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 사미인곡 해석 | 본사3,4 | 결사 | 고전시가 | 가사 | 충신연주지사 | 전문 해석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가을에는 청광을 임에게 보내어 임금의 은총으로 그늘진 곳을 없게 하고 싶구나.
    겨울에는 양춘을 임에게 보내 따뜻하게 해주고 싶구나.
    현세에서 임을 만날 수 없다면 다음 생에 나비가 되어 임의 곁에 가고 싶구나.
    사미인곡 마지막 강의 영상!

Комментарии • 9

  • @심예찬-c6e
    @심예찬-c6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잘 봤어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byeol_saem
      @byeol_saem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열공하세요~ 화이팅💪

  • @냥냥이-o9f3k
    @냥냥이-o9f3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쌤 너무 조아용❤❤

    • @byeol_saem
      @byeol_sae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 @민주-s9c
    @민주-s9c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쌤 강의로 열심히 문학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항상 유익하고 꼼꼼한 강의 감사드려요😆 궁금한 게 있는데요, 25:11 에서 적극적인 구애의 모습이 나타난다고 하셨잖아요. 그런데 사미인곡의 화자는 임이 날 몰라도 자신은 임을 좇을 거라고 말한다는 점에서 소극적 여성상이라고 보는 해설이 많더라구요. 뭐가 맞는 건지 모르겠어요!ㅠㅠ😢

    • @byeol_saem
      @byeol_sae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나봐요~ 적극적, 소극적의 개념은 상대적인 것입니다. 사미인곡을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소극적 여성상이라고 봐도 무방하고요, 범나비가 된다는 부분은 '변신 모티프'가 드러나는 부분으로 다른 작품들과 비교해봤을 때는 향을 임에게 옮긴다는 측면에서 적극적이라 볼 수 있습니다. 정철의 작품 속미인곡에도 변신 모티프가 나오는데 '달'은 멀리서 지켜본다는 점에서 가장 소극적이고, '궂은비'는 적신다는 점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마음을 전한다고 볼 수 있어요~

  • @user-clover283
    @user-clover28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영상 너무 잘 보고 있어요❤❤
    궁금한게 있어서요!
    사미인곡애는 화자의 정서가 직접적으로 표현된것이라고 볼 수 있죠??

    • @byeol_saem
      @byeol_saem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느 부분으로 보느냐에 따라 다를 것 같아요~ 한숨, 시름, 눈물 등 직접적으로 정서가 표현된 부분이 있는가하면 객관적상관물을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한 부분도 많아요~~ 😊

    • @user-clover283
      @user-clover28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byeol_saem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