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istory of the world's best Go players] 1980년부터 데이터로 알아보는 바둑 세계랭킹 1위 변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85

  • @박승경-q5s
    @박승경-q5s 4 года назад +34

    정말 박진감 넘치는 경마 방송 본듯이요.
    사범님 재주가 많으셔요~~ㅎ

    • @조은집-k7h
      @조은집-k7h 4 года назад +1

      다른 유튜버가 만든 자료

  • @데이터를그려요
    @데이터를그려요 4 года назад +57

    이게 제가 만든 영상이 맞나 싶을정도로 재미지네요 🤣 해설이 너무 찰져요!!

    • @romeoalfa1598
      @romeoalfa1598 4 года назад +7

      헐.... 감사드려요.. ^^/

    • @kaizz80
      @kaizz80 4 года назад +3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ㅎㅎ

    • @로라김-o4b
      @로라김-o4b 3 года назад

      @@romeoalfa1598 ㅃㅃㅃㅃㅃㅃㅃㅃㅃㅃㅃㅃㅃㅉㅉㅃ2ㅋ

  • @강민수-d4i
    @강민수-d4i 4 года назад +26

    이창호가 얼마나 대단한 바둑기사 였었는지 다시금 알수 있었습니다.
    신진서...화이팅!!!

  • @나의현재
    @나의현재 4 года назад +15

    이 형이 세계 바둑유튜브 1위인 이유야.
    멈춰있질 않아. 멋있습니다.

  • @jeonggok5232
    @jeonggok5232 4 года назад +15

    위 동영상 정리(아래)
    1위 이창호 약16년
    2위 조훈현 약8년
    3위 이세돌 약5년
    4위 박정환 약4년
    5위 신진서 약3년 + 알파(최소 5위 확보상태)
    6위 커 제 약3년
    내용
    조치훈 1980-1982 2년
    조훈현 1982- 1990 8년
    이창호 1990- 2006 16년
    이세돌 2006- 2011 5년
    박정환 2011- 2014 4년
    2017-2018
    커제 2014-2017 3년
    신진서 2018-2021 3년+ 알파

  • @연피사랑
    @연피사랑 4 года назад +10

    이창호 15년동안 대단하다

  • @jeonggok5232
    @jeonggok5232 4 года назад +6

    이창호님이 얼마나 대단한 지를 수치가 증명하군요. 세계 1위를 15년. 2위 하고 까마득한 차이.... 햐.. 대단 대단~~!!! 한국인의 자존심을 크게 크게 높혀 준 이창호님. 감사해요

  • @박사진
    @박사진 4 года назад +6

    와 현장감 있는
    경마같은 중계 정말 멋져요~

  • @inova4music
    @inova4music 4 года назад +11

    지금꺼 본 컨텐츠중 젤 잼있네요 ㅋㅋ,, 무슨 경마장 중계 보는거 같네 ㅎㅎ

  • @서여니-x5r
    @서여니-x5r 4 года назад +3

    와우~ 완전 재밌어요 ^^

  • @scoar789
    @scoar789 4 года назад +4

    와아. 역시 이창호.
    신진서도 계속 화이팅 하거라.

  • @독수리타자
    @독수리타자 4 года назад +14

    와...권불10년에서 오년을 더하네...
    대단하네

  • @무명사무
    @무명사무 4 года назад +2

    천상천하 유아창호니뮤!!!! 이창호9단 정말 대단하네요

  • @지노-h6n
    @지노-h6n 4 года назад +18

    스포츠 중계방송인줄~~

  • @hectorkim613
    @hectorkim613 4 года назад +5

    조치훈 - 조훈현 - 이창호 - 이세돌 - 박정환 - 커제 - 신진서 : 크게보면 이런순이네요. 이창호 사범이 가장 오랜타이틀을 갖고 있구요. 대단하네요. 대부분 한국 선수들. 와 ~

  • @빠른무한좋아요
    @빠른무한좋아요 4 года назад +39

    일본은 전멸 . 중국은 인해전술. 우리나라는 언제나 그렇듯 영웅이 있네요. 조남철.조훈현.이창호.이세돌.박정환.신진서. 그 중 한 사람을 꼽으라면 바둑계의 충무공 이창호 대장군 ㅋ

    • @트롤인형
      @트롤인형 4 года назад +5

      @@blueblue4854 이세돌이 천재는 맞지만 신이라고 하기엔 좀그렇죠

    • @end_all14
      @end_all14 4 года назад +1

      김인사범도 넣어주세요

    • @서배달-m7j
      @서배달-m7j 4 года назад +4

      @@blueblue4854
      이창호 신에게 비비다니!
      용기가 가상 하구려! ㅎ

  • @유나-d7q
    @유나-d7q 4 года назад +5

    재밌네요 ~~

  • @윤석희-j7j
    @윤석희-j7j 4 года назад +1

    역시 창호아우님♡최고

  • @dlfltmdl256
    @dlfltmdl256 4 года назад +2

    완전 재밌게 잘만들었네 ㅋ

  • @amazing7525
    @amazing7525 4 года назад +19

    이런 거 재밌다 ㅋㅋㅋㅋㅋ 꼭 마라톤 같네 ㅋㅋㅋㅋ 그런데 진짜 대단한게 20세기 후반 부터 현재 21세기 까지 줄곧 바둑 정점의 자리는 항상 우리나라 차지였네 ㅎㅎㅎㅎ 이 작은 땅덩이와 인구에서 항상 인류를 평정하는 세기의 천재들이 계속 나오는 구나 ㅋㅋㅋ

    • @지금여기-k4b
      @지금여기-k4b 4 года назад +2

      주체할 수 없는 한민족의 유전자 -
      세계 클래식 음악계 콩쿠르에서나 세계 여자 골프계에서는 한국인들의 입상자들이 너무 많아 코리언 입상 제한(쿼터제)을 거론했을 정도라고

    • @amazing7525
      @amazing7525 4 года назад +1

      @@지금여기-k4b 와우 ㅋㅋㅋㅋㅋㅋㅋ

  • @iglooman4009
    @iglooman4009 4 года назад +3

    재미있습니다

  • @오상아-c8f
    @오상아-c8f 4 года назад +14

    경마 진행하는거 같네
    대단해유

  • @이해병대수색대
    @이해병대수색대 3 года назад +1

    넘제미있네여

  • @wonshikshin1033
    @wonshikshin1033 4 года назад +1

    그래프로 보는 바둑 세상! 넘 재미있습니다.

