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정확한 당신의 국민연금 조기수령 손익분기점을 찍어드립니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фев 2025
  • 국민연금을 늦게 타는 연기연금, 한마디로 비추입니다.
    #조기수령 #손해연금 #국민연금 #건보료

Комментарии • 341

  • @CamyChem
    @CamyChem Год назад +48

    물가상승률+2% 수익률이 생각보다 쉽질 않아요. 아니, 매우 어렵죠. 이걸 죽을 때까지 계속 유지한다? 가정부터가 잘못된 거라 봐요. 윤창희님께서도 언급하셨듯이 당장 먹고 살 돈이 부족하기에 조기수령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일 거고요, 건보료 문제가 그 다음일 것 같고, 더 높은 투자수익률을 기대하고 조기수령을 하는 분들은 거의 없을 듯해요.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되는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연금 수령액이 클수록(조기연금도 크니까). 조기를 2~3년 단기로 할 경우 상계기간은 뒤로 조금씩 밀립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다.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 유투버는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할 자신있는 분만......

  • @모데라토-l2j
    @모데라토-l2j Год назад +8

    우리 아버지 75세 넘으니 돈쓸일이 현저히 떨어져요 지금88세 지금은 기본 생활비 정도 조기수령해서 즐기셔요 젊을때 쓰셔요 고갈도되고 저도 조기수령

  • @소락여해
    @소락여해 Год назад +20

    자산이 10억이상이면 알아서할거고
    그이하는 조기수령이 답임
    80넘어서 몸건강하게 삶을즐길거라는 생각은 욕심이다

  • @마요해치지
    @마요해치지 Год назад +18

    조기연금 안받아도 될 정도로 노후 준비가 잘 되어 있다면 땡큐죠~~

  • @김종완-p8o
    @김종완-p8o 8 дней назад +1

    추후 연금은 분명노후에 보탬은 되지만 노후를보장하진못합니다 가난은 나라임금도 구제못합니다 노후는 각객전투

  • @김효진-v9y
    @김효진-v9y Год назад +33

    100만원기준으로 계산하면 5년조기수령(4%적금)70*60*1.1=3850이고, 5년후 3850을 연4%정기예금한다고 가정하면=> 3850/(30-12.83)/12하면 약84세가 손익분기점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실제물가상승율보다 국민연금에서 인정하는 물가상승율이 적다는 걸 감안하면 더더욱 조기수령이 유리하다고 생각됩니다...저도 담달부터 조기수령합니다...

    • @hdtut8895
      @hdtut8895 Год назад +5

      4% 다 못받아요
      세금 때고나면 3% 될까말까

    • @기억장소
      @기억장소 Год назад +1

      왜 이율도 얼마안되는 적금에 투자함 ㅋ ㅋ ㅋ

  • @두꺼비-q1f
    @두꺼비-q1f Год назад +99

    돈필요할 나이는 80이전입니다
    그래서 조기연금에 한표입니다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되는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연금 수령액이 클수록(조기연금도 크니까). 조기를 2~3년 단기로 할 경우 상계기간은 뒤로 조금씩 밀립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다.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 유투버는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할 자신있는 분만......

    • @이동엽-j3w
      @이동엽-j3w 7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젊어서 타면 맛있는것고 먹고 구경도 다니고 늙어서 타면 병원비에 다 써버려요!!

    • @TV-tb7bo
      @TV-tb7b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늙으면 통장 자식들에게 뺏김

    • @이동엽-j3w
      @이동엽-j3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TV-tb7bo 통장까지 뺏기고 살정도면 천국이 가까워진것 같네요!!

    • @용기-b6p
      @용기-b6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조기연금 수령자는 78세이후엔 정상수령자와 동급이니, 조기연금자는 70대에 먼길 떠나야겠네요.
      죽지않고, 88세이상 생존한다면, 두고 두고 땅을 치며 후회하는것을 왜 모르십니까? 현71세로 국민연금 15년째 5년 조기연금 수령 중인 지인은 너무 너무 조기 수령을 후회하며, 80세이상 오래 살까봐서 걱정이랍니다. 국민연금200만원이상 받고,현금4억원, 아파트1채 소유한 은행원 퇴직자는 96세이상 마르고 닳도록 살려고, 현재도 건강관리에 매진합니다.

  • @정현수-g6y
    @정현수-g6y Год назад +41

    조기연금받는분들은대부분생활비로쓸텐데.재투자해서5프로10프로는허망한얘기입니다.

  • @레몬-j3r
    @레몬-j3r Год назад +17

    항상 내용이 알차고좋너요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되는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연금 수령액이 클수록(조기연금도 크니까). 조기를 2~3년 단기로 할 경우 상계기간은 뒤로 조금씩 밀립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다.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 유투버는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할 자신있는 분만......

  • @BKKang-vr6ob
    @BKKang-vr6ob Год назад +101

    평균 수명 84세라 해도 건강 수명은 75세 전후 같다. 한 살이라도 젊을때 즐기며 살고싶다.

    • @missprettie2165
      @missprettie2165 Год назад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된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지만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분들은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 할 자신있는 분만......

  • @yoonsteve365
    @yoonsteve365 Год назад +73

    5년 당겨서 조기연금 받고있어요 조기수령 117만원 나오네요 생활에 큰 도움이 됩니다

    • @sjl-me9yy
      @sjl-me9yy Год назад +2

      제때 받는 것보다 30%줄었나요?
      아니면더 줄었습니까?

