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아보기] "거래량 회복은 과대포장".. 매매가와 전셋값, 계속 추락한다.. 은행 파산은 도미노로 번질까? / 우병탁, 김효선, 김찬영, 김석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1 фев 2025
  • [주간 경제자유살롱]
    00:00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팀장
    36:26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위원
    1:19:51 김찬영 한국투자신탁운용 디지털마케팅ETF본부장
    2:18:25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위원
    ■ 주요내용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팀장]
    우병탁 팀장은 부동산 시장을 전망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지표는 거래량, 경매, 전월세를 봐야 한다고 말합니다. 거래량이 잠깐 늘었지만, 3월 들어 다시 감소하고 있고, 절대량은 여전히 부족하다고 합니다.
    또 전세가는 하락하고 있지만 월세는 올라가는 상황에서 일정 지점이 되면 월세 수요가 전세로 유입되며 전세가는 오를 수 있고 매매가 역시 움직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내 집 마련의 시기는 언제쯤이 좋을까요?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팀장의 분석을 SBS 경제자유살롱에서 만나보세요.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위원]
    김효선 위원은 부동산 시장에 가장 큰 문제였던 거래량 절벽 현상은 올해 정책효과를 통해 약간 살아나며 심폐소생을 했다고 말한다. 현재 시장의 가장 큰 문제는 전셋값 하락이라며, 올해 입주물량이 많아서 하락폭을 더 키울 수 있고 이는 곧 매매가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일부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이 높게 나타난 것을 보고 부동산 시장의 냉각기가 끝났다고 보기에는 시기상조라며, 이를 보고 집값이 반등할 거라고 전망할 순 없다고 한다. 집값에 영향을 미칠 변수는 금리와 정부 정책으로, 금리가 어떤 속도로 인하되는지 또 정부 정책이 어느 정도 더 뒷받침해주는지를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김 위원은 일부는 이미 바닥을 찍은 것으로 보이는 지역이 나타나고 있다며, 아직 내집 마련을 서두를 필요는 없지만 봐둔 지역의 원하는 아파트가 있다면 시기를 너무 재지 말고 급매물 위주로 살펴볼 것을 조언했다.
    [김찬영 한국투자신탁운용 본부장]
    *ETF의 투자, 얼마나 하고 있나?
    ETF가 생겨난 지가 올해로 30년이다.
    전 세계 ETF에 투자돼 있는 자금은 2021년말 10조달러, 1경을 넘어섰다.
    우리나라 역시 현재 90조원에 달하는 자금이 ETF 에 투자되어 있고,
    일평균 주식 거래대금의 30-40%가 ETF인 만큼, 이미 대중화 되어 있다.
    *ETF, '언젠가는 하게 될 투자'
    ETF 를 전기차에 비유하기도 하는데, 지금은 안 타더라도 언젠가 결국 타게 될 것. ETF는 '금융의 전기차'라고 볼 수 있다.
    *거래량의 진실
    ETF 거래량이 적으면, 팔고 나가지 못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꼭 그렇지 않다. 거래량은 프로모션으로 인위적으로 이끌어내기도 한다.
    거래량이 많다고 꼭 좋은 것도 아니고, 거래량이 없어도 적정한 가치 근처에서 팔 수 있다. 순자산가치 근처에서 지정가를 정해놓은 뒤 매도 주문을 내고 기다리면 거래가 가능하다.
    *올해 주목할 ETF 상품
    '반도체'에 집중해보자.
    현재 반도체 시장은, 가장 어두운 순간을 통과하고 있어.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생산을 늘릴 계획이고,
    지능형 반도체칩이 쓰이는 챗GPT 개발도 한창이다.
    연말 즈음 과실이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그 외, '레버리지'와 '인버스', '해외 ETF 투자법' 등등 알아보자!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위원]
    3월 FOMC에서 연준은 '물가안정을 위해 해야할 일이 있다'고 강조.
    이번에 금리를 25bp올렸는데, 올해의 마지막 금리인상으로 보고 있음.
    연준에서 금리인하는 없다고 했지만,
    시장은, 올해 25bp씩 세 번은 내릴 가능성 있다고 보고 있어.
    미국과 한국 기준금리차 역대 최고차. 1.5%p
    외국인 자본유입이 채권시장으로 들어오고 있어.
    순 외국인 자금이 유입 유출로 봤을 때 유출이 크다고 보지 않아.
    코코본드 'AT1'은, '신종자본증권'이다.
    금융화사, 보험회사가 주로 발행함.
    위기의 순간에 자본으로 처리돼서 변제순위가 뒤로 밀린다.
    그런데 이번에 이를 전부 상각하면서 CS의 AT1은 휴지조각이 됨.
    이번 은행 파산 사태로
    경기 후퇴, '리세션' 시기가 빨라질 수 있다고 보고 있어.
    CS 쇼크 이후 '위험한 은행'으로, 도이치뱅크가 꼽히기도.
    여기서 균열이 멈출지, 다른 곳에 금이 갈지 앞으로 더 지켜봐야 한다.
    미국 중소은행들이 무너지면서 '상업용 부동산'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미국 건설사들이 건물을 올릴 때, 중소형 은행 대출 비중이 큰데,
    중소형 은행들의 위기가 가속화 되면, 부동산 시장의 위기가 올 수 있어.
    그래서 미국 정부가 초기진화 하려고 노력하는 것.
    중소형 은행들이 연쇄적으로 무너지면
    도미노 현상으로 미국 가계와 기업들까지 문제가 될 수 있어.
    현재 시점에서, 미국 주식 투자자들은 공격적인 투자는 지양하길.
    *중장기 국채보다 단기 국채를 추천한다.
    안전자산 '금' 그리고 '달러' 비중을 높이는 것도 좋겠다.
    ■ 제작진
    총괄 : 손승욱 / PM : David / 라이브 PD : 유규연 / 작가 : 정지윤, 지선영 / 영상취재 : 이재영, 김현상, 서진호, 이승환, 김태훈, 양현철 / 디자인 : 임지윤 / 오디오: 하지윤 / 인턴 : 안지원
    ■ 본 콘텐츠에 포함되는 투자 정보는 참고 만을 위해서 전해드립니다. 투자의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습니다.
    ★SBS 경제자유살롱 커뮤니티 [경자클럽] 오픈★
    함께하기 ▶ premium.sbs.co...
    #SBS #경제자유살롱 #우병탁 #김효선 #김찬영 #김석환

