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회로 기초 94 (TVS의 동작과 선정 방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설명자료는 아래 블로그에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blog.naver.com...

Комментарии • 29

  • @김오킹-l3z
    @김오킹-l3z Год назад +1

    도움많이됫습니다

  • @JJJ-pe2zg
    @JJJ-pe2zg 2 месяца назад +1

    13: 39의 두번째 TVS diode가 1ms 기준에서 1.5kW가 맞나요?
    658(V) * 3.1(A) = 2kw가 아닌가 싶네요.
    항상 많은 도움에 감사드립니다.

    • @suhsoonbok7398
      @suhsoonbok7398  2 месяца назад

      1.5kW는 PPT 자료 10_Page의 그래프를 근거로 나온 것입니다. 12_Page의 Maximum 사양은 전압과 전류를 별개로 보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Tr의 경우도 SOF 영역이 있어 전압과 전류의 Maximum 사양의 곱으로 전력을 규정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suhsoonbok7398
      @suhsoonbok7398  2 месяца назад

      10_Page 그래프에서 "stacked-die"이면 2kW가 됩니다.

  • @suhsoonbok7398
    @suhsoonbok7398  2 года назад

    설명자료는 아래 블로그에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blog.naver.com/bok2sb/222831767586

  • @UTBHolyGift
    @UTBHolyGift 2 года назад +2

    잘봤습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오디오에 노이즈가 좀 있어서 아쉽습니다

    • @suhsoonbok7398
      @suhsoonbok7398  2 года назад

      좋게 봐 주셨어 감사합니다.
      녹음할 때 좀 신경써야 겠습니다~~~^^

  • @유대진-w6m
    @유대진-w6m Год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구독 꾸욱 누르고 여러강의 보고 있습니다. 상기 강의 내용중 문의 사항이 있습니다.
    TVS선정시 (7.2KW / 1.5KW) * 3.1A = 14.88A가 나왔는데요.
    7.2KW, 3.1A는 이해하는데, 왜 1.5KW로 나누고 3.1A로 곱하는지요?

    • @suhsoonbok7398
      @suhsoonbok7398  Год назад

      비례식입니다. 1.5kW/3.1A(@1ms)가 스펙상의 사양인데~ 실제 시험을 해보니 Clamping,되는 구간은 20us였습니다. Clamping 되는 시간이 짧아졌으니 견디는 전력도 그래프 상으로 8kW로 늘어났죠. 이때 시간이 짧아져 견디는 전력도 늘었으니 전류도 늘었겠죠. 그 때 20us에서 견디는 전류는 얼마일까를 계산하기 위한 비례식입니다.
      1.5kW : 3.1A = 8kW : X
      1.5kW•X=8kW•3.1A
      X=(8kW/1.5kW)•3.1A

    • @suhsoonbok7398
      @suhsoonbok7398  Год назад

      시험 규격에서 시험장비가 50A를 공급할 수 있다고 했으니 20us때에도 50A 이상은 견뎌내는 걸 선정해야 겠죠~~~^^

    • @suhsoonbok7398
      @suhsoonbok7398  Год назад

      관심갖고 봐 주셨어 감사드립니다~~~^^

    • @유대진-w6m
      @유대진-w6m Год назад +1

      빠른답변 감사드려요~^^

  • @JJJ-pe2zg
    @JJJ-pe2zg 2 месяца назад +1

    16:51의 식이 잘 이해가 안갑니다.
    비례식으로 3kW : 23.5 = 18kW : X(변수)로 계산하신것 같은데
    애초에 앞에 잘못 선정한 TVS Diode 예시와 달리 18kW일때의 Ipp가 23.5A로 애초에 데이터시트에 나와있는데 이렇게 계산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3kW/6.2A(1ms)
    20kW/23.5A(20us)
    그냥 8/20us 파형에서 Ipp가 23.5A니까 고객시험 요구도 50A에 불만족하니까 불가능 이렇게 봐야하는게 아닌지요..? 제가 어디가 틀렸는지 여쭤봅니다.

    • @JJJ-pe2zg
      @JJJ-pe2zg 2 месяца назад

      요것도 답변 부탁드려도 될까요??

    • @suhsoonbok7398
      @suhsoonbok7398  2 месяца назад

      Fuse도 마찬가지지만 TVS도 전류도 아닌, 전압도 아닌, 둘의 곱인 Power와 가해진 시간의 상관관계로 Damage를 입는다고 봐야 합니다.
      따라서 세가지를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 @JJJ-pe2zg
      @JJJ-pe2zg 2 месяца назад

      @@suhsoonbok7398 16:51의 계산식이 잘못된것은 아닌가요?? 앞에 잘못선정한것처럼 계산하는게 아닌것 같아서요

    • @suhsoonbok7398
      @suhsoonbok7398  2 месяца назад

      8/20us 조건에서는 50A조건을 만족하지만~ 10/1000us 조건에서는 불만족하는데~ 이걸 판단하려면 비례식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 @suhsoonbok7398
      @suhsoonbok7398  2 месяца назад

      8/20us & 10/1000us는 서지 시험 규격 파형입니다. 앞의 8과 10은 상승시간이고, 뒤의 20과 1000은 50%가 유지되는 시간입니다.

  • @hyowonshin
    @hyowonshin Год назад +1

    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
    혹시 maximum clamping voltage 는 선정시 어디에 고려되는건가요? 개반회로 첨두전압보다 낮으면 되나요?

    • @suhsoonbok7398
      @suhsoonbok7398  Год назад

      전압의 첨두치는 시험규격으로 정해집니다. 따라서 시험규격상의 첨두 전압에 파손이 되지 않도록 TVS나 바리스터의 사양을 결정해야 합니다.
      TVS나 바리스터에는 최대전류 사양이 있고, 전압에 대한 Wattage가 표시되어 있는데~ 시험규격의 첨두 전압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제품을 선정해야 합니다.

    • @suhsoonbok7398
      @suhsoonbok7398  Год назад

      클램핑 전압은 TVS나 바리스터 사양에 전압별로 나와있습니다.
      첨두치 보다는 낮아야 하지만~ 그 때 GND로 빠지는 전류대비 TVS나 바리스터가 Wattage를 견뎌내야 합니다.
      아무래도 첨두 전압과 클램핑 전압의 차이가 크면 Wattage도 높아야 할 겁니다.

    • @hyowonshin
      @hyowonshin Год назад +1

      @@suhsoonbok7398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