    • @kukucaca5030
      @kukucaca5030 Год назад

      ​@@sjl-me9yy 30% 줍니다. 하지만 모수가 70%라서 물가상승률 곱해도 연금 증가가 더딜겁니다

    • @꽃길만-v2y
      @꽃길만-v2y Год назад

      ​@@sjl-me9yy 30% 삭감 됩니다

    • @새로운희망-z8j
      @새로운희망-z8j Год назад +15

      5년 조기연금 신청 했으면 거의 45%정도 감소했을 겁니다
      왜냐하면 현재시점에서 5년후를 추계할 경우 물가상승율
      을 감안한 경우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조깅연금을 수령한다면 이 물가상승율을 제외하여 연 6%씩 총 30%를 감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순수한 연금 수령을 기준으로 보면
      5년 먼저 수령할 경우 약 14년?이후부터는 손해가 되는 것으로 계산됩니다.
      예를들어 65세 수령을 조기연금으로 60세부터 수령한다면 74세부터는 정상수급자보다는 손해가 난다는 계산이 됩니다. 이때 조기수령해서 투자해서 수익을 낸다는 가정은 제외했구요. 현실적으로 노인의 조기연금은 전액 소비가 타당하리라 생각됩니다.
      추천한다면 생활의 크게 쪼달리지 않으면 정상 수급을 권하며,,, 여유로와도 연기연금으로 하지말고 정상수급하는게 좋다는 결론입니다. 연기연금은 84세 이상 생존해야 그 때부터 이익이 발생하는데... 인명은 재천이니 정해진 수급연령을 따르는 것이 최상일 것으로 보입니다.

    • @늘푸른청춘-u5f
      @늘푸른청춘-u5f Год назад +3

      바보 ㅎㅎ

  • @heather7929
    @heather7929 Год назад +13

    늙어서 누워만 있는데 많이 받으면 후회만 남겠지.

  • @libertybellliberty6096
    @libertybellliberty6096 Год назад +126

    최근 통계에 의하면 70살에 도달하면 80%정도가 생존해 있지만 70살부터 80살 사이에 질병 사망률이 급증하여 75살이 되면 50%가 저세상 사람이 됩니다. 그리고 80살이 되면 70%가 저세상 사람이 되고 30%만 생존하게 됩니다. 다시 말해서 80살 까지만 살아도 상위 30% 장수했다는 소리를 듣고 90세가 되면 대부분 사망하여 95%가 죽고 5%만 생존하게 됩니다. 제 생각은 80살은 고사하고 75살까지 살아도 그 이전에 질병으로 죽을 확률이 50%이고 비교적 건강 할 때 삭감되어도 조기 수령하는 것이 이득 이라고 생각합니다.

    • @theday.1293
      @theday.1293 Год назад +12

      공감 합니다.

    • @늘푸른청춘-u5f
      @늘푸른청춘-u5f Год назад

      근데 70부터 돈없으면 진짜 비참한데 ?
      병원비도 겁나 많이 들어가고
      60대야 뭐라도 해서 먹고 살순 있는데 ?
      푼돈 먼저 받아야 살림살이 나아 질려나 ?
      대가리 나쁜 인간들은 눈앞의 이익에만 집착하니 나중에 펴지 주우러 다니지

    • @고덕수-h3g
      @고덕수-h3g Год назад +11

      무조건 일찍타야됩니다
      언제 죽을지 모르는데요

    • @늘푸른청춘-u5f
      @늘푸른청춘-u5f Год назад

      @@고덕수-h3g
      죽는것도 쉽지 않음요
      죽기 직전에 병원에서 살려 줌니다
      누워서 보내서 그렇지요

    • @고덕수-h3g
      @고덕수-h3g Год назад +8

      맞습니다

  • @장영천-b7c
    @장영천-b7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각자의 상황에따라 (경제 건강 가족) 각자의 계산에서 가장 좋은 결과가 정답
    각자의 선택의 결과의 좋고 나쁨은 또 각자가 책임져야지

  • @peter-um5ew
    @peter-um5ew Год назад +11

    일할 때는 월급
    노후 때는 연금
    매달 따박따박 나오는 돈이 제일이더라구요

  • @동철최-h6v
    @동철최-h6v Год назад +11

    노동으로 평생 일하신분들은 80세 넘기기 힘덜어요..
    조기연금이 이득이라봄

  • @푸른구름-j9z
    @푸른구름-j9z Год назад +35

    조기연금을 수령하는 가장 큰 이유는 그만큼 노후준비를 하지 못한 비율이 높다는 것이다.두번째 이유는 실질적 퇴사 나이로 부터 65세까지 최대 15년간의 갭이 발생할 수 있다는 건데 50년 대출이 난무하는 세상에서 그나마 확실한 건 연금이기 때문이다.평균 수명 85세라지만 건강한 나이는 대략 75세 전후 10년간의 차이가 66%라지만 물가 상승률을 감안하면 조기 수령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 본다.물론 그만큼 적게 타니 후배들에게 미치는 영향도 줄어들고 말이다.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되는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연금 수령액이 클수록(조기연금도 크니까). 조기를 2~3년 단기로 할 경우 상계기간은 뒤로 조금씩 밀립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다.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 유투버는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할 자신있는 분만......

