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램의 시대를 이를 차세대 메모리 PRAM, MRAM에 대해 (삼성의 STT-MRAM 인텔의 옵테인 메모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74

  • @비비디-f7q
    @비비디-f7q 5 лет назад +100

    28초 16메가....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51

      감사합니다 정신차리고 영상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ㅜㅜ

    • @비비디-f7q
      @비비디-f7q 5 лет назад

      @@GadgetSeoul 고정까지....항상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 @loskongs
      @loskongs 5 лет назад +1

      ㅎㅎㅎㅎ 저도 띠용했었는데...

    • @jeyoungahn1439
      @jeyoungahn1439 5 лет назад +1

      저도 듣다가 깜짝 놀랐네요

    • @svart.pi1en
      @svart.pi1en 5 лет назад

      역시 ㅋㅋㅋ 저도 그거듣고 엥? 하고 댓글달러왔는데 ㅋㅋㅋㅋ

  • @ytkim8053
    @ytkim8053 5 лет назад +141

    실제로 우리나라 기업의 반도체 연구원들은 졸지도 않고 다음기술을 개발한다는데 자원없는나라에서 사람을 원동력으로 세계최고를 지향한다는게 자랑스럽습니다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41

      맞습니다. 박수 받을 사람들에게 박수쳐주지 않는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 @innovator108
      @innovator108 5 лет назад +1

      @@GadgetSeoul 항시 연구원의 노고 잊지 않겠습니다^^

    • @noahsmith2526
      @noahsmith2526 5 лет назад +1

      그런데 대우 별로라서 중국가고... 그런것같던데 맞나요? 맞는다면 좀 종사자분들 대우좀 잘해드리지

    • @handleer6
      @handleer6 5 лет назад +3

      @@noahsmith2526 삼성의 인력대우는 최고수준입니다. 중국에 가는건 중국이 먹버하려고 단기간 큰돈을 제시하기때문.. 당연히 사람은 욕심의동물이고 욕심엔 한계가없음. 연10억을줘도 100억준다는곳에 홀리니깐요

    • @슈퍼리치-j5s
      @슈퍼리치-j5s 5 лет назад

      @@noahsmith2526 한국에서 연구원 하면 연봉 9000 인 사람들을 연봉 9억씩 주고 중국에서 엄청나게 많이 빼갔습니다. 메모리 분야 디스플레이 분야가 대표적인 사례 이지요. 한국에서 한국업체로 이직한 경우 4대 보험 가입 관련 정보로 추적이 가능하나, 중국으로 넘어가 버리면 중국 어느회사로 취직을 한건지 추적 자체가 안됩니다.

  • @kkkwzz
    @kkkwzz 5 лет назад +31

    관련업계 종사자입니다
    마지막 멘트에서 큰 힘을 얻고 갑니다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해요

    • @브라
      @브라 5 лет назад

      화이팅하십쇼 제가 아는 분여거 아닌지라 더욱 자랑스럽습니다

    • @anhw2315
      @anhw2315 5 лет назад

      기술발전에 힘써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therok555
    @therok555 5 лет назад +32

    유튜브 등장으로 이런 지식들을 공짜로 들을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참 좋은 시대에 살고있구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정말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Anonymous-s7j1y
    @Anonymous-s7j1y 5 лет назад +47

    오늘이 채널 개설 1주년이네요! 축하드려요~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godoubleburyand8000
    @godoubleburyand8000 5 лет назад

    전자공학과 학부생입니다. 6시간짜리 수업 핵심이 10분짜리 영상에 너무 세련되고 명쾌하게 들어있네요... 감탄하고 갑니다. 정말 좋아하는 채널입니다. 감사합니다.

