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 전공자를 위한 NK세포의 활성화 기작, 이 영상 하나로 끝!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kimyoungyoub
    @kimyoungyoub 4 года назад +6

    오늘 강의도 잘 들었습니다.^^ NK 92 cell line으로 치료를 할 수 있다는건 처음알았네요~
    1. 셀 라인인데 안정성에 대한 이슈는 없나요? 체내에서 NK92세포가 무한증식하는건 자살스위치같은것으로 엔지니어링해서 조절하는건가요??
    2. NK의 활성이, (여러세포와 상호작용,사이토카인 등에 의해?) +- 신호의 net output으로 결정되는것이 일반적인 설명같은데요 또다른 메카니즘들이 밝혀지고 설명되어지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3. 지난번 소개해주신 BCR,TCR의 단일세포의 시퀀싱기술처럼 NK세포의 주요 리셉터를 프로파일링해서 암치료에 적용하기도 하는지요? 시시각각 변해서 의미없는건가요?ㅎㅎ
    4.MHC가 missing된 암세포에 ADDC 효율이 떨어지는 게, NK세포의 타겟 프로파일을 다 봐야한다는것과 무슨관계가 있는지 잘 못따라 갔는데요 혹시 부연설명 해주실수 있을까요?
    5. CAR-T와 최근 CAR-NK 모두 혈액암에서 큰 효능을 보이는것 같은데요, 고형암의 경우 둘다 상보적인 역할을 할것 같긴한데요~혹시 둘중에 어떤 CAR세포가 고형암에 (궁극적으로?) 효능이 더 좋을지 집사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6.나중에 시간되시면 chemokine 쪽도 면역학강의와 관련약물도 커버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시한번 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

    • @zipsatv
      @zipsatv  4 года назад +4

      좋은 질문들 감사합니다!
      1. NK-92같은 경우는 90년대에 lymphoma환자로부터 추출한, 따로 조작하지는 않은 셀라인으로알고 있습니다. 다만 말씀하신 대로 셀라인은 우리몸에 무한 증식할 위험 때문에 이경우는 irradiation을 하여 세포를 무한증식 못하는 컨디션으로 만들어 환자에게 넣는것으로 압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리스크는 있습니다. 그래서 CAR-NK세포의 출처를 어디로 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도 활발합니다.
      2. 이번 영상에서 못 다룬 부분이 NK cell education입니다. NK세포가 발달하는 동안 받았던 신호들에 의하여 tolerance가 생기는 것인데요 이부분이 말씀하신 +/-시그널 이외에 중요한 NK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기작입니다. 제가 시간이 될 때 따로 추가 영상을 올리겟습니다.
      3. 좋은 아이디어 입니다. 보통 surface receptor의 expression의 프로파일은 요즘 cytof나 flow analysis를 통해 40개 가까운 표면 리셉터를 디텍션 가능 합니다. NK세포를 파는 그룹은 지금 여러 질병이나 동물모델에서 말씀하신 연구를 하고 있을것 같습니다.
      4. 이 부분은 제가 다시 봐도 설명을 잘 못한것 같습니다. 포인트는 ADCC의 효율이 항체가 NK세포를 암세포에 연결해 주는 것이 다가 아니라 연결 되었을 때 암과 NK세포간의 receptor간의 인터렉션을 통해서 NK세포가 활성화 되는 정도가 강하냐 약하냐에 따라 ADCC의 효율이 올라갈 수도, 내려갈 수 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5. 역시나 좋은 질문입니다. 고형암의 경우엔 두 모달리티 모두 성과가 좋지 않은 상황인데요, 이미 알고 계실것 같긴 하지만 요즘은 gene editing을 하여 고형암에 잘 갈 수 있도록 하거나, 세포 자체의 의 엑티비티를 높이거나, 암 자체를 cold --> hot tumor로 바꾸는 병용 요법등을 통해 한계를 극복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몰레큘러 레벨에서 activity/exhausion을 조절하는 방법이 NK세포가 더 straightforward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것 역시 여건이 된다면 영상을 올려보도록 하겟습니다.
      6. 네 장기적으로 주요 싸이토카인과 키모카인을 특정 바이올로지 컨택스트에서 설명하는 영상을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냐옹!

