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담-h1m 정지원 코치님이 설명을 잘해 주십니다 제가 올리는 영상들은 사전 협의해서 준비된 내용이 아니고, 평상시 레슨시간에 진행된 내용에, 제가 약간의 설명을 덧붙이는 방식인데, 코치님이 사전에 준비한 내용인지, 누르면 자동으로 재생되는 것인지 모르나, 코치님은 항상 상황에 맞는 설명을 잘 해 주십니다
@@JAMES-xv3kx 네 저도 유사한 생각은 갖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상회전(횡상회전) 과 코치님이 횡회전이고, 탁구대를 맞고나서 휘지않고 튕기는 거라고 표현하는 공이 동일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죠 어떻거나 저는 탁구대에 맞고 휘는 구질과 휘는 정도가 적은 구질이 있다고 생각하고, 그 구질을 코치님 말씀처럼, 반회전반커트, 회전이라고 기억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로빈의꿈반회전반커트는 커트가 섞여 있는 경우라서 내게 오는 속도도 다르고 리시브 방법도 전혀 다릅니다 . 부수가 좀 더 오르시면 좀 더 다양한 공을 만나게 되고 이해가 되실겁니다. 사견으로는 아마도 오픈 하위부수에서는 많이 휘는 커트 성질이 없는 순수 횡서브가 거의 없기에 현실적으로 그런 설명을 하신 것으로서 이해하셔도 되실 듯합니다 😊
엄밀히 말씀드리면, 완벽하게 커트성이 없고 횡회전만 있는 공(상하 회전은 없고 수평방향 회전만 있는 공) 은 휘지 않는 것 이 맞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릴때 갖고 놀았던 팽이의 기억 때문인데 팽이가 길게 회전하는 경우는 회전축이 휘어진 경우입니다 팽이의 회전축이 수직이라면 아무리 세게 쳐서 회전이 많더라도 제자리에 가만히 서서 회전만 합니다. 빙둘러 사면팔방 360도에 걸처 동일한 공기 압력을 맞게 되기 때문입니다 팽이를 억지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축이 흔들리지 않는한 그 방향으로만 이동하지 휘지는 않습니다. 방향이 휘는 경우는 축이 흔들린 때 뿐입니다 제가 공의 회전을 눈으로 보지 못하기 때문에, 반회전반커트, 회전, 상회전 등 다양한 이름으로 구분하여 공을 부르지만, 본질상 회전만 있는 공(회전축이 수직인 공)은 휘지 않는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그렇게 생각하시면 어쩔수 없죠 실력이 좀 더 오르셔서 실전에서 직접 겪어보는 수밖에 없을 듯합니다. 참고로, 유튜브에 다양한 포핸드 (백핸드) 횡회전 서브를 좀 더 검색해보시면 진실을 아실겁니다. 그 서브들은 커트가 섞인 반회전반커트와 리시브에서 다릅니다. 저도 영상의 코치님처럼 많은 성인들을 지도하는 코치 입장에서 말씀드린 겁니다. 더 이상 관련 댓글은 달지 않겠습니다.
