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00m 상공에서 연료가 떨어졌을 때 조종사가 한 일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siroganes
    @siroganes 5 лет назад +84

    참 이건 천운이라고 할수 밖에 없네요 글라이드 경력이 있는 파일럿 거기다가 마침 그 공군기지를 잘아는 파일럿......

  • @아잉-o4l
    @아잉-o4l 5 лет назад +370

    시뮬레이션으로는 전부실패했던
    항공기 포워드 슬립을
    실제에서 성공하다니
    대박

    • @heedulsong
      @heedulsong 5 лет назад +3

      ㅇㅈㄷㄷ

    • @RO-HAN
      @RO-HAN 5 лет назад +3

      역시 짬에서 나오는 바이브

    • @야채토마토
      @야채토마토 5 лет назад +6

      실제 착륙에서 바퀴가 부러져서 안으로 들어가버렸다고 하는데... 시뮬에서는 그런 설정까지 가능했는지 모르겠네요. 시뮬에서는 바퀴 부러지면 그냥 추락으로 설정 되었을지도...

  • @age183
    @age183 5 лет назад +183

    1.25배로 보면 편안하게 볼수있습니다

    • @카를로스-v9y
      @카를로스-v9y 5 лет назад +3

      업로드하실때 실수로 약간 느리배율로 올린거같아요 지금이 딱맞네요

    • @버거킹-t5d
      @버거킹-t5d 5 лет назад +7

      이야 박진감 넘쳐

    • @좋거덩요
      @좋거덩요 5 лет назад +2

      사이다 마신기분

    • @eyebrows5318
      @eyebrows5318 5 лет назад +23

      @@카를로스-v9y 실수가 아님. 영상 최소 10분 이상으로 해야 광고료가 들어오기때문에 쓰레기 채널들이 대부분 이런식으로 영상 늘리거나, 쓸데없는 말 덧붙히거나 했던말 또하거나 편법을 씀.

    • @경띠-l6q
      @경띠-l6q 5 лет назад

      @@eyebrows5318 ? 3분짜리 영상봐도 광고나오던디?

  • @suakim8268
    @suakim8268 5 лет назад +69

    미친 듣는 내내 너무너무너무 쫄깃함;;

  • @대왕오징어-s4g
    @대왕오징어-s4g 5 лет назад +93

    와...쩐다... 기장과 부기장의 빠른 판단력이 돋보인 사건이네요.

  • @younge899
    @younge899 5 лет назад +17

    침착함이 지닌 무한한 가치. 엄지 척!

  • @채널폐쇄한정조대왕
    @채널폐쇄한정조대왕 2 года назад +1

    영상 엄청 재미있고 지식을 알려주는 영상이라서 엄청 유익합니다. 그리고 해피 엔딩 사고들만 올려주셔서 덜 무서워요 앞으로도 이런 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요

  • @오재훈-w2t
    @오재훈-w2t 5 лет назад +7

    진짜 운과 경험 실력이 큰 실수의 대가를 최소화 했내요. 진짜 다행히 다른 경비행기 경험이랑 여러 경험이 많아서 다행

  • @uranus_kim
    @uranus_kim 5 лет назад +63

    1. 램에어 터빈은 터보엔진의 팬으로 작동 되질 않고 비상시 작동해 튀어나오는 별도의 프로펠러형 유압발생장치 로 작동됨.
    2. 앞바퀴가 착륙시 접혀 들어간 이유는 중력으로만 랜딩기어를 내리는 과정에서 공기저항을 이기고 앞으로 튀어 나와야 하는 전방 랜딩기어가 락킹(고정)이 되질 않았기 때문에...
    3. 사이드 슬립 기술을 사용하여 기체 고도를 낮춤 (에일러런-보조날개 와 러더-방향타를 서로 반대로 쳐 공력 저항을 키움)

    • @bf-1109
      @bf-1109 5 лет назад +5

      당시 항공사고수사대의 조사에 따르면 활공착륙에 성공한 비행기가 앞바퀴가 정상적으로 내려왔다면 활주로를 이탈해 큰 사고를 일으켰을거라고 합니다.

    • @falcon9ft710
      @falcon9ft710 5 лет назад +1

      4. 사실 그때 항공기는 유압의 부재로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았음
      아니 브레이크 잡는다고 앞바퀴가 밀려 올라가면 비행기 매번 착륙할때마다 수리해야하냐 ;;

    • @woejd132
      @woejd132 5 лет назад +1

      김승민 경기 안양 엔진에서 나오는 유압시스테이랑 브레이크 유압시스테은 독립적이지않나요?