  • @jwp7322
    @jwp7322 4 года назад +16

    0:44 이창호 진짜 다 건너뛰고 혜성처럼 등장한다

  • @jerryklo2845
    @jerryklo2845 4 года назад +8

    박정환과 신진서 둘이 한국 바둑을 지켜내는 형국이 넘 아슬아슬하네.

  • @dydwjd123
    @dydwjd123 4 года назад +1

    오.. 무지하게 잼나네요~~

  • @ddegool
    @ddegool 3 года назад +2

    1:37 와 송태곤 선수 짧은기간이지만 임펙트 강했네요 탑10안에 들정도였군요.

  • @야율아보기-q5w
    @야율아보기-q5w 4 года назад +6

    참 대단하다 젤작고 인구적은데 커제에 잠깐 네주고 계속 1위를 하다니... 앞으로 몇년 더 신진서하고 그담엔 누구?

  • @gyunjin40
    @gyunjin40 4 года назад +3

    사범님 이젠 별의별 데이터로 해설하시네요 ㅎㅎㅎㅎ 재밌었어요 일본은 90년대 후반부터는 아예 자취를 감추고 30년간 한국 중국 두 나라가 양분하고 있네요

  • @hectorkim613
    @hectorkim613 4 года назад +1

    김성룡 사범님 내용 감사합니다. 사범님 존함도 저기 들어갔었음 엄청 좋았을 텐데요. 사범님 팬입니다. 해설 너무 잘하십니다. 진짜 👍👍👍👍
    중국에서 저 랭킹 보면 얼마나 약오를까요. 커제가 잘나가도 아주 잠시 1위었지만 곧바로 한국선수들한테 넘겨주고. ㅋㅋ 중공이 나중에 한국 선수들을 지들 나라 피의 선수라고 할듯요. 김치도, 한복도 지들꺼라 하는 판에.. 미친 것들.

  • @jko6939
    @jko6939 4 года назад +3

    한국 바둑계 해설 1타가 이분인 이유🔥

  • @xz7757-x7o
    @xz7757-x7o 4 года назад +1

    눈에 확 들어 오네요.

  • @bin_aaa
    @bin_aaa 2 года назад +3

    신진서 박정환 자랑스럽기도 하지만 현재 톱랭킹에 신진서 박정환 제외하면 전부 중국선수들이 꿰차고 있는게 슬프네요..! 바둑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고 유망주들이 계속 나왔으면 좋겠어요🙏🏻

  • @박고타마
    @박고타마 4 года назад +1

    good

  • @edwardaero1407
    @edwardaero1407 4 года назад +4

    신진서 올라오는 속도 미쳤네 ㅋㅋ

  • @올에프-p3y
    @올에프-p3y 4 года назад +2

    정말 더럽게 재밌네ㅋ

  • @연피사랑
    @연피사랑 4 года назад +4

    바둑은 김성룡 사범이 최고 해설 박진감 넘치죠

  • @gesoochae6339
    @gesoochae6339 3 года назад +1

    창호는 레전드 이창호는 우리집안 외손 이로소이다 자랑스럽다 이창호

  • @gentleman4491
    @gentleman4491 4 года назад +6

    전무후무할 압도적인 이창호 시대.
    세계랭킹 1위기간
    1990년 ~ 2006년
    말도 안되는 초장기 집권.

  • @--han--
    @--han-- 4 года назад +10

    조훈현,이창호.
    한국 바둑계에서 이 두분의 국수가 영원히 존경받아야 되는 이유는 자명하다.
    일본과 중국의 바둑을 순식간에 밟아 버리고 세계 최강을 최초로 호령한 조훈현 국수.
    스승인 조훈현국수의 뒤를 이은 후 세계 최강을 넘어 바둑의 신으로 불리며 세계 모든 바둑인들에게 존경을 받은 최초의 기사 이창호 국수.
    서봉수,유창혁,이세돌,박정환,신진서 등 세계대회 석권자들이 여럿이 있고 특히 이세돌국수가 화려한 기풍으로 이창호국수의 뒤를 이어 세계 최강을 지키며 대한바둑의 기치를 드높엿지만 조훈현,이창호의 위업은 단순히 세계 1위가 아닌 한국 바둑을 전세계 최강으로 이끌고 다진 선구자들이기 때문이다.
    조치훈명인은 조금 아쉬운게 은퇴하기까지 일본기원 소속으로만 활약햇기에 국가적 명예를 드높이고 한국 바둑의 위상을 떨치는데 기여를 하진 못햇지만,
    그래도 평생을 일본 귀화의 유혹을 받으며 여러모로 불편하고 차별받거나 불이익이 있을지라도 끝까지 한국인으로 일본 최고의 자리를 지켜 내신 업적도 존경받아야 한다.

  • @권오희-n2p
    @권오희-n2p 4 года назад +5

    금.은.동 중에 우리나라가 금.동을 따네ㅎㅎ
    그런데 이창호는 금은동 혼자 다 따는것ㅎㅎ

  • @eel-g8w
    @eel-g8w 4 года назад +2

    우리나라 바둑은 많이 죽은것 같아요.
    2002년 제가 초등학교 1학년 때만 해도
    태권도장처럼 동네에 꼭 바둑학원
    1-2곳, 기원 1곳정도는 있었는데,
    지금은 이미지가 나이든 사람들만 하는
    고리타분한 옛날 놀이라고 생각을 하니..
    그렇지만 요즘 제 부대 용사들은 바둑
    동아리를 만들어서 서로 가르쳐주고
    하더라고요!
    부모들이 꼭 남자아이는 태권도
    여자아이는 피아노 배우게 한 것처럼
    다시 바둑 부흥이 일어나면 참 좋겠네요!

