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시 윤동주 - 현대시 상상 공부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ноя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16

  • @행복한사오정happysaojung
    @행복한사오정happysaojung 4 года назад +1

    선생님의 글을 하나씩 천천히 음미하려다가 7년전 평소 흠모했던 룡정의 윤동주님 생가를
    방문해 본 친밀감에 들려
    또 다른 상념에 젖어봅니다..!!

    • @jal7moon
      @jal7moon  4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선생님. 몸이 좋지 않은 상태라 느리가 만들지만 하나 하나 힘내서 만들어 가렵니다. 천천히라도 멀리보고 가면 언젠가는 가겠지요. 감사합니다.

  • @tv..6531
    @tv..6531 4 года назад

    는 1986년 고3때 작곡하였고, 이제 그 를 세상에 내어놓아 봅니다.
    ruclips.net/video/rwlj0o41lJ0/видео.html
    1983년, 중학교 3학년 때부터 시를 읽으면 그 속에서 음악이 들려왔습니다.
    맑은 물소리,
    고운 새소리,
    시원한 바람소리,
    ...
    모든 자연의 소리에서 또한 음악이 들려왔습니다.
    이 세상 모든 것은 음악입니다.
    소리 있음도 음악이요, 소리 없음도 또한 음악입니다.

  • @unknown-hg3yd
    @unknown-hg3yd 4 года назад +2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al7moon
      @jal7moon  4 года назад

      고맙습니다. 개인적 일때문에 요즘 못만들고 있는데 다시힘내렵니다.

  • @윙크-t5f
    @윙크-t5f 4 года назад +2

    어우 내가 잴 좋아하는 시인데

    • @jal7moon
      @jal7moon  4 года назад

      어우 저도 참 좋아하는 시인데

    • @윙크-t5f
      @윙크-t5f 4 года назад

      엌ㅌ

    • @jal7moon
      @jal7moon  4 года назад

      ㅎㅎㅎ

  • @지형-f6d
    @지형-f6d 3 года назад +1

    시인 혹은 시적화자의 심미적 인식을 파악하라고 되있는데 서시에서는 어떻게 파악해야 할까요?

    • @jal7moon
      @jal7moon  3 года назад

      심미적 인식이라는 말이 맥락을 몰라 조금 애매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답해 볼께요.
      우선 윤동주는(또는 시적화자는)그의 세계를 아름답고 순수한 것, 본질이 드러나는 것으로 파악합니다. 이것에서 심미성이 어느 정도 발현되지요. 그러나 그 아름다움은 자신의 훼손된 순수성을 발견하게 하는 대조적인 배치이지 대상 자체의 본질적인 아름다움에 집중히는 것으로 보기는 힘들어요. - 별 헤는 밤은 달라요. 별이 내포하는 것들의 순수성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요.
      진짜 심미적 인식이 나타나는 부분은 그 자신의 부끄러움 후에 내면,순수를 회복하고 나서 자신을 인식하거나 결심할 때 나타나지 않을까 싶어요. 예로 윤동주- 십자가에서 나도 피를 흘리우리다 하는 각오가 드러나는데 그것이 아름다운 장면으로 묘사되지요. 답이 되었는지요.
      생각할 시간이 필요해 답이었더랬어요.

  • @김씨-x7t
    @김씨-x7t 4 года назад +2

    서시의 분위기는 무었일까요?

    • @jal7moon
      @jal7moon  4 года назад +1

      치열한 부끄러움이 느껴집니다. 그저 자신의 왜소함이니 부족함을 느끼는 그 정도가 아니라 계속해서 자신의 순결함과 발전을 꿈꾸는, 안일함을 부정하고 달걀껍질을 깨고 나아가는 듯한 부끄러움이 느껴지네요. 분위기를 정서로 생각하고 답 드립니다.

  • @박두진-p3j
    @박두진-p3j 4 года назад +1

    반영론적 관점은 뭔가요?

    • @jal7moon
      @jal7moon  4 года назад

      예 작가가 살던 시대의 문화 사상 등을 문학작품에서 찾는 관점이에요. 현실 반영론이라고도 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