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피해, 냉해피해, 결실량 부족. 장미과 식물들은 우물을 알아야 냉해피해를 이해한다. 잎이 어릴때는 뭘 줘도 잘 먹지 못한다. 추천량의 반의 반만 살포하자.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00:02) 지금 사과 꽃 화총을 무더기를 보고 계신 건데요 보면네 익히 아시다시피 지금 암술 있는 부분과 수술의 일부 약이라고 하는데 지금 갈변된 거죠 냉해 때문에 그런 건데요이 냉해를 받으면 지금 이렇게 폭 쌓여져 있는 요런 상황에서 바깥에서 차가운 공기로 인해 가지고 문제가 생기는 거잖아요 근데 왜 제일 중심에 있는 저 안쪽 부분이 저렇게 문제가 생기느냐 저거를 잘라보면 제가 한번 잘라 볼게요 [음악] 어떻게 잘한다 잘라보면 저 부분이 뻥 뚫려 있습니다 뚫려 있다라는 거는
(01:05) 꽃잎으로 둘러 쌓여서 막혀 있기는 하나 저 아래 씨방 바로 위에 부분까지는 뻥 하니 뚫려 있고 그 뚫려 있는 우물 같은 거예요 우물 아 옛날에 우물 생각하시면 되겠다 그래서 그 우물이 물이 차 있는 데는 벽이랑 우물 벽이랑 닿아서 막혀 있지만 그 위로는 돌들을 차곡차곡 쌓거나 그래가지고 기어서 내려가기도 하고 막 그랬잖아요 그런 방식으로 되어져 있으니까 우물에 뚜껑을 덮어놔도 차가운 공기가 들어가서 그 벽이 차갑게 식는 거죠 물이 있는 데는 따뜻하지만 그래서 얘들이 저렇게 피해를 보게 되면 암술이 있는 주도 있는 데가 먼저 상하게 되고 그러면 얘는 더 이상 자기의 역할을 못 하잖아요 그러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빨리
(02:07) 다른 곳으로 양분을 보내야 되니까 제일 핵심 기간이 죽으면 되는 거죠 그래서 주로 시방 있는 곳과 그 시방 위에 암술 혹은 수술 일부가 죽게 되죠 그래서 이것도 보시면 밑에 있는 암술이 있는데 부분 실방이 있는데 부분 이런 것들이 다 고사를 하게 되죠 그러면 주변에 다른 거는 멀쩡하냐 한번 잘라 볼까요 뜯어볼까 꽃잎을 딱 하고 뜯어보면 이미 벌써 색깔이 저렇게 되면은 이미 안 되는 거예요 제가 잘라서 다시 갖고 올게요 이게 주변에 치과라도 멀쩡히 버티고 있어야 되는데 제가 지금 칼로 자른 거거든요 보면 저렇게 썩어 있죠 그러면 지금 꽃이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조그만 거 요거 하나까지요 나머지도 뭐 잘라보죠
(03:13) 멀쩡한게 있는가 얘도 그러네요 그러면 지금 제일 큰 얘 먼저 핀 애를 왕꽃이라고 부릅니다 킹 그래서 킹블럼이고 얘는 이제 측화들이거든요 축화들이 지금 다 상태가 안 좋습니다 어 얘는 안 좋을 줄 알고 힘껏 잘랐는데 다행히 살아있네요 지금 보면은 깨끗하잖아요 보면 깨끗하죠 색깔이가 아주 좋지 않습니까 이러면 살아있는 거예요 저거를 이제 수정을 시켜야겠죠 수정을 시키려고 하면은 서두르면 안 돼요 지금 이제 적화 작업이나 뭐 이런 거 하지 마시고 이런 식으로 이거를 잘라 보시고 천천히 해야 됩니다 처음 봐서 잘라 볼까 잘라 보지 뭐 그
(04:22) 뒤에 있는 애를 이제 마저 자른 건데 얘도 지금 마찬가지로 저렇게 되었습니다 뒤에 배경이 넘어갔네요 이게 지금 얼기설기 해보는 거라서 아 됐다 됐어요 그래서 지금 보면 웃으면서 찍어야 될 거는 아닌데 슬픈 일인데 그래도 다행히 한게 얘는 살아있는 거예요 그래서 저거 하나라도 잘 착관을 시키면 될 거 같고요 지금 이파리의 형태가 색깔도 그렇고 굉장히 좀 힘들죠 색깔은 일단 균일해야 되는 거고요 이파리가 될 수 있으면 평평해야 됩니다 러브데드 해야 되고 이런 굴곡진게 좀 없어야 돼요 이런 굴곡들이 근데 지금 보면은 약간 저렇게 꺾여져 있죠 그러면 저게 뭔 일이 생긴 거냐 세포가 또 다른 세포를 만들어서 겹겹이 이제