    • @JosephSTALIN_minus_50yrs
      @JosephSTALIN_minus_50yr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피아노는 남자애들도 배웠어요. 운동권세대 부모들 지들이 하고싶어도 못했던걸 자식들한테는 하기싫어도 시키는게 자식에대한 사랑이라 착각하고 키운듯.

  • @henybrother
    @henybrother 4 года назад +2

    15년간 1위 이거 실화인가 이창호는 바둑의 신이여

  • @k2__san
    @k2__san 4 года назад +4

    지금은 신진서9단이 1인자여서 행복하지만
    그밑으로 중국기사들 밖에 안보이네요 무섭습니다

  • @한강하류
    @한강하류 4 года назад +2

    아 댓글 읽으니 똑똑한 분들 많네요~ 주장에 대한 논리도 있고요.

  • @이영재-t6z
    @이영재-t6z 4 года назад +1

    ㅋㅋㅋㅋㅋ 지금은아니지만 어릴때 바둑학원다니면서 바둑기사해볼려고 바둑프로매일보고 이창호 이세돌 서봉수같은 기사분들 분석하고 그랬죠
    2급까지취득하고 이 길은 내가갈길이아니다해서 그만뒀지만ㅋㅋ

  • @리므-m3g
    @리므-m3g 3 года назад +2

    와 이창호; ㄷ ㄷ
    개지리네

  • @죽상-q5r
    @죽상-q5r 4 года назад +1

    마지막 장면에서 이치리키 료 위에 판윈러인가요? 반년전에 사망했는데 저 랭킹에는 아직 있군요..

  • @톰제리집사
    @톰제리집사 4 года назад +4

    경마장 같이 재밌네ㅋㅋ

  • @sjha6042
    @sjha6042 4 года назад +6

    확실한 클래스의 차이를 보였던
    기사는 조훈현, 이창호, 이세돌...
    세 명의 기사같네요. 이후 박정환, 커제는
    양분한 느낌이고,
    신진서는 이제 시작이겠죠.
    개인적으로 중국과 일본 기사들이
    당시 마주했던 한국인 세 명의 철벽을
    느낄수 있었습니다. 박정환은 2%
    부족했지만, 신진서는 네 번째 벽이
    되길 기원해봅니다.

    • @charleskim3072
      @charleskim3072 4 года назад

      동감입니다.... 좀 늦었지만, 신진서가 진정한 영웅이 되길 기대해 봅니다. ^^

  • @userksphil
    @userksphil 4 года назад +4

    이창호가 15년동안 세계 1인자로군림할동안 14억 돌팍들 자존심엄청상했겄네.

    • @kaizz80
      @kaizz80 4 года назад

      나중에는 자존심이 상하기보다 중국에서도 존경을 받았죠.

  • @이엘리-q8c
    @이엘리-q8c 4 года назад +6

    강렬한 인상으로는 이세돌이 압권 실력은 이창호 넘사벽이죠.

    • @브금-e7b
      @브금-e7b 4 года назад +1

      이창호선수 전성기때도 이세돌은 밀리지는 않았어요 넘사벽은 절대 아니에요

    • @브금-e7b
      @브금-e7b 4 года назад +1

      @@흥-x9e 전성기시절 2005년까지는 이창호선수랑 이세돌 선수는 19승 14패에요 57.6으로 이창호선수가 우세하긴한데 어덯게 넘사벽이 되나요?? 님 말대로 22승15패여도 60프로인데;; 70프로 80프로도 아니고 60프로는 넘사벽이 될수가없죠 그때당시 이창호 선수랑 이래 주고받는 선수는 최철한 선수랑 이세돌선수가 유일했고 넘사벽이 될수가 없어요 그정도 퍼센트가지고는..

    • @브금-e7b
      @브금-e7b 4 года назад +1

      @@흥-x9e 총전적은 결국 별로 차이안나고 전성기 시절도 더블스코어도 아닌데 그게 어떻게 넘사벽이 됩니까? 그걸가지고 도박 배팅을 들이미니 별로 할말이없네요;;
      22승15패를 어떤사람이 도대체 넘사벽으로 볼까요? 의문스럽네요;;
      프로게이머들한테 물어봐도 그걸 넘사벽으로 볼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그래도 비볐네? 라고 생각하지

    • @브금-e7b
      @브금-e7b 4 года назад +1

      @@흥-x9e 상대전적 6대4를 과연 누가 넘사벽으로 볼까요? 정말 넘사벽으로 보세요 이 수치를? 22승15패를?? 그래 생각하신다면 저는 할말이 없습니다 그냥 그래 생각하세요 말 길어지는게 별로 안좋아합니다

    • @브금-e7b
      @브금-e7b 4 года назад +1

      @@흥-x9e 바둑보는 그 누구도 이창호랑 이세돌선수 실력에 넘사벽급으로 차이가났다라고는 아무도 말안해요;; 역대 전적이나 전성기 전적이나 비교해봐도 이창호 선수랑 이래 주고받은 선수가 최철한 선수 포함해서 극히 드문데 그걸 넘사벽으로 본다는게 참..

