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 회장이 즐겨보는 일본 TV는?..히로시마 강소기업 탐방 / 정영효의 도쿄나우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JaMi_trade
    @JaMi_trade Год назад +53

    한국기업에서는 쉽게 찾아 볼 수 없는 경영전략마인드에 놀랍니다

  • @PRINCIPLES_7
    @PRINCIPLES_7 Год назад +20

    흥미진진한 내용의 취재 감사드립니다. 다음주 내용도 많이 기대되네요!!!

  • @jungseworld
    @jungseworld Год назад +15

    일본에서 항상 감사히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f2b7k3j8g
      @user-f2b7k3j8g Год назад

      오❤
      저도 정세월드님 영상 항상 기다리며 잘 보고 있음당😂

  • @kyungshin5841
    @kyungshin5841 Год назад +1

    다ㄴ연 최고 이십니다. 내용, 진정성, ,, 감사합니다❤

  • @센겔열역학
    @센겔열역학 Год назад +82

    일본은 중소기업들이 사업이 궤도에 오르면 사장이 S 클래스를 구매하는 변화가 일어나는 게 아니라 직원들을 충원하더라 사장이 회사를 자신의 재산이라고 여기는 게 아니라 회사의 대표로 회사의 자산의 명의를 맡고 있다는 인식을 가지는 경우가 많더라

    • @LUNATIC-ORIGIN
      @LUNATIC-ORIGIN Год назад

      엿같은 공산주의 마인드 갖다붙이려는 수작은 집어쳐라. 회사 좀 잘된다 싶으면 월급 더내놓으라 하는 나라에서 고용을 늘려?

    • @똥파리-n7v
      @똥파리-n7v Год назад

      이거 뭥 개소리야 ㅉㅉ

    • @기술사-t8n
      @기술사-t8n Год назад +4

      우리나라도 그런 사장들 많탄다.

    • @li0v2y0u
      @li0v2y0u Год назад +3

      응 니 망상

    • @raymond779
      @raymond779 Год назад +4

      ​@@li0v2y0u 중공몽

  • @Deutsch-f9c
    @Deutsch-f9c Год назад +11

    역시 부자들이 더 많은공부를 한다.

    • @danielpark2765
      @danielpark2765 Год назад +3

      공부를 더 많이 했기에 부자가 됐다가 더 맞음 …

  • @한호용-n5m
    @한호용-n5m Год назад +1

    정말 배울것이 많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KIM_HS_0228
    @KIM_HS_0228 Год назад +13

    갈라파고스 재팬이어도 역시나 제조업 강국은 제조업 강국이네요. 독일. 일본 이 두 나라의 기술력과 그 기술에 대한 정신,관념은 다르네요.

    • @김근호-j7q
      @김근호-j7q Год назад

      맞아요 맞아 일본이 허점도 많지 물론 발전된 분야도 있지만 유럽과 미국의 원천기술을 베끼거나 자국실정에 맞게 만들어서 이율배반식으로 가다가 큰 낭패를 본 셈이지 ㅋ

  • @appista
    @appista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기자님, 잘 보고 있어요.

  • @유희석-j6u
    @유희석-j6u Год назад +2

    히로시마 사업가들 독특한 생각과 실천력입니다.

  • @JG-in4nl
    @JG-in4nl Год назад +18

    여기 나온 기업들의 핵심은 시대에 변화했을때 .. 그시기에 본인들이 남들과 비교했을때 대체불가능한 것을 어떻게 만들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 그 고민을 결과물로 만든 기업들이라 생각합니다.
    저가공세에서는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나... 저가가 할수없는 기술력을 통해 부가가치를 만든다 생가하네요.
    이 영상을 통해 느낀 건. 부가가치 = 대체불가능 = 진입장벽이 큼 이걸 느끼고 갑니다.

    • @PrettyT-rex
      @PrettyT-rex Год назад

      살아남은 기업만 인터뷰하니 성공비결로 여겨지는 것ㅋㅋㅋㅋㅋ

  • @동선-p5e
    @동선-p5e Год назад +4

    오래살아남는다는것 자체가 경쟁력이죠.
    대단하네요.

  • @문수연-y6s
    @문수연-y6s Год назад +1

    대박... 이런 컨텐츠 너무 좋아요 ㅋㅋ

  • @thepostcard_pub
    @thepostcard_pub Год назад +13

    해외 특파원으로 근무하시는 분들 중 정영효 가자님이 가장 성실한 분이 아닐까! 항상 감사합니다:)

    • @연빈-x2e
      @연빈-x2e Год назад

      1ㅜ''ㅋㅁㄴㄴㄴㄷㅎ6ㅇ

  • @kimjaelyong
    @kimjaelyong Год назад +13

    매주 좋은 내용의 영상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가이아의 새벽도 재미있지만 NHK 프로젝트X도 정말 재미있게 본 기억이 생각나네요.