(05:27) 커지는 거거든요 다르게 말하면 우리가 집을 지을 때 냉각 벽돌을 쌓잖아요 하나 쌓고 그 위에 또 쌓고 또 쌓잖아요 그런 식으로 쌓아야 되는데 중간에게 벽돌이 뭐 안 좋은 거를 넣었거나 그러면 그 위에 올라가는게 잘 지탱이 안 되잖아요 그런식이 된거다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지금 이게 만약에이 화총 전체에서 암술이 다 죽어서 얘가 수정이 안 된다라고 하면 여기에서 나오는 과대지가 이제 엄청나게 크겠죠 여기에 과대지는 어디에 지금 자리를 잡고 있느냐 자리를 어디에 잡고 있느냐 과대지가 얘는 없어요 과대지가 없는 거예요 과대지가 없을 수도 있냐고요 이거 아니냐고요 아니에요
(06:31) 얘는 과대지가 없어요 우리가 농사를 지어보면 과대지가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잖아요 다른 거를 한번 볼까요 시나노골드인데요 아 이게 과대입니다 이렇게 되어져 있는데 확대를 해서 보면 이렇게 있거든요 거기에 과대집니다 저게 이제 커가지고 되는데 저게 보통은 한 뼘 정도 크면 되는데 상황에 따라서이 꽃으로 가야 되는 양분들이 전부 다 냉의 피해를 받아서 결실이 안 되면 어쩔 수 없이 저런 과대지가 많이 성장을 하게 되죠 그러면 우리가 저거 성장을 억제시키는 BBQ 같은 거를 뿌리게 되는 거구요 그래서 이제 한번 뛰어볼까
(07:35) 얘는 그래도 다행히 어이구야 괜찮아요 얘는 수정이 잘 될 것 같아요 그래서 이런 경우에는 이제 등록 방지를 위해서요 부분으로 사비가 생기기 시작을 하는 거거든요 여기가 나중에 사과가 되는 부분이에요 이 사과가 어디가 사과냐 요기가 사과입니다 이게요 부분이요 손톱으로 제가 긁은요 부분이 나중에 커서 우리가 먹는 가식 부위라고 하는 사과가 되는 거예요 그래서 저 부분이 지금 솜털로 잘 쌓여져 있는데 냉의 피해를 봐서 그 안에 조직이 좀 다쳤을 수도 있으니까 요소나 폼이나 나 붕산이나 케어스 같은 것들로 덮어주고 이렇게 하려는 그런 거죠 지금 보면은 잎이 작잖아요 원래 이것들이 작은 잎이에요 그래서 저희가 뭔가를 연면 시비를 한다라고 해도 쉽게 흡수시키는게 어렵습니다 그래서 가급적이면
(08:39) 농도를 너무 진하게 하지 말고 자주 주는 걸로 선생님들 뭐 아미노산을 주고 싶든 포도당이나 요소나 황산구토 이런 거를 주시더라도 처음에 그 추천하는 양의 반의 반 정도만 사용하시고 그리고 나서 이제 수정이 되고 나면 여기 어디 있어 과대지 이런 것들이 좀 더 크면서 이파리들이 커지거든요 그리고 나면은 이제 칼슘도 먹을 수 있고 하니까 그때 가서 조금 더 주시는게 좋습니다 지금 이제 이게 낙화 좀 있으면 꽃잎도 떨어지고 낙화가 되잖아요 그럼 이제 화상병 약제도 살포를 해야 돼요 그래서 화상병 약 살포하시면서 뭐 뭘 쌀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화장병 약을 뭐 항생제를 쓰실지 아니면은 생물 농약을 쓰실지 모르겠습니다만 그런 것들을 사용을 하실 때 농약이랑 혼용을 해도 되느냐라고 묻는데 농약에 따라서 다르고요