    • @bf-1109
      @bf-1109 5 лет назад +1

      @@woejd132 2차대전 당시의 레시프롭기는 브레이크는 유압으로 동작되었지만(소련비행기는 예외. 이쪽은 가스압을 사용함) 방향타와 승강타를 포함한 조작계통은 와이어를 통해 직접 조작되었기 때문에 엔진이 망가져서 정지해도 실속하지만 않는다면 정상적으로 조종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제트엔진 시대가 되면서 방향타를 유압으로 제어하게 되며 엔진출력으로부터 유압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변한거죠.

    • @hawk8873
      @hawk8873 5 лет назад +1

      Ram air turbine,,,,, 줄여서 RAT이라고 하지요. 속도줄면 유압 준다는게 이 소리였군. 착륙할때 기장이 개고생했겠네.

  • @파일럿
    @파일럿 5 лет назад +7

    아니 어떻게 그렇게 다행히도 기장이 글라이더 조종사 출신... 활강에대한 감이 좀 뛰어났었던게 신의 한 수 였네요.. 다른 조종사들은 추락으로 이어졌다고 하는데.. 그 기장님이 아니었으면 어쩌면 큰 참사가 될 뻔했던거네요

    • @Mc-gz6nq
      @Mc-gz6nq 5 лет назад

      그러게요;;

  • @zerosixbcc
    @zerosixbcc 5 лет назад +5

    우와 대박. 저 비행기를 고쳐서 몇십년을 더 썻다니

  • @clauselan
    @clauselan 5 лет назад +23

    약간 과장된 점.
    그날 그 버려진 공항에서는 자동차 동호회에서 드래그 레이싱 모임이 있었지만, 비상착륙하는 시점에는 쉬는 시간이라 차량은 없었으며, 자전거 타는 두 소년만이 활주로에 있었음. 비행기가 엔진이 정지된 상태로 소리없이 내려오고 있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행기가 작륙한 사실도 몰랐으며, 자전거 타던 두 소년도 바로 자기 뒤에 비행기가 앞바퀴가 접힌 채 따라오고 있었다는 사실을 거의 끝 무렵에서야 알게 되었다는 것.

  • @김진설-i2h
    @김진설-i2h 3 года назад +1

    당황하지 않은 두 조종사가 훌륭합니다

  • @timethe7545
    @timethe7545 5 лет назад +5

    기장 미쳤다...
    승무원 및 고객들도 멋집니다.

    • @Flalac
      @Flalac 3 года назад

      항덕으로썬 불편하네요;; 비행기에서는 "승객"이라고 불러요 ㅎㅎ

  • @김성진98
    @김성진98 5 лет назад +108

    3:54 제트엔진에 실린더있는건 처음보네

    • @ooco2449
      @ooco2449 5 лет назад

      ㅋㅋㅋㅋ

    • @오승훈-v5y
      @오승훈-v5y 5 лет назад +5

      터빈+실린더 하이브리드 엔진 ㅋㅋㅋㅋㅋ

    • @xi614
      @xi614 5 лет назад

      ㅋㅋㅋㅋ

    • @김성진98
      @김성진98 5 лет назад

      @@오승훈-v5y 오~ 좋은생각 ㅋㅋㅋ

    • @폴라김
      @폴라김 5 лет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ㄱㅋ

  • @kiminv
    @kiminv 3 года назад +1

    사소한 오류: 영상의 천칭장면(2:35)에서 1파운드가 0.5Kg이라면서 킬로그램 2개에 파운드 1개가 균형을 이루는 것으로 나옴.

  • @킴알람
    @킴알람 5 лет назад +15

    그래서 공학 문제에는 단위를 꼭써주는 버릇을 가져야함

  • @godbirth6523
    @godbirth6523 5 лет назад

    와 정말 편집부터 스토리까지 완벽하네요

  • @atomic2808
    @atomic2808 3 года назад +1

    진짜 개쩐다... 엔진 출력 상실된 상황에서... 경이롭네

  • @사기저격꾼
    @사기저격꾼 5 лет назад

    빨리 백만 되세요!!!