  • @009subtleguy
    @009subtleguy Год назад +6

    가이아의새벽 정말 재미진 프로임

  • @dreambandfamily
    @dreambandfamily Год назад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인사이트가 많은 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 @David__Lee
    @David__Lee Год назад

    아 좋은 영상 입니다

  • @포르테피아노-y1g
    @포르테피아노-y1g Год назад

    진짜 재밌게 봤습니다

  • @parksal
    @parksal Год назад +4

    이런 내용 좋습니다~ 굿이에요~ 굿~

  • @스윗프트
    @스윗프트 Год назад

    와 너무 좋은 내용이 담겨있네요 ㅎㅎ

  • @parkcholle9800
    @parkcholle9800 Год назад +6

    이번 편 특히 재미있네요

  • @은빛유성
    @은빛유성 Год назад +4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soccervol1
    @soccervol1 Год назад +26

    일본은 후광효과가 있는데 뭔가 고집있고 하나만 집중하는 자세가 그런걸 만드는듯 뭐 일본만의 스타일이고 장단도 있고 최선이 아닐수있지만 저런 국가적 분위기가 선순환을 만든다는점이 좋은듯

  • @김지민-k8g
    @김지민-k8g Год назад +10

    저도 외국어 특히 영어를 공부해야한다는걸 뼈져리게 느끼고 있네요

  • @allankwon
    @allankwon Год назад +2

    진짜 한국 중소기업은 답이 없음....

  • @kiilshon8096
    @kiilshon8096 Год назад +2

    부러운건 어쩔도리없군요~~

  • @LUNA-hs2is
    @LUNA-hs2is Год назад +7

    일본의 모노즈쿠리 정신은 정말 본 받아야됨

  • @yyy7645
    @yyy7645 Год назад

    재밌네요

  • @Cvfgrtedx
    @Cvfgrtedx Год назад +32

    일본 대기업 다니고 있습니다. 저런 장점도 있지만, 극명한 단점도 있습니다. 해외 마케팅 영업을 정말 극도로 못 합니다. 그래서 고객사 기술트랜드를 잘 못 읽습니다. 저런 고집스런 기술력이 산업니즈에 맞을 때야 좋습니다만, 안 맞으면 그냥 산업에 필요없는 오버스펙이 되고 맙니다.
    예전에 일본 기업이 최종제품까지 만들던 버블이전이야 일본소재 기업들도 잘 나갔지만, 지금읔 최종제품을 만드는 회사들이 전부 한국, 중국, 미국이 대부분인데, 일본소재기업의 역량은 점점 약화될 것이라고 봅니다. 아 물론, 그 중에 잘하는 회사들도 있습니다. 예를들면, 화낙, 키엔스, 스미토모화학, 니또덴꼬, 미쓰비시화학 등등.

    • @kijuyang6064
      @kijuyang6064 Год назад

      ㅇㄱㄹㅇ

    • @hjmvu
      @hjmvu Год назад +1

      수요도 엄청나고 세계시장도 꽉쥐고있는데 소재기업들이 왜 약화되나요?

    • @Cvfgrtedx
      @Cvfgrtedx Год назад +1

      @@hjmvu 지금이야 꽉 쥐고 있죠. 근데 점점 마켓쉐어 빠지는게 눈에 보입니다. 그건 댓글에 썼듯이 고객사 기술트렌드를 못 읽습니다.

    • @장석종-c4k
      @장석종-c4k Год назад

      글쎄요... 누구나 만들수 없는 걸 만들어야 고부가가치를 가지는데 트렌드를 만든다 하더라도 금방 따라 할 수 있는 기술력이라면 가치상승이 힘들겠죠. 한국도 지금은 고부가가치로 넘어가야 중국을 버틸수 있을건데 ....

    • @Cvfgrtedx
      @Cvfgrtedx Год назад +7

      @@장석종-c4k 소재 B2B분야에서 단순히 누구나 만들수 없는 걸 만드는 건 의미가 없습니다. 최종 상품을 만드는 Set 메이커의 요구조건에 충족해야되죠. 그걸 잘 하는게 미국소재기업들입니다. 삼성과 R&D 협약이라던지, 미국 쿠퍼티노에서 애플과 소재개발을 같이 진행한다던지. 예전과 다르게 소니, 파나소닉, 히타치 등 일본 최종제품이 힘이 빠진 요즘에 특히 더 필요한 일이기도 하고요. 일본 소재기업들이 몇몇 기업을 제외하고는 이걸 잘 못합니다. 그래서 위에 제가 현업을 뛰면서 이런 부분을 잘하고 있는 기업들을 예로 말씀드린 거고요.
      그리고 예를들어, 일본 강소기업들이 잘하는 하이엔드 청바지나, 공작기계, 정밀가공 등 정확하게 제품의 품질이 숫자로 비교하기 좋게 떨어지는게 아니라 소재 쪽은 고객사 생산라인에 따라서 결과가 다르고, 복합적으로 고려할 요소가 많아서, 단순히 고성능 제품을 개발만 한다고 시장에서 선택될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 @두대발
    @두대발 Год назад +8