  • @smtboy77
    @smtboy77 5 лет назад

    항상 마무리는 응원하는 마음으로 해주시는게 감사하기도 하고 많이 배웁니다. 좋은 밤 되세요~ :)

  • @sjyoon0603
    @sjyoon0603 5 лет назад +12

    technical한 이야기들을 전부다 이해할 수 없었지만 인사이트를 대략으로나마 이해했고 또한 논리적으로도 완벽한 영상이었습니다:) 오늘도 양질의 영상 감사합니다.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행복한 밤 보내세요

  • @브라
    @브라 5 лет назад

    항상느끼지만 비전문가인 구독자를 상대로 이렇게 쉽게 이해시키는 가젯님은 대단합니다 억양부터 단어선택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시는게 느껴집니다

  • @이준호-h7n1k
    @이준호-h7n1k 5 лет назад +3

    매번 영상을 보면서 감탄하지만 특히나 오늘 영상은 소름이 돋네요. 보면서 감탄했습니다. 항상 양질의 영상 업로드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chalier-w3p
    @chalier-w3p 5 лет назад +2

    믿습니다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 박사님들 파이팅 우리나라를 먹여살려주세요!!

  • @baemin95
    @baemin95 5 лет назад

    바쁘신 와중에도 양질의 컨텐츠를 위해 밤을 새우는 가젯서울님께서 계속해 힘써주시기를 바랍니다. 구독자들이 진심을 담아 응원하도록 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십쇼! 오늘도 업로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luckykang777
    @luckykang777 5 лет назад

    늘 IT업계의 화두를 가장 빠르고 쉽게 알 수 있게 설명해주시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modorikr
    @modorikr 5 лет назад

    역시 믿고보는 채널입니다. 이쪽 업계의 한자락에 몸 담고 있지만 항상 주변 상황의 변화를 체감하지 못하는데 또 배우고 갑니다.

  • @모난돌-x3i
    @모난돌-x3i 5 лет назад +31

    전 진심을 담아 이채널을 응원합니다.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3

      정말 감사합니다 모난돌님

  • @알뷰
    @알뷰 5 лет назад +9

    축전기의 시대가 저문다는것이 감회가 새롭습니다
    항상 좋은영상 감사드리고 진심으로 존경합니다

  • @jhkim7214
    @jhkim7214 5 лет назад +1

    관련 지식이 부족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sdp635
    @sdp635 5 лет наза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여지것들어온 m램 관련 소식들중 설명 전달력 적당한 깊이 까지 최고내요👍 정말 잘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jogaegui7270
    @jogaegui7270 5 лет назад +3

    행님 역시 최고입니다.. 전자공학과 4학년인데 이렇게 명쾌하게 설명들은거는 처음임돠..

  • @이두희-o8t
    @이두희-o8t 5 лет назад

    더 깊이있는 지식과 그걸 푸시는 능력이 정말 감탄스럽습니다 항상 잘보고있어요!

  • @sea3824
    @sea3824 5 лет назад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감사합니다 😊

  • @도매니저-f4g
    @도매니저-f4g 5 лет назад +2

    오늘도 유익한정보 감사합니다 ^-^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1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162_choo
    @162_choo 5 лет назад +1

    오늘 의상에 눈길이 가네요ㅎㅎ 오늘도 잘 배우고 갑니다!

  • @doyunkim6431
    @doyunkim6431 5 лет назад

    진짜 핵심만 잘 요약해서 비전공자도 이해가 쏙쏙 가게 말씀 잘하시네요. 앞으로 더 많은 부분들도 다뤄주세요!

  • @homunkang8531
    @homunkang8531 5 лет назад

    오늘도 공감합니다. 정말 더 확실한 메모리로 저장공간을 확보한다면~ 그리고 가격과 용량을 확보한다면 앞으로의 IT에 더 밝은 미래가 있을것 같아요. 오늘도 유익한 자료 감사합니다.

  • @불사조-t2h2y
    @불사조-t2h2y 5 лет назад

    항상 고맙습니다

  • @큰괭이
    @큰괭이 5 лет назад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MassageBodywork
    @MassageBodywork 5 лет назад

    공학쪽은 문외한 이지만 오늘도 가젯서울채널을 보며 낯선분야의 지식 짧게나마 얻어갑니다. 양질의 영상 진실로 진실로 감사드립니다.

