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31 이미 태태님의 화면에는.. 도전 찬물라면이라는 영상이.. ㄷㄷ 03:43 잠시 후 또 그 원리 파악해 보시려고 예전에 갈퀴님이 믹서기에 물 돌려서 컵라면 먹은 영상도 복습하고 계시는군요.. 이번 승부는.. 갈퀴님의 완승인게... 1. 서로가 끓인 라면을 먹고 맛평가해서 어느 라면이 더 맛있냐가 전제조건이다. 2-1 태태님이 못 끓였다. -> 갈퀴님 승 2-2 태태님이 끓여서 더 맛있다. -> 맛있는 라면 ㄱㅇㄷ. 하지만 맛없는 라면은 태태님에게. 개꿀띠? 2-3 태태님이 못끓이고 더 맛있다(이번 결과) -> 맛난 라면도 먹고 승도 챙기고... 2-4 태태님이 끓였는데 갈퀴님보다 더 맛없는 라면이 나온다? -> 갈퀴님 승 1가지 경우의 수 말고는 다 이길 수 있고, 지는 한가지 경우의 수마저 맛난 라면먹으면서 맛없는 라면을 태태님에게 먹일 수 있음. 진짜 오랜만에 질 수 없는 게임을 짜오셨군요.ㅋㅋㅋ 실험 의뢰 1.저 진공장치에... 식물을 넣으면 어떻게 되나요?? 광합성 빡쎄게 시켜주면 산소 만들어 낼테고, 물이 끓을지언정 뜨겁지는 않으니까 거기서도 살 수는 있을테고.. 진공장치라도 햇빛만 잘 쐬여주면 식물이 자랄 수 있나요??(물만 있으면 되게 수생식물 막 부레옥잠 이런거?) 2. 저렇게 저온으로 끓는물에서도... 물고기가 살 수 있나요?? 이 실험은 너무 비 윤리적이라서 좀 그런가..ㅠㅠ 3. 사과가 갈변하는게 산화반응때문으로 아는데.. 진공에 넣어두면 시간이 지나도 갈변 안하나요?? 긱블.. .아니아니. 이과vs문과에서 해주겠죠?
2. '"끓는 상태"가 물고기의 생명에 영향을 줄 것이냐' 하는 것이 질문의 요점이라면, 적어도 온도 때문에 물고기가 죽지는 않겠지만, 그 밖에 다른 요소들 때문에라도 물고기가 살 수 있는 환경은 아닐 겁니다. 그리고 질문 자체가 상당히 애매모호해요. "살 수 있나요?"라는 말은 "죽지 않고 얼마나 버틸 수 있나요?"라는 뜻도 되지만, 물고기가 자연상태에서 격리되어 주어진 실험적 환경 속에서 생활하는 상태를 이어갈 수 있는지를 묻는 뜻으로도 읽힐 수 있거든요.
사실 물이 끓는다는 상변화 열전달 (비등) 현상은 일반 단상 열전달대비 높은 열전달계수가 특징인것이 전부임. 요리 혹은 조리라 하면 식재료의 온도 변화를 통한 식감 조절(맛 조절)이 가장 중요 포인트임. 라면의 경우 밀가루라 가정햇을때 그 미세한 결합구조가 느슨해지는것을 보통 일반적으로 면이 익엇다라고 할수 잇는거임. 이 온도가 보통 70-100도 내외이기에 우리가 컵라면에 뜨거운 물을 정수기에서 받아서 먹을수 잇는거임. 즉. 진공챔버로 백날 공기 뽑아서 포화온도 낮춰 물 끓여봣자 말씀하신것처럼. 10-20도 물에서는 라면이 익기는 커녕 스프도 물에 용해되기에는 너무낮은 물온도임.