    대량생산 인건비 따먹기 대신 항상 새로운 상품을 만들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다는 사장의 모토가 정말 감동적이고 훌륭하다고 생각되네요

  • @두대발
    @두대발 Год назад +32

    시대의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을 하는게 주요인이라고 봐야죠 그리고 자기가 잘하던 본업을 다른 분야에 응용을 한것 그것이 생존의 비결..한국의 중소기업 사장들이 보고 배워야 할 영상이라 생각되네요 맨날 한국인 해고하고 외노자 불러서 인건비나 후려칠려고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인데..그리고 핑계는 대기업탓을 하죠 맨날 인구가 줄어든다는 대구 역시 한국섬유산업의 본고장인데 거기 중소기업이 저렇게 대응했다는 건 들어본적도 없네요 그리고 독자적인 제품 독자적인 기술을 가져야 하는데 그런것에 신경을 쓰고 있기는 한지 모르겠어요

    • @오늘도-h6l
      @오늘도-h6l Год назад +3

      침소봉대 하지마시고! 그리고 뭘 모르시나본데 우리나라 중소기업 사장들이 일본 중소기업 따라했음 벌써 다 망했음. 일본애들 하는거 보고, 어??? 이렇게 해도 된다고??? 우린 더 잘할 수있는데 라는 마인드로 사업 운영해서 우리나라 경제가 급속도로 발전해온 것임! 한경 애들이 소개해주는 일본에 특이한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도 몇몇 있겠지. 하지만 전체적인 일본방식은 시대에 맞지 않기 때문에 일본 경제가 힘을 못쓰는것임. 얘네도 책임 않지려는 수평경영에서 탈피하려고 지금 변하고 있다던데 앞으로 어떻게 될런지.

    • @PrettyT-rex
      @PrettyT-rex Год назад

      @@오늘도-h6l ㅇㅇ님 말이 더 설득력 있음

    • @missprettie2165
      @missprettie2165 Год назад

      @@오늘도-h6l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 @수국-r7d
    @수국-r7d Год назад +2

    첫화면...항상 이재용회장의 말주변이 없는게 안타깝다.아무리 똑똑해도 머리속에 아이디어를 제대로 표현 못하면 여러모로 마이너스죠.
    삼성 화이팅.세계최강 기원🙏

    • @juliesunyoung
      @juliesunyoung Год назад +2

      그게 아니라 말을 조심하려고 하시는 것이 아닐까요? 저런 분은 늬앙스만 달라도 왜곡될 수 있으니깐요 그리고 말 잘하는 것이 플러스이긴 하지만 갓재용 회장님께서 말로 먹고 사는 직업도 아니구요 말 주변 별로 없어도 현명하고 신중한 CEO가 더 좋죠

    • @조현수-p7t
      @조현수-p7t Год назад

      말주변 보다는 추진력과 결단력이지요

  • @센겔열역학
    @센겔열역학 Год назад +6

    일본의 셀비지 데님은 세계 최고임. 리바이스가 LVC 라는 고급 브랜드를 런칭해서 30년대 40년대 50년대 501을 복원하면서 사용하는 원단이 일본의 데님을 사용함. 로로피아나 스카발 팍스 브라더스 같은 회사들이 옷을 만드는데 원단을 제일모직에서 주문해 만드는 거랑 비슷한 수준의 사건

  • @sjyoon0603
    @sjyoon0603 Год назад +3

    정특파원님, 유익한 영상 감사히 잘봤어여~

  • @안대희-n4y
    @안대희-n4y Год назад +2

    간단히 하이엔드만들면 된다네요~

  • @l6h-h2s
    @l6h-h2s Год назад +2

    기가막힌다 항상 기대하고 있습니다!

  • @노아fisher
    @노아fisher Год назад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김효선-s9d
    @김효선-s9d Год назад +6

    14년식 렉서스 를 쭉 타고 있습니다만.. 30만 키로가 다가오는데도 아직까지 큰 고장없이 잘 버텨줘서 신차를 굳이 사야할 필요성을 못느끼고있습니다. 구매당시 그랜져, 제네시스 구매자는 여러 고장들로 인해 두세번 차를 바꿨는데도말이죠.. 신기술은 좀 늦는거같지만 기계,부품 의 내구성은 그래도 타 국가에 비해 상당히 좋은것같습니다.

  • @everglades_n_co.
    @everglades_n_co. Год назад +38

    일본이 1인당 소득이나 산업 경쟁력, 그리고 미래 경쟁력 등 많은 부분에서 한국한테 추월 당했지만, 썩어도 준치, 반면교사라고 아직도 배울 점이 있을 것입니다. 이런 기획과 영상과 매우 유익합니다. 감사합니다.

