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TL corp. Lorentz force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We have achieved complete full levitation of PCPOSOS sampl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current, inducing Cooper pair formation.
    The video clearly demonstrates the enhanced diamagnetic property of the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also compared to copper

Комментарии • 302

  • @대마왕-SCTL
    @대마왕-SCT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4

    해상 실험에 면밀히 재검토 해본 결과 로렌츠힘 이라는 물리적인 이론으로 설명이 되는것을 확인했습니다. 사과문을 바로 올렸으며 해당 영상은 로렌츠힘의 현상으로 제목을 수정합니다. 죄송하고 감사합니다.
    After closely reviewing the sea experiment, we confirmed that it can be explained by a physical theory called Lorentz force. An apology was immediately posted, and the title of the video was changed to Lorentz force phenomenon. Sorry and thank you.

    • @treefs47
      @treefs4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확실한 건가요? 아니라면 오히려 섯부른 결론이 더 혼란을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전류나 자석의 방향 반전 등 재실험을 했을 때 안 떴다면 로렌츠힘이 맞겠지요. 그 경우엔 구리가 안 뜬 것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구리를 좀더 가볍게 만들어서 flip없이 안정적인 비슷한 자기부양 현상을 재현할 수 있다면 더 확실히 로렌츠힘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을테고요. 아니라면 더 신중한 결론이 필요할 듯 합니다. 이와 별개로 QERC 특허에 나온 (위 실험과 비슷한) 전류인가시 자기부양 사진은 자석의 자기장방향과 전류의 방향을 고려하면 로렌츠힘으로 설명할 수 없을 듯 합니다. 거기선 로렌츠힘이 수평방향의 힘만 발생시키는 Geometry이니까요.
      적극적인 검증노력과 정보공개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 @성현-e6d
      @성현-e6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대마왕님 항상 열정적으로 실험해주시고
      좋은 샘플 좋은 모습으로 저희와 소통해주셔서 초전도체를 응원하는 저희들의 입장에서는 너무나 큰 힘이 됩니다
      항상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많은사람들이 이번일로 인해
      재현된 샘플의 제로저항에 대해
      측정오류와 같은 의구심이 생길 수 밖에
      없다고 생각됩니다.
      이에 가장 빠르고 확실하게
      대처하실 수 있는 방법은 역시
      공인된 인증기관에 샘플을 맡기고
      저항값을 측정받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루 빨리 대마왕님의 성과가 인증된 기관의
      검증을 받고
      퀀텀 에너지 연구소의 상온 상압 초전도체
      발명에 확실한 물증이 되어 주시길 간절히 바라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bgess72
      @bgess7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뭐야이거

    • @braum3742
      @braum374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자석을 뒤집거나 샘플 전류를 반대로 했을때 똑같은 현상이 나오면 로렌츠랑은 별개입니다. 한번더 실험 부탁드립니다.

    • @Sunggyuryu
      @Sunggyury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과학은 실수를 반복하다 짠하고 결과가 나옵니다 이번일로 너무 기죽진 마세요 응원하는 사람들이 더 많아요 다만 아래의 댓글처럼 재로저항은 공인기관에서 검증을받아 더이상 안티들이 반박못하게 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전문기관에 검증을 못받는 이유가 따로 있는지 궁금합니다

  • @zookchang
    @zookchan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7

    밥먹다가 한 동안 멍하니 봤어요 내가 뭘 본거지 저건 전류를 이용해 초전도체가 되는 여부를 자유자재로 결정할 수 있다는 거 아닌가요? 대박 아닌가요. 대단하십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깜장콩-m5w
    @깜장콩-m5w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2

    고마워요. 대마왕님❤❤❤ 영상으로 초전도체 상황을 알려주시니 감사합니다. 대마왕님과 퀀텀가족분들이 자랑스럽습니다. 건강하세요. 힘드시더라도 영상 자주 부탁드립니다 ❤❤❤

  • @댕댕-x1z
    @댕댕-x1z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보고도 너무 떠버려서 멍했어요 ㅠㅜ 진짜 상온상압초전도체라니 대단합니다!!!