  • @dong_kong
    @dong_kong 5 лет назад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CATSTARisCATSTAR
    @CATSTARisCATSTAR 5 лет назад

    역시 항상 멋진 주제 고맙습니다

  • @임영훈-j3t
    @임영훈-j3t 5 лет назад +34

    오늘도 공감할 수밖에 없는 내용이네요.
    잘 봣습니다.
    삼성이 STT-MRAM에 투자하고 있지만 사실 DRAM을 버리면서까지 STT-MRAM에 집중하진 않을 겁니다.
    기술축적측면에서 이제 가능성을 엿보는 측면으로 전환한 거죠.
    28나노 사이즈의 eMRAM을 상용화한 걸 보면 이제 필요성이 거의 다한 28나노 DRAM 생산설비를 어떻게 STT-MRAM 생산설비로 바꿀지 고민하고 있는 거 같습니다.
    메모리 종주국의 명예를 계속 지켰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관련 연구원들을 응원하며...

    • @dfdfeihvlkcniowerh
      @dfdfeihvlkcniowerh 5 лет назад +1

      MRAM은 FOUNDRY입니다 LOGIC공정 통합이예요. 메모리사업부와는 다르게 진행됩니다

    • @운베드로
      @운베드로 5 лет назад

      메모리 종주국은 미국입니다.

    • @user-it8ss5rq5z
      @user-it8ss5rq5z 5 лет назад

      메모리반도체는 하이닉스 삼성이 꽉잡았다는뜻인듯? 엄밀히따지면 종주국은 아니죠 ㅋㅋ

  • @windloid
    @windloid 5 лет назад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유익한 정보, 기분 좋은 채널!

  • @chichichichi12
    @chichichichi12 5 лет назад

    알려주신 내용도 좋고, 발음도 매우 정확하시네요(자동 번역) ㅎㅎ 오늘도 잘보고 갑니다.

  • @이현기-x7o
    @이현기-x7o 5 лет назад

    가젯서울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ㄷㄷ 설명으로나마 컴퓨팅 환경의 변화가 그려지는 느낌입니다.

  • @虹雲-f6s
    @虹雲-f6s 5 лет назад +9

    볼때마다 기분좋아지는 마지막 인사말씀 좋네요^^ 항상 친절한 설명 잘듣고 갑니다.

  • @mmancma1863
    @mmancma1863 5 лет назад +2

    오늘도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 @gon5410
    @gon5410 5 лет назад +2

    잘 들었습니다. 관련분야가 아니라서 이해하기가 많이 어렵지만...ㅜㅜ
    항상 좋은 소식과 정보 감사드립니다.

  • @녹색조각
    @녹색조각 5 лет назад

    오늘도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정승호-e8p
    @정승호-e8p 5 лет назад

    퀄리티 진짜... 감사합니다.... 늘 잘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컨텐츠 부탁드립니다 ... :)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1

      열심히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park5532009
    @park5532009 5 лет назад

    항상 좋은 지식과 정보 감사합니다.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kennethjeong2998
    @kennethjeong2998 5 лет назад

    구독채널은 많지만, 유일하게 알람 등록한 채널입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kenneth Jeong님 !

  • @kennyshim4356
    @kennyshim4356 5 лет назад

    가젯 서울님 반도체 기업 취업 준비중에 있는 저에게 많은 소재를 제공해주셨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 @infor98
    @infor98 5 лет назад +1

    오늘도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날라리뽕짝-w3x
    @날라리뽕짝-w3x 5 лет назад +6

    15년전에 MRAM, PRAM을 공부했던 기억에 감회가 새롭네요..이제는 진짜 DRAM을 대체하게 되는건가요? 그리고 매번 영상 볼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가젯님 말씀 너무 잘하시네요. 표현도 세련되고..마지막에 응원의 코멘트는 정말 감탄스럽습니다.