    • @Um-Delicious
      @Um-Delicious Год назад

      몬소리야 세계경제 3위국과 대만한테도 GDP뒤진 한국을 비교하노 출생률 1.4일본과 0.7한국 누가 더 미래가 있을까 한국남자답게 국뽕마니맞았노ㅋㅋㅋ

    • @예림좌
      @예림좌 Год назад +6

      문재인 정부 이후로 이재용이 일본 소부장 업체 사장 만나러 일본 갔다는 기사는 봤어도 일본 소부장 업체 사장이 이재용 만나러 한국 왔다는 기사는 못봤다. 불산 국산화 했다고 한국 정부가 선전 해댔지만 실상은 불량 증가로 소리소문 없이 전량 일본제로 바꾸었다는 풍문이 있다.

    • @mav7079
      @mav7079 Год назад +2

      맞습니다. 한국이 거의 모든 분야에서 2-3년전 부터 일본을 따돌리고 있죠. 환율이 그것을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환율 시장에서 원화는 엔화보다 가치가 더 높으니깐요. 한국인들이 일본 여행을 싼맛으로 가는 이유입니다. 그래도 일본의 장인정신은 배울만 하죠.

  • @leeky9911
    @leeky9911 Год назад +1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펜펜-p1u
    @펜펜-p1u Год назад +3

    특정 물건에 메이드 인 저팬 이라고 찍혀 있는건 .. 누구나 품질을 의심하지않습니다 .. 과거 메이드 인 USA 처럼요 ... 실제로 품질은 좋습니다 .. 좀 고가인경우는 있지만요 ..

  • @butchersknife5561
    @butchersknife5561 Год назад +3

    형님 기사 재미있습니다.

  • @user-ct8bp7yi8j
    @user-ct8bp7yi8j Год назад

    그런데
    그래서 ~

  • @HJChoi-qk9nh
    @HJChoi-qk9nh Год назад +5

    와 이재용회장 일본어 좀 치네요

  • @jhh7933
    @jhh7933 Год назад

    아무리 시대가 발전해도 의식주와 관련된 기본적인 제품들은 여전히 고전적인 생산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 지고 있죠
    즉 아날로그라는 이야기임 그리고 아날로그 경쟁력 하면 일본이 또 빠지지 않죠 그리고 이런 아날로그 분야는 중소기업들에 특화된 분야이기도 하죠
    이는 의식주가 아닌 첨단 산업 분야도 마찬가지임 부품 소재 분야에서는 여전히 아날로그적인 강점이 경쟁력으로 이어지는 분야가 많다는 거
    일본의 부품소재 산업이 강한 이유이기도 하죠 하지만 디지털 분야로만 가면 또 이야기가 달라지는 것이 디지털 분야는 범용성과 스피드가 생명이기 때문에
    이는 한 가지만 집요하게 파고들어 품질로 승부하는 아날로그와는 완전히 대척되는 부분이라 일본이 디지털 분야에서 약한 이유이기도 하다는 거

  • @changseoban9192
    @changseoban9192 Год назад

    가이아노 요아케 재밌음

  • @LetItBe250
    @LetItBe250 Год назад

    정영호기자님 영상 재미있게 경청하였습니다!

  • @박채원-z5q
    @박채원-z5q Год назад +2

    스핑글 컴퍼니 회사 신발.
    딱 내스타일 인데요.
    디자인 뭉툭하지 않으며 세련되었고
    탄탄하고 야무져 보이는 씸플한 세련됨이
    한 눈에 딱 보입니다.
    밑 창이 절대 미끄럽지 않게 생겼고 물 샐틈도 없게 생긴 스니커즈 .
    디자인 탄탄함 안전성 편안함 뭐 하나 빠져 보이는것이 없슴!!
    완벽한 야무진 회사 입니다.
    한국에 있나??
    저런게 바로 디자인이며 세련됨 이죠.
    역시 일본인들의 장인 기술은
    알아 줘야 됨!!
    한국 것들은 멀었어!!
    그저 돈만 된다면 영혼까지 팔아 치워 버리는
    싸구려 근성들 때문에 글렀어!!
    한국의 장인정신??
    개나 줘 버려!!
    일본 사람들의 고집스런 기술력이 일본을 일으켰지!!
    지금도 지켜내고 있고!!
    돈에 환장해 이끌려 다니는 싸구려 한국 것들 하고는
    질적으로 근성 자체가 다른 일본인들!!
    한국 싸구려 근성들이니 이날 이때까지
    휘둘리고들 있지!!
    한심하기 이를데 없는 것들!!

