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강1교시] EP.02 이소크라테스 VS 플라톤의 교육 이념 대립 I 호메로스와 철학자들 I 서양 고전학자 김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фев 2025
  • 대한민국 최고의 강연 ‘최강1교시’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전문적인 역량을 발휘하고 있는 인물, 자신만의 강연 테마로 대중들로부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사람을 강연자로 초대해 해당 분야의 주제에 대해 흥미로운 지식과 공감의 향연을 펼쳐본다.
    또한 그들이 전하는 열정적이고 진솔한 삶의 이야기를 통해 인생의 지혜를 얻고 모두가 배움을 통해 성장하는 ‘성장수업’의 장(場)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영상의 저작권은 KNN에 있습니다.
    방청신청
    www.knn.co.kr/c...

Комментарии • 8

  • @이서진-o5j
    @이서진-o5j 4 года назад +1

    철학은 학문이아니라고생각합니다. 철학자들의 역사를 학문으로 생각하고 공부하는것은 철학을 아는것과 거리가 멉니다. 플라톤의 사상 소크라테스의 사상 누구의사상도 국가와 문회언어적 시대적 차이가 분명 있어서 어렵게 해석할수있지만 사실 자세히 지금과 비교해서 보면 심리학과 연관이 크지요 크크 지극히 내 일가견

  • @이서진-o5j
    @이서진-o5j 4 года назад

    지금은 기리기리남은 철학자들중하나이지만 그때는 너무도 괴리감 괴로웠을.. 철학자로살다진짜 철학자답게 죽음을 했던 인간으로봤을땐 아.. 하여튼 난소크라테스씨 마음 공감이되.. 얼마나 상남자냐

  • @이서진-o5j
    @이서진-o5j 4 года назад +2

    창의적이고 상상력

  • @constitutevolume719
    @constitutevolume719 4 года назад

    이 강의만 들으면 플라톤과 이소크라테스를 대비시키며 플라톤은 마치 물리적인 세계를 도외시한 것처럼 오해할 수 있어 몇 자 남깁니다.
    플라톤은 물리적인 세계를 무시하자는게 아니라 '그 이상'이 있다는 겁니다.
    플라톤의 사랑관에서도 먼저 '한 사람의 몸'을 사랑해야 한다고 말하고 플라톤의 작품 곳곳에는 '뤼라를 만드는 기술' '의학기술' '배를 만드는 기술' '제화술(신발 만드는 기술)'들에 대한 언급이 꽤 자주 나오며 그 기술들을 아는 사람들과 모르는 사람들을 언급하며 아는 사람들을 긍정적으로 표현합니다.
    실용적인 학문들을 무시하지 않았다는 것이지요.
    게다가 아마 호메로스를 위험하다고 말한 부분은 에서 따오신 것 같은데 플라톤은 호메로스를 위험하다고만 말한 것이 아니라 호메로스에 대한 존경심도 표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플라톤의 호메로스 공격 배경에는 당시 호메로스의 아류(亞流)들이 대중들을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고 가고 있다는 플라톤의 사려가 크게 작동했다는 것은 주의 깊게 읽으면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플라톤이 시인들을 추방론을 펼칠 정도로 싫어했던 것은 그들이 실제 사정에는 아는 것이 아무 것도 없으면서(예를 들자면 전쟁터에 한번도 나가본 적이 없으면서 전쟁에 대한 찬양 일색을 늘어놓는 것) 자신들의 상상을 사실처럼 말하는 그들의 시에 대한 반발심이 매우 큽니다.
    그 당시의 시인이 오늘날로 치자면 취재 할 의지도 능력도 없지만 대중들에게 마치 사실처럼 받아들여지는 찌라시 쓰는 기레기라고 볼 수 있겠지요.
    그리고 이 강의가 정말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그리스인들의 호전성의 성공(?) 사례인 마케도니아만 들어서 좋게 평가하시는데 그 호전성 때문에 펠로폰네소스 전쟁 같은 내전도 발생했고 그 내전이 일어나기 전에도 플라톤이 작품에서 자주 언급하는 욕구(먹고 마시는 것, 부에 대한 탐욕, 권력욕 등등)과다가 그리스 세계 곳곳에서 얼마나 많은 비극들을 일으켰는지도 지적해야 합니다.
    소피스트를 재평가해야 될 필요성은 있습니다.
    소크라테스와 그 제자들의 철학보다 소피스트들의 사상이 더 민주제에 적합한 경우가 있으니까요.
    저도 남북통일을 지지합니다만 전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반대합니다.
    전쟁은 정말 어떻게 해도 피할 길이 없을 때만 해야 합니다.
    강의 하신 분도 고전과 세계를 좀 더 깊숙이 바라보셨으면 좋겠습니다.

  • @이서진-o5j
    @이서진-o5j 4 года назад

    사실..아시다시피.. 소크라테스씨는 못생겼다그랬죠..

  • @이서진-o5j
    @이서진-o5j 4 года назад

    그저 밥만먹고 그저 밥먹는수단으로 일하고 흘러가는대로 사는인간!!!난제일싫어

  • @이서진-o5j
    @이서진-o5j 4 года назад

    자신이외에 외부에모든것에대해 사고할줄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