    • @JC-et4vz
      @JC-et4vz 5 лет назад

      MRAM, PRAM 15년전부터 있던 기술이었군요...기술의 발전이 하루아침에 되는건 아닌가보네요!

  • @JohnSmith-iu3fc
    @JohnSmith-iu3fc 5 лет назад

    잘 읽었습니다. 볼 때 마다, 새로운 사실을 알고 갑니다.

  • @yechankim2364
    @yechankim2364 5 лет назад +2

    오늘도 고오급 지식 덕분에 배우고 갑니다!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kaldfg18
    @kaldfg18 5 лет назад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 @jhy5471
    @jhy5471 5 лет назад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ohnberjang4619
    @johnberjang4619 5 лет назад

    와 팔로워 더 늘었으면 좋겠어요 대박이네요 구독합니다.

  • @geuluteogi-stub6800
    @geuluteogi-stub6800 5 лет назад +1

    감사 합니다.

  • @최준호-s4m
    @최준호-s4m 5 лет назад

    오늘도 최고입니다 👍👍👍

  • @windmorgen3083
    @windmorgen3083 5 лет назад +1

    응원 감사합니다

  • @che1
    @che1 5 лет назад

    제품만 보는게 아니라, 제품 너머 누구의 수고도 배려해서 좋네요.

  • @kyn04123
    @kyn04123 5 лет назад

    오늘은 어렵네요 ㅜㅜ 영상미나 편집이 항상 너무 좋아요 ㅎㅎ 다음 영상도 기대하겠습니다!

  • @manlta0123
    @manlta0123 5 лет назад

    언제나 감사합니다

  • @milkiess1487
    @milkiess1487 5 лет назад

    진짜 평소에 기술개발쪽,신기술쪽에 관심은많지만 찾아볼시간이 없는데
    가젯님꺼 영상이 제 궁금증을
    타파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송재욱님!

  • @markthaison5355
    @markthaison5355 5 лет назад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naga7647
    @naga7647 5 лет назад +11

    0:27 '윈도우95 출시를 앞두고 램은 최소 16기가를 넘어야 한다는' 에서 16기가가 아니라 16메가 같아요!

  • @촙촙-o5r
    @촙촙-o5r 5 лет назад +9

    언제 이렇게 구독자가 늘어나셨지 ㅎㅎㅎ 5.3만이라니 축하드려요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2

      김보근님 오셨군요 ^^ 감사합니다

  • @moongkoong
    @moongkoong 5 лет назад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느릿느릿달팽
    @느릿느릿달팽 5 лет назад

    정말 잘 설명해주시네요. 이 영상보고 바로 구독눌렀습니다.

  • @Chicken_Fried_Chicken
    @Chicken_Fried_Chicken 5 лет назад

    STT MRAM과 PRAM 무엇이 이길지 그것도 참 기대가 됩니다..
    그리고 누구보다 노력하지만 알려지지않은 그 수많은 연구원분들께 경의를 표합니다.
    오늘도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강대현-y7p
    @강대현-y7p 5 лет назад

    우리는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이 대사가 계속떠오르네요 ㅎㅎ
    우리나라가 끊임없이 발전하기를 기원합니다.

  • @letsys6770
    @letsys6770 5 лет назад

    항상 잘 보고갑니당 ㅎ

  • @fgsword
    @fgsword 5 лет назад +2

    무슨 연구원 하시던 분인가... 굉장히 전문적인 말씀 잘보고 갑니다!

  • @김원영-e9v
    @김원영-e9v 5 лет назад +1

    와....제가 구독할때만 해도 8천명이셨는데...벌써 5만 넘으셨네요! 축하드립니다!