    • @전영희-q8l
      @전영희-q8l Месяц назад +1

      ​@@은하은하수 너무 공감합니다 본인이 처한 상황이 다른데 무조건 조기연금은 아니라 봅니다

  • @swjhong1519
    @swjhong1519 Год назад +34

    다른것은 모르겠지만 한가지 재확인된것은 연기연금은 절대 해서는 안된다는것

  • @김정중-r9o
    @김정중-r9o Год назад +11

    국민연금 수령시기 10년뒤 60세에서 65세로 연장되어 수령한다.
    퇴직연령이 60세인데 현재도 5년의 공백기가 있다. 난 동의 한적 없다.
    대책없이 연장하여 하지말고 원래대로 60세로 돌려놔야 된다.
    대신 빈부의 차이를 국민연금으로 줄이는 순기능을 강화하여 중위소득이상 보험요율을 소득비례 단계적으로 올려 기금소멸과 중산층을 늘릴수 있다고 생각한다.
    정년을 늘리는것은 청년층의 고용에도 부담을 주고 정년을 늘리지않고 국민연금 수령시기를 늘리는것은 기금고갈의 책임을 국민에게 전가하는것이다.
    차라리 공무원연금처럼 세금 즉 국가재정으로 집행해라
    조기수령에 한표 오래살 자신도 없고 부자도 아니고 몸이아파 수입도 퇴직시 번돈으로 생활하고 있다.
    정부가 처음 공약한 것을 지키기 바란다

  • @taciturn1117
    @taciturn1117 Год назад +9

    건강보험료를 줄이기 위한 합법적인 요령들 좀 정리해서 올려주세요@@@

  • @전돌멩이
    @전돌멩이 Год назад +8

    당장 내일 죽을수 있는게 인생인데...하루라도 빨리받는게 이득이다...

  • @korea78470
    @korea78470 Год назад +8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 국민연금제도의 변화때문 아닐까요? 나의 수령시점이 늦춰진다면 백프로 조기연금이 이익이지요.

  • @영원의베이스
    @영원의베이스 Год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스톤스트
    @스톤스트 Год назад +5

    연기연금 손익분기점 판단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은, 정상연금 수령시 다른 소득이 있어서 감액되기 때문에 연기연금을 선택하는 것이므로, 정상연금의 50%까지 감액되는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하므로, 손익분기나이가 87세가 아닌 훨씬 낮아집니다. 아마 5년 50%감액되는 사람이면 80초반이 손익분기 나이가 됩니다.

  • @구은옥-q2n
    @구은옥-q2n Год назад +4

    국민이 바보가 아니라서 국가가 말하는 반대로 하면서 살고싶은 이유는 정치인들이 잘 못하고 있기 때문이지

  • @jjoe5585
    @jjoe5585 Год назад +79

    저의 아버님께서(42년생) 평생을 가장 높은 금액으로 국민연금을 납부하시다가 만60 즈음에 작고하셨는데,, 배우자인 어머님께 나온 금액이 원래 받은실 금액의 1/3정도 금액만 나오더라고요.. 어떻게든 안주려는 국민연금입니다..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무조건 조기수령이 답입니다.

    • @jesusismylord7364
      @jesusismylord7364 Год назад

      @@산비탈-q7t 지인에게 1억을 빌려줬는데 그만 받지도 못하고 죽었다면
      당사자가 죽었으니 1/3만 갚으면 되나요?

    • @김형준-f4y
      @김형준-f4y Год назад +11

      유족연금은 60% 입니다..

    • @theday.1293
      @theday.1293 Год назад +4

      공감 합니다

    • @marksmithcollins
      @marksmithcollins Год назад +7

      '어떻게든 안주려는' 이 아니고 받을분이 안계시고 유족으로 바뀌었는데 무슨소릴 하는겐가.
      게다가 60에 작고하셨다는 얘기와 고령화를 한꺼번에 얘기한다고?

    • @금빛물결-k2i
      @금빛물결-k2i Год назад +7

      20년 아상 납부하면
      유족연금 60%
      20년 이하는 40%?

  • @jun9
    @jun9 Год назад +6

    연기금 고갈을 날마다 뉴스에서 떠드는데 조기연금을 안할 이유가 없자나요.

  • @새가슴-z7s
    @새가슴-z7s Год назад +8

    설명중에 빠진게 있습니다..150만원 정상연금이나 연기연금은 기초연금이나 노령연금이 깎여 나오는거로 따지면 조기수령이 훨씬 유리합니다

  • @김미정-l5g5y
    @김미정-l5g5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조기연금 수령은 개인 사정에 따라서 하시는게 좋을 듯 ~1~2년 조기수령은 괞챦지않을까 조심스레 예측해봅니다
    깎이는금액만 생각말고 반대로 미리 받는 금액을 계산하여 손익분기점생각하고 년수는 조정하시길~ 부부간 나이차이 건강상태등을 고려해서...

  • @박동현-자유
    @박동현-자유 Год назад +33

    조기연금도 생각해볼만하다. 수명을 알수없고 그리스처럼 30퍼센트 깍일수도 있다.
    활동할수 있는 나이에 빨리 받아 쓰는 것도 괜찮다.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된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지만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분들은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 할 자신있는 분만......

    • @잠만보-t9k
      @잠만보-t9k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은하은하수 복붙 그만해라 공단 직원이냐 ㅋㅋㅋ

  • @흑곰백곰
    @흑곰백곰 Год назад +7

    언제 죽을지도 모르는데 무슨 정상수령이고 연기수령이냐
    나중되면 고갈되서 받지도못하는데
    조기로 빨리받아서 팍팍써야지

  • @cemptyrempty
    @cemptyrempty Год назад +14

    계산에서 한 가지가 빠졌음.
    국민연금의 50%는 건강보험료에 산정되고 또한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이기 때문에 78세보다 최소한 몇 개월은 더 뒤로 감.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된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지만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분들은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 할 자신있는 분만......

  • @jiwun-ch7is
    @jiwun-ch7is Год назад +3

    팩트:
    1. 더 많이 타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아이들의 어깨에 짐은 무거워진다.
    2. 낸만큼 가져가야 연금유지가 가능하다.
    3. 개혁안보니 유지는 불가능하다.
    추가
    4. 고갈 후 국가가 준다? 포퓰리즘 결말에 대해 알고있는지 묻고싶다.