기압이 낮으면 끓는점이 내려가는데, 물이 끓을 때는 열을 가하더라도 더 온도가 올라가지 않고 물이 다 끓어 없어지기 전까지 일정한 온도가 유지됩니다. 물론 라면 스프같이 불순물이 들어간 물은 끓을 때 약간씩 온도가 변하긴 하지만, 그 차이가 몇도 되지 않구요. 어쨋든 물이 끓어도 온도가 충분하지 않으니 설익는거여서 발열팩을 넣더라도 물이 끓을 때 온도는 낮아서 설익는건 마찬가지일거에요.
크기가 작다면 모를까 일반적으로 1m³에서 원자 1~3개를 만드는 것은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고전역학적으로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가 진공이라고 하지만 현실적으로 구현 할 수 없으므로 완전한 진공은 존재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양자역학적으로는 관측되냐 아니냐에 따라서 진공이 달라진다.
1. 진공 속에서 파리/모기가 날 수 있는가. 2. 진공 속에서 부패 박테리아는 생존 가능한가. 3. 진공속에서 빈 주사기로 '진공'을 빨아들이면 주사기 안의 압력은 어떻게 되나. (어차피 진공이니 여전히 진공일지, 아니면 피스톤이 움직일지?) 4. (좀 위험하지만) 물 속에서도 불이 붙는다는 네이팜/백린탄 등이 진공 속에서도 불이 붙어 있을 수 있나. 5. 드라이 아이스를 진공에 넣으면 기화되지 않고 그대로일까? 등등...
동영상 보기 전부터 생각했었는데요... 고구마 튀김이나 오징어 튀김등을 진공 챔버 안에 넣으면 튀김 옷에 스며든 기름이 빠져 담박한 맛을 내지 않을까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다. 튀김을 진공 챔버 안에 넣고 진공으로 만들면 튀김 옷에 스며든 기름이 빠지는지 실험해 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어쩌면 반대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진공이 아니라 고압을 가하면 스며든 기름이 빠지는 게 아닐까 하는...) 한 번 실험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문과적 접근법을 취하면 끓이다의 사전 정의는 "액체를 몹시 뜨겁게 해 소리를 내면서 거품이 솟아오르게 하다."이므로 액체를 몹시 뜨겁게 했으나 거품이 솟지 않은 태태님과 액체를 뜨겁게 하지 않았으나 거품이 솟은 갈퀴님의 무승부로 볼 수 있습니다. 관점에 따라서는 몹시 뜨겁게 하는 1단계와 거품이 솟게 하는 2단계로 나누어 1단계까지는 성공시키신 태태님의 우승일지도...?
@@SoHighCPS 1) 진공 데시케이터 안의 라면이 받는 중력은 우주에 놓인 라면이 받는 중력과 비교가 안됩니다. 2) 우주에 라면이 놓였다 쳤을 때 특별한 가속이 없는 한 라면은 무중량 상태에 놓입니다. 3) 따라서 진공 데시케이터로 우주 상황을 구현한다는 표현은 어불성설입니다
진공챔버를 이용해서 어떤 재밌는 실험을 해볼 수 있을까요?
여러분들의 많은 제보 부탁드립니다~😘😘
모기 한번만 넣어주세요
@@감기여요 오 ㅋㅋㅋ
물에빠트린 핸펀 살리는거 ..
하루정도 넣어두면 효과 좋습니다
어케아냐구여?... 해봤어여
갈퀴님 들어가면 긱블나오기 어때요
갈퀴님 핸드폰이요
점점 추함의 아이콘이 돼가고 있는건 아닐까 하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추남 갈퀴 ㅋㅋㅋㅋㅋㅋㅋㅋ
치사하다 팩트로 공격하다니
갈하다 추퀴야
불 없이 라면 끓이는 법: 전기 인덕션을 써서 라면을 끓인다
나도 그생각함
진공 펌프 태울정도면 인덕션이야 귀엽지
맛있는건 자기가 먹고 맛없는걸 남에게 먹인 사람이 승리가 맞긴해 ㅋㅋㅋㅋㅋㅋㅋㅋ
03:31 이미 태태님의 화면에는.. 도전 찬물라면이라는 영상이.. ㄷㄷ
03:43 잠시 후 또 그 원리 파악해 보시려고 예전에 갈퀴님이 믹서기에 물 돌려서 컵라면 먹은 영상도 복습하고 계시는군요..
