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대학 어느 학과 사용 방법 입니다. 프로그램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누구나 알고 있는 "대학 모집정원 보다 대학 진학 희망학생" 의 시대
    대학 명 보다 학과 명이 더 중요해질 미래 시대
    수험생과 함께 진로를 고민해 보고자 합니다.
    -----
    지금은 대학 쇼핑의 시대,
    대학알리미 정보공시 data를 기반으로 학부모의 입장에서 수험생과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한다
    대학 쇼핑의 시대, 검토할 사항은 무엇일까?
    명제(가설):
    신입생경쟁률은 동시대 학생이 선호하는 대학을 의미하며, 신입생충원율은 제일 선호하는 대학을 선택했다는 의미라 할 때,
    선택한 대학에서의 대학만족도를 같이 보려면 중도탈락률과 연계될 것이고, 등록은 했으나 중도탈락률이 높다면 대학생활에서의 만족도가 낮은 대학이라는 가설
    신입생경쟁률: 나와 같은 조건의 학생들이 선호하는 대학은 어디일까?
    신입생충원율(신입생등록률): 지원한 학생이 최종 선택한 대학: 학생이 선호하는 대
    재학생충원율: 그 대학은 학생들에게 만족감을 주고 있는가?
    중도탈락률: 대학은 학생들에게 vision을 제시하고 있는가?
    유지취업률: 진출한 직업군은 vision을 제시하고 있는가?
    취업률: 대학에 대한 사회적 인지도를 대변할 수 있을까?
    -------
    어느 대학 어느 학과 사용 방법 입니다. 프로그램은 bi4ir.tistory.... 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