    • @향기-s5r
      @향기-s5r Год назад +1

      고갈 될꺼니까 자꾸 연기하라는듯

  • @choosy0815
    @choosy0815 Год назад +2

    윤창희기자님 궁금한게있는데요
    국민연금 일시금수령 하는 방법도 영상으로 올려주세요 질문도있어요
    국민연금 납부보혐료를 환급해주나요
    답변주세요

  • @alive5795
    @alive579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연금 받을때까지 기다리다 사망하겠음...

  • @Mukorita
    @Mukorita Год назад +31

    저희 아버지도 국민연금 정상수령시 연2000 간당간당해서 조기수령 하기로 핬습니다. 몇년이라도 피부양자 해야죠.

  • @고래등-m7t
    @고래등-m7t Год назад +11

    아무리 생각해도 조기연금이 좋은것 같다. 왜냐면 5년 사이 또 수급나이와 연금을 줄일께 뻔하기 때문에

    • @kukucaca5030
      @kukucaca5030 Год назад +2

      수급나이는 바뀌지 않아요.
      이미 결정되어 있습니다.
      최근 논의 부분도 73년생 이후부터이고
      5년마다 66세 67세 68세 늘어납니다.
      다른 부분은 바뀌겠지만요.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되는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연금 수령액이 클수록(조기연금도 크니까). 조기를 2~3년 단기로 할 경우 상계기간은 뒤로 조금씩 밀립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다.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 유투버는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할 자신있는 분만......

    • @잠만보-t9k
      @잠만보-t9k 5 месяцев назад

      ​@@kukucaca5030 니 손모가지 걸고 확신하냐?

  • @Ruliling
    @Ruliling Год назад +28

    87세때 이후 남들보다 조금 많이 받아도 의미없는게, 체력이 안돼서 어디 놀러가기도 힘들고 혈압, 당뇨때문애 먹고싶은거 맘대로 먹지도 못함. 누리고 살려면 젊었을때 해야지. 연금 월 천만원씩 받는것도 아니고 30%가 많아봐야 몇십만원 수준인데 사실 그 돈 차이가 노후 생활 수준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준다 보긴 힘듬

    • @전영희-q8l
      @전영희-q8l Месяц назад +1

      누리는거는 젊어서 돈벌어서 누리고 늙어 병들어 자식에게 부담 안줄려면 국민연금 더받아 실손보험료라도 내야조

  • @jjul.5979
    @jjul.5979 Год назад +12

    부모님 두분이 아직도 일하고 계세요. 아버지는 연금액의 50프로 감액 받고 있어요(소득이 높으면 제나이에 연금을 타도 감액을 최대로 50% 5년간 그런다고 합니다. ) 어머니도 곧 연금을 타실 예정인데 역시 50프로 감액 받으실것같아서... 그냥 미뤄서 타는걸 추천 드릴까합니다. 그럼 5년간 감액되지 않아도 되고 36프로 더 받을 수 있으니까요.. 이게 맞는 방법일까요?

    • @향기-s5r
      @향기-s5r Год назад +1

      그 소득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잘 계산하시고 5년이상 되면 연기하시고 그이하면 제때타시는게 낮겠지요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늦은감은 있지만 무조건 연기 하시고 중간에 소득이 기준 이하로 감소 하시면 그때 신청 바랍니다. 신청시 꼭 연단위로 마출 필요없습니다. 월단위로 이자 계산 하니까요

  • @지대로-g4h
    @지대로-g4h Год назад +15

    실효적인 선택은 조기추천.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되는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연금 수령액이 클수록(조기연금도 크니까). 조기를 2~3년 단기로 할 경우 상계기간은 뒤로 조금씩 밀립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다.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 유투버는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할 자신있는 분만......

  • @yml3464
    @yml3464 Год назад +7

    연 10%수익 ㅋㅋㅋ 대부분은 몇 푼 안되는 연금 생활비로 다 씀..

  • @greenbeam9080
    @greenbeam9080 Месяц назад +1

    난오래살거야 한다고 되는것도 아니고, 타고난 수명은 긴데 불의의 사고로 일찍 갈수도 있고, 설령 오래 산다고해도 움직이지못하고 보호사에게 의탁해야 이동가능하다면 그때가서 받는 연금이 뭐그리 중요한가? 내가 가고싶은곳 ,보고싶은곳 내발로가서 즐길수 있을때 받아서 쓰는게 정답이지 않은가?

  • @정기만-f8g
    @정기만-f8g Год назад +10

    무조건.조기수령.정답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되는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연금 수령액이 클수록(조기연금도 크니까). 조기를 2~3년 단기로 할 경우 상계기간은 뒤로 조금씩 밀립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다.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 유투버는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할 자신있는 분만......

  • @User-Retired62
    @User-Retired62 Год назад +16

    건보료 피부양자 요건이 조기연금수령에 결정적 요인 (나중에 지역으로 바뀔때 바뀌더라도)
    손익분기 연령이 78세 인것도 그렇고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되는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연금 수령액이 클수록(조기연금도 크니까). 조기를 2~3년 단기로 할 경우 상계기간은 뒤로 조금씩 밀립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다.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 유투버는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할 자신있는 분만......