  • @davidkim7662
    @davidkim7662 4 года назад

    정말 좋은. 방송해줘서 감사합니다

  • @라일락p7e
    @라일락p7e 5 лет назад

    좋은 정보감사합니다^^

  • @Jeonghunlee911
    @Jeonghunlee911 5 лет назад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tomyan229
    @tomyan229 5 лет назад

    매번 느끼지만 늘 감탄밖에 안나오네요. 가젯의 한계가 어디까이지신지 궁금해요 ㅋㅋ

  • @이현기-x7o
    @이현기-x7o 5 лет назад +3

    항상 어려운 반도체 관련 정보나 핸드폰 관련 정보들 조금이라도 알아들을수 있게 설명해주시는분은 서울님이 유일함 ㅠ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광고 좀 넣으세요 ㅎㅎ
    일부러 광고때매 시간 늘려도 다 이해 하실듯 ㅠ

  • @갓조-x3z
    @갓조-x3z 5 лет назад +1

    일단 선추천하고 보겠습니다ㅎㅎ

  • @lagavulin778
    @lagavulin778 5 лет назад

    오늘도 잘봤습니다 !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임정묵-l3d
    @임정묵-l3d 5 лет назад +1

    반도체 공부 많이 하고 갑니다.. 멋쟁이이심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Gaon_of_power
    @Gaon_of_power 5 лет назад +23

    확실히 초대 이병철 회장의 메모리 반도체에 과감히 도전한 것 끊임없이
    발전을 거듭한것이 오늘날 삼성전자의
    주력사업이 된것이 대단하네요

    • @천궁-c4t
      @천궁-c4t 5 лет назад +4

      Star Moon
      탐욕이 ㅋㅋ 대한민국 반도체 발전 주역이 아닌 타인이 가져간거죠. 스브스 영상을 보세요. 억울한 천재 재미동포 과학자의 눈물을 볼수있겁니다 그리고 아남반도체를 검색해보시길. 재벌들의 회사 가로채기와 인력 빼가기를 알수있을겁니다.

    • @google_Alphabet
      @google_Alphabet 5 лет назад +8

      @@천궁-c4t 또 선동된사람 하나 나타났네.....객관적으로 미국산업스파이고...본인이 사업하다가 망한걸 삼성이 인수 했을뿐이고
      삼성은 애초에 파나소닉과 산요전기와 기술협약을 맺고 반도체기술을 전수받으면서 일본 기술자들을 뺴와서 반도체 준비를 했어....좀 알고 남한테 가르치듯이 얘기해라

    • @어둠의그림자-n1c
      @어둠의그림자-n1c 5 лет назад +7

      모두가 노할때 이병철 혼자 예스해서 반도체산업 일군거는 빼박캔트

    • @스파랜드
      @스파랜드 5 лет назад +3

      @@천궁-c4t 순진한건지? 아니면 진짜 선동에 휩싸인건지?ㅋ
      반도체라는게 한두사람에 의해서 그렇게 간단하게 기술혁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함?ㅋ
      천재 할아버지가 와도 불가능하고
      반도체는 물론 기술도 중요하긴 하지만 그보다 휠씬 더 중요한건
      돈 때려박는거임.
      문제는 그렇게 때려박고서도 낙오하면 엄청난 손해가 있는 분야라...함부로 못 뛰어드는거고
      뛰어들어서 간신히 살아남아도 계속해서 돈을 주기적으로 수십조 수백조씩 때려박아넣어야해서 아예 이쪽으로 발 담구는것조차 엄청난 각오를 해야하는게 반도체 산업임.
      내가...아니 대부분이 나와 같을거임... 이병철 만큼 돈 많고 하지만 살날 얼마 안남았으면...절대 반도체에 투자 안햇슴.
      실제 이병철 회장 주위에서 전문가든 비전문가든 다 말렸슴.
      잘못하면...있던돈까지 다 까먹고 대우 김우중꼴 나는데?
      그냥 얼마 안남은 수명 실컷 즐기나 가지.
      이병철의 인간성이나 인격이야 내알바 아니고...능력만큼은 그래서 대단하다는 소리를 듣는거죠.
      .

