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번째 설명해줌. 상단당점으로 밀어치기 한가임. 원쿠션 후 일적구 맞을때까지 상단 회전이 살아 있어서 수구가 6시쪽으로 간것임 연습은 원뱅크 넣아치기로 입반사각 20도 이하로 하고 적구를 쿠션에 가깝게 넣고 히면 됨. 숙딜되면 적구랑 수구 거리 벌려보고. 실전활용도 좋고 공의 물리적 이해, 스토로크 연습에도 도움 많이 됨.
예술구는 부산 출신 김상윤 선생님을 따라올자가 없었습니다.트레이드 마크인 콧수염에 단발머리 파워풀한 맛세이는 진짜 예술에 경지였고 예전에 TV에도 많이 나오셨는데 살아계시면 나이가 80세 정도 되셨을텐데 과거에 광안리근처 당구장 가면 한번씩 뵐수있었는데 혹시 이분소식 아시는분 없나요?
첫번째 샷은 그나마 가장 쉬운 샷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당점 보다는 타법이 중요합니다. 끊어치면 끌어치기가 가능해짐을 기준으로 하고 설명하자면, 흰공이 쿠션에서 살짝 떨어져 있는걸 보실 수 있을 거에요. 내가 친 공이 흰공 위치 쿠션을 먼저 터치하고 흰공을 맞았을 때 끌어치기의 반작용이 나옵니다. 만약 당구장에서 연습한다면, 투쿠션으로 하지 마시고 흰공을 동일한 위치에 있게끔 하고 내 공을 빨간공 약간 우측 위에 두고 원쿠션으로 쿠션부터 조준하고 끊어치시면 그 효과를 제대로 볼 수가 있습니다. 당점은 우측 하단을 조준하면 아주 쉽게 효과를 느낄 수 있죠. 설명이 쉽지는 않네요.
첫번째 샷은 살면서 처음 보는 샷이네요
보통은 수구에 힘이 다실리면 치낸공은 그자리에 멈추는대...
예술 그자체 인거 인정입니다👍👍👍👍👍👍👍
거의 첨보는 예술구 종류이네 ㅠ.ㅠ
대단하다..
첫번째 예술구는 제가 본 가장 황당한 샷이네요....
다이 오시 제대로 먹이면 저런식으로 나오긴 하는데.. 아에 역후진까지 ㄷㄷㄷ 저건 진짜 힘든샷이네요.
한번 연습해 봐야겠네요.
@@박문기-t2t가짜임 딱보믄 모름?
@@성이름-s4j ㅋㅋ 가짜 아니에요.. ㅎ
이해 안가시나본데.. 황오시 와도 비슷한 결입니다..
상단 다이 오시라는거에요. . 저도 가끔 길이 안보일때 칩니다..
다만 저렇게 극단적으로 빽하는 샷은 못쳐요.
상당 오시 정답 모르는 사람들은 시깍이 하단주느데 상단이 뒤로 갑니다.
우왕~ 저실력이면 선수해도 세계1위 할것같은데 이미 챔피언 인가여???
예술 그 자체!❤❤❤❤❤❤❤
첫번째는 처음 봤네요. 두번째 세번째는 꽤 많이 시도하는 거라 좀 봤지만 어떤 예술구도 다 정말 감탄하게 되죠.
와~! 예술구의 끝판왕 모음집이에요! 이중에 하나라도 한다면 최고 인증!
일반인은 스트록이 안되서.스핀을.저렇게.못먹여요ㅋㅋ
그나마 마지막거는 할만할듯.
대단한 예술구들이네요 ㄷㄷ
보는것도 재미난데 실제로 저렇게 칠수 있다면 엄청 재미날듯 ㅎㅎㅎㅎㅎ
당구를 꽤 오래 쳤다고 생각하는데.. 첫번째 샷은 진짜 신기하네요
중력이라는 표현보다는 관성이라는 표현이 나을것 같네요
워..첨보는 예술구네요
와 세이기너가 하는걸로 다본건데 첫번째는 본적이 없음...저게 가능한가...참네 대단하다
예술구 엄청 봤지만 첫번째같은 샷은 첨봤다 저런게 가능한거라니..