  • @수리인생
    @수리인생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전기전자 PCB 회로수리 엔지니어인 제가 한말씀 올립니다. 열나는부분은 은선이 초전도체에 묶인부분 이고 은선을 시료에 완전히 붙인것이아니라서 사이의 마찰저항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입니다.
    증거는 영상속 1:01초에 나옵니다 정지화면으로 보세요.시료의 한 부분이 빨갛게 열화,연소되는 포인트를 보세요. 은선이 묶인 포인트입니다.

  • @starleeji
    @starleej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9

    대박.. 제 재산을 걸었고.. 이런 날이 오리라 확신햇엇습니다..
    대마왕님, 수고햇고.. 남은 특허와 논문 게재에도 잘 추진을 바랍니다..
    그대가 애국자요, 한국의 최고 과학자 입니다.
    준비된 자에게 행운은 꼭 올것을 믿습니다

    • @김성찬86
      @김성찬8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재산이 휴짓조각이 됐네영...

  • @npcpu8401
    @npcpu840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아마 보셨을것 같지만 김박사님이 말을 번복하셨습니다.

  • @이병민-h1i
    @이병민-h1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성지순례왔습니다 다른 거 안 바랍니다 제가 다른 이들보다 조금 빨리 작년 8월부터 초전도체의 실존을 믿었고 그게 사실임이 즉명되며, 이 영상이 그 재현의 시작이길 바라며 댓글 적습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 @CheapoPremio
    @CheapoPremi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Wish you luck on the peer review.

  • @꽈자-z9t
    @꽈자-z9t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응원하고 있습니다.

  • @beautifulmin3488
    @beautifulmin348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부양상태에서 좌석을 좌우로 움직일 때 PCPOSOS가 자석을 따라 움직인다면 명백하게 플럭스 피닝 현상을 증명하게 될 것 같습니다.
    또 한가지는 코일에 의한 전자석 효과다라는 레딧의 일부 말도 안되는 주장을 잠재우기 위하여 전류의 극성을 바꿔서도 동일한 현상이 보임을 증명하는 장면도 있으면 완벽할 것 같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 @bch7227
    @bch722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날라다닐 듯한 기세네요.
    훌륭합니다.

  • @애국자-m2v
    @애국자-m2v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는 처음부터 퀀연에서 초전도체 성공한 것을 믿었지만 안 믿는 분들이 많았는데, 이걸 많은 사람들이 눈으로 직접 볼 수 있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대마왕님 고생하셨어요.^^

  • @Y-t8g
    @Y-t8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대마왕님! 공중부양 멋지십니다. 영상 자주 올려주세요. 좋은소식 기다려야겠네요

  • @깜장콩-m5w
    @깜장콩-m5w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좋아요❤ 구독과 알람설정 꼭 부탁드립니다 ❤

  • @ramama3032
    @ramama303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결과적으론 외부재현사례!
    대마왕님이 아닌 이대표님께서 보여주셨다면
    ... ...
    ㅜㅜ신성 손절한사람으로서 가슴이 아픕니다.
    상상초이길 바랄뿐입니다

  • @odrsnowskates3036
    @odrsnowskates303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응원 또 응원합니다🎉🎉🎉

  • @TV-uu7jy
    @TV-uu7j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최고네요 👍 내눈으로 직접 볼줄이야 ❤❤

  • @unconscious9735
    @unconscious973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이게 어떻게 로렌츠 힘이죠? 자기장 방향이랑 힘의 방향이랑 같을수 있나요

  • @갯바위-t6z
    @갯바위-t6z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완전 부양 ~~
    완존 좋아~~
    수고하셨습니다

  • @meta.j
    @meta.j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우와 드뎌 보게되네요. 이걸 ㅜㅜ 감동입니다

  • @서우신-j4o
    @서우신-j4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구독좋아요 꾹우~
    대한민국 만세^^ 대마왕 만세~
    대단 하십니다 ~ 머지 않아 외국 바이어들이 바글바글 국내서 초전도체 관련 비지니스 장면이 겹치게 하네요

  • @bambook.3710
    @bambook.371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드디어 해내셨군요. 완전부양 이런걸 보고 싶었습니다 🎉

  • @김비노-f2f
    @김비노-f2f 9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축하드립니다

  • @롱롱-g4r
    @롱롱-g4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응원하고 항상 감사합니다.