  • @user-ll1ev2yc2w
    @user-ll1ev2yc2w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조기수령이나 정상수령해서 생활비로 쓴다면 정상수령한 사람이 9년이 지나면 손익분기점 넘습니다. 돈 급하지않고 건강하다면 정상수령이 더 유리함~~연기수령은 어쩔수 없는 경우 제외하면 비추~~

  • @kukucaca5030
    @kukucaca5030 Год назад +4

    조기연금 5년 받아서 세후 연7~8% 수익이면 100세까지 유리함
    6년차부터 수익으로 30% 매년 대체하고 남은 금액을 50년간 계속 7~8% 수익을 내야함
    엑셀로 계산해봄
    s&p500 으로 가능할듯(쉽지 않음)
    투자하지 않으면 75세가 손익분기로 나옴

    • @바나나우유-z5m
      @바나나우유-z5m Год назад +2

      엄청나게 많은 연금도 어닐텐데 매달 일정 적금 가능한가요? 더우기 100세까지 관리 할 수 있나요? 불가능합니다

    • @wuf8i2bndoqkqnd
      @wuf8i2bndoqkqn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아이고 남성은80세 넘어가면 생존가능성 상위5% 거기다 투자활동가능? 병원 안다니고 일상생활만해도 성공하고 행복한겁니다.일평생 분필잡은 분도 골프채를75세되니 놓더라구요. 체력이 안되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전두환은 90세까지 골프치러다니긴하더군요 ㅎ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가입자의 인상되는 5년간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된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0만원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조기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다,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등 여러요인의 감안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 @TV-tb7bo
    @TV-tb7bo Год назад +1

    공단은 조기수령이 많아질수록 연금 고갈시점이 더. 빨라집니다
    여기까지만ᆢᆢ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된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지만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분들은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 할 자신있는 분만......

  • @kimjy6612
    @kimjy6612 Год назад +6

    앞으로 개혁이 몇번될지 모름요. 68세가 끝이 아닐수도

    • @wuf8i2bndoqkqnd
      @wuf8i2bndoqkqn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연금지급 늦추는 정당은 뽑질말아야합니다. 현재 우리나라 연금은 기금즉 적립한돈을 주는방식인데 어느나라도 연금 적립된 기금으로주는 곳이 없어요. 즉 대한민국 연금은 말도안되는흑자인겁니다
      대부분 나라가 세금걷어주지 쌓은돈에서주는게아닙니다. 그런데 공포조장해서 자꾸 연금지급 지연하는데이건 국민바보취급입니다.

    • @kimjy6612
      @kimjy661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wuf8i2bndoqkqnd
      출산율 높이려는 노력은 노력대로하고 현실적으로 정부 예산 일부 지원하는 방식으로 연금시기나 금액은 어느정도 보장해야 함

  • @skim3600
    @skim3600 Год назад +8

    명쾌한 설명이네요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되는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연금 수령액이 클수록(조기연금도 크니까). 조기를 2~3년 단기로 할 경우 상계기간은 뒤로 조금씩 밀립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다.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 유투버는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할 자신있는 분만......

  • @suyeon2kr
    @suyeon2k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연금수령이 언젠간 70세에 온다는 생각 해봐야한다

  • @성이름-c4e9x
    @성이름-c4e9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여기서 질문!
    조기수령하고 그돈을 은행에 정기예금하면? 이자는? 연 몇%부터 이득임?

  • @박화랑-g5m
    @박화랑-g5m Год назад +2

    내가 20년 넘게 내고도 혜택 못 갇는것도 인되고
    차후 다음 세대들이 고갈되는 연금으로 희생되는것도 문제고
    아고 어찌해야하나요 ? 어렵네요 ㅠ

  • @jaegeunyu4449
    @jaegeunyu444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대한민국 남자 평균 연령이 80세 라는데 내 주위 분들은 80 이전에 돌아가셨다.
    물론 내 장인께서는 92세인데도 쌩쌩하시다.
    지금 생생하신 장인도 80세 이후에는 집 나가는 일 거의 없고, 내가 드리는 용돈 50만원도 다 못쓰시고 저축하고 계시다.
    내 생각엔 몸 움직일 수 있을 때 조기 연금 타서 써야 한다. 80세 이후에는 연금 많이 타도 채력이 안되서 쓸 수가 없다.

  • @정락손-v7c
    @정락손-v7c Год назад +7

    기초연금받는것도 관련이 있지않나요

  • @천둥이b
    @천둥이b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조기연금의 증가이유의 핵심은
    부부 둘 다 수급권자일때
    한쪽의 사망시 연금이 대폭 줄어들기 때문일수도 있이요
    조기수령해서 개인이 관리하는게 그나마 남는게 있다는 계산

  • @에쉴리-n1x
    @에쉴리-n1x Год назад +15

    지금 받는 사람이면 고갈 문제가 아니라 노후 준비가 안독어있어서 돈이없어서겠지.

  • @benhurTVnBike
    @benhurTVnBike Год назад +3

    그런수치보다 조기연금 탈 정도의 멘탈이라면 그사람은 몇 십만원 그까짓것 아무것도 아니다. 빨리타서 해외여행 말고(허구헌날 유럽여행 하는사람만큼 한심한 사람도 없다 ㅎ) 취미생활하고 운동하고 어학공부하삼 ㅎ 조기연금 생활자이자 유튜브 벤허TV 운영자 배상~~~

  • @김해용-h6f
    @김해용-h6f Год назад +1

    5%수익 5대은행 달러예금 5%넘읍니다 그리고 종합과세 아닙니다 국산돈 보다 2배더줍니다
    원화보다는 달러가 더가치 있을테니까

  • @rlaaudtjq
    @rlaaudtjq Год назад +1

    나는 120살까지 살거니까 연기연금을 택해야겠다 ㅎㅎ 정년까지 12년, 연금수령까지 17년, 연기연금 수령까지 22년 남았네....후아~ 토
    직연금, 사연금 죽어라 불입해도 월 100만원 남짓인데 물가연동도 안되서 완전 푼돈되는 것 아닌가? 주택연금 제도는 정년무렵까지 남아있으려나? 근데, 정년은 보장이 되는건가? 노후준비가 생각보다 간단하지 않네 ㅠㅠ