글케 안어려워요
첫번째는 난이도 걍 맥심+맥심+맥심일듯 저건 당구 친다는 사람들 걍 그냥 감탄
잡지는 맥심이지❤
피씨방이 나오기전에는 대학가의 대세는 당구장이였죠
그 당시에 당구장에서 예술구치는 분들 섭외 해와서 공연비슷하게 하는걸 구경한적이 몇번있었는데 실제로 보면 더 멋있어요.
당구가 아니라 주체사상 쳐하냐고
야밤에 농활한다고 떼로 몰려다니며 혼숙에 그룹야스하고 다녓다
첫번째 예술구는 알라딘 요술 아님? 와아 ㅋㅋㅋㅋ
1번 내기당구면 2쿠야 겁나우길듯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니 3잖아 아냐 2쿠야 하면서 ㅋㅋㅋ
@@user-ui3vj4fw7e ㄹㅇ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쿠잖아 꺼져
다른 샷은
뭐 그래도 천재들은 하겠네.
라는 생각이 드는데
첫번째 샷은 '이건 cg인데' 라는 생각이 듦.
상상으로만 가능한 것이라 생각했는데..
다 신기한데 첫번째는 진짜 당구쳐본사람은 알겠지만 상상초월이네요
첫샷..와 저정도 거리면 가다가 자연 전진이 걸리는데, 그걸 무시하고 저렇게 가다니 미쳤네요
😊😊😊😊
첫번째가 최고, 어떻게 원쿠션 후 공이 저렇게 갈 수 있는지.
와.... 이형들은 진짜 끝판왕맞네;;
첫번째가 대박임 ㅋㅋ
처음껀...그냥 입이 벌어지네... 정말 대단하다
처음꺼는 진심 마술이나 cg같다.
회전을 어떻게 저렇게많이넣나... 멋지고 부럽다
마지막건 진짜 와 저게된다는게...기가막히네
그냥 해본 생각인데..당구는 외계인도 재미있어할듯
당구장에서 저러면 사장님 오열
많은 예술구를 봐왔는데 첫번째 예술구는 진짜 처음본다... 저게 가능한거구나;;
마지막이 진짜 지립니다...
우리 후루꾸 꾼들은 이런거 껌이쥬😅😂😅
정식도 꺅구를 왜 주는줄도 모르고 더 이상 말라고 싶지 않네유.. 😂😅😢😮😊😊❤❤❤
당구공도 많이 아픈가보다ㅠㅠ
얼마나 아프면 저렇게 뛰어다닐까ㅠㅠ
와우 이게 예술이지...ㄷㄷ
근데 중력하곤 먼상관??
대부분 두려움 때문에 못하는데
큐를 세워서 쎄게 찍으면 됩니다~
너무 무서우면 보지말고 그냥 찍어세요!
그대신 책임은 못집니다..
헉...이건 뭐......멋있는데!
첫번째는 와우~~저게 어떻게 가능하지
중력의 법칙이 아니라 운동법칙이라고 해야겠네요.
첫번째 공 지리네요 진짜 ㅋㅋㅋ
300점 이상이면 이해 합니다.
@@안두호-l2p 4구300점 인데 첫번짼 당점도 모르겠음
@@jdj1217 상단 입니다
@@안두호-l2p 저거 어케해야 가능한건가요?
상단당점을 극한으로 수구에 실어서 치는건데, 일반 당구인들은 1프로 확률도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첫샷 예술이다
플라스틱왁스?인가뭔가로 공을 엄청 닦으면 예술구공이되는걸로압니다 일반인들이 쓰는 삼구나 사구공과는 달라요
첫번째 샷!!!! 어떻게 된거죠? 완전마술인네
상단인데 쿠션맞으면서 바로 회전이 최대한 먹게 큐를 잡아줘야하는 스트록을 이용해야함
첫번째 설명해줌.
상단당점으로 밀어치기 한가임.
원쿠션 후 일적구 맞을때까지 상단 회전이 살아 있어서 수구가 6시쪽으로 간것임
연습은 원뱅크 넣아치기로 입반사각 20도 이하로 하고 적구를 쿠션에 가깝게 넣고 히면 됨. 숙딜되면 적구랑 수구 거리 벌려보고.