  • @treego197243
    @treego197243 4 года назад +4

    언제나 다이아몬드는 대한민국.....
    옥구슬 한트럭 필요없다....왕물방울 다이아 보유국 대한민국.^^

  • @이성운-i1n
    @이성운-i1n 4 года назад +8

    와 근데 마지막에 신진서 박정환 빼면 상위권은 거의 중국판이네요.. 좀 분발해야할듯

    • @조기범-f3s
      @조기범-f3s 4 года назад

      우리나라 2/0.5억
      중국 12/13억
      일본 1/1억

    • @천준-u2g
      @천준-u2g 4 года назад

      @@조기범-f3s 1,3위에 선수2명이있는데
      고작 인구많다는 이유로 아무도 없다는건 말이안됨

    • @조기범-f3s
      @조기범-f3s 4 года назад

      @@천준-u2g 그럼 이유가 뭔데
      인구가 많으니까 잘하는 애도 많은거지

    • @천준-u2g
      @천준-u2g 4 года назад

      @@조기범-f3s
      그런건 올림픽일때나 하는 얘기고
      한분야에 뛰어난 강국이라면
      인구가 어찌됐든 상위권은 꽉 쥐고있어야하는데 (2010년초 까지 처럼)
      기사 2명을 제외하면 일본선수한테도 재껴지니까 문제인거지

    • @nohpresident
      @nohpresident 3 года назад

      @@천준-u2g 인구도 적은 나라에서 모든 분야에서 다 상위권이 한국이 많을 순 없죠. 축구를 예로 들면 아시아에서 범접할 수 없는 손흥민을 대한민국이 보유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유럽파는 일본이 훨씬 많잖아요. 사실 각 분야의 최고에 한국 사람이 많은 게 신기한 겁니다. 최고 선수도 한국인이 아닌 게 인구로 따지면 자연스러운 거죠. 피아노의 조성진도 그렇고요.

  • @황호진-j1u
    @황호진-j1u 4 года назад +2

    15년 1위....
    역사이래 - 신산- 이라고 별칭한 이는
    삼국지 의 제갈량. 그리고 국수 이창호...

  • @코비브라이언트-m2l
    @코비브라이언트-m2l 4 года назад +6

    경마인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지금여기-k4b
    @지금여기-k4b 4 года назад +3

    한국도 랭킹 점수제를 시작한 게 오래 되지 않은 걸로 아는데
    과거 랭킹은 환산해서 한 건가요

  • @687-f1i
    @687-f1i 4 года назад +2

    와 신진서 박정환을 제외하고는 중국판이네 이 와중에 1위가 우리나라사람인게 정말 대단하다ㄷㄷㄷ

  • @나락-l2m
    @나락-l2m 4 года назад +2

    역시 이창호 범접불가

  • @인우-h6b
    @인우-h6b 4 года назад +1

    2:55에 2019년도 이후인데 신진서 박정환 말고는 15위내 모두 중국이다. 든든하지만 힘내자.

  • @윤성배-s4f
    @윤성배-s4f 4 года назад +8

    박정환이가 고군분투했던거 참으로 고맙게 생각한다... 그러나 임팩트는 없었던 같아 너무 아쉽고 안타까웠다... 이제 실수가 잦으거 보니 박정환이도 전성기가 지나니 신진서의 상대가 안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실수를 자주 하기때문이다.. 나이는 속일수가 없다... 전성기가 오래가는 기사가 있고 금방 끝나는 기사가 있는데... 커제가 자주 실수를 하는거 보니 커제도 전성기가 조만간에 끝날것이라는 게 보인다... 내가 이창호가 자주 실수하는것을 보고 이제 전성기가 끝났구나 했을때 이창호가 이세돌과 구리에게 계속해서 밀리는거 보고 안타까웠다... 그런데 어쩔수 없다...이창호가 전성기 끝난이후에 이세돌이 이창호에게 이기기 시작한 것이다... 그나마 이세돌은 30대가 넘어가면서 까지 전성기를 누렸다... 내얘기는 2천년대들어서면서 얘기하는 것이다... 커제나 신진서처럼 일희일비하는 기사들은 오래가지 못한다... 구리나 마샤오춘도 전성기가 금방 끝나버렸다...벌써 커제는 바둑의 전성기가 끝날거 같이 자주 실수하는것은 전성기가 얼마 안남았다는 신호다...
    내 주관의 얘기다... 그러나 내가 예상하는데로 거의 전성기가 끝나는 것을 봤기에...
    박정환아... 정말로 수고했다... 바둑을 잘 마무리했으면 한다...

  • @cyank5205
    @cyank5205 4 года назад +4

    랭킹 말고, 본좌로 따지면 다르지요.
    본좌는 말 그대로 1인자로서 한 시대를 풍미한 강력한 포스, 아우라가 있어야 하지요.
    역대 본좌는 조훈현ㅡ이창호ㅡ이세돌ㅡ커제 이렇게 4명.
    곧 신진서도 본좌반열에 오를 것으로 보이는데, 무엇보다도 세계대회 우승을 많이 해야 합니다.

    • @윤성배-s4f
      @윤성배-s4f 4 года назад +1

      커제는 빼야죠

    • @cyank5205
      @cyank5205 4 года назад +1

      @@윤성배-s4f 커제가 좀 밉상이긴 해도, 국뽕 조금 빼고 생각해보면, 커제는 이세돌 이후 확실한 1인자가 맞다고 봐야지요. ㅠ

    • @윤성배-s4f
      @윤성배-s4f 4 года назад +1

      커제가 조훈현 이창호 이세돌을 잇을 정도 아니에요... 그리고 지금은 이창호나 이세돌때보다 세계대회가 훨씬 많아요... 그런데도 8회면 잘했어도 커제가 낄 정도는 안됩니다... 밉상이든 뭐든간에는요...

    • @윤성배-s4f
      @윤성배-s4f 4 года назад +2

      커제가가 낄려면 15회이상은 해야죠.... 유창혁구단도 7회우승했는데... 응창기도 우승했고요...... 유창혁구단때는 세계대회가 지금보다 절반정도 였어요...