  • @alphonse777777
    @alphonse777777 Год назад +42

    국민연금을 건강보험 소득기준에서 제외하는게 맞다고 봄

  • @숨아트
    @숨아트 Год назад +15

    1)조기 연금 받아서 투자 못하고 그냥 소비하는 현실적인 조건으로 손익분기점 나이를 분석해야 하는게 우선이고,
    2) 연금을 쓰지않고 전액 투자하여 5% 손익날 경우를 비교하는것은 그 자체도 비현실적 가정이지만 우선순위가 다음이어야 함에도 영상은 1)번은 언급도 없고 2)번을 강조, 유도하는 정보왜곡이라고 판단됩니다.
    1)번 조건에서는 몇살부터 역전 즉 조기연금이 손해일까요? 70대 초반부터는 손해일것 같습니다만,,,,
    객관적, 현실적 상황에서의 분석과 정보를 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 @Ha-qp1jv
      @Ha-qp1jv Год назад +7

      보면서 저도 비슷하게 느꼈습니다.
      투자를 안한다는 가정도 넣었어야 정확한 영상이 되었겠네요

    • @hdtut8895
      @hdtut8895 Год назад +7

      투자를 해도 개인이 꾸준히 년 5% 수익내기는 불가능
      그리고 적금은 이자소득세도 내어야 하기 때문에 6%를 올려야 가능
      상가투자를 해도 실소득 5% 찿기가 어려움
      생각보다 떼가는 곳이 많음
      주식에서 돈번 개미는 극소수고
      코인은 더더욱 없고
      국민연금은 소액이라 사실상 투자는 예적금 말고는 없는게 현실.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된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지만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분들은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 할 자신있는 분만......

  • @kim-k6y-p9u
    @kim-k6y-p9u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당장 먹고 살게 없다면 조기연금이지만 그정도 아니라면 조기, 연기 둘 다 아닌 정상 수령이 좋습니다.

  • @김형준-f4y
    @김형준-f4y Год назад +7

    손익분기점?..ㅋㅋㅋ
    아무의미 없습니다.
    20년 후에 30만원 ~ 40만원 더 탄다고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
    그리고 나이들어 방구석에 누워서 40만원 더 가지고 뭘 할건데요..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가입자의 인상되는 5년간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된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0만원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조기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다,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등 여러요인의 감안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 @nobodyhey
    @nobodyhey Год назад +5

    국가가 삥~~~ 뜯어간다 최대 30퍼

  • @a.j.151
    @a.j.151 Год назад +1

    체감물가 상승만 따져도 무조건 조기연금이 답이다 백세시대 가스라이팅은 이제 그만 개인이 자신의 사정에 가장 잘맞는 선택을하지 자신에게 불리한 선택을 할까? 국민연금에서 내 건강상태 알리도 없고 수명을 걱정해줄리 만무하다 돈 적게 받고 빨리 죽길 바라는 불합리한 제도 각자 살아남는게 답이지 반박시 국민연금 관계자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가입자의 인상되는 5년간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된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0만원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조기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다,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등 여러요인의 감안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 @jeongwh21c
    @jeongwh21c Год назад +2

    피가되고 살이되는 소중한정보를 잘보고 있읍니다~ 감사합니다. 조기수령을 안할려고 해도 수급연령을 자꾸 늘리니 어쩝니까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되는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연금 수령액이 클수록(조기연금도 크니까). 조기를 2~3년 단기로 할 경우 상계기간은 뒤로 조금씩 밀립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다.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 유투버는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할 자신있는 분만......

  • @배호진-k2b
    @배호진-k2b Год назад +11

    문제는 78세이후에 돌아다닐힘이 있나는 말임.
    조기수령하고 놀러다니고 싶다

  • @영영-i6s
    @영영-i6s Год назад +2

    일찍사망하면 그때는 어쩌라고 1년만받아도 없어지는건데

  • @suyeon2kr
    @suyeon2k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다들 80넘기 쉬운줄 아나보다

  • @TV-op6uq
    @TV-op6uq Год назад +1

    연기 연긐
    90 살까지 훨훨 날아 다닐 정도면 뭐
    기저병 있는 사람은 80살까지 살까 싶다.
    연금 얼마 안 되는 푼돈 가지고 머리 굴러 봐야 거기서 거기
    도토리 키재기

  • @ckhwanny
    @ckhwanny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국민연금관리공단에 조기연금 신청하러 함 가봐라~~~~ 얼마나 뜯어 말리는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왜 그러는지 생각해 보셨음?????? 나를 생각해서???? 아놔~~~

  • @이재훈-r6b
    @이재훈-r6b Год назад +6

    재수없으면 내일이라도 죽는다 죽으면 10원도 못 받는다 일단 받는 게 장땡 😊

    • @크리스탈-l8b6w
      @크리스탈-l8b6w Год назад +1

      님의 말이 맞는 말씀 저는 내년 3월 부터 타면 정상적으로 받을려합니다

  • @인준황-c1g
    @인준황-c1g Год назад +1

    65 이후 수령하는 기초연금과의 관계가 빠져있습니다 조기 한표

  • @lhktu
    @lhktu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년부터 5년까지 각각의 경우도 알려주세요. 대게 5년보다 1~2년 조기수령이 많을듯합니다

  • @오승학-c3v
    @오승학-c3v Год назад +4

    30에서 50프로 건보료 올렸는데
    나중에 100프로 안올린다고 장담할수 있슴???