이번 승부는.. 갈퀴님의 완승인게...
1. 서로가 끓인 라면을 먹고 맛평가해서 어느 라면이 더 맛있냐가 전제조건이다.
2-1 태태님이 못 끓였다. -> 갈퀴님 승
2-2 태태님이 끓여서 더 맛있다. -> 맛있는 라면 ㄱㅇㄷ. 하지만 맛없는 라면은 태태님에게. 개꿀띠?
2-3 태태님이 못끓이고 더 맛있다(이번 결과) -> 맛난 라면도 먹고 승도 챙기고...
2-4 태태님이 끓였는데 갈퀴님보다 더 맛없는 라면이 나온다? -> 갈퀴님 승
1가지 경우의 수 말고는 다 이길 수 있고, 지는 한가지 경우의 수마저 맛난 라면먹으면서 맛없는 라면을 태태님에게 먹일 수 있음.
진짜 오랜만에 질 수 없는 게임을 짜오셨군요.ㅋㅋㅋ
실험 의뢰
1.저 진공장치에... 식물을 넣으면 어떻게 되나요?? 광합성 빡쎄게 시켜주면 산소 만들어 낼테고, 물이 끓을지언정 뜨겁지는 않으니까 거기서도 살 수는 있을테고..
진공장치라도 햇빛만 잘 쐬여주면 식물이 자랄 수 있나요??(물만 있으면 되게 수생식물 막 부레옥잠 이런거?)
2. 저렇게 저온으로 끓는물에서도... 물고기가 살 수 있나요?? 이 실험은 너무 비 윤리적이라서 좀 그런가..ㅠㅠ
3. 사과가 갈변하는게 산화반응때문으로 아는데.. 진공에 넣어두면 시간이 지나도 갈변 안하나요??
긱블.. .아니아니. 이과vs문과에서 해주겠죠?
1. 광합성은 이산화탄소를 재료로 탄소화합물을 합성하고 부산물로 산소를 내보내는 과정인데, 진공상태에서는 이산화탄소가 없으니 광합성을 못합니다.
2. '"끓는 상태"가 물고기의 생명에 영향을 줄 것이냐' 하는 것이 질문의 요점이라면, 적어도 온도 때문에 물고기가 죽지는 않겠지만, 그 밖에 다른 요소들 때문에라도 물고기가 살 수 있는 환경은 아닐 겁니다. 그리고 질문 자체가 상당히 애매모호해요. "살 수 있나요?"라는 말은 "죽지 않고 얼마나 버틸 수 있나요?"라는 뜻도 되지만, 물고기가 자연상태에서 격리되어 주어진 실험적 환경 속에서 생활하는 상태를 이어갈 수 있는지를 묻는 뜻으로도 읽힐 수 있거든요.
3. 진공상태면 당연히 갈변은 없겠죠.
라면 끓이기 대결에서
물 끓였다고 이겼다고 우기는 것이
이과가 할 짓인지?
@@inholee1535 과학적으로는 태태님이 못끓이시고 갈퀴님이 끓이신건 맞으니까요 ㅋㅋㅋ 약간 교묘한 말장난 같긴하지만요
튀김요리가 바삭한 이유가 수분을 다 날려서인데 그럼 진공챔버로 튀김요리 가능한거 아닌가요?
기름은 끓겠지만 밀가루가 안 튀겨지는데?