  • @윤성배-s4f
    @윤성배-s4f 4 года назад +4

    이창호 전성기때에는 그 어느누구도 이창호에게 이기기 힘들었다... 그 이유가 바로 평정심이었다... 마샤오춘이나 창하오가 이창호에게 비해서 기재가 많이 딸렸을까 전혀 아니다...이창호의 평정심에 질려서 진 사람들이다... 그리고 이창호는 끝내기에 신산이라 불렀던 사람이다... 많이 이길 필요없죠.. 한집만이기면 이기는 거이니깐요... 그래서 반집승을 수없이 했던 이창호다... 그만큼 끝내기 계산이 강했다는 것이다... 지금의 커제나 신진서는 한수둘때마다 잘못두면 괴로워하고 화내고 인상쓰는데... 이창호 전성기에 같이 뒀다면 절대로 못이긴다... 이창호가 20대후반부터 실수가 많아져... 1집정도 이길수있는 바둑을 못하겠다며 3ㅔ대에 공격바둑으로 변신한 것이다... 이창호 전성기가 지나서 이세돌이 이기기 시작한 것이다... 이창호 전성기때에 이세돌의 천재적인 수읽기도 끝내기에 가면 끝내 역전패했다... 이세돌이가 이창호 전성기가 지난후부터 승률이 많이 좋아졌다... 지금보니 커제도 실수가 많아지는거 보이는데 커제도 전성기가 거의 끝나가는거 같다... 신진서야... 평정심을 갖지 못하면 너의 전성기도 오래 못간다... 이세돌도 20대중반이 넘어가고 30대에는 실수가 잦아져 커제에게 진 것이다... 바둑 전성기는 보통 10대후반에서 20대중반이다 20대후반까지는 어느정도 유지하고 30초반까지는 버티나 그 이상되면 바둑의 실수가 잦아져 은퇴수순으로 가야한다...
    어제 신진서 바둑을 보면 벌써부터 실수가 보이고 좋은수도 잘 못보는 거 같다... 프로는 실수를 얼마나 안하는냐에 따라서 승패가 갈린다... 좋은수도 중요하지만 결정적인 실수로 승패가 갈린다... 이창호전성기때에는 이창호는 인간이 아니었다...이창호 전성기때에는 실수가 거의 없었고... 끝내기는 완벽했고... 늘 평정심을 유지한 바둑의 전설이다 오죽하면 중국에서도 오청원과 이창호는 역사상 최고라고 말하는 이유다...그 어느 것도 인정치 않을려고하는 중국마저도 이창호만큼은 최고라고 말한다...

  • @브금-e7b
    @브금-e7b 4 года назад +3

    근데 제 생각은 실질적으로 2000년때부터 이세돌은 전성기였고 체감상 그때부터 이창호 선수랑 서로 주고받고했었죠 2002년인가 2003년때 이창호선수 꺽고 9단오르고 체감상은 이세돌 선수는 그때부터 1위가 아니였나싶어요 이창호선수 전성기때도 승률보면 거진 반반이고 이세돌선수는 진짜 휴직기만 아니였어도 이창호 선수 세계대회 횟수도 따라잡을수도 있었다고 생각하는데 1년6개월 휴직기가 너무 안타깝네요 1년6개월이면 세계대회를 몇개나 놓친건지 그것도 전성기 시절때 협회가 진짜..

    • @브금-e7b
      @브금-e7b 4 года назад +2

      ​@@흥-x9e 59프로는 비볐다고 할만하죠 ㅋㅋ 우세하긴한데 어떻게 이걸 넘사벽으로 취급하나요 더블스코어도 아니고 ㅋㅋ

    • @브금-e7b
      @브금-e7b 4 года назад +2

      @@흥-x9e 의견차이가 갈리니깐 길게 쓸말을 없지만 제가 승률이 뭐 30프로 70프로 이래났다면 넘사벽이라고는 인정하겠지만 그정도 차이가지고는 솔직히 비볐다고 봐야죠
      10판중에 4판은 이세돌선수가 이겼다고 봐야되는데 10판중에 8판을 이창호선수가 이겼다면 모를까 6대4는 아무도 넘사벽이라고 취급을 안합니다;; 유일하게 비볐다고 말하지 게다가 총 전적으로보면 더욱더 그 차이는 좁혀지네요 결국 이창호 선수가 몇승을 더 가져가기는 하지만

    • @jhlee-ql3gj
      @jhlee-ql3gj 4 года назад +2

      @@브금-e7b 이창호최전성기지나서 이후대전서 50프로이니 비볐다고하긴는쫌 ㅠ

    • @브금-e7b
      @브금-e7b 4 года назад

      @@jhlee-ql3gj 이창호 전성기때도 승률 차이는 그래 크지않았는데 그게 비빈거죠;; 도대체 누가 22승15패를 넘사벽 이라고 말하나요 ㅋㅋ

    • @nohpresident
      @nohpresident 3 года назад

      @@브금-e7b 네 넘사벽이라는 건 바둑 인생 전체의 커리어 면에서 그런 거고 이창호 기사와 이세돌 기사의 양자 대결로 볼 때 이세돌 기사가 이창호 기사에 비빌 수 있었다고 말할 순 있겠네요.

  • @naiadk
    @naiadk 4 года назад +1

    전성기때의 조치훈,조훈현,서봉수,이창호,유창혁,
    이세돌,신진서,박정환이 서로 승부를 겨룬다면 최고수는 누가 될까요?

    • @짝퉁프로감별사
      @짝퉁프로감별사 4 года назад +4

      인공지능 나오기 전이면 무조건 이창호...

    • @naiadk
      @naiadk 4 года назад +1

      @@짝퉁프로감별사 신진서와 조훈현이 대결하는걸 봤으면..바둑판이 불 날 것 같은데..

