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수준 높은 질문이시네요!! 저도 어릴때 사실 그걸 고민 많이 했는데요 이론적 이나 배울때는 같은 M7코드니까 사용할수 있을것 같은데 전체 Key라는 걔념 을 좀더 이해 하면 잘 안쳐지더라고요! 저도 어릴때 굳이 굳이 쓰겠다고 하면서 일부러 넣기도 했는데 어느날 깨달았어요 내가 진짜 좋은 멜로디를 쳐서 음악적 이 고 싶어했던게 아니라 나 이런 리디안 도 쓸수 있어 라고 속마음은 지식을 자랑한게 아닐까? 하고요.. 그 뒤로는 음악 공부를 하지만 적용할 땐 진짜 음악적 이고 듣기 좋은가? 이런 기준이 모든 순간에 적용되는거 같아요^^ 제 케이스 니까 다른 사람은 이렇구나 하고 생각 한번 해주세요^^ 화이팅 입니다!
지금까지 ~모드는 어디서 나왔고, 메이저 스케일에서 어떻게 다르다. 라고 하셨잖아요. 그럼 모드는 어떤 상황에서 서야 하는건가요? 단순히 솔로나 애드립에서 메이저 스케일로 하기엔 한계가 올 때가 있어서 써야 한다 보다, ~메이저 스케일은 ~키 곡에서 써야한다는 것 처럼 그 특정 상황은 있나요?
댓글로 달기에는 내용이 많아서 설명을 잘할수 있을지 모르겠네요...일단 7가지 모드가 다 나가면 이 주제에 대해 안그래도 영상을 하나 만들려고 계획 했으니 조금 기다려 주시면 활용법 영상에서 보다 잘 이해 하실 수 있으실 거에요 그래도 질문을 주셨으니 짧게 나마 설명하자면. 질문에서 얘기 하신것 처럼 "메이져 스케일로 치다가 한계가 올때 모드를 사용하는 접근 법은 저는 완전 반대입장이고요" (그렇게 쓰시는 분도 있기때문에 맞다/ 안맞다는 논 외로 할게요.) 첫번째로 사용할만 상황은 음악에서 코드를 보면 지금 들리고 혹은 보이는 코드가 "원래 이곡의 key에서 나오는 코드 인가?" 라는 분석을 하실수 있게 되면 그때 의외로 "어라 이 key에서 나올수 없는 코드가 나왔네?" 라는 생각을 가질수 있게 되는 때가 오시는데 그때 그럼 이코드는 어디서 왔지? 아 다른key에서 왔구나 하고 생각이 넘어 가실꺼에요 그때 그럼 그코드에 맞게 맞는 모드를 사용하시는거에요 ! 두번째는 일반 가요 말고 영화/드라마 같은 음악들 처럼 뭔가 하나의 코드 로 곡이 쓰여지거나 분위기를 만들때 그 코드에 맞는 을 알고 쳐야 할때 모드가 굉장히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게 되실껍니다^^ 짧게 이두가지 정도가 제가 접근 하는 방법인데 이게 맞다 라는 표현 보다 적어도 저는 그런 접근을 하고 있기에 알려드립니다 글로 써야 하니 한계가 좀 있네요 ㅠ.ㅠ
결과적으로 Ab 메이져 스케일을 사용하신다는거죠? 저도 이건 정확이 모르겠네요 ㅠ.ㅠ 들어본적은 없는거 같아요..ㅠ.ㅠ 근데 모달인터체인지나 모달한 사운드를 낸다는건 코드 진행이 굉장히 중요한 역활을 합니다! 그냥 다이아토닉 코드 진행 곡에 1도에 이오니안 2도에는 도리안 이렇게 쓴다고 모달한 느낌이 나오지 않더라고요! 코드 진행 자체가 좀 모달 인터체인지 를 사용한 그런 코드 진행에서 솔로도 다른 모드를 빌려오는게 좀더 확실한 다른 사운드가 나오는거 같아요^^;; 글로 설명하는게 좀 어렵네요 ㅠ.ㅠ
제 생각엔 상황에 따라 다른데요 무대에서 긴 기타솔로를 요구해서 뭔가 테크닉 적인걸 보여줘야 할때에는 순간적으로 스케일을 떠올려서 롱라인을 쳐야 하는게 맞는거 같구요 보컬이 나 다른 멜로디 악기가 있어서 순간적으로 오부리카토 처럼 치고 빠져야 할때는 모드나 코드톤 처럼 100안정된 음을 사용하는게 더 좋은거 같습니다^^
다른분 모드강의 엄청 많이 시청 했는데 이전무진 강의 최고입니다
모드강의 전부다 시청 했읍니다 하나하나 흘려들을 말씀이 없네요
한마디 한마디 귀담아 들으세요 최고 최고 입니다
머리에 쏙쏙
늘감사합니다
잘배우고있어요♡♡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선생님!! ㅋㅋ C메이저 스케일 곡 1도 메이저 코드 자리에 C리디안을 써도 될까요? 따져들면 G키의 4번 째 코드를 C키의 이오니안 자리에 사용한거잖아요? 이것도 모달인터체인지 마냥 살짝 전조된 느낌을 줘서 조화로울까요? 아니면 어색할까요?
