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김승연의 이 부분은 공감하지 못한다. 1900년대초 표준어의 기준이 서울말로 지정되면서 한양 사대부들이 사용하던 한자말이 표준어가 되고 지방의 많은 우리 말(어휘)이 사장된 것은 반성할 부분이다.. 마찬가지로 외래어도 전문기관에서 우리말로 바꿀 수 있는지를 검토한 후에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프랑스, 중국은 그렇게 하는것으로 알고 있다. 김승연의 주장같이 무조건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외래어는 조어를 하지 않는 이상 대체할 말이 없으니 그렇다 치고, 외국어가 문제인 건데 질문이나 답변이나 썩 좋진 않았습니다. 漢語(現 중어), 몽어, 일어, 영어... 따지고 보면 이미 '우리말'이라는 것이 처음과는 많이 달라졌다는 것 정도는 깨달을 수 있으니까요. 빛깔色인 보라도 갓 태어난 우리말 시절엔 없었던 것이고, 원 간섭기 즈음 해서 들어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미 지명이나 다른 부분에 있어서도 소위 '삼국시대' 후반부터 한자어로 대체되는 속도가 빨라졌기 때문에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합니다. 아마 상향식 A.I.의 궁극 모델인 인공 두뇌가 완성될 즈음에는 맥락을 통해서 완벽하게 통·번역하는 것도 나오겠지요. 지금은 처한 상황이나 형성 과정이 빠진 채로 사전적 의미로만 기계 학습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맥락 이해 기술을 개발해서 적용해도 저렇게 아직은 인간이 번역 분야에서 강자로 남아 있을 수 있는 겁니다. 그것이 해결되는 때가 찾아오기까지, 상품을 판매하는 사람이거나 기술에 자신이 있는 사람이 말하는 기간 안에는 오지 못하겠지만, 그렇다고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리진 않을 테죠. 왜냐하면, 인공신경(망)이나 기계 학습 및 심화 학습(심층 학습)을 적용해 소정의 성과를 올린 것이 컴퓨팅 기술이 이러한 연산을 처리할 수 있게 된 때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 일어났으니까요. 다만, 인공지능이 할 수 없는 것, 의도적인 전달 누락. 즉, 통역에서도 일부분일 뿐인 이 영역만큼은 인간을 대체할 그 어떤 기술도 나오지 못할 겁니다. 입력Input-출력output이기 때문에, 아무리 맥락을 이해하는 기술이 최고조에 달해도 상황에 따라서 통역하지 말아야 하겠다는 사고는 가질 수 없으니까요. 최대한 비슷한 것을 찾아 제시하는 게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명령이기 때문이죠. 적당히 뭉갤 수 있는 능력과 그것이 어떤 뜻으로 말해졌을지 유추하는 능력은 제아무리 인공지능이 발달해도 인간을 못 따라올 겁니다.
외국어가 문제라는 건데 이 부분도 전 동의하지 않습니다. 언어란 여러 국가와 같이 있으면 섞일 수 밖에 없고 과거에도 섞여왔었고 지금도 섞이고 있으며 미래에도 섞일 수 밖에 없습니다. 자국어로 표현 할 수 있는 말이라도 외국어를 이용해서 좀 더 풍부한 표현이 가능해지고 이걸 다시 섞어서 새로운 언어가 만들어지죠 이는 외래어뿐 아니라 외국어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게 무한히 반복해서 고대한국어와 현대한국어가 다른 거구요. 살아남지 못 한 어휘들은 사어가 되고 살아남은 언어가 지금까지 남아있는 거죠 영어의 장점은 이 세상에서 문화가 가장 많이 섞인 언어이기 때문에 표현이 풍부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당연한 거죠 사용하는 사람이 많고 사용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배울려는 사람이 많으며 영향을 가지는 언어도 많으니까요. 게다가 지금은 온라인으로 전 세계와 연결하는 게 가능한 시대라서 영어가 다른 언어들의 영향을 더더욱 많이 받구 있는 중이구요. 외국어를 문제라고 느끼는 건 우리가 외국 문화를 배척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아주 좋은 예인데요. 아이러니하게도 그게 우리가 외국어를 못 하는 이유기도 하구요.
전강의 정독중ㅎㅎ 너무 유익하고 즐겁고 뇌가 즐겁습니다 그냥!!
아내와 대화하는데 번역기 돌려서 얘기하는거랑 직접 말로 표현하는거랑은 완전 다르지. 언어는 인간에게 반드시 필요한 도구니까
남들 따라서 슬랭만 쓰지말고 새 단어
창조하는, Coin a word, 사람이 됩시다.
아진짜 영상 나눈거 알아보기힘드네요
인물도 잘나고 말도 잘하고...