    • @Jay-wf5xn
      @Jay-wf5xn 4 года назад +3

      인공지능으로 배운 상태면 조훈현,이세돌

    • @charleskim3072
      @charleskim3072 4 года назад +1

      편견이기도 하고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이긴한데....
      만약 같은 나이 20세를 기준으로 하고, 승부를 겨룬다면.... 글쎄요~
      저 같으면,
      1위 조훈현,
      2위 이창호,
      3위 이세돌,
      4위 유창혁,
      5위 신진서,
      6위 서봉수,
      7위 박정환
      편견 없습니다. 걍... 순전히 개인적인 판단입니다. 악플이나 태클 사절입니다. ^^::

    • @naiadk
      @naiadk 4 года назад +1

      @@charleskim3072 역시 치열한 전투하면 조훈현이죠..

  • @윤성배-s4f
    @윤성배-s4f 4 года назад +7

    나 살다살다 바둑을 수십년간 두고 보아온 사람으로 댓글 다는데 솔직히 박정환.신진서.임팩트없음 성격에 문제가 많음.. 만약이라는것은 없지만 만약에 박정환이나 신진서 저당시로 가면 우승은 커녕 중간에 있을듯.. 저당시에 바둑두는 고수들은 표정하나 바뀌지 않는 사람도 있었고 냉정하고 조훈련이나 조치훈같은 천재들이 수두룩했고 솔직히 지금은 인공지능을 따라하는 따라쟁이뿐. 기풍도없고 그냥 인공지능을 잘외우는 사람이 장땡. 신진서는 기재는 좋으나 저당시 이창호같은 끝내기에 완벽하고 무표정한 이창호를 만나면 역전패만 당할수준임. 기재는스승도 없던 인공지능도 없던 그시절에 유창혁은 혼자서 바둑을 깨우침. 조훈련이야 기재하면 천하제일이고.. 신진서 기재는 한국바둑이 후퇴히후에 등장한 기재정도임 냉정하게 봐서

    • @YangYoungJun
      @YangYoungJun 4 года назад +8

      응 신진서 세계랭킹 1위야. 기재고 실력이고 지금 신진서가 이창호 전성기보다 위라고 생각함. 노인들이 타이틀 따던 시대랑 수읽기면에서 비교 불가임. 이국수를 폄하하려는게 아니라 주제에 신진서를 까내리니까 하는 말임. 어느 시대든지 정점에 있는 사람들은 첨단에 서서 인류의 지경을 넓히는 존재다. 소인배들이 자신의 도량 안에서 함부로 재단하며 왈가왈부하는 것만큼 스스로 비참해지는 것도 없지

    • @윤성배-s4f
      @윤성배-s4f 4 года назад +5

      어이가 없네 인공지능을 외우며 다니는 그런 바둑.. 기재가 뭔지 모르는 초보인가 보내 ㅋㅋ 기재고 높으면 그만큼 실력을 훨씬더 강하게 만들수 있음 조훈련이나 유창혁이나 이세돌.. 만약이라는 것은 없지만 만약에 조훈련이나 유창혁.이세돌이 인공지능이나 지금의 인터넷 기보를 맘껏 본다면 신진서가 따라올수 있을까.. 이창호가 신진서랑 같은 나이대면 신진서가 이창호를 절대로 못이긴다.. 지금이야 인공지능을 따라서 하니 더 발전 된거 같지만 솔직히 인공지능 따라쟁이들 뿐이야.. 인공지능 뒤꽁무니나 배우는 천편일률적인 기사들 뿐임.. 중국애들이 어잆는 실수를 자주하는데 이창호였으면 끝내기 실수도 없다. 본인판단으로는 신진서 잘한다?? 내가 수십년간 바둑을 두고 봐온 사람으로 신진서가 1990년대가면 신진서기재정도 중간이다 기재는 조훈현이나 조치훈에 못 미친다 이창호같은 신산앞에는 계산이 안되고 단지 요새 인공지능이 발달되고 인터넷이 발달되니 더 발전한거 같지만 솔직히 많이 퇴보했다.. 신진서 기재는 이세돌.조치훈.조훈련.그리고 이창호앞에는 비교대상이 아니다. 솔직히 인공지능 따라쟁이뿐이다. 그이상도 그이하도 아니다. 바둑의 묘미가 사라진 시대다. 신진서. 커제. 저들이 1990년대로 가면 결코 우승 못한다.

    • @스셕
      @스셕 4 года назад +1

      @@윤성배-s4f 님이뭔데 그걸 확신함

    • @윤성배-s4f
      @윤성배-s4f 4 года назад +2

      YANG// 아니다 신진서나 커제바둑은 인공지능일뿐이다. 만약에 이창호나 조치훈이나 조훈련이나 유창혁이나 이세돌이 지금 인공지능과 인터넷 바둑을 두면 신진서는 상대도 안된다. 기재도 모르지?? 그리고 저들은 시대를 초월한 천재중에 천재다. 냉정하게 신진서는 이들에 비하면 기재가 딸린다. 기재가 딸린다는 것은 실력이 딸린다는 것이야.. 이분들이 지금 이시대 사람이면 신진서는 상대 안된다 특히 성격장애인 신진서가 절대로 이창호는 못이긴다 냉정하게 봐서 신진서 .커제. 성격장애다.. 신진서나 커제가 30대가 되면 이창호처럼 바둑을 두지도 못한다 은퇴하겠지... 만약이라는 것은 없다. 그러나 난 신진서에 대해서 기대가 별로 없고 솔직히 한국바둑이 많이 퇴보했고 기재도없고 신진서가 그나마 기재가 대단하다고 하나 조훈현이나 조치훈과 이세돌에 비하면 솔직히 많이 부족하다... 성격에 문제가 많아 이창호와 같은 나이대였으면 무조건 역전패다... 알긋냐...

