean powder. The name is different from the reality. In Korea, it is known as water drop rice cake. Clear forms are common, but they are sometimes made like wagashi or jelly by mixing matcha or nectar. There is also a derivative specialty called Mizushingen Mochi, which is made with agar, not starch.
    It is famous for the story of Baek Yi and Ho Chi, who are famous as the last loyalists of the Shang Dynasty in China, entering Suyangsan Mountain after the fall of the Shang Dynasty and died while digging for bracken.
    It is said that during Louis XIV's time, a famine broke out in a part of France and the king went to see the condition himself. The famine was so severe that a priest living in the province had to give the king bread made of bracken, saying, "We don't have anything to eat, so we endure this." Contrary to the bride's expectation that he would be angry, Louis XIV silently ate all the bracken bread without saying anything and said, "I enjoyed this bracken bread." There is a heartwarming anecdote that the bride, who returned to fear the aftermath, heard that relief food to relieve the famine had arrived in the province.[6]
    There are many uses other than just eating. You can make starch with roots, make bread or rice cakes with starch from root stems, and leaves and root stems can be used to make beer. As a medicine, the roots are dried well and powdered, which is effective in removing parasites and helps relieve body inflammation or edema. Young leaves are effective for diuresis and fever.
    It is a food that is not compatible with octopus, and especially people with weak stomachs can develop indigestion if eaten together, so be careful.

Комментарии • 3

  • @한국시골
    @한국시골  2 года назад +1

    고사리 :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펴져 있는 양치류로 고생대 때 세계정복을 할 정도로 번성한 다년생 식물. 하지만 사람들이 보통 알고 있는 고사리류는 신생대 초부터 나타났다.
    세계적으로 널리 식용으로 사용하는데 주로 익히거나, 날것으로 소금에 절이거나 말려서 먹는다. 한국에선 명절에 나물과 함께 육개장, 비빔밥에 들어가는 필수 요소이다. 섬유질이 많고 비타민C, 비타민B2, 칼슘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특히 칼슘이 풍부하여 성장기의 어린아이와 노인들에게도 도움이 된다. 또한 철분이 풍부하여 빈혈이 있는 사람이나 임산부에게 좋다. 그렇지만 잎에는 비타민B1 분해 효소가 있으므로 가급적이면 날것으로 먹지 않아야 한다. 삶을 때 소금을 넣으면 쓴맛 빼기에 좋다고 한다.
    고사리를 고기 대신 사용할 수 있는데 5~6 cm 내외의 작은 생 고사리를 썰지말고 먼저 푹 삶은 후 육개장에 간을 세게 하고 넣어주면 고사리가 마치 찢어 넣은 소고기 양지머리와 같은 맛과 식감이 난다. 말린 토란줄기를 넣어주면 금상첨화. 채식주의 식단으로 활용되는 방법이지만 비타민B를 보충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표고버섯 등을 같이 넣어주어야 한다.
    사할린에서는 척박한 땅에 농업이나 목축이 제한되면서 러시아인들이 굶고 있던 와중, 한국인들이 정착하면서 지천에 깔린 고사리를 먹기 시작했는데 이를 본 러시아인들도 따라 먹으면서 이후에는 고사리를 비롯한 여러 한식이 상당히 많이 전파되었다.
    일본 요리에는 '와라비모치(わらび餅:고사리떡)'이라 해서 매우 부드러운 찹쌀떡 같은 식감에 물방울이나 얼음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투명하고 맑은 떡이 있는데, 옛날에는 진짜 고사리 뿌리에서 뽑은 녹말로 만들었지만 현대에는 단가 문제로 인해 전분으로 대체되었다.[5] 떡 자체에선 별 맛이 나지 않고, 조청과 콩가루같은 고물을 묻혀서 먹는다.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이라고 봐야 할지도. 한국에는 물방울떡이라고 알려져 있다. 맑은 형태가 흔하지만 말차라던지 과즙 등을 혼합해 와가시나 젤리처럼 만들기도 한다. 전분이 아니라 한천을 넣어 만드는 미즈신겐모찌라는 파생형의 특산물도 있다.
    중국 상나라의 마지막 충신으로 유명한 백이(佰夷), 숙제(叔齊)가 상나라 멸망 후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 먹다 죽은 일화가 유명하다.
    루이 14세 시절 프랑스 모 지방에 기근이 들어 왕이 직접 상태를 보러 갔다고 한다. 워낙 기근이 심해 왕을 배알할 준비를 못해 할 수 없이 그 지방에 사는 신부가 "저희는 먹을 것이 없어 이것으로 버팁니다."라고 하면서 고사리로 만든 빵을 왕에게 바쳤다. 분명 진노할 것이라고 생각한 신부의 예상과 달리 루이 14세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묵묵히 고사리 빵을 다 먹고 "짐은 이 고사리 빵을 맛있게 먹었노라"라고 말하고 갔다고 한다. 후폭풍이 두려운 상태로 다시 돌아간 신부는 기근을 구휼할 구호 식량이 그 지방에 도착했다는 소식을 들었다는 훈훈한 일화가 있다.[6]
    단순히 먹는 것 외에 용도가 많다. 뿌리로 녹말을 만들 수 있고, 뿌리줄기의 전분으로 빵이나 떡을 빚을 수 있고, 잎과 뿌리줄기는 맥주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약으로서는 뿌리줄기를 잘 말려 가루로 만드는데, 기생충 제거에 효과가 있고 몸의 염증이나 부종완화에도 도움을 준다. 어린잎은 이뇨와 해열에 효과가 있다.
    문어와 궁합이 안 맞는 식품으로, 특히 위장이 약한 사람은 같이 먹으면 소화불량에 걸릴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 @패션스쿨에제르EZER
    @패션스쿨에제르EZER 2 года назад +1

    어머니 손으로 만드신 음식들 먹고 이렇게 컸는데 이렇게 손이 많이가고 힘이 드는 것인줄 알아가는 아드님
    날마다 효심이 무럭무럭 자라실듯 ㅡ아드님과 함께 하시는 어머님 말씀에도 사랑과 정겨움이~
    어머니 건강하세요~^^

    • @한국시골
      @한국시골  2 года назад +1

      고마운 말씀 감사합니다♡ 아들도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