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азмер ви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ать панель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
Автоповтор
⏰타임라인⏰00:00 인트로00:20 1번 02:06 2번04:29 3번10:27 4번13:08 5번15:12 6번15:38 7번17:18 8번18:41 9번21:09 10번22:07 11번23:25 12번24:27 13번27:43 14번30:20 15번34:22 16번36:18 17번41:47 18번45:17 19번47:26 20번51:58 21번58:33 22번59:38 23번1:01:38 24번
강의 잘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됐습니다. 문풀인데 핵심 개념도 같이 설명해주셔서 학습하기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개념 강의 듣고 문제 풀이가 쉽지 않았는데 영상 들으니까 이해가 되고 감이 잡히네요! 감사합니다.
댓글남겨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23:00 타여자 무부하일때 책이랑 인강에서 Ia=I=0 이라고 되있는데 답은 3번인데 답4번하고 헷갈리네요😢,,
무부하라는 조건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부하가 걸린 상황으로 해석해주셔야해요:)
19번 문제 분권발전기는 무부하시 유기기전력이 0인데 틀린 문제인거 아닌가요?뜬금없이 전기 폐회로 취급해서 키르히호프 법칙이 나오네요?
직류발전기 회로에서 계자전류 부하전류는 직류가 맞을까요?
정리하자면 전압 변동률은 '무부하 전압이 정격전압에 비해 몇 %로 커졌는지' 말하는 거다, 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네, 일반적인 경우는 무부하시 단자전압이 더 크게 됩니다.
하나를 표현하는 용어가 다양해서 헷갈리네요ㅎㅎ ”정격전압=단자전압” 이렇게 이해해도 괜찮나요?
단자전압은 말그대로 단자에 걸리는 전압입니다..정격전압은 기기에 인가해주는 전압정도로만 이해해주세요
@@전기뿌수기 감사합니다!
18번 문제에서 타여자발전기의 경우 무부하시 I=Ia=0이라서 E=V0이라고 알고 있고 E=IaRa+V에서 IaRa는 0이니까 브러시의 전압강하만 고려하면 되는거 아닌가여? 무부하면 Ia=0인데 왜 전기자 저항의 전압강하를 고려해서 단자전압, 즉 유기기전력을 계산하는건지 이해가 안됩니다.ㅠ
만들어지는 유기기전력은 부하시나 무부하시나 동일합니다.무부하시 단자전압을 구하라는 것은 무부하시 전압강하가 0이므로 무부하시의 유기기전력을 구하라는 것이고무부하시 유기기전력은 부하시 유기기전력입니다.따라서 부하가 달린 정격상황에서 유기기전력을 구하시면됩니다.
분권발전기는 무부하시 단자전압이랑 유기기전력이 같다고 했는데 19번이 잘 이해가 안돼요ㅠ
전기자저항에 계자전류가 흘러서 생기는 전압강하는 사실 매우 작으므로 무시해줍니다.따라서 유기기전력과 단자전압은 동일하다고 보는데해당 문제는 수치값이 다 주어졌기 때문에 계산을 해주셔야합니다.
17번 문제에서 부하전류 I를 구할때 전력을 전압으로 나눴는데 이 공식은 어디파트에 나오나요?
P=VI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표현합니다.회로이론 참고해주세요:)
강사님 전에 강의에서 쉽게 이해하게 계피차 얘기하셨었는데 그게 무슨 의미였죠? 간단한거 였던거 같은데 갑자기 생각이안나서 알고싶어요 ㅜ
계자 제어 -출력 일정! 계-피 였습니다 ㅎㅎ
@@전기뿌수기 빠른답변 감사합니다 !
17번문제 발전기에서 계좌는 코일인데 계좌저항은 XL이 아니라 왜 그냥 저항값으로 계산하나여?? 직류발전기에서 유기기전력이 발생하면 교류전류발생 -> 정류자를통해 -> 직류전류바꿈 -> 그래서 전기자 전류를 루트 계좌전류^2+부하전류^2로 하지않고 계좌전류+부하전류로 더한건가여?
직류 발전기에서 만들어지는 최종 전류는 직류입니다. 따라서 직류로 해석합니다.즉, 위상관계가 없는 순수한 저항 성분으로 해석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전기 노베이스라 걱정 많았는데 덕분에 기사필기, 공사필기 다 합격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5,6,13,14,15,17,21,22,23
14
60점만 넘자 강의 듣고 문풀 넘어왔습니다ㅋㅋ잘 마무리 해볼게요ㅠㅠ
화이팅입니다!!!!!!!!!!!!!!!!!!!!!!
와 이해가 안되네요
ㅠㅠ 어느 부분이 이해가 잘 안가실까요
말도 어렵고 대입하는거랑 다 어렵네요 몇번을 봐도 모르겠네요
혹시 개념강의 수강 하셨을까요?!