@@passfade4458 아뇨 기름 없이요
주어진 환경에서 온도가 다르니 반죽이 굳을 수는 있겠지만 과연 "튀김"이 될지는.... 저도 궁금하네요
우린 그걸 건조라고 하기로 했어요
우리는 그걸 진공건조라고 하기로했어요
진공에 들어갈것: 초코파이, 촛불, 돼지고기, 풍선(공기의 양을 달리해서), 기름(물은 끓었으면 기름은? 식용유, 경유 이건 알아서), 온도계
기름은 가스불에 해도 안끓는데…
@@official_Berry 제가 알기로 300도 가 안넘는 온도에서 끓기는 한대요. 물처럼 보글거리는건 모르겠지만 끓는점은 있다고 하니까요
풍선은 기압이 낮아지면 점점더 팽창하다가 진공상태가 되면 터집니다.
저희 학교에 진공펌프(영상에 나온거랑 비슷)랑 공기압축기(손으로 공기 압축시키는거) 있길래 과학선생님이 작년에 실험해주셨어요
@@씅케이트 그쵸 그래서 보고 싶어서 부탁드리는거죠
갈퀴님 팬이지만 이건 태세님이 이긴거 같습니다
감미료 섞은 물에 토마토를 담가놓은 뒤 진공챔버에 넣으면 달달한 토망고가 된다고 합니다
사실 물이 끓는다는 상변화 열전달 (비등) 현상은 일반 단상 열전달대비 높은 열전달계수가 특징인것이 전부임. 요리 혹은 조리라 하면 식재료의 온도 변화를 통한 식감 조절(맛 조절)이 가장 중요 포인트임. 라면의 경우 밀가루라 가정햇을때 그 미세한 결합구조가 느슨해지는것을 보통 일반적으로 면이 익엇다라고 할수 잇는거임. 이 온도가 보통 70-100도 내외이기에 우리가 컵라면에 뜨거운 물을 정수기에서 받아서 먹을수 잇는거임. 즉. 진공챔버로 백날 공기 뽑아서 포화온도 낮춰 물 끓여봣자 말씀하신것처럼. 10-20도 물에서는 라면이 익기는 커녕 스프도 물에 용해되기에는 너무낮은 물온도임.
발열팩넣고 진공챔버에 넣으면 끓으면서 라면이 익지 않을까요?
창의적이네요
산소가 없으면 발열팩에사 발열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읍니다
@@조정래-t4z 저건 산화칼슘이랑 물이랑 만날때 생기는 열이라서 산소랑 딱히 상관없어 보이네요
기압이 낮으면 끓는점이 내려가는데, 물이 끓을 때는 열을 가하더라도 더 온도가 올라가지 않고 물이 다 끓어 없어지기 전까지 일정한 온도가 유지됩니다. 물론 라면 스프같이 불순물이 들어간 물은 끓을 때 약간씩 온도가 변하긴 하지만, 그 차이가 몇도 되지 않구요. 어쨋든 물이 끓어도 온도가 충분하지 않으니 설익는거여서 발열팩을 넣더라도 물이 끓을 때 온도는 낮아서 설익는건 마찬가지일거에요.
터질 것 같음
야외 라면의 단점 - 불이 필요함
단점을 해결하는 방법 - 불 없이 라면을 끓이는 방법을 찾으면 됨
불 없이 라면을 끓이는 방법 - 누구나 들고다니는 정말로 사용이 간편하고 쉬운 진공 챔버 휴대하고 다니기
Tmi : 진공 챔버로는 우주를 재현할 수 없다. 우주의 밀도는 정말 매우 낮아서 현존하는 기술로는 그 정도의 진공을 구현할 수 없다.
나사에서 진공 챔버 입는 걸 알고 있는데 그거는 우주 환경을 재생할 수 있지 않을까요
현존하는 기술로 우주보다 훨씬 다 높은 진공도를 만들 수 있어요 아예 잘못 알고 계시네요
크기가 작다면 모를까 일반적으로 1m³에서 원자 1~3개를 만드는 것은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고전역학적으로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가 진공이라고 하지만 현실적으로 구현 할 수 없으므로 완전한 진공은 존재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양자역학적으로는 관측되냐 아니냐에 따라서 진공이 달라진다.