조선팔도에 이런 인재만 가득
했으면 좋겠다.
나는 김승연의 이 부분은 공감하지 못한다. 1900년대초 표준어의 기준이 서울말로 지정되면서 한양 사대부들이 사용하던 한자말이 표준어가 되고 지방의 많은 우리 말(어휘)이 사장된 것은 반성할 부분이다.. 마찬가지로 외래어도 전문기관에서 우리말로 바꿀 수 있는지를 검토한 후에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프랑스, 중국은 그렇게 하는것으로 알고 있다. 김승연의 주장같이 무조건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외래어는 조어를 하지 않는 이상 대체할 말이 없으니 그렇다 치고, 외국어가 문제인 건데 질문이나 답변이나 썩 좋진 않았습니다.
漢語(現 중어), 몽어, 일어, 영어... 따지고 보면 이미 '우리말'이라는 것이 처음과는 많이 달라졌다는 것 정도는 깨달을 수 있으니까요. 빛깔色인 보라도 갓 태어난 우리말 시절엔 없었던 것이고, 원 간섭기 즈음 해서 들어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미 지명이나 다른 부분에 있어서도 소위 '삼국시대' 후반부터 한자어로 대체되는 속도가 빨라졌기 때문에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합니다.
아마 상향식 A.I.의 궁극 모델인 인공 두뇌가 완성될 즈음에는 맥락을 통해서 완벽하게 통·번역하는 것도 나오겠지요. 지금은 처한 상황이나 형성 과정이 빠진 채로 사전적 의미로만 기계 학습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맥락 이해 기술을 개발해서 적용해도 저렇게 아직은 인간이 번역 분야에서 강자로 남아 있을 수 있는 겁니다. 그것이 해결되는 때가 찾아오기까지, 상품을 판매하는 사람이거나 기술에 자신이 있는 사람이 말하는 기간 안에는 오지 못하겠지만, 그렇다고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리진 않을 테죠. 왜냐하면, 인공신경(망)이나 기계 학습 및 심화 학습(심층 학습)을 적용해 소정의 성과를 올린 것이 컴퓨팅 기술이 이러한 연산을 처리할 수 있게 된 때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 일어났으니까요.
다만, 인공지능이 할 수 없는 것, 의도적인 전달 누락. 즉, 통역에서도 일부분일 뿐인 이 영역만큼은 인간을 대체할 그 어떤 기술도 나오지 못할 겁니다. 입력Input-출력output이기 때문에, 아무리 맥락을 이해하는 기술이 최고조에 달해도 상황에 따라서 통역하지 말아야 하겠다는 사고는 가질 수 없으니까요. 최대한 비슷한 것을 찾아 제시하는 게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명령이기 때문이죠. 적당히 뭉갤 수 있는 능력과 그것이 어떤 뜻으로 말해졌을지 유추하는 능력은 제아무리 인공지능이 발달해도 인간을 못 따라올 겁니다.
외국어가 문제라는 건데 이 부분도 전 동의하지 않습니다.
언어란 여러 국가와 같이 있으면 섞일 수 밖에 없고 과거에도 섞여왔었고 지금도 섞이고 있으며 미래에도 섞일 수 밖에 없습니다.
자국어로 표현 할 수 있는 말이라도 외국어를 이용해서 좀 더 풍부한 표현이 가능해지고 이걸 다시 섞어서 새로운 언어가 만들어지죠
이는 외래어뿐 아니라 외국어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게 무한히 반복해서 고대한국어와 현대한국어가 다른 거구요.
살아남지 못 한 어휘들은 사어가 되고 살아남은 언어가 지금까지 남아있는 거죠
영어의 장점은 이 세상에서 문화가 가장 많이 섞인 언어이기 때문에 표현이 풍부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당연한 거죠
사용하는 사람이 많고 사용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배울려는 사람이 많으며 영향을 가지는 언어도 많으니까요.
게다가 지금은 온라인으로 전 세계와 연결하는 게 가능한 시대라서 영어가 다른 언어들의 영향을 더더욱 많이 받구 있는 중이구요.
외국어를 문제라고 느끼는 건 우리가 외국 문화를 배척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아주 좋은 예인데요.
아이러니하게도 그게 우리가 외국어를 못 하는 이유기도 하구요.
그래서 그게 뭔데....
아니 결론 영어넹 왜그러지 그냥 한국어만 집중하고 천천히배우라고하지 누구는 한국사람이니까 ㅋ 기본 한국어좀 배우고요 정말 대다가 멍청한 저같으넘은 어쩌라는건지 도대체 밑에 피셍트하는지요
이종선 말이나 똑바로하세요 ㅎㅎ
글쓴거 보니 진짜 멍청하신듯..
Are you Chi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