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에 바란다] 서울대생도 부러워했던 70년대 KDI! 그런데 지금은...? | 이정우 前 청와대 정책실장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KDI의 최경수 연구위원께서 대통령 정책실장, 경북대 명예교수 등을 역임하신 이정우 한국장학재단 이사장님을 만나봤습니다!
    KDI를 오랫동안 안팎에서 지켜봐온 두 학자는 KDI에게 어떤 할 말이 있을까요?
    ▶KDI 50주년 웹사이트: www.kdi.re.kr/...
    #한국장학재단 #경북대 #이정우 #KDI50주년 #한국경제

Комментарии • 11

  • @hwal8733
    @hwal8733 3 года назад +1

    감명깊게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한-j5k
    @한-j5k Год назад

    Los que no conocen la historia son como mono en el bosque y como Grande Bien de KDI!!❤( un dice refrán de Mongol)

  • @기린-g2z
    @기린-g2z 4 года назад +7

    맞는 말씀이십니다. 해외로부터 연구를 인정 받기 위해선(대학 평가 지표에 중요한 요소이니) 미국이나 세계적인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결국 우리나라 경제상황에 맞지 않은 연구를 대학에서 자꾸만 하게 되니 실증하기에도 어려움이 있고 결과적으로 한국시장과 괴리된 연구내용을 학생들에게 전달하게 되어 안타깝다는 이야기를 하더군요.
    평가지수에 대한 부담감은 덜어 놓으시고 정말 대한민국 시장을 예리하게 읽어 내는 논문이 많이 나왔으면 합니다.

  • @samharkode
    @samharkode 3 года назад +1

    최근 비리로 주목되었는데, 한말씀 붙입니다 KDI 관련 국방부 사람들 정부 기관 소속사람들이 석박사 과정 연계되어 있을수도 있습니다 한번 조사해 보세요 국방부는 최소 중령이상입니다. 이상하죠 대부분 부동산으로 최근 4년간 한몫잡은 분들일 것일수도... 나라 월급은 부족하지만 권력과 그에 따른 정보는 flexible한 사실.. 그리고 합격자 중에 일반인과 정부 기관 관련도 합격 불합격 여부 조사하면 많이 나올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peekabuu6533
    @peekabuu6533 4 года назад +4

    위치가 세종시라 인재들이 안 가는 큼., 70년대 비해 글로벌 민간기업들의 역량이 많이 커서 KDI 자료를 참고할 것도 줄고

    • @sunnyday3656
      @sunnyday3656 3 года назад

      위치가 세종시라 안오는거면 안와도 된다. 그런 놈들 필요없다. 서울에서 멀어서 kdi 안 갈놈이 몇이나 있나싶겠나만..그런 보잘것 없는 이유라면 안와도 된다.
      육군 사관학교도 계룡이든 세종이든 이전시켜야 한다. 위치가 충청-세종이라고 육사 안가겠다고 한다면 오지마라,

  • @parkjgy
    @parkjgy 4 года назад

    말은 뺀지르르한데 왜 내 눈엔 토착왜구같아보일까?
    아마 한국의 모델을 외국의 사례와 비교하는 시각이 문제가 아닐까요?
    "이런 부분은 한국의 창의적 모델이라 비교가 어렵습니다."
    "이런 부분은 절대 안된다고 생각했지만 한국은 해냈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연구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한마디도 안나왔죠?

    • @sunnyday3656
      @sunnyday3656 3 года назад

      이정우 교수님은 노무현 대통령 당시 정책자문을 하셨던 분이셨고 한국의 대표적인 진보 경제학자 싶니다. 한국의 경제성과가 놀라운것은 사실이나 해외사례가 다 안맞을정도의 경제체제를 가진나라는 아닙니다. 서울대에서 배우는 경제학 원론 책들도 해외의 다른 학생들이 배우는 책들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한국경제가 무슨 달,화성 경제학 입니까?

    • @parkjgy
      @parkjgy 3 года назад

      @@sunnyday3656 님 글처럼 노무현 정부에서 경제 자문을 했었으니 좋은 경제학자일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사람 생각은 바뀔 수도 있지 않을까요?
      노무현정부 정책자문이었다고 그의 경제철학이 다 맞다고 할 수 있는건 아니잖아요?
      (특히 요즘 문재인정부의 윤가나 최가 보면... 하~~~)
      저는 컨텐츠 내용을 보고 제 판단을 썼습니다.
      님께서는 노무현정부 당시 그의 경력이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실지라도 저는 공감할 수 없고 반감이 심했거든요!
      같이 공감할 수 있었으면 좋겠지만 저는 거부감이 심했습니다.

    • @firstsparring
      @firstsparring Год назад

      @@parkjgy 심각하게 편향되어 있다는 것을 본인은 인지하고 있지 못할 가능성 500%

    • @parkjgy
      @parkjgy Год назад

      @@firstsparring 내가 편향되었다고 치면 너님은 친일매국에 편향일 가능성 1000% 인가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