    • @치킨-d7f
      @치킨-d7f 5 лет назад +1

      @@천궁-c4t 그렇다고 쳐도 삼성이 대단한건 맞습니다 1992년에 시작된 혁신을 시작으로 여기까지 왔으니까요

  • @dmldms34
    @dmldms34 5 лет назад +1

    영상에서 얘기하신것 처럼 MRAM을 현재까지는 DRAM의 대체제로 보기보다는 앞으로 커질 IOT시장에서
    다양한 가전에 들어갈 임베디드 시스템의 DRAM과 저장장치를 통합 할 수 있다 정도로 보더라구요 ㅎㅎ
    다만 용량과 가격이 개선이 된다면 DRAM의 자리를 충분히 위협 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 @bes4448
    @bes4448 5 лет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1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_-...
    @-_-... 5 лет назад +2

    학부시절 생각나네요... 그때 교수님이 반도체연구가 물리법칙의 한계에 부딧친 상황이라 발전이 멈춰있다고 그러셨는데... 전세계 인재들이 달라 붙으니까 어떻게든 뛰어넘네요

  • @zinoryu
    @zinoryu 5 лет назад

    잘보겠습니다 ^^

  • @BSK-e2d
    @BSK-e2d 5 лет назад

    와 전공 과제하다 흘러흘러 여기 들어왔는데 영상 보고 구독 누름
    여긴 찐인듯

  • @최승현-x8h
    @최승현-x8h 5 лет назад

    저두 응원하겠습니다.

  • @문슬람-t5z
    @문슬람-t5z 4 года назад

    유익한 내용이에요 그리고 머리숱이 상당히 많으시군여! 복이에요

  • @Gaon_of_power
    @Gaon_of_power 5 лет назад +27

    아마 제 기억이 맞다면 저 M램기술은
    2012년도 삼성이 인수한 '그란디스' 기업으로 연구 개발에 몰두 한게 이제서야 빛을 발휘하는가 보군요

    • @도요다다이쥬-x9h
      @도요다다이쥬-x9h 5 лет назад +2

      그떄는 미국과 관계가 아주 좋을때였죠. 다르파의 벤쳐회사엿는데...

    • @벚꽃나무-v2m
      @벚꽃나무-v2m 5 лет назад

      그란디스면 삼성페이 개발할때 필요해서 인수한 기업 아닌가요?
      mts 기술 때문에

    • @Gaon_of_power
      @Gaon_of_power 5 лет назад +1

      @@벚꽃나무-v2m 삼성페이 기술의 기업은
      루프페이 로 알고 있습니다.
      그란디스 기업은 M램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력이 발군인 기업으로 알고 있고요
      물론 삼성전자 에서 두 기업 다 인수 했지만요 ㅎㅎ

    • @도요다다이쥬-x9h
      @도요다다이쥬-x9h 5 лет назад +1

      @@벚꽃나무-v2m 그건 루프페이고...그란디스는 m램 개발회사입니다. 미국방과학성...달파가 ibm등과 같이 만든 벤쳐예요. 스크하이닉스도 조금은 관여는 했을겁니다.

    • @벚꽃나무-v2m
      @벚꽃나무-v2m 5 лет назад

      @@Gaon_of_power 아아 맞다 그렇네요 감사합니다 ㅎㅎ

  • @liamk5506
    @liamk5506 5 лет назад

    저런 내용을 이렇게 쉽게 설명하시다니... 설명력 무엇..?

  • @오늘도화이팅-r8g
    @오늘도화이팅-r8g 5 лет назад +2

    SRAM은 속도는 빠르나 집적도가 낮고 DRAM은 속도는 느리나 집적도가 높다. DRAM의 집적도를 높이기 위해 C의 용량을 늘리는 것이 중요. 이를 위해 표면적을 넓히거나 두께를 줄여야함. 그렇지만 두께를 줄이면 터널링 효과 때문에 전류가 누설된다. 결국엔 C를 여러개 쌓아 높이를 높이는 것이 방법. 하지만 이 또한 기울어지는 문제점 발생. 지금까지 기술의 패러다임. 그렇다면 이 문제가 되는 캐패시터를 없앤다면??? 그것이 바로 삼성에서 진행하는 STT-MRAM !

