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공학- 51강 비접지 방식의 특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51

  • @조경필
    @조경필  2 года назад +1

    (교재구입문의)
    * 구독자! 애청자 여러분!
    늘 관심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강의에 맞춰 출간된 교재 안내드립니다!
    1.메일 : kissme2454@naver.com
    2. 카톡 : 친구추가 kp1125로 들어오셔서
    문의하시면 친절히 답변드리겠습니다~^^

  • @Dogwalwalwal
    @Dogwalwalwal Месяц назад

    잘 정리된 강의 감사합니다~

  • @new_a-r4e
    @new_a-r4e 4 месяца назад

    이번강의는 벡터 설명도 듣고싶네요
    좋은강의 항상 감사합니다 😊

  • @kwpark5891
    @kwpark5891 3 месяца назад

    17:49 : 지락전류식에서 x3 에. 대해서 의문인 되는 것인 3상의
    충전전류가 위상이 다른데 산술합하듯이 x3 할수
    잇나요 ?

  • @정태이-j2c
    @정태이-j2c 2 года назад +2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모모아-r7z
    @모모아-r7z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훌륭한강의십니다~~^^

  • @성환김-s9c
    @성환김-s9c 3 года назад +10

    통근마다 듣는데 강의가 너무나 완벽합니다.
    사회적으로 경제적으로 더 높이 성공하세요.

    • @조경필
      @조경필  3 года назад +1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동그람
    @동그람 Год назад +1

    교수님 강의 좋은 강의 매번 정말 감사합니다. 그런데 질문이 있는데 17:18 에서 고장전류 계산할 때 c상은 고장이 나서 전압이 0에 가까워진 상태고 a,b상은 그에 따라 전압이 상승한 상황인데 충전전류 3개를 다 똑같은 E를 곱하여 계산하면 안되는거 아닌가요??
    수업을 듣다가 궁금증이 생겨 댓글 남깁니다...

    • @PV-CPA
      @PV-CPA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래 답글에 정답이 있네요.

  • @farontierjeong5632
    @farontierjeong5632 Год назад +1

    정말 명강의 입니다.

  • @KKH-vb1uw
    @KKH-vb1uw 2 года назад +2

    The Best of Best!
    최고의 강의 감사합니다.

  • @kimgwangmin397
    @kimgwangmin397 Год назад +2

    교수님 좋은강의 감사히 잘 시청하고 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일전에 델타결선에서는 상전압과 선간전압이 동일하다고 말씀하셨는데, 지금은 루트3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어서 어떻게 이해를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바쁘시겠지만 간단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 @songch9802
    @songch9802 2 года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또 열심히합니다

  • @chulhongpark4238
    @chulhongpark4238 2 года назад +1

    강의가 재미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김필왕
    @김필왕 2 года назад

    항상 감사드립니다..건강 잘 챙기세요

  • @탑스핀-l1k
    @탑스핀-l1k 3 года назад +4

    좋은 명강의 감사합니다 ^^

  • @몽사노-j6o
    @몽사노-j6o 3 года назад +2

    원리를 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 @고수고수-r2t
    @고수고수-r2t 2 года назад +3

    발송배전기술사 준비중인사람으로써 송배전공학 공부를 하면서 교수님 강의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songch9802
    @songch9802 2 года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열심히합니다

  • @식빵아빠-e6c
    @식빵아빠-e6c 3 года назад +5

    교수님 안녕하세요. 진정한 전기인이 되기위해 열심히 공부중입니다. 좋은 강의 올려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 @조경필
      @조경필  3 года назад

      화이팅하십시요~^^

  • @sss-jf8ol
    @sss-jf8ol 3 года назад +6

    바쁜본업의외에도 이렇게시간을쪼개서까지 강의를듣는 시청자분들을위해 아무리 몸상태가 아파도 강의를 촬영하고 올려주시는 교수님을보면서 오늘은 쉴까하다가도 참고 공부를하게됩니다. 매번 생각만하지말고 실천으로옮기라는말씀을 최대한 지키면서 살아보겠습니다. 교수님강의덕분에 전력공학 전자기기과목에는 자신감이생기고있습니다 매번감사드립니다!!!