0:27 불로끓이는게더간단하흐ㅡㅇ튼드드라라나눅규르니
산에 올라가면 끓지 않는 물을 끓이기 위해 냄비에 돌을 올리자나요?? 발열팩 위에 반합위에 돌을 올려보고 싶어지네요
태정님 진짜 개졸귀야 우리 형이나 우리 강아지였음 좋겠다
1. 진공 속에서 파리/모기가 날 수 있는가.
2. 진공 속에서 부패 박테리아는 생존 가능한가.
3. 진공속에서 빈 주사기로 '진공'을 빨아들이면 주사기 안의 압력은 어떻게 되나. (어차피 진공이니 여전히 진공일지, 아니면 피스톤이 움직일지?)
4. (좀 위험하지만) 물 속에서도 불이 붙는다는 네이팜/백린탄 등이 진공 속에서도 불이 붙어 있을 수 있나.
5. 드라이 아이스를 진공에 넣으면 기화되지 않고 그대로일까?
등등...
발열팩을진공챔버에넣으면
어떤반응이생기나요?
갈퀴님 태정태세님껀 꼭 챙겨보게됨ㅋㅋ
유익한데다 ㅈㄴ 개웃김 ㅋㅋㅋㅋㅋㅋ
진공챔버로 스테비아 토마토 만들기랑 초코파이랑 몽쉘의 차이를 저기압 상태에서 형태 변화로 보여주기 해주세요
태정태세님을 넣어주세요!
진공챔버에 음식을 넣으면 곰팡이가 나나요?
에베레스트 산 위에서 발열팩을 사용해서 끓였으면 발열팩이 승리하지 않았을까??
끓는점이 낮아지며 끓었을것 같은데.
갈퀴님 잘했어요👍
점심 배고픈데 더 배고파지네요
동영상 보기 전부터 생각했었는데요...
고구마 튀김이나 오징어 튀김등을
진공 챔버 안에 넣으면 튀김 옷에 스며든
기름이 빠져 담박한 맛을 내지 않을까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다.
튀김을 진공 챔버 안에 넣고 진공으로 만들면
튀김 옷에 스며든 기름이 빠지는지
실험해 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어쩌면 반대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진공이 아니라 고압을 가하면
스며든 기름이 빠지는 게 아닐까 하는...)
한 번 실험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진공챔퍼안에 새건전지와 오래된건전지를 각각 넣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갈퀴님을 진공상태로 만들면 어떻게 되나요??
추한 생각을 한 뇌만 넣어볼까요?ㅎㅎ
갈퀴님이 드가믄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얼음
달걀
뽁뽁이(택배같은데서 충격완화시키기위해 물품 포장하는거)
진공챔버는 무조건 초코파이를 넣어야지
태정태세님의 뜨거운 눈빛이면 라면 끓이기 ㅆㄱㄴ
이건 가지고싶은 진공챔버를 산 갈퀴님이 승리하신듯 하네요.
겉이 바삭바삭 한데 속도 바삭바삭해요 ㅋㅋㅋㅋ
전자레인지 쓸 줄알았는데........... 진공상태에서 전자레인지로 조리하면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라면 국물을 진공챔버에 넣으면 다시 스프를 뽑아낼 수 있을거같아요!ㅋㅋㅋㅋ
인덕션위에 올리면 되는거 아닌가요?
발열팩이 ok되면 전기저항을 이용한 인덕션도 ok아님?
뭔가를 익힌다는건 온도를 100˚C이싱 높여야하는데
기압을 낮춘다는건 단순히 액체가 기체가되는 끓는점을 낮출뿐 온도는 변함이 없으니 끓어보이는거지 익히는건 아니다
문과적 접근법을 취하면 끓이다의 사전 정의는 "액체를 몹시 뜨겁게 해 소리를 내면서 거품이 솟아오르게 하다."이므로 액체를 몹시 뜨겁게 했으나 거품이 솟지 않은 태태님과 액체를 뜨겁게 하지 않았으나 거품이 솟은 갈퀴님의 무승부로 볼 수 있습니다. 관점에 따라서는 몹시 뜨겁게 하는 1단계와 거품이 솟게 하는 2단계로 나누어 1단계까지는 성공시키신 태태님의 우승일지도...?