(09:43) 항생제에 따라서도 다르고 다양하기 때문에 어떤 농약인지 이름을 알려주시고 이게 되느냐 안 되느냐를 물어보셔야 돼요 그래서 되면은 된다라고 해서 좀 선생님들 봄에 지금 뿌릴 것도 많은데 회차를 좀 줄여 드리고 안 되는 거는 위험하다고 생장점이 있는요 가장자리가 다 타거나 노랗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과 이파리가 이렇게 조그만 거에서 이렇게 커지는게 가운데에서 뭔가 분열을 해서 커지는게 아니고요요 가장자리가 지금은 벽돌을 뭐 10개를 쌓아서이 한 바퀴를 만들어져 있다라고 하면 그 다음에는 12개를 쌓았는 거예요 그 다음에는 16개 막 이렇게 막 하면서 20개 이렇게 해서 커지는 거거든요 그러니까요 가장자리가 망가지면 이파리가 더 커지기 어렵습니다 그러니까는 우리가 사용하는 항생제가 사과해서 그런 장애를 일으키는 것들이 많이 있고 그래서 농약 회사에서 실험을 많이 해서 문제가 없다라는 결론들도 나오는데 날씨가 추울 때는 우리가 냉이
(10:49) 피해라는게 추워서 생기는 거잖아요 날씨가 추울 때에는 물만 뿌리거나 멀쩡하게 뭐 가만히 있다가도 장애가 생기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조심하는게 좋은 시절입니다 그리고 이제 과신 곰팡이 걱정을 하시게 되는데 과신곰팡이가 원래 있던 농가들은 무죄할까요 꽃이 어느 정도 이제 중심화가 핀 거예요 그리고 난 다음에 한 2-3일 있다가 방제를 하셔야 됩니다 제가 여기가 뻥 뚫려 있다고 했잖아요 자르고 올게요 저 뚫려 있는 데에서 꼭 우리가 뭐가 나옵니까 꿀물이 나오죠 꿀물 꿀 지금 저 뻥 뚫려져 있는 저 안쪽에 있는 부분에서 이제 꿀이 나오게 되는데 그게 병원균의 입장에서 보면 얼마나 달콤하고 맛있겠어요 저 안쪽에 지금 암술이 저렇게 죽어 있는데 저 안에
(11:53) 벽 쪽으로 정확히 어디냐 하면은요 제가 설명을 해드릴게요요 벽 쪽 부분이요이 벽쪽 부분 여기가 이제 요거를 잘 안 걷어지겠지만요 걷어내면요 두 변에 둘러싸고 있는 우물 벽 같은 부분에서 뭐를 꿀 그러니까는 벌이 먹으니까 꿀이라고 하는데 실제로는 설탕이에요 포도당과 과당이 합쳐져 있는 스크로스라고 하는 물인데 그 물을 먹는 거거든요 그래서 그 물이 나오는 곳인데 거기에 병원균이 붙는 거예요 그러니까는 개화를 하고 나서 약을 쳐야 되는데 지금은 보면 중심화가 망가지는 경우가 많은 지역에서는 조금 더 시차를 두시고 옆에 축하드리나 이렇게 보시고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방제를
(12:57) 야 알려드릴게 많은데 시간은 자꾸 가네 예 꽃잎은 굉장히 진하구요 얘는 연하고 크면서 점점 하얘지거든요 혹시 왜 그런지 아세요 꽃잎도 광합성을 할까요 여기 보면 암술이랑 수술이 있는데 암술은 광합성을 하나 해요 수술은 할까 자 오늘은 한번 실내에서 영상을 찍어 봤구요 다음에도 또 재밌는게 있으면 갖고 와 가지고 찍어서 안내를 해드릴게요 다음에 뵙도록 하겠습니다 인사드려 안녕히 가세요 힘내서 일하세요
최고의 설명입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문의 드립니다. 홍로착색을 조금 빠르게 하기위해 포도당 엽면시비 하면 효과가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
박사님 스프링쿨러말고는 대안이
없을까요 ?
스프링클러도 -3도 되면 힘을쓰지 못합니다.
@@아는게힘이다
감사합니다
라채스라는 농약에대해 알고 싶읍니다
회사는바이엘사이크롭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