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earbuttheheart_scheherazade 혹시 제가 블루투스 헤드폰으로 음악 들을 일이 많아서 btd600을 샀는데 이게 연결이 좀 불안정해져서 아무래도 안 쓰게되더라고요, 선문제인 거 같던데 혹시 카다스티처럼 맥세이프 연결되는 aptx adaptive 지원하는 앰프나 뭐 그런 거 없겠죠? ㅠㅠ 아무래도 확실히 adpative 쓰면 확 차이나는 게 느껴지기는 한데... 스트리밍으로 음악을 듣다보니 dap를 사기도 애매하고... 동글 쓰긴 써야 할 거 같은데 그냥 신제품을 기다려야 하나 하면서 지내고 있습니다.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소니 wf 1000xm4 헤드폰을 쓸때 같은 헤드폰을 사용한다고 가정하고 같은 소니 PHA3 헤드폰 앰프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면 기존 순정 헤드폰 케이블에서 중고가의 헤드폰 케이블로 교체하는것과 최신 플레그십 스마트폰에서 아스텔앤컨 맥스 DAP로 변경하는것 중에서 어떤게 더 체감 효과가 크게 느껴질까요? 그리고 아스텔앤컨 DAP 제품은 발열이 심하다고 들었는데 아스텔앤컨 맥스 DAP와 소니 NW-WM1AM2 DAP를 놓고 비교한다면 클래식을 듣는다고 가정할때 어떤 제품이 더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을까요? 일단 200만원 선에서 구매하는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혹시 청음샵에 방문한다면 여러가지 조합으로 청음해 볼 수도 있나요? 청음샵도 하나의 스토어인데 한 손님이 이것 저것 요구하는게 많으면 안될것 같아서요.....
1. 말씀하시는게 WH-1000XM4 맞나요? WF는 이어폰이라서요. 2. 블루투스 헤드폰 자체에 DAC/AMP가 내장되어있고, 애초에 블루투스용으로 소리가 셋팅되어 나오기 때문에 외부 DAC/AMP를 연결하게끔 설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더욱이 PHA3같은 고급 DAC/AMP는 유선 헤드폰을 사용하셔야 제대로 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여러가지 조합으로 청음하시는데 아무런 제약이 없습니다. 걱정없이 매장 MD 들에게 도움을 요청해주세요!
1. DAP에도 DAC가 들어있고, 외장형 DAC/AMP에도 DAC가 있으니 사실 중복이긴 합니다. 2. 보통 디지털 케이블로 연결하게 되므로 DAP 쪽의 DAC를 사용하지 않고 외장형 DAC/AMP의 DAC를 사용하게 됩니다. 3. 이어폰에는 DAC가 더 주요하고 헤드폰에는 AMP가 더 주요하므로 저렇게 연결하는 분들은 AMP쪽의 성능을 더 강화해 헤드폰을 듣겠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4. 이어폰을 사용하는데 위와 같이 연결하는 것은 그다지 권장되지 않습니다.
보고 있으면 힐링되네요🎉
에....? 조금 의외지만 감사합니다!!
@@notearbuttheheart_scheherazade 혹시 제가 블루투스 헤드폰으로 음악 들을 일이 많아서 btd600을 샀는데 이게 연결이 좀 불안정해져서 아무래도 안 쓰게되더라고요, 선문제인 거 같던데 혹시 카다스티처럼 맥세이프 연결되는 aptx adaptive 지원하는 앰프나 뭐 그런 거 없겠죠? ㅠㅠ
아무래도 확실히 adpative 쓰면 확 차이나는 게 느껴지기는 한데... 스트리밍으로 음악을 듣다보니 dap를 사기도 애매하고... 동글 쓰긴 써야 할 거 같은데 그냥 신제품을 기다려야 하나 하면서 지내고 있습니다.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Fwanak 스마트폰 제조사에서 새로운 BT 코덱을 집어넣는게 그렇게까지 큰 문제가 아닌데도 지원안해주는 걸 보면...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오늘도 많이 배우고 갑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헤이숏토크 참 좋은 것 같습니다. 두분 MD님 수고많으셨습니다. 오늘도 잘 봤습니다 ^^
감사합니다 사월오월님!
셰에에서 제일 좋아하는 코너 헤이숏토크
너무너무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이탈님!
