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러시아에 '전쟁 무기' 계속 공급...'컨테이너 2만개 분' 육박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북한의 대 러시아 ‘무기 이전’ 현장으로 알려진 라진항 부두에 또 대형 선박이 입항했습니다. 러시아행 컨테이너가 내년 초 2만개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북한 라진항 대형선박 ‘불법 무기거래’ 정황]
14일 북한 라진항을 촬영한
‘플래닛 랩스’ 위성사진.
‘북한 전용’과 ‘러시아 전용’으로 알려진
부두 중간 지점에 115m 길이 대형 선박과
길게 놓인 컨테이너 더미 포착.
라진항은 지난해 10월 백악관이
북한과 러시아의
불법 무기거래 이전 장소로
지목하고 위성사진 공개했던 곳.
실제로 라진항은
북러 무기 거래 의혹이 제기되기 전까진
작은 선박조차 접안하지 않던 곳이지만
올해 대형 선박 계속 드나들며
계속된 무기 거래 정황.
VOA 위성사진 분석 결과
올해 들어 해당 항구에는
27척의 대형 선박 입항.
[ 러시아로 이전된 컨테이너 ‘2만개’ 육박]
로버트 우드 미 유엔차석대사는
지난달27일 안보리 회의에서
북한이 러시아로
컨테이너 1만8천 개 분량의 컨테이너와
100개 이상의 탄도미사일 불법 이전했다고 지적.
일반적으로 선박 한척에 실리는 컨테이너가
약 600개인 점으로 볼때
북한과 러시아간 거래 컨테이터는
내년 초2만 개를 넘길 것으로 전망.
[“북-러 군사협력 더 강화될 것”]
전문가들은 북한과 러시아가
앞서 체결한 ‘포괄적 전략동반자 협정’ 계기로
무기 거래 등 군사협력 더 강화할 것으로 전망.
데이비드 맥스웰 아태전략센터 대표는
포괄적 전략동반자 협정이
“러시아와 북한 사이 더 많은 상호 지원 가능케 하고,
러시아의 선진 기술 받아들이는 방식으로
북한의 ICBM과 핵 역량 등 발전시킬 수 있다”고 지적.
데니스 와일더 전 백악관 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은
“북한과 관련해 염려되는 부분은
이번 조약이 그들을 더 대담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이라고 우려.
한편 북한과 러시아는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계속된 지적에도
무기 거래 부인
-----------------------------------------------
» VOA 한국어 유튜브 영상 더 보기: / voakorea
VOA는 미국 최대의 국제방송국으로 언론의 자유가 없거나 제한적인 지역을 포함한 매주 3억 5천4백만 명의 시청자들을 위해 49개 언어로 100여 개 나라에서 라디오와 TV, 웹, 모바일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VOA는 1942년 설립된 이래, 포괄적이고 독립적인 보도로 시청자들에게 진실을 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VOA 한국어 방송은 남북한은 물론 세계 여러 지역에 흩어져 사는 한민족을 대상으로, 한반도와 세계 여러 나라의 뉴스와 유익하고 흥미로운 정보들을 전합니다.
» VOA 한국어 웹사이트: www.voakorea.com/
» VOA 한국어 페이스북: / voakorea
» VOA 한국어 인스타그램: / voakorea
» VOA 한국어 트위터: / voakorea
북한 무기 군인 다 러시아 주고 시리아 꼴난다
걱정마 일대일로 중국이 준거야
(더불어민주당 +중국 공산당 +러시아 + 북한) VS (국민의 힘 +미국 + 일본)
지금 이런 식으로 동맹이 형성 되어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의 의석이 늘어 날수록 한반도는 중국의 영향권으로 들어가서 한중 군사동맹으로 가게되고 미국의 방어선이 일본까지 밀리게 됩니다.
이후 미국의 중국과의 군사적 충돌시 엄청난 희생을 감수하고 일본에서 한국으로 상륙전을 해서 교두보를 확보 해야 합니다.
내생각에 국민의힘도 절반이상이 중국에 먹힘
중국이 대준듯
러시아
가스필요없데욤
푸틴?어디다팔아먹냐?
프리고진
네레주시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