  • @trudy2023
    @trudy2023 Год назад +2

    멋지네요 ㅎ

  • @juliesunyoung
    @juliesunyoung Год назад +3

    신발 좋아보여요 한 번 신어보고 싶네요 처음 들어보는 브랜드이긴 하지만요

  • @vanzoda
    @vanzoda Год назад

    삼성도 식을때가 됏지.. 소니 상품들이 매시브하게 팔리는건 아니지만 여전히 제품은들 매력적임..

  • @회색물감-s7q
    @회색물감-s7q Год назад +1

    일본의 장점이자 단점 장인정신
    작은 규모의 기업이라도 장인정신이 강하다는 것
    기계 바늘, 지퍼만 봐도
    우리는 별것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들 마저 공업의 장인정신

  • @PrettyT-rex
    @PrettyT-rex Год назад

    살아남은 기업만 인터뷰하니 성공비결로 여겨지는 것ㅋㅋㅋㅋㅋ

  • @lionk5941
    @lionk5941 Год назад +1

    도요타도 바늘 실을 상징으로 하는 심볼인데 결국 자동차로 대성공

  • @applerider4205
    @applerider4205 Год назад +6

    도쿄올림픽조차 자국의기술로 치루지 못하고 채팅앱조차 만들지못하고 유니콘기업은 뭐임? 먹는거임? 모든 시스템이 후진국이고 첨단산업은 없지만 뭐 어때 열심히하면됨.

  • @밭가는소
    @밭가는소 Год назад +2

    청바지를 누가 무시해. 앞으로 백년이 지나도 청바지는 다들 입을것. 거기서 지배적 기업을 어떻게 무시해

  • @한라느릅
    @한라느릅 Год назад +2

    일본은 영원한 제조업강국입니다.
    100년이상의 기업이 무려 37619
    개로 세계에서 가장 많습니다.그래
    서 일본이라고하면 제일 먼저 떠오
    르는것이 그들이 만들어낸 세계최
    고 품질의 제품이라고합니다.한국
    도 기초과학연구에 사활을 거는것
    은 물론 제조업기반을 더욱 튼튼하
    게하는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지
    않나 싶습니다.일본은 무엇을 하던
    지 품질에 엄청나게 신경을 쓰는것
    이 아주 큰 특징입니다.그들이 엄
    청나게 꼼꼼하고 끈질긴것도 세계
    에서 절대로 찾아볼수가 없습니다.
    한치의 실수도 허용하지 않습니다.
    일본을 따라배워야하는 절대적인
    이유인것같습니다.

  • @shampooh6009
    @shampooh6009 Год назад

    저런 마인드가 한국시장에 통하지 않는다는건 단지 기업의 문제일 뿐만이 아니라, 여러가지 상황이 맞물려 있습니다.
    시장의 규모. 내수판매로도 수익을 낼 만한 인구가 뒷받침이 되어야 여유도 생깁니다.
    새로운걸 좋아하고, 오래된건 싫증을 쉽게 느끼는 한국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의 차이도 있습니다.
    일본은 각 지역의 고유 상품을 제작하는 장인들이 존재하고, 그런 장인이 제작하는 물건에 대한 가치를 인정해주는 문화이지만
    한국은 이왕이면 싼거 좋아하는 대기업의 기성제품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수도권으로 인구가 집중이 되고 있기도 하지요.
    대형마트, 혹은 복합문화시설 같은 것들이 생겨나면서 사람들이 한 곳에만 머무려고 하고,
    그 안에서만 소비를 하는 문화가 생겨나니 대기업만 더 커지는겁니다.
    빠른 변화가 발전을 가져온 것도 있지만, 그만큼 빨리 변화하는 것에 쫒아가지 못해 발생되는 부작용도 엄청 많을겁니다.

  • @gomtank3357
    @gomtank3357 Год назад

    스펙 경쟁에 대세로 우르르 몰리는 우리나라와는 풍토와는 맞지 않지만 참고하면 좋을 듯
    일본은 맛들이면 살 수 밖에 없는 제품이 많다

    • @audfo1856
      @audfo1856 Год назад

      하다 못해 제조업 현장 가면 측정장비 볼트 렌치 다 일본꺼입니다. 한국꺼는 내구성 오래 못가고 변형이 잘간다고 선호도 안함.

    • @kjblueskyjp
      @kjblueskyjp Год назад

      @@audfo1856 전세계적으로 계측장비는 일제 아니면 독일제를 최고로 알아 줌니다

    • @audfo1856
      @audfo1856 Год назад

      @@kjblueskyjp 그거 암 스위스 아님 독일 일본이 우리나라하고 가까워서 ㅇ 예를 든거 ㅇ

  • @shkim3and
    @shkim3and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재드래곤. 메롱 메롱. ㅎㅎㅎ 구엽

  • @해피에용
    @해피에용 Год назад

    금융등 고부가가치로 넘어가야한다. vs 임금을 낮추더라도 전통 제조업 끌고가야한다.
    유럽과 미국으로 가느냐? 일본처럼 저임금 생존체재로 가느냐?
    국가가 마음대로 되겠냐마는.... 한국은 내수시장이 멸종위기라. 참 어려운 상황이구만.

