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40초에 유효비트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현재 컴퓨터 관련 학과 학부생이며 운영체제를 공부중입니다. 저희는 유효비트가 0이면 현재 물리 메모리 공간에 프레임이 번호가 올라간 상황이고, 유효비트가 1인 경우 물리 메모리 공간에 없고 스왑 영역에 주소 필드가 있다고 배우고 책에도 그렇게 나와있습니다.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빅부부-w8q 저도 이부분이 궁금해서 따로 찾아봤는데, 보조기업장치의 스왑영역에 존재하는 페이지는 메모리로 스왑인 되더라도 삭제되지 않고 그대로 복사본을 가지고 있다고 하네요. 그렇다보니 메모리에서 수정이 일어난다면 스왑아웃이 일어났을 때 스왑영역에 존재하는 복사본을 수정해 주어야 하기때문이라고 들었습니다. 추가로 스왑영역내의 페이지는 프로세스가 종료될시 삭제된다고 하네요.
00:00 들어가며
02:40 페이징이란?
07:53 페이지 테이블
13:33 PTBR(프로세스 테이블 베이스 레지스터)
16:34 TLB
18:14 페이징에서의 주소 변환
22:15 페이지 테이블 엔트리
학부생 때 외워가면서 공부했던 내용들이 이제서야 이해가 되네 그땐 이게 왤케 어렵게 느껴졌을까
미쳤다 개념 모호해서 유튭모든 가상메모리 영상봤지만 이게 탑임
그림설명도 직관적이고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무료강의 수준이 저세상 클라스네요
진짜 헷갈렷던 개념인데 굉장히 유익했습니다 👍
Thanks a lot sir ❤
들으면 알겠는데 다 기억을 잘 할 수 있을 런지.....
23:40초에 유효비트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현재 컴퓨터 관련 학과 학부생이며 운영체제를 공부중입니다. 저희는 유효비트가 0이면 현재 물리 메모리 공간에 프레임이 번호가 올라간 상황이고, 유효비트가 1인 경우 물리 메모리 공간에 없고 스왑 영역에 주소 필드가 있다고 배우고 책에도 그렇게 나와있습니다.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13:44 메모리 내에 페이지테이블만의 공간이 있고, 각 페이지들도 메모리내에 따로 있는건가요 ?
오...
엄청 어렵네요..
어려운 지점이 있으시다면 편히 질문해주세요.
@@kangminchul수정비트 설명하실 때 페이지가 스왑아웃될 경우 변경된 값을 보조기억장치에 기록하는 작업이 추가되어야한다고 하셨는데
스왑영역은 보조기억장치의 임시공간이니깐 비어있던 공간 아닌가요? 왜 새로 기록을 해 줘야되는지 모르겠습니다
@@빅부부-w8q 저도 이부분이 궁금해서 따로 찾아봤는데, 보조기업장치의 스왑영역에 존재하는 페이지는 메모리로 스왑인 되더라도 삭제되지 않고 그대로 복사본을 가지고 있다고 하네요. 그렇다보니 메모리에서 수정이 일어난다면 스왑아웃이 일어났을 때 스왑영역에 존재하는 복사본을 수정해 주어야 하기때문이라고 들었습니다. 추가로 스왑영역내의 페이지는 프로세스가 종료될시 삭제된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