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조합법 강의] 노동조합의 기관과 운영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 한국실무노동법연구소 홈페이지 www.kllcc.co.kr
● 근로기준법 몇급이세요 www.kllcc.co.kr...
● 노동조합법 몇급이세요 www.kllcc.co.kr...
● 추천 동영상
노동조합법 알자 【1】 노동조합법 올바른 이해 • 노동조합법 알자 [1] 노동조합법은 '대...
노동조합법 알자 【2】 노동조합 결격 사유 • 노동조합법 알자 [2] 노동조합 결격 사유
노동조합법 알자 【3】 노동조합 규약과 설립신고 • 노동조합법 알자 [3] 노동조합 규약과 ...
노동조합법 알자 【4】 해고된 자의 노조 가입 • 노동조합법 알자 [4] 해고된 자의 노조 가입
노동조합법 알자 【5】 노동조합 기관과 운영 • 노동조합법 알자 [5] 노동조합기관과 운영
노동조합법 알자 【6】 노조전임자 급여 지급 • 노동조합법 알자 [6] 노조전임자 급여 지급
노동조합법 알자 【7】 근로시간 면제 제도 • 노동조합법 알자 [7] 근로시간 면제 제도
노동조합법 알자 【8】 노동조합의 민주적 운영 • 노동조합법 알자 [8] 노동조합의 민주적 운영
노동조합법 알자 【9】 노동조합과 행정관청 관여 • 노동조합법 알자 [9] 노동조합과 행정관...
노동조합법 알자 【10】 노동조합 조직변경, 해산 • 노동조합법 알자 [10] 노동조합 조직변...
노동조합법 알자 【11】 노조활동의 정당성 판단 • 노동조합법 알자 [11] '노조활동'의 ...
노동조합법 알자 【12】 단체교섭권한과 직권조인 • 노동조합법 알자 [12] '단체교섭' 권...
노동조합법 알자 【13】 단체교섭대상과 요구수준 • 노동조합법 알자 [13] '단체교섭' 대...
노동조합법 알자 【14】 단체교섭의 기본 원칙 • 노동조합법 알자 [14] '단체교섭'의 ...
노동조합법 알자 【15】 단체협약 성립과 적용 • 노동조합법 알자 [15] '단체협약' 성...
노동조합법 알자 【16】 단체협약 자동연장협정 • 노동조합법 알자 [16] '단체협약' 자...
노동조합법 알자 【17】 단체협약 평화적 효력 • 노동조합법 알자 [17] '단체협약' 평...
노동조합법 알자 【18】 단체협약 규범적 효력 • 노동조합법 알자 [18] '단체협약' 규...
노동조합법 알자 【19】 단체협약 채무적 효력 • 노동조합법 알자 [19] '단체협약' 채...
노동조합법 알자 【20】 단체협약 불이행 책임 • 노동조합법 알자 [20] '단체협약' 불...
노동조합법 알자 【21】 이익분쟁과 권리분쟁 • 노동조합법 알자 [21] '이익분쟁'과 ...
노동조합법 알자 【22】 노동쟁의 조정과 중재 • 노동조합법 알자 [22] '노동쟁의' 조...
노동조합법 알자 【23】 쟁의행위 정당성 판단 • 노동조합법 알자 [23] '쟁의행위' 정...
노동조합법 알자 【24】 대체근로와 직장폐쇄 • 노동조합법 알자 [24] '대체근로'와 ...
노동조합법 알자 【25】 쟁의행위와 근로계약 • 노동조합법 알자 [25] '쟁의행위'와 ...
노동조합법 알자 【26】 부당노동행위 금지제도 • 노동조합법 알자 [26] '부당노동행위'...
노동조합법 알자 【27】 불이익취급 판단 사례 • 노동조합법 알자 [27] '불이익취급' ...
노동조합법 알자 【28】 반노조계약과 유니온숍 • 노동조합법 알자 [28] 반노조(反勞組)...
노동조합법 알자 【29】 단체교섭 거부 • 노동조합법 알자 [29] 단체교섭 거부;...
노동조합법 알자 【30】 지배개입 판단 사례 • 노동조합법 알자 [30] 지배개입 판단 ...
노동조합법 알자 【31】 운영비원조 판단 사례 • 노동조합법 알자 [31] 운영비원조 판단...
노동조합법 알자 【32】 부당노동행위 구제제도 • 노동조합법 알자 [32] 부당노동행위 구제제도
노동조합법 알자 【33】 복수노동조합 법률문제 • 노동조합법 알자 [33] 복수노동조합 관...
근로기준법 알자 【0】 근로기준법 강의 가이드 • 근로기준법 알자 [0] 근로기준법 강의 가이드
근로기준법 알자 【1】 근로기준법과 노동헌장 • 근로기준법 알자 [1] 근로기준법과 노동헌장
근로기준법 알자 【2】 근로계약 체결 유의사항 • 근로기준법 알자 [2] 근로계약 체결 유의사항
근로기준법 알자 【3】 직장내 괴롭힘 금지 • 근로기준법 알자 [3] 직장내 괴롭힘 금지
근로기준법 알자 【4】 취업규칙 변경 효력 • 근로기준법 알자 [4] 취업규칙 변경 효력
근로기준법 알자 【5】 인사처분 정당성 판단 • 근로기준법 알자 [5] 인사처분 정당성 판단
근로기준법 알자 【6】 징계처분 정당성 판단 • 근로기준법 알자 [6] 징계처분 정당성 판단
근로기준법 알자 【7】 근로시간과 휴게시간 • 근로기준법 알자 [7] 근로시간과 휴게시간
근로기준법 알자 【8】 연장근로 제한과 예외 • 근로기준법 알자 [8] 연장근로 제한과 예외
근로기준법 알자 【9】 유연근로시간제도 • 근로기준법 알자 [9] 유연근로시간 제도...