  • @innate4352
    @innate4352 5 лет назад

    나레이션 너무 듣기좋아요 ㅎ 나긋나긋 발음도 좋으셔서

  • @청솔향-g9u
    @청솔향-g9u 5 лет назад

    1. 영국은 미터법을 사용 합니다.
    2.영국이 미터법을 도입하기 이전에 썼던 파운드-야드법(lb,yd)법은 제국 표준Imperial units이란 이름으로 영국에 제정하고 19세기~20세기 중반까지 영연방 제국에 속한 여러 지역에서 두루 통용 됩니다.
    3.영국은 1960년대에 완전히 이 제국 표준을 버리고 미터법으로 갈아 탑니다만 미국은 고집세게도 끝까지 파운두-야드를 고집하되 파운드-야드 기준을 미터법에 고정시킴으로서 (1lb=16oz=453.592g,1yd=3fts=36in=91.44cm,) 지들도 미터법 쓴다고 우기지만 여진히 파운드-야드는 못버리고 있습니다.(우리도 넓이 문제에서는 1平=3.3058m^2의 요상한 기준을 고집하긴 합니다.)
    4.다만 우리도 척관법을 못버린다 하는데 중국(당나라에서 도입)에서 온 이것은 비록 오래되지만 모두 십진수에 맞아 호환에 아무 문제 없습니다.

  • @expand_your_fleet
    @expand_your_fleet 5 лет назад +6

    와 영상을 진짜 잘 만들었다...

  • @dodobuddy
    @dodobuddy 5 лет назад +138

    2:38
    1파운드가 0.5킬로그램인데 저울상태 무엇

    • @user-yv9nb3ie4x
      @user-yv9nb3ie4x 5 лет назад

      어? 그러네?

    • @인간7년전
      @인간7년전 5 лет назад +1

      ㅋㅋㅋ 저도 그생각 함요

    • @youseokhyun9498
      @youseokhyun9498 5 лет назад +1

      ?? 2킬로그램이잖아요

    • @dodobuddy
      @dodobuddy 5 лет назад +2

      @@youseokhyun9498 잉.... 긍까 저울상태를 보세요
      2kg이면 4파운드인데

    • @DNASTRANDD
      @DNASTRANDD 5 лет назад

      0.45g이죠

  • @kidpark-it7846
    @kidpark-it7846 5 лет назад

    호우 판단력이 중요한이유네요.
    10분인데도 넘 흥미롭게 봤어요

  • @티라노사우루스렉-e1j
    @티라노사우루스렉-e1j 4 года назад

    정말 다행입니다
    정말 많이 배우고 갑니다

  • @RoyPatric
    @RoyPatric 5 лет назад +3

    김리글라이더의 B767기체 (reg number 604)는 은퇴후 해체되어 작은 키체인으로 만들어졌고, 지금 그 기체의 작은 조각이 제 가방에 매달려있습니당ㅎ

    • @곰돌이-n5t
      @곰돌이-n5t 5 лет назад

      ? 무슨말임 그게 왜 님한테있음

  • @TV-iw3sn
    @TV-iw3sn 3 года назад

    저때 에어 케나다 143편 정말 기적이었죠.. 정말대단해요… 767을 어뜩해 저렇헤 운전 하죠?? 대단합니다

  • @라마-d8v
    @라마-d8v 3 года назад

    포어드슬립 여객기는 덩치가 커서
    실속하기 쉽다 엔진이 멈추면 돌덩어리
    인데 기장님 대책 에 감탄
    비행사들 해마다 시뮬 시험비행을
    합니다 거의 이런 위험 대책에 관한시뮬
    훈련 을 합니다 불합격 자주하면
    비행 조종 허락 안해줍니다 그래서
    파일럿은 항상 비상대책에 시뮬 을
    합니다

  • @saywhhaful
    @saywhhaful 5 лет назад +19

    저는 비상착륙 한다는 방송을 듣고 승무원이 주는 메뉴얼대로 한후
    마지막에 벼게를 무릎위에 놓고 손을 머리 뒤로하고 손깍지를 낀 다음
    머리를 숙이라고 했을때 이렇게 죽는구나 하고 머리 숙였지만 무사히
    착륙을 했던 경험이 있어요. 착륙하려는데 바퀴가 안빠진거였대요.
    동체로 착륙하려했는데 마지막에 바퀴가 제대로 되었다고해요. 미국

    • @반가을-u8i
      @반가을-u8i 5 лет назад

      다행이네요

    • @yooki1230
      @yooki1230 5 лет назад

      정말 다행입니다 !! 아찔하셨을텐데 너무 다행이에요 ㅠ

    • @user-vx3ti6nz2o
      @user-vx3ti6nz2o 5 лет назад

      저희 어머니도 착륙 바퀴가 안 나와서 풀밭에 착륙했답니다..