회전공이 휘지 않는다는 것은 레슨 당시에는 전부 이해하지 못했는데, 팽이를 생각하면서 이해하게 됐습니다 팽이가 아무리 빨리 돌아도 모든 방향에서 균일한 영향을 받아서 제자리에 있는 것처럼 휘지 않는 다는 것이죠. 반면 팽이가 기울어지면 팽이가 큰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는 것이 반회전반커트 상황과 동일한 것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회전공이 휘지 않는다는 걸 첨으로 알게 되었고 참 신기하네요. 제 경우에 왼손 펜홀더의 백핸드 서브(커트. 반회전 반커트, 너클, 횡회전 서브, 상회전 )를 리시브하는 경우 엄청 헷갈리고 리시브가 안됩니다. 라켓을 대면 튀어(상회전, 너클, 횡회전)나가거나 네트에 꽂히는 경향(커트, 반회전 반커트)이 대부분이라 게임이 안됩니다 ㅠㅠ . 리시브 이론과 방법을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저의 코치님이 이 댓글을 봐야 할텐데... 제 채널을 보시면 알겠지만 리시브 관련 영상이 많습니다 저도 님과 같은 어려움이 있는 것을 잘 알기 때문에 코치님이 관련 레슨을 주기적으로 해 주시거든요 이론적으로야 빠른공은 툭 건드려서, 회전을 풀어주는 느낌으로, 느린공은 커트나 플릭 등 다양하게 대응하는 것일텐데, 사람마다 서브의 질이 다 달라서 유튜브를 통해 간접적으로 익히는 거는 한계가 있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주변에서 레슨 받는 것 추천드리고, 많은 경험도 필요한 듯 합니다
횡회전, 반회전반커트 이해가 가게 설명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청담-h1m 정지원 코치님이 설명을 잘해 주십니다
제가 올리는 영상들은 사전 협의해서 준비된 내용이 아니고, 평상시 레슨시간에 진행된 내용에, 제가 약간의 설명을 덧붙이는 방식인데, 코치님이 사전에 준비한 내용인지, 누르면 자동으로 재생되는 것인지 모르나, 코치님은 항상 상황에 맞는 설명을 잘 해 주십니다
3부인데 처음 알았네ㅋㅋㅋ 레슨을 받아야 하는 이유네요.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영상으로 보면 횡회전과 횡상회전을 혼동하시는 듯합니다😅
제대로된 횡회전 은 한쪽으로 상당히 깊이 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휘는 방향을 무시하고
영상처럼 마치 위로 뛰는 상회전처럼 받으시면 헛스윙이 나오기도 합니다.😂 참고하세요 😊
@@JAMES-xv3kx 네 저도 유사한 생각은 갖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상회전(횡상회전) 과
코치님이 횡회전이고, 탁구대를 맞고나서 휘지않고 튕기는 거라고 표현하는 공이 동일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죠
어떻거나 저는 탁구대에 맞고 휘는 구질과 휘는 정도가 적은 구질이 있다고 생각하고, 그 구질을 코치님 말씀처럼, 반회전반커트, 회전이라고 기억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로빈의꿈반회전반커트는 커트가 섞여 있는 경우라서 내게 오는 속도도 다르고 리시브 방법도 전혀 다릅니다 . 부수가 좀 더 오르시면 좀 더 다양한 공을 만나게 되고 이해가 되실겁니다.
사견으로는
아마도 오픈 하위부수에서는 많이 휘는 커트 성질이 없는 순수 횡서브가 거의 없기에
현실적으로 그런 설명을 하신 것으로서 이해하셔도 되실 듯합니다 😊
엄밀히 말씀드리면, 완벽하게 커트성이 없고 횡회전만 있는 공(상하 회전은 없고 수평방향 회전만 있는 공) 은 휘지 않는 것 이 맞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릴때 갖고 놀았던 팽이의 기억 때문인데
팽이가 길게 회전하는 경우는 회전축이 휘어진 경우입니다
팽이의 회전축이 수직이라면 아무리 세게 쳐서 회전이 많더라도 제자리에 가만히 서서 회전만 합니다. 빙둘러 사면팔방 360도에 걸처 동일한 공기 압력을 맞게 되기 때문입니다
팽이를 억지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축이 흔들리지 않는한 그 방향으로만 이동하지 휘지는 않습니다. 방향이 휘는 경우는 축이 흔들린 때 뿐입니다
제가 공의 회전을 눈으로 보지 못하기 때문에, 반회전반커트, 회전, 상회전 등 다양한 이름으로 구분하여 공을 부르지만, 본질상 회전만 있는 공(회전축이 수직인 공)은 휘지 않는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그렇게 생각하시면 어쩔수 없죠
실력이 좀 더 오르셔서 실전에서 직접 겪어보는 수밖에 없을 듯합니다.