    • @kimyoungyoub
      @kimyoungyoub 4 года назад +1

      @@zipsatv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

  • @chacha7612
    @chacha7612 Год назад

    진짜 세상 좋아졌네요. 대학교 대학원에서 비싼 등록금 내고도 못들을 정도의 수업을 유튜브로 볼 수 있다는게 정말 대단하고 또 감사합니다.
    처음 영상부터 쭉 보고있는데 매 영상마다 정말 감탄하면서 보고있습니다.
    좋은 영상 과거부터 지금까지 쭉 업로드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belleeeeee1123
    @belleeeeee1123 4 года назад +2

    석박통합하다가 개인사정으로 석튀하고 전혀 다른 필드에서 일한지 몇 년이 지나 지난 오랜세월 공부한게 잊혀질까 아까워서 가끔씩 관련 컨텐츠들 찾아서 보고 있는데 집사님 영상이 가장 잘 흡수되는것 같아요!! 말씀하시는게 그냥 랩미팅하는 느낌도 나고 ㅎㅎ 관련 지식이나 경험없는 분들껜 어렵겠지만 저같은 겉절이에겐 집사님 영상이 얼마나 감사한지 모르겠습니다ㅠㅠ 정성스러운 영상 감사합니다 오래오래 연재해주세요♡_♡

    • @zipsatv
      @zipsatv  4 года назад

      영상 시청 감사드립니다! 저도 관심있는 분들께 도움이 된다니 기분이 좋네요! 혹여 채널이 커지더라도 전공관련 영상들은 관심있으신 분들을 위해 앞으로도 광고 없이 두고자 하고 있습니다. 관심 감사드립니다. 냐옹!

  • @파국-b8k
    @파국-b8k 4 года назад +2

    올해 면역학 배우는데 공부는 하기 싫고 이 영상 보는 걸로..ㅎㅎ

    • @zipsatv
      @zipsatv  4 года назад +3

      시청 감사드립니다. 전공공부도 화이팅입니다. 냐옹!

    • @kimyoungyoub
      @kimyoungyoub 4 года назад

      A+받으실듯요^^

  • @드백-c5p
    @드백-c5p 3 года назад +1

    면역학 전공자들의 희망

  • @별똥별-d9y
    @별똥별-d9y 3 года назад

    혹시 크리스퍼 protocol관련 내용도 다뤄주시면 안될까요

  • @김형표-e6t
    @김형표-e6t 3 года назад

    췌장암 환우 보호자입니다
    췌장암의 경우 항암치료나 수술로도 생존율이 매우 낮은
    병입니다
    그래서 일본으로 Inkt면역세포
    치료를 받으러 가고 있습니다
    RIK-NKT면역세포치료(수지상 세포치료 기반)과 비교해서 설명해 주시는 영상 부탁드립니다
    INKT면역세포치료의 가능성에 대해 설명해 주시는
    시간 부탁드립니다
    미리 감사인사드립니다
    절박한 심정으로 공부하고 있는
    보호자니 정말 부탁드립니다

    • @hwq-bw2qi
      @hwq-bw2qi 2 года назад

      제주국제암센타가 이 nk세포치료의 권위자가 있음.
      가보세요.
      생존율이 엄청 높음.~~^^

  • @해넘이가자
    @해넘이가자 3 года назад

    강의를 잘듣고 있습니다^^
    nk세포에 있어서 mhc1이 없어야지만 activating이 가능하잖아요. 근데 이러한것도 암세포가 숨어버리면 무용지물이 되는데
    혹시 nk세포한테 항원 특이적인 반응을 유도하는 능력을 키우게하면 암세포의 특이적인 Rc를 인식해서 죽일수 있지 않을까요?

    • @zipsatv
      @zipsatv  3 года назад

      NK세포 자체는 항원 특이적이지 않지만 항체의 도움을 받음으로서 항원 특이적 반응을 합니다. 다른 영상에서 제가 항체의 의의를 설명했는데요 이때 설명이 항체가 adaptive immunity를 innate immunity로 넘겨준다고 말씀드리면서 예로 드린 것이 암세포의 항원을 인식하는 항체가 있고 그 항체의 FC를 인식하는, NK세포에서 발현되는 CD16a 덕분에 NK세포가 항원 특이성을 가지게 되는 경우였습니다. 따라서 현제 항암제로서 사용하고 있는 항체 신약들이 말씀하신 NK세포에게 항원 특이적인 반응을 유도하는 능력을 키운 예라고 할 수 있겟네요! 이와는 별개로 NK세포에 TCR자체를 발현시키는 시도는 실험실 레벨에서는 되고 있지만 약으로는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냐옹!

  • @suyunsong6163
    @suyunsong6163 3 года назад

    CAR NK 만들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