  • @유재영-e9m
    @유재영-e9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와.. 팔딱 뜨는것이 너무 진귀한 모습입니다. 노력과 성과에 감축드립니다!

  • @Teemo_Buff
    @Teemo_Buff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수고 많으셨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fixer4947
    @fixer494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와 이걸 눈으로 보 네

  • @dho3302
    @dho330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이렇게 높게 뜨는게 가능했다는 말인가

  • @김민석-m7n6e
    @김민석-m7n6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초반도체 축하합니다 !!!

  • @푸른소나무-s5o
    @푸른소나무-s5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제가 아는 로렌츠 힘과는 방향이 다른데 왜 로렌츠 힘이라는 걸까요?
    저 자석의 자기장 방향 측정해주시면 안될까요?

  • @김민재-d5y6p
    @김민재-d5y6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감사합니다. 대마왕 만세

  • @경수-k1i
    @경수-k1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자석 거꾸로 들고 공중부양 되는 영상도 있나요? 물어봅니다

    • @user-dr.08
      @user-dr.0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주 좋은 질문인 듯 합니다.

  • @user-dr.08
    @user-dr.0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로렌츠힘의 작용은 맞지만 그래도 해당 샘플이 초전도체이기 때문에 영상과 같은 부양현상이 나타난 걸로 추정됩니다. 아마도 양도체에선 저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 겁니다.
    따라서 이를 확인하기 위해선 구리나 은으로 샘플을 만들어 같은 실험을 반복해 보면 될 것입니다.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니, 대마왕님이 실험하신 이 방법은 초전도체 여부를 증명하는 새로운 실험방법이 될 것 같네요.

  • @KTS-g5c
    @KTS-g5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전압을 가하지 않고 열풍기로 100도시 이상 열을가한 후 부양 되는지 학인 가능할까요.

  • @EdRYU07
    @EdRYU0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로렌츠의 힘을 애기하려면 전선이 감아진 상태에서 전류를 흘려서 물체를 들어올릴만한 힘을 내야 하는데 전선이 그정도로 감겨져 있지 않았으므로 로렌츠 현상으로 보기에는 무리

  • @이상남-t7b
    @이상남-t7b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라~ 🎉

  • @재르시-y6y
    @재르시-y6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와 ❤❤❤❤❤ 사랑합니다

  • @양승길-s7i
    @양승길-s7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드뎌 등장! 훈륭합니다.
    대마왕 화이팅!

  • @jihankim6119
    @jihankim611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신성델타테크 사면 되나요? 내일 풀매수 가즈아아

  • @2starskk
    @2starsk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고맙습니다
    화이팅❤❤❤

  • @myunghyunpark6624
    @myunghyunpark662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최고 입니다

  • @user-it7zs5dr1r
    @user-it7zs5dr1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이게 되네요. 다 보여 주네요. ㅊㅎ ㄱㅅ

  • @수락나무
    @수락나무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단타대마왕님 응원합니다. 설명중 은선에서 열이 난다고 하셨는데 제가 은선에서 열이 나는게 아니라 잉곳에서 열이 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5A 정도에서 은선이 연기가 날정도로 열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구리선도 5A정도에서도 연기가 나지 않습니다. 구리판으로 테스트 할때 연기 발생이 없는것이 이를 말해 줍니다.초전도체를 부정하는게 아닙니다. 잉곳이 아니라 박막을 두텁게 증착하여 실험하는게 맞습니다. 초전도체는 제로저항으로 5암페어 정도에서 열이 발생하면 안됩니다. 열이 발생하여 오히려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신 것 같습니다. 전꼽둥둥은 산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획기적인 것은 맞습니다. 두터운 박막으로 전꼽둥둥을 기대허겠습니다.

    • @대마왕-SCTL
      @대마왕-SCT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클랩프로 샘플에 6A전류를 몇시간인가하여도 온도가 증가하지않습니다.

    • @수락나무
      @수락나무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대마왕-SCTL 그러면 작은 클램프로 구햐서 하시면 열로 인한 문제가 없고 전류를 6A 이성 흘려도 전꼽둥둥을 유지하겠네요. 박막으로 두텁게 제작하고 클램프로 재실험하시되 시연회 형태로 진행하시면 안될까요?