  • @user-cx7nt3rl6f
    @user-cx7nt3rl6f Год назад +2

    한경 글로벌중 일본편이 젤잼남

  • @akatarojp
    @akatarojp Год назад

    오! 이재용 회장님이 일어도 잘하시는지 처음 알았네요!
    가이하라 데님, 스핑글 무브 모두 처음 듣는 회사인데 자부심이 대단하네요!

    • @hofffnung
      @hofffnung Год назад

      게이오에서 대학원 나왔잖아요

  • @kjblueskyjp
    @kjblueskyjp Год назад

    한국의 스카이대학생들에게 있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는 필수 이다 라고 말 합니다. 즉 국제공용어인 영어 중국어 일본어를 잘 해야 하는 것은 한국인들의 의무라는 것 이겟지요. 영어는 전세계 기본 공용어이고 중국어는 사실상 아시아의 공용어이고 일본어는 한국어와 가장 비슷하고 한국인들이 가장 쉽게 배울수 있는 언어이기 때문 이겠지요. 외국어를 잘 하는 것은 머리가 좋은 것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고 그냥 상시적으로 사용하는 습관을 들여야 잊어 버리지를 안아요

  • @danielpark2765
    @danielpark2765 Год назад

    아날로그가 어때서 ???

  • @fivebyte7354
    @fivebyte7354 Год назад

    신소재분야는 알아줌....

  • @손오공-r3s
    @손오공-r3s Год назад +6

    결국 부가가치를 꾸준히 만들어낼 수 있는 기술과 아이디어가 아니면 산업을 다 뺏기는 거죠.

  • @jnote5568
    @jnote5568 Год назад +3

    일본산 데님 원단 참 좋죠.

  • @kojefe8369
    @kojefe8369 Год назад

    스핑글 무브 스니커즈 제작과정
    ruclips.net/video/jvy7JgPJJRU/видео.html

  • @castlep7570
    @castlep7570 Год назад

    일단 대기업 제외하고 중소기업은 일본이랑 한국공장보면 유사 업종이래도 청결도가 극심한 차이를 보임..
    한국은 수십년간 청소 안한 상태라면 일본은 장비는 너후화 됬어도 정말 깨끗함.

    • @kjblueskyjp
      @kjblueskyjp Год назад

      님과 비슷한 이야기를 하는 사람이 있더군요. 부산과 거제도 지역의 조선소에 일본인근로자들 중국인근로자들 한국인근로자들이 함께 일 하고 있는대 일본인 근로자들은 퇴근시간이 되어도 퇴근시간을 넘겨서라도 작업공간을 깨끗이 정리하고 공구를 제자리에 가져다 놓고 퇴근하지만 한국인 근로자들은 퇴근 시간만 되면 공장바닥에 그대로 두고 퇴근하고 공구등도 현장에 그대로 방치하고 퇴근해 버린다 라고 말 하더군요. 중국인근로자들도 한국과 똑같은 쿠세를 하고요. 이런것이 사소한 것 같지만 국가간 전쟁 같은 전국민이 모두 동원되어야 하는 총력전에서는 승패의 결정적 요인이다 라고 말 하더군요

  • @최정우-b4d
    @최정우-b4d Год назад

    짧은시간에 이정도 수준까지 올라온 한국은 대단했지만 이제는 원천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 @windboy900
    @windboy900 Год назад

    한국에서는 인구가 일본에 반도 안되니 판로가 없어 소량생산해서는 살아남기 힘들지 않을까싶네요

  • @정종국-z1h
    @정종국-z1h Год назад

    잘하는 사람이 대단한게 아니고
    못하는 놈이 바보일 뿐이다
    경우의수를 생각하고 하나하나 시도해보면 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그 간단한 것초차 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처럼

  • @audfo1856
    @audfo1856 Год назад +1

    한국에는 강소기업이 있으려나

  • @이나나-b1f
    @이나나-b1f Год назад

    스마트폰 빼곤 모든게 최고다

  • @조현수-p7t
    @조현수-p7t Год назад

    이재용 회장 일본말도 잘한다

  • @bulletproofchin7365
    @bulletproofchin7365 Год назад +1

    역시 전통과 최상의 품질은 짝퉁들이 감히 흉내를 낼수가 없지. 아무나 루이뷔통 샤넬 에르메스 하나 나이스가 나이키가 될수 없는것처럼.