  • @daso-science223
    @daso-science223 5 лет назад +14

    정말 유명하고 재미있으면서도 멋진 이야기죠! 기장과 부기장의 임기응변이 정말 잘 먹혀들어 큰 사고를 막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ㅎㅎ 그리고 다들 '단위'의 중요성도 알 수 있었겠죠!

    • @inm6303
      @inm6303 5 лет назад

      단위 때문에 천문학적인 돈을 없애버린 적도 있죠

    • @erickyee4198
      @erickyee4198 5 лет назад

      빨리 미터법으로 통일해야 합니다.

  • @fsunos98
    @fsunos98 5 лет назад +3

    그냥 진짜 전세계 단위 통일화하고 컴퓨터 부품 포트라던지, 여러 기계부품 규격단위좀 싹 통일화했으면 좋겠다.

    • @fiesta0841
      @fiesta0841 5 лет назад

      이세상에 꼰대가 사라지는 날과 동시에 일어날것이라 예상

    • @bhayatte5113
      @bhayatte5113 5 лет назад

      @@fiesta0841 단위 변환할 때 혼란때문에 안 바꾸는거임

  • @MIN-px5ft
    @MIN-px5ft 5 лет назад +1

    사람 아무도 다치지 않은것이다행~

  • @deusexmachina2472
    @deusexmachina2472 5 лет назад +20

    10분짜리 영화를 본기분

  • @SK-do4jq
    @SK-do4jq 5 лет назад

    97년 미국 롱아일랜드 소재 항공학교 재학중 본 사건의 재연 드라마를 본적 있습니다. 제목은 Falling from sky 였구요. 드라마를 보니 부기장분의 사연이 굉장히 안타깝던데 그분은 아픈 아내의 병수발을 들어가며 열심히 살던 사람였습니다. 사건발생 당일 부기장은 부인은 여전히 아팠고 부기장은 그날 퇴근하자마자 부인의 병수발을 들고 있었는데 갑자기 회사에서 지금 사람이 모자라니 땜빵근무 들어오라는 전화를 받고 아픈 부인을 뒤로하고 비행에 나섰다가 사고가 났었죠. 안타깝게도 부기장의 부인은 사건발생 일년후 병마를 이기지 못하고 사망했다네요ㅠㅠ

  • @2bill2
    @2bill2 5 лет назад +1

    역시인간은 위험할때 초능력이 나오네요

  • @방콕비행사
    @방콕비행사 5 лет назад +4

    포워드 슬립이란 글라이더에서 주로 사용하는 기술로 에일러론과 러더를 서로 반대로 움직여 속도 증가 없이 자유낙하 식으로 고도를 낮추는 기술이다. 영상 덕분에 '포워드스립'에 대해 배우고 갑니다.

  • @널구리-b4k
    @널구리-b4k 3 года назад

    엔진이 모두 멈춰도 이렇게 기적이 아니라 비행기가 상당기간 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해야 겠다! 이 위대한 일을 내가 해내도록 하겠다!

  • @노란딱지-q6x
    @노란딱지-q6x 5 лет назад +8

    일단 내상각이 틀릴수도 있지만 내생각은 12500m? 상공에서 연료가 떨어지면 활공하면서 비상착륙 할것 같음

    • @koreauniv24
      @koreauniv24 5 лет назад +2

      안타깝게도 연료가 아예 없어지면 활공이 불가능해지고 그냥 앞으로 떨어져요

    • @노란딱지-q6x
      @노란딱지-q6x 5 лет назад

      아하 그렇군요

    • @koreauniv24
      @koreauniv24 5 лет назад

      @익명 엥? 비행기 날개가 안 돌아가면 활공이 불가해지는 거 아닌가요?

    • @imsuperr4769
      @imsuperr4769 5 лет назад

      활공 맞음

    • @강하나-z8r
      @강하나-z8r 5 лет назад

      @@koreauniv24 엔진 입니다 헬기는 날개가 돌아갑니다

  • @Super-vf7kz
    @Super-vf7kz 4 года назад

    대단한 조종사 들 이군요..

