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신사명(西神司命) 수부사명(水府司命)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서신사명(西神司命) 수부사명(水府司命)
    010-2982-1326
    #참신앙운동 #증산 #참신앙운동 #강증산 #고판례 # 상제님# 수부님 #후비님 #오성산 #오성산도장 #대순전경 # 농바위 #이용기 #고민환 #증산 #대순 # 참신앙 # 한민족 # 역사 #대두목 #태을 #태을주 #강증산 #훔치훔치 #개재차사 #증산 #대순 #대두목 # 대순전경 # 개벽경 #개벽 # 천지개벽 #수부 #고수부님 #증산의도 #증산교 #수양산 #운장주 #칠성 #질성주 #칠성경 #홍성열 #오선위기 #수양산 #현무경 # #대순진리 #개벽주 #오주 #절후주 #진법주 #도통 #하느님 #한울님 #선도신정경
    연원과 연맥에 대하여 각 경전들을 비교하여 말씀하고자 합니다
    대순전경에서
    상말에 맥(脈) 떨어지면 죽는다 이르나니 연맥(連脈)을 잘 바루라
    무극진경에서,
    32. 『속언(俗言)에 "맥(脈) 떨어지면 죽는다" 하느니 연맥(連脈)을 바르게 하라.』
    무극진경은 대순전경을 따라 연맥(連脈)으로 표기 하고 있습니다.
    도전에서,
    5 시속에 ‘맥 떨어지면 죽는다 ’ 하나니 연원(淵源)을 잘 바루라
    천지개벽경에서
    【18】 曰(왈), 諺(언)에 絶脈則死(절맥즉사)라 하니 善調淵源也(선조연원야)니라
    (註) 말씀하시기를, 속담에 맥 떨어지면 죽는다 하니, 연원을 잘 바루라 하시니라
    도전은 천지개벽경을 인용하여 연맥(連脈)이 아니라 연원(淵源)으로 표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구글 인공지능에게 연원과 연맥에 대하여 물어보니,
    “연원(淵源)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이 시작된 근본, 즉 뿌리나 기원을 의미합니다
    깊은 못이나 샘물에서 물이 솟아나듯, 어떤 일이나 사물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어떤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말” 이라고 하였습니다
    상제님과 후비님 두분은 건곤 천지 일월의 음양으로써 우리도의 연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다시 인공지능에게 연맥에 대하여 물어보니,
    연맥(連脈)은 한의학에서 맥진을 통해 진단하는 맥의 한 종류로, 맥이 부드럽고 약하며
    힘이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라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한의약에서 보면, 맥(脈)에는 십이경맥(十二經脈)과 기경팔맥(奇經八脈)이 있습니다
    이 기경팔맥 중에 임맥(任脈)이 있는데 이 음맥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회음,곡골,중극,관원,석문,기해,음교,신궐,수분,하완,건리,중완,상완,거궐,구미,중정,전중,옥당,자궁,화개,선기,천돌,염천,승장입니다
    음맥 24개는 어떠한 이어지는 선이 있어 연맥으로 회음에서 곡골로 이어지고 중극에서 관원으로 등등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상제님의 연맥連脈도 당대當代에서 당대唐代로 이어져야 하며, 실제로 당대에 후비님에게 전수 되었습니다.
    만약 당대에서 이어지지 않았다면, 연맥의 정의에 맞지 않게 됩니다.
    이 당대라는 것은 상제님께서 천지공사 행하실 때 후비님이 참여하여 계셨고,
    후비님이 천지공사를 행하실 때에 참여하셨던 분중 어떤 분에게 전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당대(當代)의 시간대에 전해진 것이 아니라면 맥(脈)을 건너 뛴 것입니다
    맥(脈)을 건너 뛰었다는 것은 병든 것이고 맥(脈)이 뛰지 않는 단체에 속한 사람들은 또한 병들게 될 것입니다.
    궁극에는 자신의 믿었던 단체로 인하여 정신이 먼저 병들게 되고, 육체도 망가지게 되고, 신용불량, 가정파탄에 처하게 되는
    교주신앙의 병을 앓게될 것입니다.
    대순전경에서
    상말에 맥(脈) 떨어지면 죽는다 이르나니 연맥(連脈)을 잘 바루라. 하였습니다.
    하셨습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