    • @윤성배-s4f
      @윤성배-s4f 4 года назад +2

      솔직히 요즘 바둑을 보면 인공지능을 키고는 인공지능이 어디에 뒀다 몇%다.. 정말로 바둑의 묘미가 없었져 버렸다. 인공지능대로 두면 잘뒀다는 이런시대가 서글프다. 인공지능대로두는 그냥 기풍도 없도 인공지능대로두면 잘두는것이라고 말하는 해설자들보면 웃음이 나온다.. 왜 기계대로 둬야지?? 기계도 보니 패싸움이나 읽지 못하는것도 있는데 나중에 더 완변한 인공지능이 나오면 지금의 인공지능바둑도 허접하게 보이겠다.. 명바둑도 없고 어거지 바둑일뿐.. 인공지능 따라쟁이 바둑.. 신진서가 한국인이라서 응원하는 마음에 볼뿐 명국은 기대도 안함. 인공지능 바둑인데 무슨 명국 ;; ㅎㅎ 인공지능바둑기계 대결이 더 명국인 시대 그리고 신진서는 성격을 고치지 않으면 더 이상 발전하기 힘듬... 그리고 대국수도 줄여라..

  • @치카푸카-r2z
    @치카푸카-r2z 4 года назад +2

    신진서 지금 레이팅 3830
    커제는 3727 100점 넘게 차이남ㅋㅋ

  • @디오엘
    @디오엘 4 года назад +4

    이창호 선수가 진짜 얼마나 무시무시한 선수인지 알수있는 표였네요.

  • @Marronnier-d8v
    @Marronnier-d8v 3 года назад +2

    어제 일본의 2틀바둑 영상을 봤는데 솔직히 4시간 이상 넘어가는 바둑은 별 의미가 없을 듯...
    고로 일본 바둑은 실력이 안되는 것임

  • @우시나이까
    @우시나이까 4 года назад +1

    어느 나라 기사가 1위를 하든 말든 우리하고 무슨 상관인가? 앞으로는 국가주의가 퇴조하는 것은 대세이고 각자의 삶이 중요한 시대가 올 것입니다.

  • @icyvo3593
    @icyvo3593 4 года назад +3

    근데 이건... 예전에 김성룡 사범이 말했던게 좀 더 엄밀한 의미에서 맞는 것 같은데ㅎ 95년도에는 마샤오춘 시대가 잠깐 있었고 확실하게 이창호가 세계 1인자다 이건 95-97년 기간을 거치면서 형성되지 않았나... 그리고 이후 이세돌을 거쳐서 박정환은 음... 사실 난 이세돌이 정점에서 내려왔다고 해도 2016년 알파고와 대국 하던 시기까지는 한국바둑 최고였던 것 같은데ㅎ 그리고 지금 신진서도 아직 1인자라고 할 수 없을 것 같음 커제가 아직 최고지ㅋ

    • @icyvo3593
      @icyvo3593 4 года назад

      @@흥-x9e ㅋㅋㅋㅋ내 주관적인 생각인건 인정하는데 객관적인건 뭘 얘기하시는건지? 이 영상에 나오는 레이팅은 객관적이라고 생각해요?

    • @Cms9416
      @Cms9416 4 года назад +1

      @@icyvo3593 영상에 나오는 레이팅은 전적을 입력해서 산출한 데이터값이니까 객관적이고 위에 님이 쓴 글은 주관적인거 맞는데요? 혹시 지능 딸리세요?

    • @스셕
      @스셕 4 года назад +1

      틀딱들은 이래서 안됨 여기 댓글 보다보면 답답하다 ㅋㅋㅋ

    • @icyvo3593
      @icyvo3593 4 года назад +2

      ​@@Cms9416 내 말이 주관적인거 당연하다고 위에 밝혔고 요지는 이 분석에 허점이 있다고요 빡통님아 축구에서 벨기에가 피파랭킹 1위한다고 벨기에가 최고라고 생각함? 어쨌든 월드컵에서 우승한 팀이 최고라고 생각하지ㅋ 조훈현이 83년에 국내에서 전관왕하긴 했지만 당시 바둑 중심은 일본이었고 한국은 조훈현 외에는 일본 바둑에 상대가 안됐다 그래서 한국 빼고 중국·일본끼리 시합을 하는데 그 안에서 11연승했던 녜웨이핑이 최강이라 했다. 그걸 89년에 조훈현이 응씨배라는 세계최고 대회에서 우승하면서 조훈현이 최고라 했고 90년도부터 이창호가 1위라고 나오는데 그때부터 이창호가 승률 8090% 찍으면서 vs조훈현이라고 얘기하지 세계대회 타이틀이 없는데 뭔 세계최강이야 정상급 기사랑, 세계 최강이다 라는건 다르고 이창호가 전성기 시절에 보여주던 압도적인 포스는 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다고ㅉ Elo 에서 만든건 참조할 정도는 되더라도 실질적으로 바둑계에서 옛날부터 인정했던 건데 뭔ㅋ 말의 요지를 못알아쳐먹으면 싸가지없게는 말하지 마세요ㅎ

    • @icyvo3593
      @icyvo3593 4 года назад +2

      @@흥-x9e 공식기전 데이터를 넣은거 아는데 실질적으로 이창호의 시대다 라고 말할 순 없습니다. 이창호가 88년도부터 88% 승률 세웠지만 이때 말하는 이창호의 시대다 라는 건 이제 곧 이창호의 시대가 확실히 오겠구나의 의미였고 이때만 해도 일본 바둑이 더 수준높았습니다. 비유하자면 유럽축구랑 한국축구정도 차이ㅎ

  • @파크냐아수투아루
    @파크냐아수투아루 4 года назад +1

    바둑 캐스터

  • @1초전-x4i
    @1초전-x4i 4 года назад +5

    박정환이 몇 년간 든든하게 버텨줘서

  • @최불끈
    @최불끈 4 года назад +3

    김성룡은 구독자가 뭘 원하는지 알지...

  • @왕뚜껑-o3r
    @왕뚜껑-o3r 3 года назад +1

    ㅋㅋㅋㅋ 무슨 경마하듯이ㅋㅋㅋ

  • @daviddk9290
    @daviddk9290 4 года назад +5

    이창호 9단 전성기 실력이면 알파고 리한테는 이겼을거라고 감히 예상해봅니다.