너무 수준 높은 질문이시네요!! 저도 어릴때 사실 그걸 고민 많이 했는데요 이론적 이나 배울때는 같은 M7코드니까 사용할수 있을것 같은데 전체 Key라는 걔념 을 좀더 이해 하면 잘 안쳐지더라고요! 저도 어릴때 굳이 굳이 쓰겠다고 하면서 일부러 넣기도 했는데 어느날 깨달았어요 내가 진짜 좋은 멜로디를 쳐서 음악적 이 고 싶어했던게 아니라 나 이런 리디안 도 쓸수 있어 라고 속마음은 지식을 자랑한게 아닐까? 하고요..
그 뒤로는 음악 공부를 하지만 적용할 땐 진짜 음악적 이고 듣기 좋은가? 이런 기준이 모든 순간에 적용되는거 같아요^^ 제 케이스 니까 다른 사람은 이렇구나 하고 생각 한번 해주세요^^ 화이팅 입니다!
@ 대중적으로 사랑받는 곡의 멜로디는 대부분 뻔한 코드에서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더군요. 음악적으로 듣기 좋다는 이유로 인해, 좋은 소리를 찾는 사람일수록 심플함에서 새로운 것을 찾는 것 같아요. ㅎㅎ
이제 스케일의 정의에 대해서는 덕분에 완전 이해했습니다 지판 외울때가 어려울 뿐 ㅋㅋㅋ
지판은 외우기 보다 연계성을 찾는게 빨라요^^
D 믹쏘리디안 백킹트렉보믄 D코드 E코드 왔다갔다 하는데 외그런거죠
어 지금 영상은 리디안 영상인데요??
아! 왜리디안 백킹이 D 코드E코드 왓다갔다하냐고
여쭤본겁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보고 공부하고 있어요. 혹시 코드톤 강의도 계획있으신지 궁금해요
네네 코드톤도 해야죠^^
아주 쉽게 참멋지십니다
지금까지 ~모드는 어디서 나왔고,
메이저 스케일에서 어떻게 다르다.
라고 하셨잖아요. 그럼 모드는 어떤 상황에서 서야 하는건가요?
단순히 솔로나 애드립에서 메이저 스케일로 하기엔 한계가 올 때가 있어서 써야 한다 보다, ~메이저 스케일은 ~키 곡에서 써야한다는 것 처럼 그 특정 상황은 있나요?
댓글로 달기에는 내용이 많아서 설명을 잘할수 있을지 모르겠네요...일단 7가지 모드가 다 나가면 이 주제에 대해 안그래도 영상을 하나 만들려고 계획 했으니 조금 기다려 주시면 활용법 영상에서 보다 잘 이해 하실 수 있으실 거에요 그래도 질문을 주셨으니 짧게 나마 설명하자면.
질문에서 얘기 하신것 처럼 "메이져 스케일로 치다가 한계가 올때 모드를 사용하는 접근 법은 저는 완전 반대입장이고요" (그렇게 쓰시는 분도 있기때문에 맞다/ 안맞다는 논 외로 할게요.)
첫번째로 사용할만 상황은 음악에서 코드를 보면 지금 들리고 혹은 보이는 코드가 "원래 이곡의 key에서 나오는 코드 인가?" 라는 분석을 하실수 있게 되면 그때 의외로 "어라 이 key에서 나올수 없는 코드가 나왔네?" 라는 생각을 가질수 있게 되는 때가 오시는데 그때 그럼 이코드는 어디서 왔지? 아 다른key에서 왔구나 하고 생각이 넘어 가실꺼에요 그때 그럼 그코드에 맞게 맞는 모드를 사용하시는거에요 !