실전활용도 좋고 공의 물리적 이해, 스토로크 연습에도 도움 많이 됨.
중력의 법칙이 아니라 운동의 법칙
진짜 마세이는 생각하고 생각하고 또 생각해도 신기함
첫번째공 어떻게 쳐야하나요? 저게 말이되나...
황오시요.
극상단 밀어치기.. 회전을 끝까지 맥여야되서 많이 어려운 공입니다
1.2샷이 굿샷!
다른건 끄덕끄덕 했는데 첫번째는 ㅎㄷㄷ
만화에서나 가능한 것들이 현실에서 되네요.
음.....
저건 마술이야.
UFO가 이런 원리로 움직이는거임..
회전력으로 추진체를 급 변동, 급 제동하는거임.
쓰리쿠션의 장성출,예술구의 김철민( 둘다 52년생)을 기억하신다면 그야말로 당구계의 화석일 겁니다
첫 번째 장면의 예술구, 저게 진짜 가능한가요? 저런 거 처음 보네요.
일적구가 멀어서 그렇지 원뱅크 넣어치기와 원리는 같아요. 보통 빵꾸라 하는 거요.
쿠션과 적구 가깝게 배치하고 수구는 상단주고 연숩하면 돼요. 그럼 1포인트 거리는 보통 가능할거에요.
처음 정말예술이네 당구 좀치는 사람글은 나머지야...
최상단 왼쪽 회전 주고 1적구를 파워풀하고 빠르게 다 맞춰야 가능한 샷입니다.
쿠션에 빠르게 튕기면서 상단 회전이 살아있는 상태에서 1적구를 맞으면 당점을 내려서 끌어치기 한 것과 같은 효과를 냅니다.
@@Aiworld_Leader정답
첫번째는 구라인거 같은디?
나는 4번째 것 보고 나도 모르게 웃음이 터짐
첫번째도 첫번짼데 쪽을이용한거는 진짜 사기 아니냐
미구엘 토레스, 후안요 트릴레스, 로베르토 로하스
첫번 공은 충격과 경악이네
치는것도 대단하지만 저런 길을 생각하는 자체도 인간이 아냐..ㄷㄷ
예술구는 부산 출신 김상윤 선생님을 따라올자가 없었습니다.트레이드 마크인 콧수염에 단발머리 파워풀한 맛세이는 진짜 예술에 경지였고 예전에 TV에도 많이 나오셨는데 살아계시면 나이가 80세 정도 되셨을텐데 과거에 광안리근처 당구장 가면 한번씩 뵐수있었는데 혹시 이분소식 아시는분 없나요?
첫번째꺼랑 중간에 쪽다마는 지리는샷 맞다.... 맛세예술구는 나는 못하지만 이제 안신기하다...
첫번째 샷은 빵꾸하려가다 들어간거 아닐까요? ㅋㅋ
무슨 원리인지 도저히 상상이 안되는 예술구
도대체 어떤 상상을 해본거야? 저걸 누구에게 배울리는 없고
다른건 수백번 찍다보면 들어 갈 수도 있겠다 싶은데,,
첫번째는 자신없다.
예술구 그 잡채
신기하다! 첫번째 장면 누가 설명 좀 해주라! 밀어치기 같은데 어케 끌려오지?
밀어치면 반대쪽에서 보면 끌어치기지
미쳤다 진짜 ㅋㅋㅋㅋㅋㅋ
뭘 알아야 예술인지 아닌지 알지....
와 정지다마 만들고 쫑으로 쓰리쿠션을 돌려버리네 ㄷㄷ
첫번째꺼는 뽀록같은데? 원래는 빗겨맞은후 오른쪽으로 돌아오는거 친거같는데..
중력이 뭔지 모르는듯
오히려 관성.마찰력.회전 등등 고전 역학의 총집합임
ㅋㅋ
이말쓰려고했는데ㅋㅋ
중력은 기본환경
와 미친다❤
당점을 알아도 샷을 구사할 수 있는 실력이 없으면 힘들것 같음 어떻게 하면 저런 경지에 이를 수 있을까
첫공도 쓰리쿠션?레일에붙어도?