  • @hna543
    @hna543 4 года назад

    영상에 약간의 오류가 있어보입니다.
    램 에어 터빈은 엔진 터빈이 아니라 동체 하부에 평소 숨겨져있다가 비상 상황 시 최소한의 유압과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튀어나오는 프로펠러같은 물건입니다.
    항공기가 일정 속도를 유지하고 있으면 프로펠러가 돌게 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전력으로 유압과 통신 등 최소한의 아날로그 장치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착륙 직전까지 유압을 통한 최소한의 기체 제어는 가능했고, 통신 역시 가능하여 위니펙 공항의 반사파 레이더를 통해 대략적인 위치와 고도를 알 수도 있었습니다. 통신이 먹통이었다면 본인들 위치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겠죠.
    또 램 에어 터빈은 추락 직전에는 속도가 느려져 사용할 수 없는게 맞긴 하지만, 어차피 당시 활주로가 지나치게 가까워 빠른 속도로 하강해야했기에 램 에어 터빈을 가동하기 위해 빠르게 하강했다는 것은 인과관계가 맞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냥 기수를 내려버리면 기체 속도가 너무 빨라져서 매우 위험한 상황이 만들어지기에 기체 속도는 최소한도로 줄이면서 빠르게 하강하기 위해 포워드 슬립을 한 것입니다.

  • @calmty071
    @calmty071 5 лет назад +2

    2:35 1킬로그램=2파운드로 나와야죠!!

  • @jay-124
    @jay-124 4 года назад

    무서운 기억...비행기가 곧 착륙해야 하는데 하늘을 빙빙 돌고 있을 때...ㅎㅎ...특히 착륙지역이 익숙한 지역이면 빙빙 도는걸 금세 알수 있다...그러지 않으면 도는지 거꾸로 가는지 전혀 모름...조종사는 긴급한 경우가 아니면 승객을 불안하게 할 방송을 안한다...영화처럼 조종사가 수시로 방송하는게 아님...승객들은 조종사의 방송만으로도 심장이 멎음...불안한 방송은 척 듣기만 해도 목소리가 다름...

  • @ggh4679
    @ggh4679 5 лет назад

    천칭 저울에 킬로그램과 파운드의 평형을 반대로 그려놨네요. 비행기 한대 또 떨어뜨리시렵니까

  • @雪山飛虎-g5h
    @雪山飛虎-g5h 5 лет назад

    Well done! 대단한 기장이네

  • @jin-hm4fi
    @jin-hm4fi 5 лет назад

    저는 올해 4월달에 수학여행을 제주도로 다녀왔는데 제주도 날씨가 좋지 않아서 겁나게 흔들리고 착륙을 못해서 죽는 줄 알았습니다.ㅋㅋㅋ 결국 출발했던 공항으로 돌아와서 다음날 새벽 4시에 디시 출발해 무사히 다녀왔습니다. 제가 비행기를 그때 처음 타보는데 진짜 죽는줄 알았어요.ㅎㅎ 살아있으니 전 만족합니다.

  • @JUNJAM
    @JUNJAM 5 лет назад

    와 저때 저 기장들이 있다는게 행운이였네. 공군기지 알고 초워드 슬립 알고 걍 합이 척척

    • @정주-o1j
      @정주-o1j 5 лет назад

      저 기장들이 아니였으면 애초에 연료 계산 실수 안했을 수도...

  • @꺄아악-f3z
    @꺄아악-f3z 5 лет назад +62

    뱅기 탈때 제일 무서운건 졸라 개념없는 중국인 관광객이 내 주위에 있을때임 ㅎㄷㄷ 소름돋아ㅠㅠ

    • @sizyphus000
      @sizyphus000 5 лет назад +3

      항상 밝은면만 생각합시다. 긍정은 대안을 제시합니다. ㅎㅎ

    • @초민-z8l
      @초민-z8l 5 лет назад +3

      @@sizyphus000 긍정만하면 호구죠ㅎㅎ

    • @user-dk2djm4eodh
      @user-dk2djm4eodh 5 лет назад

      개념없는 사람은 한국인이든 미국인이든 중국인 아랍인이든 다 개같은데 중국인만 욕하네

    • @루_키
      @루_키 5 лет назад +8

      @@user-dk2djm4eodh 개념없는 중국인이 밀도가 훨씬 높으니까요

    • @user-dk2djm4eodh
      @user-dk2djm4eodh 5 лет назад

      @@루_키 근거는?