  • @머루-t5d
    @머루-t5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와우 드디어 인류 문명이 바뀬ㄷᆢ

  • @EVAhill-c5k
    @EVAhill-c5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기다리던 영상이었어요. 결과에 행복합니다. 감사합니다. 대마왕님 ^^

  • @panda-goon
    @panda-goo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대마왕님 힘내세요 응원합니다. 악플들은 신경 쓰지 마시고, 댓글 참고하여 다음 시연 준비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ex.은선연결시 열이 나지만 클램프는 열이 나지 않는 것을 보여주는 등)

  • @v갤럭시폴드2
    @v갤럭시폴드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자석위에 뭐가 뜨는거 본사람? 극과 극을 반대로 해서 가두는거 말고 저렇게 온전하게 말이야 ㅋㅋ

  • @세상의빛-m6g
    @세상의빛-m6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언옵테늄이네요 대단합니다🎉

  • @불광불급의호구탈출
    @불광불급의호구탈출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저항이 제로인데 왜 열이나서 연기가 나는지 궁금하네요?

    • @YukoKano-ec5qj
      @YukoKano-ec5qj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이어에서 연기 나용!

  • @용수철팡팡
    @용수철팡팡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초전도체의 시대를 맞이할 준비를 하십시요!
    선명히 미래가 그려집니다^^

  • @김승연-i5o
    @김승연-i5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영상 시작 후 31초에 헉!소리가 입밖으로 튀어나왔다.

  • @박동철-q6d
    @박동철-q6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대마왕~유동들 신경쓰지마. 이 세상에는 돌i 많으니까. 하던대로 해. 진심으로 응원해~화이팅

  • @안혜영-j9b
    @안혜영-j9b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상용화가 되서 세계에서 앞장서는 기업에 기대해봅니다.
    응원합니다

  • @npcpu8401
    @npcpu840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대마왕!!!!!!
    당신은 최고야!!!!!!

  • @philliplee9159
    @philliplee915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한국이 지구를 살린다

  • @하정우-f8z
    @하정우-f8z 9 месяцев назад +9

    굿

  • @michaelperrone3867
    @michaelperrone386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But that repulsion is just due to the induced magnetic field from the current?

    • @zookchang
      @zookchan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 질문이 일리가 있어 보이는데 어떻게들 생각하시는지 모르겄네요 전류가 흘러서 유도된 자기장 때문에 반발한 거 아니냐라는 건데

    • @안경석-m3n
      @안경석-m3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구리는 안뜨던데요.

    • @zirize
      @ziriz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If it's a normal magnetic repulsion like the Lorentz force, it should be pushed out of the magnetic field lines like in 6A, but if it's in some equilibrium and stays in a certain position, then you have to consider superconductor magnetic properties like quantum locking. Of course, it's not impossible in theory for it to stay in one place with traditional magnetic properties, but it's almost impossible in practice.

    • @michaelperrone3867
      @michaelperrone386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zirize But the wires also apply a force, so it's a constrained problem with a local minimum at the boundary.

    • @zirize
      @ziriz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michaelperrone3867 That's a 0.2 mm thick silver wire. The experimenter chose a silver wire as thin as a human hair to minimize interference from the wire. In the video, the experimenter increases the power to 6 A and you can see the sample bounce off. This is how a normal Lowranz force should react.

  • @박오비-r2j
    @박오비-r2j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대단하십니다 !!

  • @Uuuuuu509
    @Uuuuuu50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신성델타 관계자가 되셔서 더 발전하고 계시네요.

  • @지준석-o5u
    @지준석-o5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고생하셧네요,, 꾸벅

  • @길-f5q
    @길-f5q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멋지십니다🎉🎉🎉🎉

  • @jongha8972
    @jongha897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대마왕님 멋지세요❤❤❤❤

  • @뱅뱅-v2m
    @뱅뱅-v2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완벽한 제삼의 물질 재현입니다
    부디 샘풀을 미국APLM에 제출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리나라 저능학회는 안보내셔도 됩니다

  • @jyongmin
    @jyongmi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임계전류값을 넘었기 때문에 저 샘플은 초전도성을 잃었겠죠 흑😢

  • @hongs4939
    @hongs493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와 대박~~
    감사합니다..^^

  • @frhyewfwd2579
    @frhyewfwd257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실험 고생해주셔 감사합니다
    우리 초전도체 기술을 잘 보호받기를~

  • @Hoi호이
    @Hoi호이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응원합니다. 진짜 수고많으셨어요!!