  • @장창-y7i
    @장창-y7i Год назад +2

    일본은 대기업들이 후려치지 않는다는거지...기술훔치고

  • @stickyricecake8967
    @stickyricecake8967 Год назад

    일본은 상인들의 철학이 있다... 한국은 좀만 부족하면 다 뒤집어 엎어 다 짤라...이러니까 전부 다 진짜 짤려서 50대에 퇴직한 사람들 우글거리지...일본은 사양산업들도 다 지켰고 지금의 완전고용에 종신고용에 이바지했다. 사회가 극도로 안정되는데 기여했고 일본의 기축통화 취급받을 수 있는 이유가 된다. 묵직하게 지켜준 고객들도 일본의 힘이다... 울나라엔 상상도 못할 일이지 좀만 비싸면 중국 미국서 가져와서 조롱하며 없애버리지... 조선인은 죽어도 일본처럼 행복하게 못산다...

    • @kjblueskyjp
      @kjblueskyjp Год назад

      한국 대기업들의 최첨단 제품의 제료의 90%를 중국에서 수입하여 약간의 기술적 가공을 하여 비싸게 팔아 먹고 있어요. 중국이 원재료 공급을 끊어버리면 한국의 모든 대기업들은 문을 닫아야 합니다. 일단 중국제 원재료가 품질대비 가격이 워낙 싸니까 돈을 왕창 벌어야 하는 한국회사에서는 중국제 원재료에 의존할수 밖에 없지만 중국에 대한 중독이 심해 진다는 것은 한국의 미래의 불행을 예고하는 것 이에요. 한국은 자원이 없는 나라 이기에 원료의 95%를 해외에서 수입해야 하지만 그 원재료 원료가 비싸더라도 중국 이외의 다른 나라로 수입처를 바꿀 필요가 있어요

    • @송상우-e6z
      @송상우-e6z Год назад

      마자요 조선인은 절대 넘사벽인게 일본이죠ㅋㅋㅋ

  • @아차산로차으누
    @아차산로차으누 Год назад +7

    한국인들은 이런 고급화 전략보다는 2010년대 등산복처럼 연예인 마케팅 or 고어텍스 고급소재 일부러 소량생산으로 고가가격 불공정 폭리.. 이런 문제로 한국섬유산업은 절대 명품브랜드가 나올수가 없다.. 대기업브랜드도 국내하청생산이라서 갑질.가격후려치기로 걍 생산단가가 안맞아서 걍 동남아.중국으로 다 짐싸고 도망갔다.. 그나마 창신동 쇼핑몰 동대문패션이 그나마 국내섬유산업의 마지막 인데 이제 그것도 망했지... 2010년대 싸고 중간품질의 의류.신발은 이제 중국이나 베트남도 한다...
    일본한테 조센징소리 듣는다고 징징거리지 말고
    이런것좀 보고 잘 배워라...

  • @프로레이더
    @프로레이더 Год назад +1

    일본망한다는 한국인들 많고 나또한 그러길
    바라지만 일본 아직은 강소기업들 많고
    잘나감 한국인들이 좀더 분발해야
    덩치큰 삼성전자 엘지등 그에비해 일본이
    경쟁력 밀렷지만 그나머지 대부분 일본기업들
    잘나간다고 보면됨
    주가가 그걸 말해줌
    한국은 고점대비 아작난상태에 가깝지만
    일본주가는 최고점 부근에 있음

  • @supercomputer8769
    @supercomputer8769 Год назад +21

    일본 중소기업 장인들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 유일한 무기가 저임금임
    스시집 가서 일배우는데 10년동안 쌀 씻기만 시키고 최저임금도 안 되는 눈꼽만한 임금주고 일 시키면서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는 나라가 일본이라는 나라임
    30년전 급사들 촉탁직 임금 14만 7천엔이 아직까지 14만엔대에 머물러 있는 거 보고 놀랬음

    • @smith4d900
      @smith4d900 Год назад +3

      물가가 낮아서 가능한거 아임까?

    • @carjhonny5219
      @carjhonny5219 Год назад +1

      ​@@smith4d900 물가도 약간싸다. 세금 뜯어가는거 생각안하네. 집세등등 돈내고나면 남는거 개뿔도없음.그리고 저동네는 부가적으로 쓰는돈도 장난아님
      지금일본내에서도 해외나가라는 분위기임

    • @l6h-h2s
      @l6h-h2s Год назад +4

      @@smith4d900 물가 안 싸요 집세 광열비 대중교통비 세금이 어마무시하기 때문에.. 15만엔이면 사회보험+세후 9만엔 정도 진짜 허름한 방 한칸 월세 광열비 교통비 통신비 내고나면 천엔도 안 남을듯 이걸 10년동안 자랑스럽게 한다는 겁니다

    • @JJJ-ch5ht
      @JJJ-ch5ht Год назад

      니가말하는 급탁직이 비정규직을뜻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본의 비정규직의 평균연봉은 198만엔임 어짜피 하위권따리의 삶은 미국을가도 지옥임 그리고 정보존나 낡아서 타임머신타고 날라온줄알았음 늙었으면 걍아가리 다물고있어 정보도틀렸음

    • @NCTSWISH
      @NCTSWISH Год назад +1

      이거맞는듯...