  • @borahkang7679
    @borahkang7679 5 лет назад +3

    모. 항공사에 12명정도 탈 수 있는 경비행기에 탑승했을때 경험이 있습니다. 심지어 천둥번게가 치는 구름을 뚫기가 어려운 정도로요. 우는 사람 기도하는 사람.... 그때 브레이스 포지션이란게 뭔지 알았어요. 사실 10년도 더 지난 일이지만 그래서 지금도 미 중부에 가까운 거리를 다닐때는 그냥 차나 기차 글구 버스등을 이용한답니다. ~ :p

  • @한강찬-d6d
    @한강찬-d6d 5 лет назад

    판단력 진짜 개쩐다

  • @이희정-u9l
    @이희정-u9l 5 лет назад

    휼륭하고 감동감동

  • @royal_navy_poi
    @royal_navy_poi 5 лет назад

    파운드와 리터법 환산이 되지 않아서 발생한 사고였군요
    당시 리터법을 사용하기 시작한 항공기가
    첫 디스플레이어 기반 계기(당시에 여객기는들은 지금의 시계처럼 바늘을 가지고 있는 여객기가 다였습니다)를 가지고 있었던
    보잉 767이 였으니 기장이나 지상요원도
    복잡했겠네요

  • @yun0362
    @yun0362 5 лет назад +10

    사악한 임페리얼 단위계! 아주 그냥 주옥같음!

  • @euybaichoi2513
    @euybaichoi2513 5 лет назад

    와우 대단하네요- 비행기 안에서 뱀이라면 우하하하하 재밋는 멘트 !

  • @hawk8873
    @hawk8873 5 лет назад +1

    일반적인 파일럿이 김리 글라이더 시뮬레이션 돌리면 성공율이 17%라던데,,, 흐미,,, 거의 다 땅에 꼬라박고 듀금. 운과 기장 실력의 꼴라보레이숑.

  • @jay-124
    @jay-124 4 года назад

    대단하다....사실 다 죽는건데....조종사도 승객도 정말 운이 좋았네요...이런걸 천운이라고 하지요...

  • @c23987
    @c23987 5 лет назад +1

    왜인지 눈물이 나네요

  • @hanadnp
    @hanadnp 5 лет назад +33

    내용은 재밋는데, 배경 음악이 너무 커서 내용에 집중할 수가 없네요.

    • @erickyee4198
      @erickyee4198 5 лет назад +1

      저도 동감합니다... ㅡ. ㅡ

  • @senresearcherk.2063
    @senresearcherk.2063 4 года назад

    피어슨 기장은 마지막에 아시아나 항공에서 일했던걸로 압니다.

  • @최상원-d8f
    @최상원-d8f 4 года назад

    에어캐나다 143편 사례군요 NGC 항사수에서도 방송되었습니다.

  • @Yuk1mitsu
    @Yuk1mitsu 5 лет назад +15

    듣는내내 계속 긴장되네...ㄷㄷ

  • @형지존-m8s
    @형지존-m8s 2 года назад

    전 비행기 탈때마다 꼭 날개가 부러지는 상상을 한답니다. 엄청 튼튼하게 만든다고는 하는데 ㅎㅎㅎ

  • @SukYeolYOON
    @SukYeolYOON 5 лет назад +1

    참고: 엔진이 꺼져도 비행기 밑으로 풍력발전기 같은게 내려와 약간의 전기를 만들어 몇몇 시스템은 작동시킨다.
    근데 왜 레이더가 꺼진거지?

    • @seasiw
      @seasiw 5 лет назад

      80년도라서 그런게...

    • @SukYeolYOON
      @SukYeolYOON 5 лет назад

      @@seasiw 아아 그랬나

    • @lada3418
      @lada3418 5 лет назад

      몇몇 시스템이 정말 중요한 거기때문에 통신까지는 고려하지 않았나보죠.

    • @강하나-z8r
      @강하나-z8r 5 лет назад

      트렌스폰더 가 꺼진거에요

  • @절식남-g1w
    @절식남-g1w 5 лет назад

    기장은 뉴욕에서 또 한 번의
    기적을 보입니다

  • @LizParadox
    @LizParadox 5 лет назад

    ...곧 에어 캐나다(항공사)타고 캐나다 갈거같은데 그런일이 제발 없기를

  • @brentwood6270
    @brentwood6270 Год назад

    기적이다 기적

  • @bf-1109
    @bf-1109 5 лет назад

    사실 경비행기 같은경우엔 착륙할때 러더페달과 조종관을 움직여서 기체를 선회반전해서 속도를 줄이는 방식도 사용합니다. 이렇게 움직이면 좀 더 빠르게 감속할 수 있으니까요.