  • @user-cf7yl7mx5m
    @user-cf7yl7mx5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사랑해요 대마왕햄 어떤 잡것들이 욕해도 흘려들으세요 응원합니다

  • @84용
    @84용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왜 퀀텀은 이런 연상 안 올리는 걸까요?

  • @nokkcha5431
    @nokkcha543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구리랑 확연히 다르네요
    축하합니다🎉
    렌츠의 법칙이 아니에요

  • @GhostOfWord
    @GhostOfWor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걸 드디어 봅니다 ㅠㅠ
    정말 고생하셨습니다!

  • @kimjeungkun
    @kimjeungku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화이팅! 응원합니다 ^^

  • @대전수지
    @대전수지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자주 영상올려주세요..응원합니다 홧팅에요❤❤

  • @bemmath2203
    @bemmath220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5A이면.. 말씀하신대로 그닥 약한 전류가 아닌데.. 부양은 하지만 락킹 현상은 안보이네요.. 이게 초전도체 부양현상인지 아니면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단순히 자석과 서로 밀어낸 현상인지는 어떻게 구분하죠? 구리가 뜨지 않은 이유는 샘플보다 구리가 더 무거워서 아닌가요? 중간에 샘플이나 구리 없이 전선으로 코일 형태로 한두바퀴만 감아서 전류를 흘려보내도 전자기유도 현상으로 코일이 뜨지 않나요?
    단순히 자성으로 인해 부양한거면 샘플이 튕겨 나간다고 하는 분들.. 전선이 튕겨 나가지 않게 붙들고 있는걸로 해석될 여지는 없어 보이나요?

    • @sunset-z6n
      @sunset-z6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멍멍ㅎ

    • @amumuda
      @amumuda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여긴 눈에 보이는것을 더 중시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ㅋㅋ 전류가 먼지도

    • @대마왕-SCTL
      @대마왕-SCT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샘플과 구리시편 무게는 거의차이가 나지않지만 샘플은 자석 양면에 부양하고 붙지않습니다. 은선이 고정하는 역할에 관여하는것은 가능성이 있습니다. 해당현상은 샘플에 쿠퍼쌍이 증가하여 반자성이 강해지는 현상이 자석 극성에 상관없이 발생하는것이 중요하며 이는 로렌츠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 부분입니다.

    • @sebjang
      @sebjan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구리선을 페라이트에 감아서 시편 무게로 만들고, 여기에 전압이 4.8V, 전류 5A가 걸리게 하면, 전자석이 되니, 이것도 아마 공중부양으로 뜰 겁니다. 결국, 비교 시험이 잘못된 영상입니다.

    • @npcpu8401
      @npcpu840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sebjang양극을 바꿔도 샘플은 뜬다고 댓글에 돼있잖아ㅋㅋ 전자석이 된다면 바꿨을경우 붙어야지ㅋㅋㅋ
      그리고 은선을 샘플에 붙이기만했지 감지는 않았는데?
      왜 이렇게 인정 못하냐ㅋㅋㅋㅋ

  • @택사마-k3m
    @택사마-k3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정말 기다리던 영상입니다. 정말수고하셨습니다 🎉🎉

  • @cheolhanjang4831
    @cheolhanjang483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영상보다 사무실에서 소리를 질러버렸어요

  • @yosiy
    @yosi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실 부양보다는 저항이 0인게 중요한건데 다음 영상은 저항 측정 해주셨음 좋겠네요

  • @예영-p1d
    @예영-p1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퀀텀에너지연구소분들과 대마왕님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 @y호
    @y호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진심 대박이네요
    감사합니다

  • @삼쌍왕말코
    @삼쌍왕말코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제 초전도체 믿음이 깊어지네요. 몰빵들어갑니다~^^

  • @yosiy
    @yosi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혹시 퀀텀에너지 연구소에서 일하고 계신건가요? 만약 맞다면 논문 쓰셔도 될 듯

  • @TV-yw7lx
    @TV-yw7l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공중에 떳을때 저렇게 건드려도 유지가 되는데, 로렌스법칙으로 설명이 되는건가요? 0:47

  • @안경석-m3n
    @안경석-m3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대박!