  • @용기-b6p
    @용기-b6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연기연금은 진짜 미련한 짓이다. 월 500만원의 근로소득이 있어서, 국민연금 수령액이 5년간 대폭 감액될 경우를 제외하곤, 연기연금 신청자 대다수가 땅을 치고, 후회합니다. 조기수령자도 71세이후에는 엄청 후회하고요. 80세이상 오래 살까봐 걱정이랍니다.78세이상 오래오래 살수록 정상수령자보다 갈수록 손해액이 커지니까요. 조기연금은 70대에 일찍 먼 길 가실 분들만 유효한 것 같네요. 조기연금은 80세이상 생존 예정자는 비추.

  • @sjwon
    @sjwon Год назад +2

    젊은적 돈 쓰는것이 늙어서 돈 쓰는것 보다 헐씬 재미있다.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된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지만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분들은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 할 자신있는 분만......

  • @박상열-n2b
    @박상열-n2b 13 дней назад

    생활이어려우면조기신청여유있으면정상수령

  • @기초수급대상자
    @기초수급대상자 Год назад +4

    주변에 100살 이상 몇몇이나 있음? ㅋㅋㅋㅋ 100세시대 ㅋㅋㅋㅋㅋ 한두명 가지고 100시대 같은 광고나 해대고 말이야 ㅋㅋㅋㅋ 90살 살아도 많이 산거다 알긋냐 남자평군수명이 80세인데 조기수령이 무조건 답이지 80넘어서 돈 더 받는다고 머 달라지나? ㅋㅋ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가입자의 인상되는 5년간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된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0만원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조기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다,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등 여러요인의 감안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 @밥도둑-j4j
    @밥도둑-j4j Год назад +1

    조기 연금받어야 겠네

  • @여용기-x4r
    @여용기-x4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79세전 죽으면 조기연금, 80세이후 죽으면 정상연금, 95세이상 생존 자신하는 사람만 연기연금이 맞겠네요.
    대체로 남자 84세이므로 조기연금이 손해이며, 조기연금자가 90세이상 생존하면, 힘든 노후가 기다립니다.
    조기연금 타서, 투자를 한다는 것은 헛소리고요. 다들 형편이 어려워서 또는 건강보험 피부양자 유지같은 이유는 있을수도 있겠으나, 조기연금자가 85세이상 살면, 노후가 힘들겠네요.

  • @강필수-w7n
    @강필수-w7n 29 дней назад

    5년은 너무 많이 깍이고 한 1년정도 조기 수령 생각하고 있습니다

  • @gwangbeomweon8055
    @gwangbeomweon8055 Год назад +21

    돈줄 놈이 불안정하고 내 수명이 불확실할 때,들어올 현금은 당겨서 받고 줄 돈은 늦추는게 돈관리 기본 이지요.
    조기연금은 손해연금이라하고 연기연금은 왜 36% 더주면서까지 늦게 받도록 유도하는걸까요? 반대로 생각하는게 정답이겠지요.😊

  • @정권-x4i
    @정권-x4i Год назад +4

    갈때 순서 없다

  • @최현석-d9z
    @최현석-d9z Год назад +8

    68세가문제가아니라.엔젠가다통합될껍니다. 공무원.군인전부 현재 전부빵꾸. 사학연금대기중 언젠간진짜개혁하겠죠.일본 후생연금처럼 일본따라하는건 선수니! 100프로 5년~1년 개인의재정사정에맞춰 당기는게 유리합니다.특히대한민국은 믿을수가 없어요

  • @user-po1w8er
    @user-po1w8er Год назад +2

    조기수령을 하고싶어서 하겠냐? 생존 문제인데

  • @이정희-o3y
    @이정희-o3y 8 дней назад

    조기연금이 답
    언제 죽을지 모르니.
    난 조기신청 할란다

  • @헨젤과그랬대-k6f
    @헨젤과그랬대-k6f Год назад +1

    두발로 걸어다닐때 연금도 필요한거다..
    조기연금이 답이다.

  • @국익대한
    @국익대한 Год назад

    살아 생전 더 받는게 유리,,내 건강 내 컨디션으로 돈을 많이 받은 들,,먹는양,,활동량..비슷,,욕삼 낼 거 없이,,조가 수령도 좋은 방법,,,언제 죽을 지 알수 없음,,

  • @태진전-q3b
    @태진전-q3b Год назад +2

    내 수명을 어떻게 압니까?주변의 나보다 적은 나이인데도 빠이빠이 인데여!

  • @eungwookim2002
    @eungwookim2002 Год назад +1

    조기연금이 답입니다... 연금재정에 도움이 된다면 공단에서 일찍 수령하라고 합니다.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된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지만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분들은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 할 자신있는 분만......

  • @sam192-p2f
    @sam192-p2f Год назад +1

    평균수명은 평균 일뿐 내가 언제까지 살줄은 건강상태와 타고난 유전적수명이 결정 한살이라도 적을때 받고 싶다 고갈되니 어쩌니 하며 준조세 처럼될듯 국민의 일방적 희생 그만좀 요구해라 공무원연금은 세금으로 퍼주면서

    • @블랙로즈-l5r
      @블랙로즈-l5r Год назад +1

      공무원은 박봉에도 연금받기위해 많이 냈으니 많이받는게 당연하죠..
      국민연금은 세금 아니고 무슨돈으로 보태주나요?