    • @sosnsha
      @sosnsha 5 лет назад +1

      제가 경비행기 교관인데 선회반전이라는 어색하게 번역된 말은 안쓰고요. 포워드 슬립은 고도를 깍는 거지 속도를 줄이는게 아닙니다. 속도의 증속없이 고도를 깍는게 어프로치 중 고도 처리 방식이긴 하나 속도를 줄이는 방식이 아니라 증속 없이 디센 레이트를 키우는 겁니다

    • @bf-1109
      @bf-1109 5 лет назад

      @@sosnsha 아 감사합니다 교관님 ㅎㅎ 저는 실제 파일럿은 아니기 땜에 100%완벽한 기동술을 알지는 못합니다.

    • @bf-1109
      @bf-1109 5 лет назад

      @@sosnsha 저같은 경우 시뮬레이션에서 활주로 착륙할때 기체를 좌우로 크게 요잉기동해서 속도와 고도를 줄이거든요.

  • @bg-ng9fl
    @bg-ng9fl 4 года назад

    떨어진다! 꽉잡아아~! 가 안되서 다행이네.

  • @BAMGU_flow
    @BAMGU_flow 5 лет назад +1

    비행기타고있다가...추락할까봐 겁이나요..ㅜ

  • @TaeHyeon2205
    @TaeHyeon2205 5 лет назад +1

    기내식 안나올거같아서 두려웠던적은 있었읍니다

  • @alpakachimkaktuae0
    @alpakachimkaktuae0 5 лет назад +2

    오늘은 정확히 36년이 되는 해이네요....(오늘 2019년 7월23일)

  • @jaesikoon
    @jaesikoon 5 лет назад +8

    램 에어 터빈은 제트터빈 앤진에 있는게 아니라 항공기 하부 혹은 측면에 프로펠러형태로 펼쳐지는 구조입니다.

  • @greenappletea9217
    @greenappletea9217 2 года назад +1

    그때는 rat 이 없었나요......?

  • @아몰랑-y6b
    @아몰랑-y6b 5 лет назад

    우와 그 기장때문에 항공사가 이득본게 돈으로 환산해도 어마어마 할거 같은데 대박.

    • @sungsinghu6416
      @sungsinghu6416 5 лет назад

      항공사입장에선 기장이 연료잘못 넣을때부터 이미 손해..

    • @야채토마토
      @야채토마토 5 лет назад

      홍보효과...

  • @도깨비방앗갓
    @도깨비방앗갓 5 лет назад

    엔진이 터질까봐 걱정이네요

  • @boxpo2011
    @boxpo2011 5 лет назад

    Very informative that you

  • @밤몰
    @밤몰 5 лет назад +2

    진짜로 비행기에서 연료 떨어지면 날리나겠다..

  • @youja5908
    @youja5908 5 лет назад +1

    전 필리핀 을갈라고 비행기를 탔는대
    비가 너무와서 하늘에서 30분동안 있었어요

  • @junkim2933
    @junkim2933 5 лет назад

    영상에서 저런일이 1년에 1번 일어날까말까 하는 일임...
    왜 그러냐면 항공기 뛰우기전 30분동안 엔진 워밍업 타임에 연료를 넣는다.
    단거리 항공기도 마찬가지이며 목적지까지가는 연료량과 비상시에 회항해야할때 백업연료량과 비상시 공중급유할수있게 공중에서 버틸수잇는 연료량을 탱크에 다 계산해서 적재하기때문임
    만약 저런 사태가 일어나면 라인 항공정비사 책임 물론 조종사도 책임있음 계기에 연료량을 체크하는건 기본적인요소임 하지만 정비사 탓이 젤큼
    그리고 저건 운이 좋아서 살앗지 현실은 유압이 약해져서 랜딩기어(착륙장치)도 못꺼냄 Fail-safe 구조여서 작동한다고 하는사람도 잇지만 유압이 약하면 못꺼냄 사실상 모든항공기 Fail-safe구조는 연료가 있을 상황 구조로 만든거라 유압이 약해지기 전에 꺼내야함

  • @billylee1990
    @billylee1990 4 года назад

    브금을 London Fog로 넣어주세요^^

  • @mwjang
    @mwjang 5 лет назад +6

    요즘 비행기 시뮬레이션 게임만합니다

  • @리논-z2r
    @리논-z2r 5 лет назад

    와 대단하시다..