"액체를 몹시 뜨겁게 해" 이 부분은 액체를 끓는점 까지 뜨겁게 한다라고 해석하셔야함 극단적으로 액화 질소가 상온으로 나와 기화될 때 "끓는다"라고 하는것처럼
추가로 끓는점의 사전 정의는 "액체 물질의 증기압이 외부 압력과 같아져 끓기 시작하는 온도"로 뜨겁지 않더라도 증기압이 외부 압력과 같아져 기화된다면 끓다 라고 할 수 있음
8:48 오타 발견했어요 끓는점이 아니라 끊는점이라고 되어있어요!
ㅋㅋㅋㅋ 분명히 저거 맛은 없을껀데 뭔가 했는데 끓지 않았다가 승리 공식이였엌ㅋㅋㅋㅋ
아 ㅋㅋㅋㅋ 태정태세님 귀여우시닼ㅋㅋㅋㅋ
밀가루반죽을 안에넣으면 숙성이 더 잘될까
진공상태에서 미니드론 날려보기
안뜰꺼 알지만 ㅋㅋ
겸사겸사 안에서 선풍기도 돌려줘요 ㅋㅋ
전자매장같은 곳에 앞에 바람나온다고 반짝이줄 붙인거처럼요 ㅋㅋ
진공챔버에 갈퀴님 넣어주세요
초코파이 넣고 진공상태 만들면 재미있습니다~~ 해서 보여주세요
달걀 궁금하네요
여름이니깐 우주환경에 모기를 놔두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2:54 ㅋㅋㅋㅋ 이과의 말장난이었네
6:42 자기도 어이가 없어서 웃긴 갈퀴형
액체괴물같은 슬라임 류 넣으면 어떻게 될까요?
과일 넣으면 과일의 수분도 끓을텐데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귤이나 수박같은거... 수박 터지려나
04:11 차에 이런 게 왜 있는 거에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불을 사용하지 않으면 되니까
전기의 저항을 이용한 차 포트기를 이용하면 되지않을까요?
인덕션도 있죠
불없이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 우리는 전자레인지 라는걸 만들었어요~
인덕션을 넣고 끌이면 어떻게 될까요
라면을 더 맛있게 끓여서 "먹는" 사람이 이기는건데 갈퀴님은 못드셨으므로 비긴거 맞습니다!
2틀전에 화학수행으로 한건데...여기서 보니깐 반갑다
저 챔버 레진 공기 빼는데 쓰면 딱이겠네요 탐나...
우주에서 촛불은 물방울 모양이 아니라 원 모양으로 켜진다는데 진공에서는 꺼질테니 실험은 힘드려나...
문과 :물은 안끌었지만 라면은 익었다.
이과:물은 끌었지만 라면은 안익었다.
물 끌이는게 목적이면 이과 승.
라면 먹는게 목적이면 문과 승.
바꿔서 먹제 ㅋㅋㅋㅋㅋ 양아치였어 ㅎㅎㅎㅎㅎ
라면을 끓이는게 내기의 핵심인데
태태님이 이겼다고 봐야하는게 맞지 않나..?
추퀴님 갈하시네요,,,,
기압 차이로 끓이다니 ㅋㅋ
진공상태에사 불을 피우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요
캔으로된 탄산음료 넣어주세요
불만 안쓰면 되는거면 전자렌지..
챔버도 전기는 쓰는데..
전기오븐도 있고.. 전기포트도 있고..
갈퀴님 너무하시네ㅋㅋㅋㅋ
음.... 중학생 때 소눈알을 해부하던게 떠오르는데요....
살아있는 다른 생물은 윤리적으로 좀 그렇지만 해부용으로 나온 소 눈알 정도는 안에 넣고 실험해볼만하지 않을까요?