이게 우리우주가 시물레이션인증거임. 물리엔진 버드 찾아냄
첫번째 뭔데? 맛세이는 그러려니 하는데 첫번째 넘사벽인데?
첫번째 미쳤네 ㄷ
우와 ㅡㅡㅡㅡ 😮
호그와트 당구대횝니꽈?~~~😮😮
마쎄이는 그렇다 치더라도 첫번째 영상 투뱅크 찍어서 빽시끼 저게 가능함?
빽시끼 아니고 황오시인듯요
오시는 아니지않나요? 회전이 뒤로먹히는데@@비싸게사서싸게파는놈
아아아.....29점입니다만 오시로도 가능할수 있을까란 생각을 해봤습니다요
정답은 역시 오시 즉 12시회잔이 정답인듯
@@요술공구몽키 오시니까 앞으로 가고 있잖아
멈췄다 가는거 지리네ㅋㅋ
첫번째거 아이디어 좋네
사장님 저 저거 한번만 해볼께요
첫번째 샷은 그나마 가장 쉬운 샷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당점 보다는 타법이 중요합니다. 끊어치면 끌어치기가 가능해짐을 기준으로 하고 설명하자면, 흰공이 쿠션에서 살짝 떨어져 있는걸 보실 수 있을 거에요. 내가 친 공이 흰공 위치 쿠션을 먼저 터치하고 흰공을 맞았을 때 끌어치기의 반작용이 나옵니다. 만약 당구장에서 연습한다면, 투쿠션으로 하지 마시고 흰공을 동일한 위치에 있게끔 하고 내 공을 빨간공 약간 우측 위에 두고 원쿠션으로 쿠션부터 조준하고 끊어치시면 그 효과를 제대로 볼 수가 있습니다. 당점은 우측 하단을 조준하면 아주 쉽게 효과를 느낄 수 있죠. 설명이 쉽지는 않네요.
한숨만 나오넹..ㅋㅋ
저거 끌어치기라고 .. 꿈에서 당구 치셨나.
답답해서 설명 드리고 갑니다.
첫번째 샷은 다이 오시입니다.
극한으로 밀어치는 샷인데 .. 비슷한 샷은 경험있지만 저렇게까지 역주행 하는샷은 저도 처음보긴 합니다.
그리고 큐샷후 위치보면 그냥 나오는데.. 저걸 끊어친거라니.. 끊어치는거와 밀어치는게 뭔지 구분은 하시는지나 모르겠네요.
우측하단 같은소리하고잇노 ㅋㅋㅋㅋㅋㅋ 모르면 가만잇어야지
하단주면 밀림 쿠션맞은다음 밀림으로 바뀜. 댓글 달지마세요. 왜 모르면서 아는척을 함. 상단을 줘야됨
어이가 없어서 두번 댓글 참.. 하단이라니
공에 수염이 난게 분명해😂
첫번째빼고는 누구나 연습하면 다 할수 있음 첫번째는 백날 연습해도 안될꺼 같음
할수있을거같은데 막상해보면. 되는게 없음ㅎ ㅎ
평면에서는 중력이 특별히 더 작용하진 않을 것 같은데요 ㅋㅋ
중력을 거스른거...같다고요???
첫번째 네번째는 머리 조아려야하는거 아닌가?
첫번째 예술구는 어떻게 하는걸까?
옆으로 구르는 중력 !!!!!
첫번째는 당점 어디로 줘야 하는건지 아는 분?
첫번째샷은 도저히 상상조차 안되는 샷이다 예술구의 수준을 훨씬 뛰어넘은샷
첫 째는 개 신기하네.
본인이 생각 하는데로 들어가네요!
길이 따로 없네
나는 맛세이로 하쿠마시 두번 돌리는 저 예술가 제일 멋진거 같더라
다른건 다 그렇다해도 첫번째샷은 이해가 안가는데....
강력한 상단회전을 1적구 맞을때 까지 유지시킨듯
중력이 아니라 관성이 맞지 않나요?
우리는 이것을 뽀록이라 한다.ㅋㅋㅋ
지린다
중력을 거스른 적은 없는데...
중력이랑 뭔상관이지?
중력? ㅋㅋㅋㅋ 난 공이 치솟아오르느줄. 중력이 뭔진아는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