  • @good_shark37
    @good_shark37 5 лет назад

    만약 비행기 날개가 떨어져 나가면 그건... 끝난거죠.......??

  • @memojang
    @memojang 5 лет назад +26

    2:35 킬로그램이 저울에서 더 무거운데 하나 더 추가한다고 위로 어떻게 올라가나요
    게다가 1 파운드가 0.5킬로그램도 안된다면서 1파운드가 2킬로그램이라고 표시하셧네요
    애니메이션 표기와 실제 계산도 동시에 오류났네요

    • @Viexxxxx
      @Viexxxxx 5 лет назад

      ㅋㅋㅋㅋ 그러게요 ㅋㅋㅋ 제가 잘못이해 한줄알고 다시돌려봤네요 ㅋㅋ

  • @Hwm_jct
    @Hwm_jct 4 года назад

    근데 비행기 엔진 다 멈추면 살기를 기도 해야지ㅋㅋ 근데 이걸 살아버리네

  • @소현서1
    @소현서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43편에767기종 래전드착륙

  • @HL-ve6ob
    @HL-ve6ob 5 лет назад +1

    3:59 전기,유압,동력이 없다 했는데 그럼 걍 조종을 못하잖아ㅋㅋㅋ RAT로 발전은 하고 있었으니 전기는 있었겠지

  • @wesss4553
    @wesss4553 5 лет назад

    와우... 여객 항공기로 탑건 찍으시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미쳤다 ㄹㅇ

  • @안상빈-q2k
    @안상빈-q2k 5 лет назад

    비행기 추락할때 무섭...

  • @김영준-w3p
    @김영준-w3p 5 лет назад +5

    상황을 너무 장황하게 설명하긴 했음

  • @이민주-j1d
    @이민주-j1d 5 лет назад +1

    나레이션이 많이 자연스러워졌네 ㅎㅎ 근데 마지막에 뜬금없이 뱀 ㅋㅋ

  • @남홍석화
    @남홍석화 5 лет назад

    네 두려움이 있습니다

  • @sjworks
    @sjworks 5 лет назад +23

    뱀이 왜 나와 ;;; 그런소리 하니까 AI가 만들고 더빙한거같이 이질적이자나

  • @amazingIsum
    @amazingIsum 5 лет назад

    볼륨이 넘 작습니다.
    현장에서 일하면서 듣고 있는데 전채적으로 웅웅거리는 저음이 더 높습니다. 목소리부분 eq마스터링 하셔야되겠네요.
    이어폰.해드셋, pc컴스피커나 전체적인 볼륨이 넘 낮습니다.

  • @udjung7150
    @udjung7150 5 лет назад +1

    코메디다....조종사들이 두 엔진이 꺼졌을때 어떻게 할지를 그때 매뉴얼을 찾아야한다고?????????

    • @gatto376
      @gatto376 5 лет назад +5

      모든 과정이 메뉴얼이 있습니다 워낙 복잡한거라 완벽히 외우고 완벽히 숙지할수가 없어요. 기체마다 방법도 조금씩 다르구요. 아무리 숙련된 조종사라 하더라도 메뉴얼에 따라 모든과정을 수행합니다

  • @kim-z7m8w
    @kim-z7m8w 5 лет назад

    한쪽 연료 없고 반대쪽 연료있으면 옆으로 옮길수 있어

  • @Bless_sky
    @Bless_sky 4 года назад

    소리에 비해 나레이션 목소리가 너무 작아요.

  • @jiho4283
    @jiho4283 5 лет назад

    3:58초에 엔진 꺼지면
    조종사 의자뒤에 있는 레버(수동 조종) 위로올린뒤 반시계 방향으로 돌렸다 내려두고 APU(보조동력장치)
    쓰면 되지 않음?

    • @khackers
      @khackers 5 лет назад

      APU도 기름으로 돌아갑니다 선생님

    • @jiho4283
      @jiho4283 5 лет назад

      @@khackers 헐 진짜여??

  • @Viexxxxx
    @Viexxxxx 5 лет назад

    목소리는 나긋나긋 한데 배경소리는 긴장감있는 소리라 목소리가 배경음악에 묻히네요.. 배경음악 소리를 좀 줄이시는게 좋겠어요

  • @황성철-r8i
    @황성철-r8i 5 лет назад

    지구상에서 가장 안전한 이동수단 비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