  • @huixian5
    @huixian5 4 года назад +1

    이창호보다 이세돌이 뛰어난 선수죠. 이창호가 1위한 기간은 길지만 그땐 중국 바둑이 아직 성장하기 전이었죠

    • @hongguitar
      @hongguitar 4 года назад +1

      이창호는 역대 최고의 압도적 기사인데 비교가 안되죠.

    • @사람-r1y2n
      @사람-r1y2n 2 года назад

      1위 기간뿐 아니라
      스펙적으로 이창호가 더 우위입니다

  • @cipalnom1
    @cipalnom1 4 года назад +1

    알파고가 1등인데 안나오네.

  • @선수탄생
    @선수탄생 2 года назад +1

    랭킹에 대부분이 중국 선수 ㅎㄷㄷ

  • @Jay-wf5xn
    @Jay-wf5xn 4 года назад +5

    체감상 2003년부터는 이세돌1위였는데

  • @기름장
    @기름장 4 года назад +1

    중국일본을 따내서 대단한거지.. 이거로 세계1위유전자를 가진 민족이라고 하기는 쫌 그런게..사실 서양사람들은 체스를하지 바둑안하자녀
    애초에 모집단이 한중일뿐이었던거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스보다 바둑이 훨씬 고도의 지능게임이라고 봅니다.
    중국 물량공세도 다 이겨버린게 대단함,,ㄷ

    • @천준-u2g
      @천준-u2g 4 года назад

      체스는 흑이 두면 이길수 밖에 없는 수가 옛날부터 존재했습니다
      따라서 인공지능또한 옛날부터 발달했고요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 @기름장
      @기름장 4 года назад

      @@천준-u2g 아 그런가요?? 새로알아가네요
      근데 제 말의 포인트는 체스가문제가 아니라 바둑을 두는사람은 한중일이 거의 전부라는 소리에요 ㅎㅎ

  • @윤성배-s4f
    @윤성배-s4f 4 года назад +1

    제가 아주예전에 천하기재들이 전성기때에는 한수둘때마다 100수가 보인다고 말했던 조훈련구단.... 이창호가 자기 전성기때에는 내가 어떻게 이기는지 미리 구상하고 끝내기를 어떻게 할지 미리 계산해두고 이긴다고 많이 이길필요없죠.... 한집만 이겨도 이기는 것이니깐요 얘기하던 이창호의 당돌함을 아직도 기억한다 ....
    그런데 예전에 이창호가 20대중반이 넘어가면서부터 체력이 딸리고 계산이 실수가 나오기 시작한 이후부터 한집이기는 바둑을 못하겠다며 30대가 넘어서는 공격바둑으로 기풍을 바꿨다고 말함.. 바둑은 10대후반부터 20대중반이 전성기이고 그이후에는 점점 실수가 많아져 30대가 되면 은퇴수순으로 가야한다..
    조국수는 자기가 나이가 어릴때에 담배핀것을 많이 후회했다고 담배 안피고 했으면 자기의 전성기가 좀더 오래 갔을 것이라며... 한수둘때마다 100수이상을 봤는데 지금은 10수보기도 힘들다며.... 웃었음...

  • @choibroken6062
    @choibroken6062 4 года назад +1

    아직까진 커제>신진서라고 봅니다 박정환9단 까지 현재 탑쓰리 체재

  • @featLive
    @featLive 4 года назад +1

    신진서는 최근 결승 올라간 응씨 춘란 우승하고
    큰대회에서 커제 압살해야지 진정한 1위
    랭킹은 1등인데 우승횟수 및 커제 상대전적 우위에 확실이 없으면 찝찝한 1등.
    1위인데도 기량이 늘고 있으니 시간 문제인가?

  • @아무-r6i
    @아무-r6i 2 года назад +1

    여자바둑세계 1위는 중국여자 한30년 정도 1위

    • @JosephSTALIN_minus_50yrs
      @JosephSTALIN_minus_50yr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게 의미있냐? 바둑을 무슨 힘으로 두는것도 아니고 여자바둑이 왜 따로 존재하는지 모르겠다.

  • @merumerukoromobe9242
    @merumerukoromobe9242 4 года назад +1

    그런데 조훈현9단이 세계랭킹 1위인건 이상하지 않나? 그땐 세계 대회도 없었고

    • @charleskim3072
      @charleskim3072 4 года назад

      제 기억으로는 응창기배를 초대 석권하고, 비슷한 시기에 앞서거니, 뒷서거니 농심배, 삼성배, lg배, 도요타배 등등 우후죽순으로 세계대회가 생겨났어요. 그리고 조훈현9단께서 파죽지세로, 거의 모든 대회 접수했고요. 그 이후 제자인 이창호9단이 거의 세계대회를 싹슬이했죠. 우리나라 바둑이 무시당하던 상태를 권좌에 올려 놓으신 실질적인 기여도 1위는 단연 조훈현9단입니다. 2대 황제인 이창호9단을 키우신 분도, 스승인 조 9단이시죠. 기록상으로도 1위가 맞을꺼고, 더 중요한 건, 일본/ 중국애들의 콧대를 꺽는데, 동료와 후배들에게 자신감을 갖게 해주었고, 실제로 그 들을 박살내고, 세계대회를 모두 한국기사로 도배하게 만든 위대함 1위라는 것이 젤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 @merumerukoromobe9242
      @merumerukoromobe9242 4 года назад

      @@charleskim3072
      그런데 83년에 1위가 되는건 좀 이상한거 같은데...

  • @일초-y6p
    @일초-y6p 4 года назад +3

    바둑 해설할 때
    인공지능승률 화면으로 해설 흐름의 맥을 너무 많이 끊어서 재미 없어서
    요즘 안 봅니다
    인간이 기계의 하수인입니까 ?

  • @치카푸카-r2z
    @치카푸카-r2z 4 года назад +1

    여기서도 지들끼리 싸우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