    • @조경필
      @조경필  3 года назад +1

      네 늘 즐기시면서 자기것으로
      만들어가셔요~^^

  • @sethhong5822
    @sethhong5822 3 года назад +4

    감사합니다 교수님!! 필기 합격하고 실기도 교수님 강의 듣고 싶습니다 !

  • @기억-t2g
    @기억-t2g 2 года назад +2

    조경필 교수님 강의를 기기때부터 듣고 있습니다.
    교수님 강의는 단순 지식뿐만 아니라 교수님의 공부의 사고방식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게 되어있어서 공부 방법 또한 배워갈 수 있어서 좋습니다
    시간내서 이렇게 좋은강의를 올려주시니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곰순이편의점
    @곰순이편의점 3 года назад +3

    고장이 난 c상의 충전전류는 흐를수없는 전류입니다 단순히 3배가 되는것이 아니고 비접지계통의 전압이 a상과 b상으로 루트3배만큼 증가하므로 그 벡터합이 결과적으로 3배가 되는겁니다
    이게 정확한 설명입니다
    ruclips.net/video/ngSGKXo489M/видео.html

    • @해바라기씨-s9u
      @해바라기씨-s9u 2 года назад

      36:25 이해하기 쉬우라고 설명까지 해주심

    • @곰순이편의점
      @곰순이편의점 2 года назад

      아 그러네용ㅎㅎ 교수님이신데 잘못알고 있을리가 없는데 생각하긴했어요
      근데 이해하기 쉬울라고 저런방식으로 이해하는건 좋지않은거 같아요

  • @TheMoohan73
    @TheMoohan73 3 года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김경록-m3v
    @김경록-m3v Год назад

    교수님 항상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지락된 C상의 충전전류는 흐르지 않기 때문에, 지락전류는 건전상 충전전류의 벡터합으로 구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요?

    • @PV-CPA
      @PV-CPA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습니다.

  • @본계정-x3v
    @본계정-x3v 3 года назад +3

    교수님 강의 너무 감사히 잘 듣고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 비접지 방식의 지락전류=j3wCE*거리라고 가르쳐 주시면서 저전압 단거리 송전선로에서 쓰인다고 하셨는데
    3장에서는 단거리 송전선로는 집중정수회로를 쓰신다고 하셨는데...윗 줄의 지략전류 식은 분포정수에 해당하지 않나요?
    비접지 방식은 단거리 송전선로인데 왜 분포정수회로를 쓰는건가요?

  • @faraday88
    @faraday8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대지전압을 상전압르로 잘못쓰신거 같은데

    • @조경필
      @조경필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같은 의미입니다.
      대지전압 = 상전압!

  • @자유와진리-w7r
    @자유와진리-w7r Год назад

    최고이십니다.
    감사합니다~

  • @shjang2131
    @shjang2131 3 года назад +2

    항상 감사마음 존재합니다.
    y 결선 중성점(중성선을 말함)에 접지를 하지않으면 어찌될까요? 전류(정상전류 말함)가 흐르지 않을 까요? 궁금합니다.

  • @오정진-l9h
    @오정진-l9h 3 года назад +3

    델타결선에서 상전압과 선간전압의 관계가 같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ㅠ

    • @최영우-f3o
      @최영우-f3o 3 года назад +4

      델타결선은 변압기자체에서 선간전압 = 상전압이지만
      전선과 전선사이 = 선간전압
      전선과 대자사이 = 상전압 = 대지전압
      즉, 선로는 Y결선 변압기는 델타결선
      이렇게 구분하시면 됩니다

    • @PV-CPA
      @PV-CPA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력공학에서 선간전압과 상전압(대지전압)은 회로이론에서 선간전압과 상전압이랑 내용이 다릅니다. 2강 보시면 설명이 나옵니다. 변압기 결선과 무관하게 선간전압은 상전압(대지전압)의 루트3배입니다.

  • @bamdol2
    @bamdol2 3 года назад +2

    장거리 송전선로에 대한 강의 는 아직 순서가 아닌가요!?

  • @박박-f2e
    @박박-f2e 3 года назад +1

    접지 정리끝

  • @ic5918
    @ic5918 3 года назад +2

    델타인데 E=V 아닌가요?!

    • @조경필
      @조경필  3 года назад

      제 2강 기준전압, 공칭전압
      강의를 다시 보세요!

    • @ic5918
      @ic5918 3 года назад

      @@조경필 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