두번째는 일반 가요 말고 영화/드라마 같은 음악들 처럼 뭔가 하나의 코드 로 곡이 쓰여지거나 분위기를 만들때 그 코드에 맞는 을 알고 쳐야 할때 모드가 굉장히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게 되실껍니다^^
짧게 이두가지 정도가 제가 접근 하는 방법인데 이게 맞다 라는 표현 보다 적어도 저는 그런 접근을 하고 있기에 알려드립니다 글로 써야 하니 한계가 좀 있네요 ㅠ.ㅠ
첫번째는 논다이아토닉코드가 들어간 곡의 경우에 메이저 스케일로만 플레이를 했을 때 걸리는 음이 생기고,
두번째는 한 코드로 곡을 쓰는 음악의 경우에서 좀 더 다양한 표현을 하기 위함인건가요?
잘이해한지 모르겠네요..ㅎㅎ
그럼 메이저 스케일은 그 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음들의 배열인거고, 모드 스케일은 코드 마다 적용할 수 있는 음의 배열이라고 이해할 수 있나요?
추가로 다른 영상을 보니까 모드 스케일은 메이저 스케일에서 나오는 7개의 코드(4화음 코드의 음=코드톤?+그 코드의 텐션음)에서 나오는 음들이라는데 그럼 맞는건가요?
너무 많은 질문을 드려서 좀 죄송하네요 😥
@@mn.doo_ng 네네 그렇게 접근 하는게 저는 좋더라고요^^
선생님. 혹시, 1도 메이저 자리에다가 프리지안을 써도 될까요? 예를 들어 C키의 1코드인 C에 이오니안이 아닌 프리지안을 적용하면, 전조된 느낌을 줘서 어색해지나요?
모달인터체인지 느낌을 줘서 “아 새롭네?!”느낌도 줄 수 있을까요?
결과적으로 Ab 메이져 스케일을 사용하신다는거죠? 저도 이건 정확이 모르겠네요 ㅠ.ㅠ 들어본적은 없는거 같아요..ㅠ.ㅠ 근데 모달인터체인지나 모달한 사운드를 낸다는건 코드 진행이 굉장히 중요한 역활을 합니다! 그냥 다이아토닉 코드 진행 곡에 1도에 이오니안 2도에는 도리안 이렇게 쓴다고 모달한 느낌이 나오지 않더라고요! 코드 진행 자체가 좀 모달 인터체인지 를 사용한 그런 코드 진행에서 솔로도 다른 모드를 빌려오는게 좀더 확실한 다른 사운드가 나오는거 같아요^^;; 글로 설명하는게 좀 어렵네요 ㅠ.ㅠ
혹시 c키곡 에서 c코드 나올때 이오니언을 쓰는게 정석이긴 한데 리디안을 써버려도 되나요? 가끔 재즈 뮤지션들 보면 다이아토닉과는 별개로 선호하는 스케일을 쓰는 경우가 있는것 같아서요
안쓴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키가 정해졌다면 리디안을 쓰면 틀린거 처럼들릴꺼에요! 키가 안정해진 느낌의 코드진행이면 왔다갔다 하기도 합니다^^
선생님 실제 릭을 쓸때는 메이저스케일이나 코드톤 보다는 모드를 많이.사용하나요,????
제 생각엔 상황에 따라 다른데요 무대에서 긴 기타솔로를 요구해서 뭔가 테크닉 적인걸 보여줘야 할때에는 순간적으로 스케일을 떠올려서 롱라인을 쳐야 하는게 맞는거 같구요 보컬이 나 다른 멜로디 악기가 있어서 순간적으로 오부리카토 처럼 치고 빠져야 할때는 모드나 코드톤 처럼 100안정된 음을 사용하는게 더 좋은거 같습니다^^
@@전무진-b7v 와우 갑작스럽게 요구할때는 메이저나 마이너 스케일 곡을 합주해서 연주할때는 코드톤이나 모드란 말씀이시죠 ,,,,,,,, 다른곳에서는 들을수 없는데 정확하게 짚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선회하는제비 아뇨 그런 접근이 아니고 기타솔로를 길게 쳐야하는 순간이라면 스케일로 접근!!
그게 아니라 보컬이 노래 부르는데 중간에 짧게 에드립을 넣어야 하는거라면 모드나 코드톤이 좀더 접근이 쉬울꺼 라는 겁니다 물론 저의 경험이지만요^^
@@전무진-b7v 성의껏 답글 달아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본 영상중 선생님 강의방법이 저에게 잘 맞고 이해는 진심 어느강의 보다 잘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