Комментарии • 14

  • @sbsnews8
    @sbsnews8  Год назад +1

    [주간 경제자유살롱]
    00:00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팀장
    36:26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위원
    1:19:51 김찬영 한국투자신탁운용 디지털마케팅ETF본부장
    2:18:25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위원
    ★SBS 경제자유살롱 커뮤니티 [경자클럽] 오픈★
    함께하기 ▶premium.sbs.co.kr/board/63ec4d2a7920627d8e24a8ee

    • @박진호-w8f
      @박진호-w8f Год назад

      ㅏ ㅡ9ㅡ9ㅡㅏㅡ9ㅏㅏ ㅡㅏ ㅡㅐㅡ9ㅡ9ㅡㅏ ㅏㅡㅏ ㅡ9ㅡㅡ9ㅡㅏㅡㅐㅏㅡㅏㅏ ㅡ9ㅏㅡ9ㅏㅡ9ㅐ ㅡㅏ ㅡㅏ ㅡㅏㅡ9ㅡ9ㅏ ㅡㅏㅡㅏㅡㅐㅡㅏㅡㅡ9ㅏㅡ9ㅏㅡㅡ9ㅡ9ㅏ ㅐㅡㅡ9😅

  • @user-yu5cv8dy7b
    @user-yu5cv8dy7b Год назад +5

    무역적자가 작년에 500억불이고 올해도 더욱 늘어나고 있고 경기침체가 심해지고 있고 경상수지도 적자로 돌아섰고 미국도 은행이 부도나고 집값도 폭락하고 있는 세계의 상태에 미중경제전쟁은 강화되고 있고 러우전쟁도 계속되고 있고 세계경제는 점점 침체로 들어가고 있고 미국의 투자도 이익이 없고 일본과의 무역은 계속 200억불이상 적자고 중도 적자로 들어가 계속되고 있고 우리의 건설은 물론 금융기관도 점점 위험해지고 있고 소득은 점점 줄어들고 있고 침체기는 계속인데 집값이 계속 떨어지는 것은 당연.

  • @KGT-e6c
    @KGT-e6c Год назад +10

    올라간다는 기대심리로 매매를 했지만 아직도 한참 위에 있는 집값이다 더떨어져야 된다

  • @opportunity777
    @opportunity777 Год назад +1

    두배 세뱀오르고 20~30프로빠진게 마니빠진거에요?아직도 지방도 4억임..

  • @bkor7081
    @bkor7081 Год назад +2

    지금 3월 거래량 보면 답나옴

  • @성이름-c4y7x
    @성이름-c4y7x Год назад

    무릎에서사서 어쩌구 저쩌구 모든 투자는 신만이 아는 영역인듯요 상위 1퍼센트 그들만의 리그인거같아모 서민들은 일하고 저축하고 이게최고예요 제경험상요

  • @user-fafafafa55
    @user-fafafafa55 Год назад +1

    1,2년으로 될라나

  • @ND-do1ld
    @ND-do1ld Год назад +4

    성과금 잔치 하고 그런데 왜 파산 하조

  • @유삼진-l6h
    @유삼진-l6h Год назад

  • @TV-tu2rh
    @TV-tu2rh Год назад +9

    올해 후반기 또는 내년으로 집을 매수 하세요~ 지금 나온 가격은 아직 거품이 있습니다.

  • @유삼진-l6h
    @유삼진-l6h Год назад

    토지,아파트 70%내려가야 한다. 일본은 32년간 내려갔다. 68%가 산지인 한국. 그린벨트에 아파트지어라.* 주거가 우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