근로기준법 알자 【10】 휴일, 주휴일, 공휴일 • 근로기준법 알자 [10] 휴일, 주휴일,...
근로기준법 알자 【11】 연장근로등 가산수당 • 근로기준법 알자 [11] 연장근로등 가산수당
근로기준법 알자 【12】 근로시간등 적용 제외 • 근로기준법 알자 [12] 근로시간등 적용 제외
근로기준법 알자 【13】 연차휴가 사용과 대체 • 근로기준법 알자 [13] 연차휴가 사용과 대체
근로기준법 알자 【14】 근로자대표 선출과 역할 • 근로기준법 알자 [14] 근로자대표 선출...
근로기준법 알자 【15】 임금/실비변상/복리후생/공로보상 • 근로기준법 알자 [15] 임금/실비변상/...
근로기준법 알자 【16】 평균임금 산정과 예외 • 근로기준법 알자 [16] 평균임금 산정과 예외
근로기준법 알자 【17】 통상임금 판단과 신의칙 • 근로기준법 알자 [17] 통상임금 판단과...
근로기준법 알자 【18】 임금지급과 휴업수당 • 근로기준법 알자 [18] 임금 지급과 휴업수당
근로기준법 알자 【19】 임금채권 보호 특수사항 • 근로기준법 알자 [19] 임금채권 보호 ...
근로기준법 알자 【20】 근로계약 종료의 유형 • 근로기준법 알자 [20] 근로계약 종료의...
근로기준법 알자 【21】 근로계약 자동종료 사유 • 근로기준법 알자 [21] 근로계약 자동종...
근로기준법 알자 【22】 사직서 제출과 합의해지 • 근로기준법 알자 [22] 사직서 제출과 ...
근로기준법 알자 【23】 해고 정당성 판단 요건 • 근로기준법 알자 [23] 해고 정당성 판단
근로기준법 알자 【24】 해고금지와 해고 통지 • 근로기준법 알자 [24] 해고 금지와 해...
근로기준법 알자 【25】 퇴직급여와 금품청산 • 근로기준법 알자 [25] 퇴직급여와 금품청산
근로기준법 알자 【26】 부당해고등 구제신청 • 근로기준법 알자 [26] 부당해고등 구제신청
근로기준법 알자 【27】 업무상재해 보상제도 • 근로기준법 알자 [27] 업무상 재해 보...
근로기준법 알자 【28】 여성근로자와 모성보호 • 근로기준법 알자 [28] 여성근로자와 모성보호
근로기준법 알자 【29】 근로기준법 적용 제외 • 근로기준법 알자 [29] 근로기준법 적용 제외
근로기준법 알자 【30】 단시간(알바)근로자 • 근로기준법 알자 [30] 단시간(알바)근...
● 노동개혁vs노동법개정 • Video
합리적 노사관계 발전 방안(2012년 제작) • Video
노사상생의 지혜(2012년 제작) • Video
노사합심의 리더십(2012년 제작) • Video
【김광욱 노무사 소개】
■ 학력 및 경력 ■
동아대학교 법학과 졸업(1985), 석사과정 졸업(1987), 박사과정 수료(1990)
제27회 행정고시 합격(1983), 제1회 공인노무사시험 합격(1987)
한국실무노동법연구소(www.kllcc.co.kr) 설립·운영(1990- )
문화방송 노사관계 고문(1999-2011)
서울시교육청 공무원 노사관계 고문(2005-2009)
경기도교육청 교원노사관계 고문(2005-2011)
서울대학교 노무관리 컨설컨트(2013-2015)
노사발전재단 ‘합리적 노사관계’ 특강 강사(2014-2016)
한경아카데미 실무노동법 강사(2015-2018)
한경대학교 노사관계전문가육성과정(NALA) 강사(2015- )
KAIST 자문노무사(2021- )
■ 저술 경력 ■
노사분규의 해결과 예방(한국실무노동법연구회, 1990)
판례해부·조문해설 근로기준법(이화출판사, 1993, 1996 개정)
노사관계의 W이론 [1] 우리가 남이가(이화출판사, 1994)
노사관계의 W이론 [2] 노사관계진단(이화출판사, 1996)
판례로 배우는 근로기준법, 노동조합법, 산재보험법(이화출판사,1997)
대법원 노동판례가이드 1~5권(한언출판사, 1999)
대법원 노동판례가이드(개정판) 1~8권(한국실무노동법연구소, 2003)
근로기준법 알자!(2021)
노동조합법 알자!(2022)
대통령과 노동법(2022)
■ 출강 및 컨설팅 경력 ■
현대차인재개발원, 현대모비스, 기아자동차, 한국해양공단, 한국관광공사, 우체국금융보험공단, 국립공원관리공단, 한국언론협회, 경기도 외투기업지원센터, 서울대학교 행정교육원, 한경대학교 및 부산대학교 노사관계전문가 육성과정(NALA), 한국경제신문사 한경아카데미 등 100여개 기업 및 단체
3년전 영상이지만, 누구나 이해될만큼 간단명료해서😢🎉🎉🎉 참좋습니다
설명 너무 감사합니다.
이해하기 쉽습니다!!!
설명 짧고 알기 편하네요
대의원은 봉사직인가요?
보수를 받나요?
대의원은 노조 내부에서 역할을 하는 사람이므로, 노조규약에 정해진대로 보수를 받을 수도 있고 안받을 수도 있습니다. 자세한 문의나 상담은 위에 소개된 한국실무노동법연구소 홈페이지의 [정회원 상담실]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