4:42 저도 특정 브랜드 청음하고 사운드나 튜닝이 맘에 들면 구입 까지 이루어 지는 경험 많이 해봤습니다 :)
특히 유선 제품 일때는 더욱더 만족스럽네요
역시 음악은 유선으로 ㅎㅎ
오늘도 잘봤어요~
자막 다느라 수고하셨을텐데 폰으로 보시는분도 생각하면 크기들을 다 키우는게 좋을것같아요
네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강의녹화용으로 쓸 만큼 마이크가 좋은 무선 헤드셋을 추천받을 수 있을까요. 블루투스로는 답이 없더라구요...
블루투스가 아닌 2.4GHz Wireless(무손실, 무지연) 방식으로 된 헤드셋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주로 게이밍 헤드셋들이 이런 연결 방식을 사용합니다.
200만원대 재즈 장르에 어울리는 이어폰은 어떤것들이 있나요?(사실 100만원대라면 더 좋습니다;)
Faudio - DarkSky, MEZE-라이펜타, HUM-Pristine 추천드립니다.
소니 wf 1000xm4 헤드폰을 쓸때 같은 헤드폰을 사용한다고 가정하고 같은 소니 PHA3 헤드폰 앰프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면 기존 순정 헤드폰 케이블에서 중고가의 헤드폰 케이블로 교체하는것과 최신 플레그십 스마트폰에서 아스텔앤컨 맥스 DAP로 변경하는것 중에서 어떤게 더 체감 효과가 크게 느껴질까요? 그리고 아스텔앤컨 DAP 제품은 발열이 심하다고 들었는데 아스텔앤컨 맥스 DAP와 소니 NW-WM1AM2 DAP를 놓고 비교한다면 클래식을 듣는다고 가정할때 어떤 제품이 더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을까요? 일단 200만원 선에서 구매하는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혹시 청음샵에 방문한다면 여러가지 조합으로 청음해 볼 수도 있나요? 청음샵도 하나의 스토어인데 한 손님이 이것 저것 요구하는게 많으면 안될것 같아서요.....
1. 말씀하시는게 WH-1000XM4 맞나요? WF는 이어폰이라서요.
2. 블루투스 헤드폰 자체에 DAC/AMP가 내장되어있고, 애초에 블루투스용으로 소리가 셋팅되어 나오기 때문에 외부 DAC/AMP를 연결하게끔 설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더욱이 PHA3같은 고급 DAC/AMP는 유선 헤드폰을 사용하셔야 제대로 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여러가지 조합으로 청음하시는데 아무런 제약이 없습니다. 걱정없이 매장 MD 들에게 도움을 요청해주세요!
40초에 아이유가 착용한 이어폰은 뭘까요..?
에어팟인것 같아요
비슷비슷하게 생긴 코드리스 이어폰이 워낙 많아 잘 모르겠네요.
시간되시면 나중에 b&w px8리뷰 가능할까요?
네 곧 촬영예정입니다~ 근데 공개는 언제 될지 모르겠네요 :)
젠하이저 모멘텀 인이어에서 ie800s까지 쭉 달려왔네요. ie900은 언제 갈려나
모멘텀 인이어... 추억의 모델이군요.
이번 헤이숏토크가 올해 마지막이겠네요. 올 2022년 수고많으셨고 내년 2023년에도 좋은 질문 많이 들어오길 기대해봅니다. 질문과는 별개로 내년에는 포칼 입고 좀 추진해주시면...ㅎㅎ
늘 감사드립니다!
한 가지 질문을 드리고 싶어요.
Dap 에 덱엠을 붙여(가령 모조2이나 nx7)를 붙이는 분들이 계셨는데.. 그럼 편의성 이동성은 제외하고 음질만 놓고 보면 이게 끝판왕이 되는 게 맞는 건가요?
1. DAP에도 DAC가 들어있고, 외장형 DAC/AMP에도 DAC가 있으니 사실 중복이긴 합니다.
2. 보통 디지털 케이블로 연결하게 되므로 DAP 쪽의 DAC를 사용하지 않고 외장형 DAC/AMP의 DAC를 사용하게 됩니다.
3. 이어폰에는 DAC가 더 주요하고 헤드폰에는 AMP가 더 주요하므로 저렇게 연결하는 분들은 AMP쪽의 성능을 더 강화해 헤드폰을 듣겠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4. 이어폰을 사용하는데 위와 같이 연결하는 것은 그다지 권장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