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2:59초에 언급은 되었지만 자세한 방법이 영상으로 없었네요...저의 경우 바닥이 흙+자갈이라서 대략적으로 수평자 보면서 파이프를 깔아놓은뒤 가용접으로 모두 연결을 한 다음, 바닥 높낮이 따라 벽돌, 각파이프 조각 등으로 망치로 쳐서 베이스가 되는 각파이프와 바닥사이에 넣거나 빠루 등으로 살짝 들어올린다음 그 사이에 유격을 만들어서 조절하였습니다. 발고 밟아가며 유격을 줄여주고요, 흙바닥이라서 우겨넣으면 얼추 맞는것도 있었구요. 바닥이 콘크리트같으면 수평맞추기가 더 까다로울듯 하네요~데크가 바닥에서 엄청 높게 설치되는 경우 목수님께서 하는걸 보니 세로로 각 파이프를 바닥으로 박아서 수평맞추고 난 다음 나머지 부분을 잘라내고 용접을 하기도 하더라구요. 에궁 글로 쓰려니 설명이 부족한것 같네요.
잘~ 만드셨네요
부럽습니다^^
올스텐 칠해야 나무가 오래 가겠죠ㅡ
영상 잘보고 갑니다ㅡ
수개월 그냥 둬 보니 걍 둬도 괜찮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아무래도 바르는게 낫겠죠?
간격 안 띄우고 데크 시공하면 나중에 나무가 부풀어 올라서 틔어 오릅니다 나사못 한개정도의 틈새는 있어야 됩니다
저두 작업전에 그리 알고 있었는데 아는 목수형이 여름철엔 그냥해도 된다 하시더라구요 실제로1년이 지나보니 팽창보다는 수축이 되어 간격이 자연스레 적당히 벌어지는듯합니다 조언감사합니다
여름에는 간격이 많이 없어도 됌니다
오히려 줄업듭니다~~ㅋ
땡~!ㅋ
도전 해보고 싶은데 공구가 없네요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저두 하기전 정말 고민이 많았습니다. 데크작업에 사용공구가 흔히 쓰이는 공용공구가 많으니 꼭 도전해 보시길!
방부목을 뒤집어서 시공하신건가요? 면이 반반한데요? 자재가 뭔가요?
외부 사용시엔 비올때 미끄러워 안맞지않을까요?
일반 저가형 방부목입니다 저는 내부용이고 나무결 미관이 더 좋아서 저렇게 했습니다
데크제는 골이뒷면 골이없는곳이 앞면입니다 우리나라는 모양상 골을 보이게시공하는데 천정이없는곳에 비가오면 골에 물이고여 위험합니다 눈이와서얼면 더위험합니다 골이있는이유는 하지와 닿는 골부분을 바람이 통과하여 데크의 뒤틀림을 초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김형균-o4l 그 골은 콤보라고 하고, 본연의 목적이 미끄럼방지에요.......ㅡㅡ;;;;
보쉬 각관 절단기로 방부목도 자르셨나요?
네 목재용 톱날 끼워서 사용했습니다. 직쏘기도 사용했구요.
9.5 에서 그대로 몇mm 자리에 9.5 마킹 합니까 이해가조금안됩니다ㆍ구독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벽체에서 직각방향으로 입니다 벽 각도와 방부목의 폭을 고려했을때 딱 그길이만큼 띄우니 연결이 빈틈이 없더군요 감사합니다!
@@TV-yp9zy 쉬우면서 디테일하게 하시는거 보니 탐나서 배우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피스못은 어떤종류
사용했나요
윙피스38mm (매그니코팅-국산) 사용했습니다.
@@TV-yp9zy 감사합니다 ^^
수평맞추는거를 보여주야지요.. 그게 젤 궁금 다른거는 어디든 다 나와있음
네 2:59초에 언급은 되었지만 자세한 방법이 영상으로 없었네요...저의 경우 바닥이 흙+자갈이라서 대략적으로 수평자 보면서 파이프를 깔아놓은뒤 가용접으로 모두 연결을 한 다음, 바닥 높낮이 따라 벽돌, 각파이프 조각 등으로 망치로 쳐서 베이스가 되는 각파이프와 바닥사이에 넣거나 빠루 등으로 살짝 들어올린다음 그 사이에 유격을 만들어서 조절하였습니다. 발고 밟아가며 유격을 줄여주고요, 흙바닥이라서 우겨넣으면 얼추 맞는것도 있었구요. 바닥이 콘크리트같으면 수평맞추기가 더 까다로울듯 하네요~데크가 바닥에서 엄청 높게 설치되는 경우 목수님께서 하는걸 보니 세로로 각 파이프를 바닥으로 박아서 수평맞추고 난 다음 나머지 부분을 잘라내고 용접을 하기도 하더라구요. 에궁 글로 쓰려니 설명이 부족한것 같네요.
솜씨가 좋으십니다.
재료비는 모두 얼마가 들어갔는지요?
가로 세로 사이지? 대략 궁금합니다
재료비가 대략 60-70만 정도였던것 같습니다. 크기는 4m×6m 정도입니다
경치 좋네요. 강원돈가? 글고 비 들이치면 그러니 오일스텐 바르세요.
비는 막아놔서 그런지 자꾸 미루게 되네요^^.
대크 재료 어디서 구입 해요
전 집근처 목재상에서 구입했어요~ 배달까지 해주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