해부용 소눈알을 구할 수만 있으면 나름 유의미한 실험이 아닐까 합니다.
이게 기압이 낮아질수록 끓는점이 낮아진다고 들었는데 아마도 그것때문에 온도가 낮은 상태로도 끓었을거에요
맛있으면 최고죠. 하하
사탕이 진공상태에서 어떻게 되는지 보여주세요
풍선 불어서 넣어주세요오
진공환경에서 깃털과 쇠구슬을 동시에 떨어뜨리면 떨어지는 속도가 같다는데, 실험해주세요~!
사실 저거 면뽀갤때 면 모양대로 뿌시면 라면모양 그대로 뽀개져서 길이는 그대로라 상관없음
전자렌지에 4분돌리는게 빠르겠군요
제대로 맥엿네 이번엔
옥수수 넣으면 어떻게 되는지 해주세요!!!
(팝콘각)
예전에 스펀지에서 봤던 기억이 나네요
모기 넣어주세요
Factos) 코코브라가 이미했다
산화칼슘에 물을 더 했는데 수산화칼륨이요? ㅎㅎㅎㅎㅎ
수산화칼슘이겠죠 ㅎㅎㅎㅎ
전자렌지로 했으면 완승인데, 태정태세님도 갈퀴화 되가는중 같아요
문과가 더 이과적인 해결책을 들고왔는데 이게 뭐가 문과 vs 이과에요ㅋㅌㅋㅋㅋㅋㅋ
궁금한데 물속에서 진공 챔버를 열면 공기방울이 생길까?
슬슬 이기면 그거대로 ㄹㅈㄷ가 되지 않으려나
갈퀴님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세요
지난 긱블 영상에 믹서기로 물 웽웨웽웨웽 하면 뜨겁다는데....긱블 영상 나온지 오래되었는디...
이번편도 갈퀴했다
우주 상황이라고 하셨는데.... 진공과 무중력은 다른 겁니다. 가끔 헷갈릴 때가 있죠.
진공은 맞음
그리고 우주에서 나가서도 우리는 미세한 중력을 받음
달이 지구에 중력을 받아 공전 하듯이
@@SoHighCPS 1) 진공 데시케이터 안의 라면이 받는 중력은 우주에 놓인 라면이 받는 중력과 비교가 안됩니다. 2) 우주에 라면이 놓였다 쳤을 때 특별한 가속이 없는 한 라면은 무중량 상태에 놓입니다. 3) 따라서 진공 데시케이터로 우주 상황을 구현한다는 표현은 어불성설입니다
@@kyoung528 그렇긴 하죠. 근데 우주는 진공이 맞긴 하죠. 중력이 없는 상태에서 뭃을 끓인다는것 자체가 거의 불가능 하고, 우주가 진공상태라는것은 이미 많은분들의 상식이기 때문에 많은 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렇게 설명하신 것 같습니다
그렀다면 우주에서 밖으로 우주복없이 손을내밀면 손도 끓나요?사람의 정상체온이 36.5도잖아요.
압력밥솥이면 적정 기압을 유지해서 고도가 높아도 밥은 설익지 않을 듯.
안에다가 토마토를 넣으면 어케될ㄲ... 쌀을넣으면 밥이될까
진공의 공간안에 진공 넣어보기
음! 갈퀴님은 스프를 넣고 면을 넣으시는군요
이영상 대결 내용이 단순히 불을 안쓰고 물을 끓이는게 아니고 라면을 끓이는건데? 라면을 끓여서 익히는게 최종목표 아닌가요?
기압챔버로 물끓였다고 하면서 다른사람 가르치실려고 하는 저분 진공상태 우주로 보내는게 나을듯~ㅋㅋ 참고로 전 예체능
끓는게 아니고 물속의 산소가 빠져나가는거
이기고도 진거같은.....정신승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태정태세님은 뭐해도 이기네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