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풀이】 전기기기 01강(p.32~38)_1장 직류 발전기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36

  • @전기뿌수기
    @전기뿌수기  Месяц назад +2

    ⏰타임라인⏰
    00:00 인트로
    00:20 1번
    02:06 2번
    04:29 3번
    10:27 4번
    13:08 5번
    15:12 6번
    15:38 7번
    17:18 8번
    18:41 9번
    21:09 10번
    22:07 11번
    23:25 12번
    24:27 13번
    27:43 14번
    30:20 15번
    34:22 16번
    36:18 17번
    41:47 18번
    45:17 19번
    47:26 20번
    51:58 21번
    58:33 22번
    59:38 23번
    1:01:38 24번

  • @yongsangcho5223
    @yongsangcho5223 29 дней назад

    강의 잘보고갑니다.

  • @jiwoongchoi7908
    @jiwoongchoi790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됐습니다.
    문풀인데 핵심 개념도 같이 설명해주셔서 학습하기 너무 좋네요

  • @철도-g7p
    @철도-g7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개념 강의 듣고 문제 풀이가 쉽지 않았는데 영상 들으니까 이해가 되고 감이 잡히네요! 감사합니다.

  • @wookswooks2835
    @wookswooks2835 Год назад +4

    감사합니다!

    • @전기뿌수기
      @전기뿌수기  Год назад

      댓글남겨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 @user-es2sp9cl6o
    @user-es2sp9cl6o Год назад

    23:00 타여자 무부하일때 책이랑 인강에서 Ia=I=0 이라고 되있는데 답은 3번인데 답4번하고 헷갈리네요😢,,

    • @전기뿌수기
      @전기뿌수기  Год назад

      무부하라는 조건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부하가 걸린 상황으로 해석해주셔야해요:)

  • @이사람-j5r
    @이사람-j5r 29 дней назад

    19번 문제 분권발전기는 무부하시 유기기전력이 0인데 틀린 문제인거 아닌가요?
    뜬금없이 전기 폐회로 취급해서 키르히호프 법칙이 나오네요?

  • @heechanmoon5096
    @heechanmoon5096 Месяц назад

    직류발전기 회로에서 계자전류 부하전류는 직류가 맞을까요?

  • @황인수-g3o
    @황인수-g3o 2 месяца назад

    정리하자면 전압 변동률은 '무부하 전압이 정격전압에 비해 몇 %로 커졌는지' 말하는 거다, 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 @전기뿌수기
      @전기뿌수기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네, 일반적인 경우는 무부하시 단자전압이 더 크게 됩니다.

  • @은관우-k2e
    @은관우-k2e Год назад +1

    하나를 표현하는 용어가 다양해서 헷갈리네요ㅎㅎ ”정격전압=단자전압” 이렇게 이해해도 괜찮나요?

    • @전기뿌수기
      @전기뿌수기  Год назад +1

      단자전압은 말그대로 단자에 걸리는 전압입니다..
      정격전압은 기기에 인가해주는 전압정도로만 이해해주세요

    • @은관우-k2e
      @은관우-k2e Год назад

      @@전기뿌수기 감사합니다!

  • @민성김-k5b
    @민성김-k5b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18번 문제에서 타여자발전기의 경우 무부하시 I=Ia=0이라서 E=V0이라고 알고 있고 E=IaRa+V에서 IaRa는 0이니까 브러시의 전압강하만 고려하면 되는거 아닌가여? 무부하면 Ia=0인데 왜 전기자 저항의 전압강하를 고려해서 단자전압, 즉 유기기전력을 계산하는건지 이해가 안됩니다.ㅠ

    • @전기뿌수기
      @전기뿌수기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만들어지는 유기기전력은 부하시나 무부하시나 동일합니다.
      무부하시 단자전압을 구하라는 것은 무부하시 전압강하가 0이므로 무부하시의 유기기전력을 구하라는 것이고
      무부하시 유기기전력은 부하시 유기기전력입니다.
      따라서 부하가 달린 정격상황에서 유기기전력을 구하시면됩니다.

  • @wls-d8i
    @wls-d8i Год назад

    분권발전기는 무부하시 단자전압이랑 유기기전력이 같다고 했는데 19번이 잘 이해가 안돼요ㅠ

    • @전기뿌수기
      @전기뿌수기  Год назад +1

      전기자저항에 계자전류가 흘러서 생기는 전압강하는 사실 매우 작으므로 무시해줍니다.
      따라서 유기기전력과 단자전압은 동일하다고 보는데
      해당 문제는 수치값이 다 주어졌기 때문에 계산을 해주셔야합니다.

  • @나경일-r6m
    @나경일-r6m 3 месяца назад

    17번 문제에서 부하전류 I를 구할때 전력을 전압으로 나눴는데 이 공식은 어디파트에 나오나요?

    • @전기뿌수기
      @전기뿌수기  3 месяца назад

      P=VI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표현합니다.
      회로이론 참고해주세요:)

  • @혀혀현
    @혀혀현 Год назад

    강사님 전에 강의에서 쉽게 이해하게 계피차 얘기하셨었는데 그게 무슨 의미였죠? 간단한거 였던거 같은데 갑자기 생각이안나서 알고싶어요 ㅜ

    • @전기뿌수기
      @전기뿌수기  Год назад +1

      계자 제어 -출력 일정! 계-피 였습니다 ㅎㅎ

    • @혀혀현
      @혀혀현 Год назад

      @@전기뿌수기 빠른답변 감사합니다 !

  • @백승현-n5f
    @백승현-n5f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7번문제 발전기에서 계좌는 코일인데 계좌저항은 XL이 아니라 왜 그냥 저항값으로 계산하나여?? 직류발전기에서 유기기전력이 발생하면 교류전류발생 -> 정류자를통해 -> 직류전류바꿈 -> 그래서 전기자 전류를 루트 계좌전류^2+부하전류^2로 하지않고 계좌전류+부하전류로 더한건가여?

    • @전기뿌수기
      @전기뿌수기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직류 발전기에서 만들어지는 최종 전류는 직류입니다. 따라서 직류로 해석합니다.
      즉, 위상관계가 없는 순수한 저항 성분으로 해석해주세요.

    • @백승현-n5f
      @백승현-n5f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전기 노베이스라 걱정 많았는데 덕분에 기사필기, 공사필기 다 합격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Jan-f4q
    @Jan-f4q Год назад

    1,5,6,13,14,15,17,21,22,23

  • @developer.c2524
    @developer.c252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 @jjinu___
    @jjinu___ Год назад +4

    60점만 넘자 강의 듣고 문풀 넘어왔습니다ㅋㅋ
    잘 마무리 해볼게요ㅠㅠ

  • @몽말-l5t
    @몽말-l5t Год назад

    와 이해가 안되네요

    • @전기뿌수기
      @전기뿌수기  Год назад

      ㅠㅠ 어느 부분이 이해가 잘 안가실까요

    • @몽말-l5t
      @몽말-l5t Год назад

      말도 어렵고 대입하는거랑 다 어렵네요 몇번을 봐도 모르겠네요

    • @전기뿌수기
      @전기뿌수기  Год назад

      혹시 개념강의 수강 하셨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