참고로,
유튜브에 다양한 포핸드 (백핸드) 횡회전 서브를 좀 더 검색해보시면 진실을 아실겁니다.
그 서브들은 커트가 섞인 반회전반커트와 리시브에서 다릅니다.
저도 영상의 코치님처럼
많은 성인들을 지도하는 코치 입장에서 말씀드린 겁니다.
더 이상 관련 댓글은 달지 않겠습니다.
회전공이 휘지 않는다는 것은 레슨 당시에는 전부 이해하지 못했는데, 팽이를 생각하면서 이해하게 됐습니다
팽이가 아무리 빨리 돌아도 모든 방향에서 균일한 영향을 받아서 제자리에 있는 것처럼 휘지 않는 다는 것이죠.
반면 팽이가 기울어지면 팽이가 큰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는 것이 반회전반커트 상황과 동일한 것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로빈의꿈 아주 좋은 예네요 이해가 쏙 됐습니다 상대가 횡서브일때는 바운드만 잘 맞춰서 쇼트로 쭉 밀어주면 되는거네요
로빈님 신발 바닥이 다 닳아서 그런가요 아님 마루 바닥에 기름칠을 해야하나요 오른발 들어가서 짧은거 받으실때 거의 미끄러지게 움직이시는데 부상의 위험도 있으니까 확인 좀 해보세요
신경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둘 다 이유일 수 있습니다
휘는 만큼 커트가 먹었다고 봐야겠군여 ㅎ
네 그런거 같습니다
저는 모르고 있었는데 걱정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레슨 받는 분들의 땀이 떨어지면서 기름기도 같이 쌓인것 같아요... 그 구연산 스프레이가 바닥청소엔 좋다고 하네요
회전공이 휘지 않는다는 걸 첨으로 알게 되었고 참 신기하네요. 제 경우에 왼손 펜홀더의 백핸드 서브(커트. 반회전 반커트, 너클, 횡회전 서브, 상회전 )를 리시브하는 경우 엄청 헷갈리고 리시브가 안됩니다. 라켓을 대면 튀어(상회전, 너클, 횡회전)나가거나 네트에 꽂히는 경향(커트, 반회전 반커트)이 대부분이라 게임이 안됩니다 ㅠㅠ . 리시브 이론과 방법을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저의 코치님이 이 댓글을 봐야 할텐데...
제 채널을 보시면 알겠지만 리시브 관련 영상이 많습니다
저도 님과 같은 어려움이 있는 것을 잘 알기 때문에 코치님이 관련 레슨을 주기적으로 해 주시거든요
이론적으로야 빠른공은 툭 건드려서, 회전을 풀어주는 느낌으로, 느린공은 커트나 플릭 등 다양하게 대응하는 것일텐데, 사람마다 서브의 질이 다 달라서 유튜브를 통해 간접적으로 익히는 거는 한계가 있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주변에서 레슨 받는 것 추천드리고, 많은 경험도 필요한 듯 합니다
좌회전 회전서브가
좌회전 횡상회전의 의미아닐까요?
좌 횡상회전 이 정확한 단어일것 같은데
뇌피셜 입니다만
@@남광우-i9o 저도 비슷한 의미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똑같은 용어를 쓰더라도 의미는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까요
미끄러질까 불안 불안
걱정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바닦이엄청 미끄러워보이는데
저는 잘 모르고 있었는데 조심하겠습니다
횡도 강한 횡은 커트라고 생각하고 대해야 합니다
세기보다는 횡으로 찍으면 커트가 먹고 밀면 그냥 횡이 아닌가요..
그런 변수를 줄이라고 코치님은 좀 세게 다루라고 하는 모양입니다
그게아니고. 자세히보니 탁구화가아닌거같네요. 일반운동화같네요
@@유경만-z9k대전 탁구 전문점에서 구매한 탁구화 맞습니다
저는 아직 사용 가능하다고 생각하는데 조만간 교체를 하긴 해야 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