  • @Gilbert7Gregory
    @Gilbert7Gregor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동영상 잘 봤습니다. 부서진 샘플 조각들을 버리지 마시고 유리 용기에 모아서 'Compact Hot Pellet Press' 기기에 고압으로 가열 압축하여 Pellet 샘플을 만들면 좋겠네요. 'Compact Hot Pellet Press' 기기는 대학 연구소나 일반 연구소에 있을 듯 합니다. 응원합니다. 힘내세요.

  • @miru0686
    @miru068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좋네요..자주 올려줘요. 뭐라도

  • @멸공특공701-88
    @멸공특공701-8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것을 부수다 보면 초전도성이 많은곳은 , 전류없이 혼자 뜰수도 있다 그건가요?

  • @평화-m5x
    @평화-m5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캬 대한민국 새 먹거리 가즈아

  • @hjlee3416
    @hjlee341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대마왕님 홧팅임다!!!

  • @hiru1971
    @hiru197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고생 많으십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 @mangosoft3755
    @mangosoft375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두둥실~ 샘플 크기도 커지고 멋지넹!!

  • @user-it7zs5dr1r
    @user-it7zs5dr1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영상을 다시 보니 시료의 한 쪽 방향의 실버 페이스트에서 연기가 나는 것을 확인 했습니다. 즉 전류가 시료를 통과한 후 접촉하는 곳에서 시료에서 통과된 과량의 전하에 의해 페이스트에서 저항에 의한 열 발생이 아닌가 추론해 봅니다. 구리에서는 변화가 없는 것이 이를 증명해 주는 것으로 추론합니다. 시료는 rtsc

  • @Seatiger-rm6xi
    @Seatiger-rm6x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전기저항 제로가 어디 보임?

    • @nagne4416
      @nagne441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다른 영상에 있습니다

    • @Seatiger-rm6xi
      @Seatiger-rm6x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걸 강조해야죠

    • @nagne4416
      @nagne441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Seatiger-rm6xi 강조했지만 사람들은 관심 없어요
      학자들 조차 관심가지지 않습니다
      일반인이 구현했고 홍보조차 부족하니 대부분 알려하지 않죠

    • @스팸마요-q6g
      @스팸마요-q6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전기저항 영상에서는 완전부양을 찾고.. 완전부양에서는 전기저항을 찾고.. 사람들이 그렇네요.

    • @sh-nc3up
      @sh-nc3u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사람들 참 이상하긴 해요. 궁금하면 다른 동영상 보면 버젓이 나와있는데

  • @extensorcarpiradialisbrevi3419
    @extensorcarpiradialisbrevi341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와~ 허접해보이는 기기로 멋진 시연을!!! 응원힙니다. 대마왕니뮤ㅠㅠ

  • @이상남-t7b
    @이상남-t7b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뜨는거 처음 봄 🎉 진짜가 맞다~ 등제는 언제 특허도 언제 인지요 ~ 너무 오래 기다렸다는

    • @이종재-y1i
      @이종재-y1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냥 언제나처럼 기다리시면 될것같은데요

    • @임정혁-o4h
      @임정혁-o4h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퀀연에서 발표한거 재현하신거라 특허를 내고 싶어도 못내는거 아닌가요?

  • @whychangenicknamerule
    @whychangenicknamerul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와 대박이네요 ㄷㄷ

  • @TV-yw7lx
    @TV-yw7l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크으 .. 감사합니다

  • @kjgkim6598
    @kjgkim659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의 짧은 소견인데 선을 그대로 연결 하면 쇼트로 열이 나니 선 중간에 작은 전구 (led) 연결 하면 그래도 전류는 통하니 어떻지,,, 그냥 저 생각 입니다,,,,,

  • @luckbless3391
    @luckbless339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아름답네요

  • @서연국-s6t
    @서연국-s6t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갓마왕 소리 질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