  • @akrrkvkdnj
    @akrrkvkdnj 5 лет назад

    메모리에 관심 많았는데 좋은 정보 고마워요 형~

  • @dong-jinchoi6921
    @dong-jinchoi6921 5 лет назад

    설명 영상
    대단하다는 말밖에는... 잘봤습니다.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동진님!

  • @SpeedisH94
    @SpeedisH94 5 лет назад

    저는 기타회로에서 커패시터를 처음 접했네요. 제조사나 저항값에따라서 소리가 전부 달라서 하나하나 파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반도체에서도 하나의 골칫덩이였군요.
    전자공학과 다니는 친구랑 일렉기타 회로 얘기를 하다가 왜 pcb로 하지않고 아날로그 회로를 쓰냐면서 토론을 한적이 있는데, 비단 ram뿐만이 아니라 커패시터문제가 적절히 해결되면 악기나 음향시장도 많이 달라질 듯 합니다.

  • @Hello_Dex
    @Hello_Dex 5 лет назад +3

    내용은 어렵지만 이해도는 반반이네요...
    자주 영상 봐야겠습니다 ㅎㅎㅎㅎ

  • @nsync233
    @nsync233 5 лет назад +3

    헐 제가 부탁드린거 해주셨네요! ㅋㅋㅋㅋㅋㅋ
    그리고... 역시 수염없는게 훨씬 낫네요 ㅎㅎㅎ

    • @GadgetSeoul
      @GadgetSeoul  5 лет назад +1

      네 맞습니다!
      수염.. 저도 한번 길러보고 싶은데 .... 아직은 참아야겠죠? ^^

  • @furyk1728
    @furyk1728 5 лет назад

    최근에 라이젠 3세대인 ZEN 2 아키텍쳐와 후속 아키텍쳐, 칩셋 얘기들을 들으면서 DDR5가 사용될지도 모른다는 정보를 보고 램에 대해서 본적이 있는데 가젯님이 정리해주신 내용이 훨씬 이해가 잘 되는것 같습니다. 지금 램보다 빠르고 저장도 가능하다면 과연.. 제가 사는동안 나올지 의문도 들지만 그만큼 기술의 발전도 빠르니까요..ㅎㅎ

  • @jaglns2182
    @jaglns2182 5 лет назад

    항상 느끼지만 추천을 안 줄수가 없음.

  • @ythyth9741
    @ythyth9741 5 лет назад

    최고 .... 긍정''이 무엇 인가 를 ...보여주는 영상 """""""""""""

  • @anthony_kim_k
    @anthony_kim_k 5 лет назад

    전기전자과의 취업에 큰 영향을 가지고 지켜봐야하는 내용이군요.

  • @이이름-z9w
    @이이름-z9w 5 лет назад

    영상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다음에는 비메모리 시장에 대한 소식도 들을 수 있을까요~? 항상 응원하면 구독하고있는 전자공학과 4학년 학생입니다 ㅎㅎ

  • @jyhjyj
    @jyhjyj 5 лет назад

    또 하나 알아갑니다~

  • @choykwan
    @choykwan 5 лет назад

    역쉬~ ! 간단명료 차별화된 최고의 게시는 계속됩니다. 감사합니다.!!!

  • @jihwanpark5833
    @jihwanpark5833 5 лет назад

    전 분야 통틀어 대한민국 최고의 채널

  • @jaycelee8453
    @jaycelee8453 5 лет назад

    하드웨어공부할때 봐야겠다 감사합니다

  • @HelloMyStar_
    @HelloMyStar_ 5 лет назад

    오직 인력뿐인 나라에서..... 진짜 존경받을분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