  • @Iooxocc
    @Iooxocc Год назад

    이재용 3개국어하네 ㄷㄷ

  • @미떼-q3s
    @미떼-q3s Год назад

    '년산'???

  • @glegoo0909
    @glegoo0909 Год назад +6

    삼성과 현대가 미국으로 통째 옮겨 지는 현상황에 한국의 나갈길을 제시해 주셨습니다. 메이드인 코리아가 각광을 받는 시점에 리쇼어링 해야 합니다.

  • @뭄무-q2n
    @뭄무-q2n Год назад +2

    시간값은 어떻게해도 따라갈수 없는 부분이 있죠. 우리도 시간값을 가지면 알게 될 것 같아요

  • @이키-f9l
    @이키-f9l Год назад +1

    우리나라가 아직도 일본 따라가려면 멀은 이유가 이런거지

  • @나는잘된다-k7b
    @나는잘된다-k7b Год назад +1

    요새들어 아주 중국 일본 찬양 하는 기사 애널들 많아 지는듯 하여 돈앞에 장사없다는 의심이

  • @77Dooly
    @77Dooly Год назад

    우리나라가 일본을 따라가는 한계가 바로 이런 오타쿠스럽지만 존경할만한 장인정신이야. 절대 일본은 안망해! 근데, 우리나라는 추격하는 중국을 따돌릴만한 우리만의 기술과 특별한 영역을 아직 못 갖춘다는거지... 소니 망한다 별 지랄 떨어도 그들이 갖고 있는 그 집념과 넘사벽적 그 기술이 그 기업을 망하게 두지 않는다는거야. 아무리 시대가 바뀌어도 밥은 먹고 똥은 싸는거거든... 일본 기업들은 그 기본에 촛점이 있다는거지

  • @관광통역안내사-x9f
    @관광통역안내사-x9f Год назад

    리더의 역량이 중요한데... 물려 받았으니 잘해야겠고... 걱정이다.

  • @audfo1856
    @audfo1856 Год назад

    유럽에는 명품이 있고 일본도 그에 못지 않은 장인정신 고부가 가치 있는 회사들이 있는데 한국은? 이게 잘된데 와~ 저게 잘된다 와~ 경영 혁신 외치다가 그냥 저냥한 제품으로
    정밀 가공만봐도 ㅇ 일본은 정밀도가 굉장하고 품질도 좋아고 중국이나 동남아도 한국 만큼 품질을 따라온데도 인건비도 싸서 한국은 고품질도 아니고 가격이 싼것도 아니고 애매한 위치에 있어서 경쟁력이 없다는 소리를 몇년 전부터 들음. 이제 곪아 터질 일만 남았음.

  • @infested_pigeon
    @infested_pigeon Год назад

    많은 한국의 중소기업 사장들이 본받아야 하는 기업가정신이 아닐련지...
    한국 사장들 보면 회사를 키울 생각은 안하고 죄다 돈주머니로 생각하던데

  • @jgtgt.jptmhatm
    @jgtgt.jptmhatm Год назад

    일본은 데님 구형방직기,데님, 군용자켓 등 해외에서 버려 진 사양산업 가지고 와서 결국 세계1위 브랜드가치 창출 해냈음.

  • @user-loon
    @user-loon Год назад +1

    일본도 먹고살아야지... 일본은 그냥 이런 과거부터 하던거나 하라고 해. 우린 반도체, 전기자동차, AI, 메타버스, 선박, 항공, 방위등등 첨단사업을 할게...

    • @hahhwa1720
      @hahhwa1720 Год назад

      한국에 제약회사가 500개가 넘는다는데 제약도 많이 발전했으면 좋겠어요

    • @jsy663
      @jsy663 Год назад +1

      헬조센 개돼지스러운 발언 ㅋ😂

  • @soo-hongmin9060
    @soo-hongmin9060 Год назад

    👍💯🙏🇰🇷🇰🇷🇰🇷

  • @TV-pk2xj
    @TV-pk2xj Год назад

    일본 중소기업이 변신하여 다품종 소량 생산이라, 메모리 반도체가 아닌 대만의 시스템 반도체를 연상시켜 기분이 그러네요.

  • @토실토실-x8j
    @토실토실-x8j Год назад +5

    그다지 와닿지는 않네요. 한국 같으면 대기업이 기술을 훔친뒤 소송을 질질끌어 말려죽인뒤 협의로 소송을 마치거나 집행유예로 끝나버리니깐...

  • @이건개발-p8n
    @이건개발-p8n Год назад

    금양도 발보제로 여기까지 왔지
    리튬에 베터리에 수소라니

  • @vous3584
    @vous3584 Год назад

    자기소외의 결과죠....인간을 대면하는것보다 골방에서 혼자 물건 만지작거리는게 훨씬 맘편한 인간들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