  • @17r35
    @17r35 Год назад +5

    나는 13년전 55세 정년퇴직시 조기연금 신청했다.소득은 국민연금 몇십만원인데 65세 이상 남들 다받는 기초연금0원 계속받고있다~ 기초연금은 갈라치기하면 안된다.적드라도 다 지급하라 건보료도 내야하고 정말 살기 힘들다

  • @아름다운빠더
    @아름다운빠더 Год назад +3

    역시 전문가랍시고 나와서 국민을 개돼지로 보고 연기하라고 부채질 했구나

  • @소울메리
    @소울메리 Год назад +4

    늙어서 연기연금 받으면 무슨 소용있나

  • @에피소드-v9o
    @에피소드-v9o Год назад +1

    그냥 나같이 나이먹고 가족도 없고 빚쟁이면
    65세 전에 조기연금 받고 살다가 하늘로 가야지가 정답

  • @이영훈-j6w
    @이영훈-j6w 20 дней назад

    64년생인데
    20년 넣었슴
    만 60세에
    조기수령 하려고 문의 했는데
    2025년 2월부터 나옴
    -13퍼 감액된다고 함
    그래서
    그렇게 하라고 하였슴
    난 64년생이니 3년후 2027년 생일 지나서 정상으로 받으면 54만원 인데
    2025년 3년 조기수령은 -13퍼인 45만원 준다고 하네요
    그런데 3년 조기이면 -18퍼인데. 왜 -13퍼인지
    모름
    그래서
    언제가서 여쭤봐야겠슴

  • @남백수
    @남백수 Год назад +1

    조기수령이 답. 왜. 미리 타서. 잘 쓰고 살자. 굳이 어렵게. 신필요가. ㅋㅋ~~~~

    • @은하은하수
      @은하은하수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고 바랍니다.
      엄청난 오류이고 많은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5년간의 A값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은 허구이고, 아주 엉터리 입니다.
      A값 상승율이 크고 미래 금액이므로 대입자체가 어렵습니다. 흐름만 알아야지 기준을 삼으면 아주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율 몇%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금전적이 문제를 이렇게 호도 하시면 피해는 누가 보는지......
      내용중 가장 중요한 핵심내용이 간과된 것은
      5년후 정상연금 수령자는 연금 수령시 물가상승율은 조기연금이나 정상연금도 매년 똑같이 올려 왔으니 별차이는 없지만, 매년 A값(가입자 평균소득월액), 전체 가입자의 인상된 5년간의 평균소득액을 반영하기에, 즉 정상연금수령자는 다섯번 인상된 마지막 A값 반영하여 연금을 재산정 합니다.
      정상연금 100만원 조기연금 70만원이라 할때 5년후 정상연금은 100만원이 아니라 인상된 A값만 적용하더라도 115만원 ~ 120만원이상(물가 상율을 제외하고도)될 가능성이 다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연금 100만원 기준일때는 정상연금 수령 7 ~9년차 부터 상계되고, 늦어도 10년차부터 역전현상이 벌어 집니다.
      정상연금 50만원 기준일 경우는 정상연금 수령 4년차 부터 역전 현상이 벌어 집니다.
      그리고 수령시 1년에 한번씩 인상되는데 같은 인상율이라도 모수가 크기에 매월 몇만원씩 차이가 더 벌어집니다.
      결론 : 조기는 30% 감액이 되나 여러변수를 가만하면 실제론 정상연금에 비해 40%이상 감액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A값 인상 추세로 보면 45%이상도 가능)
      조기연금 신청
      정답은 없지만 생각보다 금액차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퇴직후 소득이 없고 생활이 어렵다면는 조기선택도 좋은 방법, 개인의 재산, 소득, 건강, 자산운용 능력등 여러요인의 감안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명심할 것은 탁월한 전문가도 있지만 대다수 유투버가 비전문가이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익만 추구하는 전형적인 사업가(조회수, 보험강매등)에 한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할 것은 참고 하시고 무조건 맹종하면 당신만 무슨 손해를 보는지도 모르게 금전적인 손해를 평생 보게됩니다.
      어떤분들은 조기연금으로 투자하면 이자수익 어쩌고 하는데 그것은 최상의 사례를 든겁니다. 조기연금 수령시까지 금융에 문외안이 그러한 말에 현혹되지지 마시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이익나면 좋지요. 마이너스도 고려 해야죠, 그에 따른 스트레스 감당 못합니다. 또한 언제든 처분가능한 자산은 처분하게될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 됩니다. 자식이 죽는다는데 이것은 내노후 자금이야 손대지마, 할 자신있는 분만......

  • @pnh700
    @pnh700 Год назад +4

    3년전 수박값과 치킨값 기억하세요?
    통계치와 다른 실질 물가상승율이 10프로가 훨씬넘어갑니다.
    100만원탈때 수박100통살돈
    130만원탈땐 수박50통 정도밖에 안됨.
    빨리 타는게

    • @ahen-g7r
      @ahen-g7r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빨리 타서 좋을 게 없어요 제 시기에 타는 게 현명함

  • @여용기-x4r
    @여용기-x4r Год назад

    국민연금 지급개시연령이 늦어진다면, 정상연금이나 연기연금은 손해라고 봅니다. 90세이상 정말로 오래 살아야 합니다. 건보료 피할려고 조기연금을 받는것은 미봉책에 불과하고, 오히려 연기연금이 낫지요. 단 연금지급개시 연령의 변화가 없어야 합니다. 지급시기가 늦어진다면, 연기연금은 말짱 도로 묵입니다. 오히려 조기연금이 낫지요. 생활비 마련과 피부양자 유지는 둘째고요. 연기연금은 90세 이상의 생존을 자신하는 자만 이익이 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