⏰타임라인⏰
00:00 인트로
00:20 1번
02:06 2번
04:29 3번
10:27 4번
13:08 5번
15:12 6번
15:38 7번
17:18 8번
18:41 9번
21:09 10번
22:07 11번
23:25 12번
24:27 13번
27:43 14번
30:20 15번
34:22 16번
36:18 17번
41:47 18번
45:17 19번
47:26 20번
51:58 21번
58:33 22번
59:38 23번
1:01:38 24번
강의 잘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됐습니다.
문풀인데 핵심 개념도 같이 설명해주셔서 학습하기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개념 강의 듣고 문제 풀이가 쉽지 않았는데 영상 들으니까 이해가 되고 감이 잡히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남겨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23:00 타여자 무부하일때 책이랑 인강에서 Ia=I=0 이라고 되있는데 답은 3번인데 답4번하고 헷갈리네요😢,,
무부하라는 조건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부하가 걸린 상황으로 해석해주셔야해요:)
19번 문제 분권발전기는 무부하시 유기기전력이 0인데 틀린 문제인거 아닌가요?
뜬금없이 전기 폐회로 취급해서 키르히호프 법칙이 나오네요?
직류발전기 회로에서 계자전류 부하전류는 직류가 맞을까요?
정리하자면 전압 변동률은 '무부하 전압이 정격전압에 비해 몇 %로 커졌는지' 말하는 거다, 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네, 일반적인 경우는 무부하시 단자전압이 더 크게 됩니다.
하나를 표현하는 용어가 다양해서 헷갈리네요ㅎㅎ ”정격전압=단자전압” 이렇게 이해해도 괜찮나요?
단자전압은 말그대로 단자에 걸리는 전압입니다..
정격전압은 기기에 인가해주는 전압정도로만 이해해주세요
@@전기뿌수기 감사합니다!
18번 문제에서 타여자발전기의 경우 무부하시 I=Ia=0이라서 E=V0이라고 알고 있고 E=IaRa+V에서 IaRa는 0이니까 브러시의 전압강하만 고려하면 되는거 아닌가여? 무부하면 Ia=0인데 왜 전기자 저항의 전압강하를 고려해서 단자전압, 즉 유기기전력을 계산하는건지 이해가 안됩니다.ㅠ
만들어지는 유기기전력은 부하시나 무부하시나 동일합니다.
무부하시 단자전압을 구하라는 것은 무부하시 전압강하가 0이므로 무부하시의 유기기전력을 구하라는 것이고
무부하시 유기기전력은 부하시 유기기전력입니다.
따라서 부하가 달린 정격상황에서 유기기전력을 구하시면됩니다.
분권발전기는 무부하시 단자전압이랑 유기기전력이 같다고 했는데 19번이 잘 이해가 안돼요ㅠ
전기자저항에 계자전류가 흘러서 생기는 전압강하는 사실 매우 작으므로 무시해줍니다.
따라서 유기기전력과 단자전압은 동일하다고 보는데
해당 문제는 수치값이 다 주어졌기 때문에 계산을 해주셔야합니다.
17번 문제에서 부하전류 I를 구할때 전력을 전압으로 나눴는데 이 공식은 어디파트에 나오나요?
P=VI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표현합니다.
회로이론 참고해주세요:)
강사님 전에 강의에서 쉽게 이해하게 계피차 얘기하셨었는데 그게 무슨 의미였죠? 간단한거 였던거 같은데 갑자기 생각이안나서 알고싶어요 ㅜ
계자 제어 -출력 일정! 계-피 였습니다 ㅎㅎ
@@전기뿌수기 빠른답변 감사합니다 !
17번문제 발전기에서 계좌는 코일인데 계좌저항은 XL이 아니라 왜 그냥 저항값으로 계산하나여?? 직류발전기에서 유기기전력이 발생하면 교류전류발생 -> 정류자를통해 -> 직류전류바꿈 -> 그래서 전기자 전류를 루트 계좌전류^2+부하전류^2로 하지않고 계좌전류+부하전류로 더한건가여?
직류 발전기에서 만들어지는 최종 전류는 직류입니다. 따라서 직류로 해석합니다.
즉, 위상관계가 없는 순수한 저항 성분으로 해석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전기 노베이스라 걱정 많았는데 덕분에 기사필기, 공사필기 다 합격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5,6,13,14,15,17,21,22,23
14
60점만 넘자 강의 듣고 문풀 넘어왔습니다ㅋㅋ
잘 마무리 해볼게요ㅠㅠ
화이팅입니다!!!!!!!!!!!!!!!!!!!!!!
와 이해가 안되네요
ㅠㅠ 어느 부분이 이해가 잘 안가실까요
말도 어렵고 대입하는거랑 다 어렵네요 몇번을 봐도 모르겠네요
혹시 개념강의 수강 하셨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