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혁명은 인류를 어떻게 바꿔놓았을까? | 홍기빈 소장 [FULL]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0

  • @Lemon-i3w
    @Lemon-i3w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너무너무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lavidaesaventura
    @lavidaesaventura Год назад +3

    요즘 책 읽으면서 너무 좋아 한번 더 들으려 왔어요 ❤

  • @JOJO-qi1fd
    @JOJO-qi1fd Год назад +10

    홍기빈소장님의 지식을 국가의 자산으로..

  • @정이루어지다
    @정이루어지다 Год назад +7

    쏙쏙 들어옵니다🎉🎉

  • @더빅
    @더빅 Год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martinblair2770
    @martinblair277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몬드라곤협동조합은 남미가 아니고 스페인 바스크지역에 있습니다...홍 선생님 어나더 경제사 3권 기대 됩니다.

  • @amyson8504
    @amyson8504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책도 정말 좋았습니다. 영상도 그렇고 책도 그렇고 많은 분들이 보고 읽고 했으면 좋겠습니다!

  • @user-sf6oi9qg1g
    @user-sf6oi9qg1g Год назад +9

    다시 시청해도 역시 좋네요^^ 감사합니다~홍기빈선생님 도기님😊😊😊

  • @靑隱
    @靑隱 Год назад +5

    감사합니다.책도 잘 읽어보겠습니다.

  • @TwinkleOk
    @TwinkleOk Год назад +3

    Thank you !!

  • @무지는단무지-q3u
    @무지는단무지-q3u Год назад +5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책한번 사서 읽어봐야겠네요

  • @birdy0090
    @birdy0090 Год назад +5

    0:12: 📚 산업혁명과 자본주의에 대한 설명
    0:12: 산업혁명과 자본주의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2:09: 18세기부터의 자본주의의 변화
    3:17: 기계의 도입으로 인한 사회 구조의 변화
    5:22: 인도의 면화 산업의 변화
    7:45: 산업혁명으로 인한 인간의 노동자화
    9:06: 자본주의와 산업혁명의 부정적 측면
    10:00: 로마 제국 시대의 인구 유지 전략
    10:28: 📚 18세기 영국의 소비욕이 산업혁명을 촉발시켰고, 이를 통해 소비사회가 대두되었다.
    10:28: 산업혁명은 18세기 영국의 소비욕으로부터 촉발되었다.
    15:39: 18세기 영국의 귀족들이 소비를 통해 소비효과를 전파시켰다.
    16:35: 소비사회의 형성과 소비효과가 산업혁명을 더욱 가속화시켰다.
    17:44: 유한계금론은 귀족들의 과시적 소비와 관련이 있다.
    18:18: 조선시대 양반들과 유한계금론의 유사성이 언급되었다.
    18:25: 📚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베블링 현상과 중상유층의 이뮬레이션에 대한 이해
    18:25: 자본주의 사회에서 중상유층의 사치가 중요한 것보다는 이뮬레이션 현상이 더 중요하다.
    19:18: 중상유층의 이뮬레이션은 경쟁, 질투, 모방의 요소가 있으며,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20:06: 베블링 현상은 지배 계급의 문화적 영향을 따라하려는 중산유층의 욕구가 확산되는 과정이다.
    21:15: 경제학적으로 중요한 소비 이론은 베블링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23:56: 자본가계급의 부의 형성은 독점적이고 잔인한 방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24:46: 베블링 현상과 이뮬레이션은 자본주의 사회의 심리적, 경제적 측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25:49: 중상유층의 이뮬레이션은 자본가계급의 부의 총량과 중산유층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26:18: 베블링 현상과 이뮬레이션은 현대 사회의 경제적,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26:53: 📚 19세기 노동운동과 자본가에 대한 이야기
    26:53: 19세기 초반의 노동운동과 사회주의 운동 결합
    31:12: 로버트 윈의 협동조합 운동
    32:15: 로버트 윈의 경영 철학
    34:22: 협동조합의 사회개혁
    35:12: 인간의 이기적 측면과 이타적 측면의 조화
    35:46: 국가의 역할과 협동의 중요성
    36:13: 사람들의 혼연일체와 협동에 대한 관찰
    36:27: 📈 19세기의 산업 혁명으로 자본의 개념과 가치 평가 방식이 변화하면서 자본시장이 형성되었다.
    36:27: 19세기 초에는 자본의 가치평가 방식이 수익 창출 능력을 기반으로 현재가치로 할인되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37:03: 기계의 등장으로 인해 기업가치 평가 방식이 변화하고, 자본시장이 형성되었다.
    40:12: 철도산업의 등장으로 밸류에이션의 필요성이 부상했고, 자본시장이 형성되었다.
    43:57: 기계가 얼마인가보다는 기계가 창출할 수 있는 수익의 흐름이 어떻게 되는지가 중요해졌다.
    44:49: 산업과 금융이 융합되면서 자본시장이 형성되었고, 자본축적이 실체화되었다.
    45:29: 🚂 철도의 역할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토론
    45:29: 밸류에이션과 주식시장의 관계에 대한 논의
    45:33: 밸류에이션의 확립이 주식시장의 성장과 영향
    46:03: 밸류에이션의 역사적 변화 및 영향
    47:36: 철도의 중요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개념
    49:29: 철도의 시간적 공간 변화에 따른 사회적 영향
    51:11: 사회 전체의 시간적 동기화와 철도의 역할
    53:15: 돈과 수익률이 사회의 시계 역할을 하는 개념
    53:46: 철도와 시각표의 사회적 의미에 대한 개인적 경험 공유
    53:52: ⚙ 기술혁신과 부채 증가로 인한 금융시스템의 문제에 대한 분석
    53:52: 일본의 인플레이션 문제와 부채 증가로 인한 경제 위기 상황
    56:36: 코로나로 인한 글로벌 부채 증가와 금융 시스템의 혼란
    59:37: 전 세계의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이 급증한 상황
    1:01:16: 금융 시스템에서의 부채 위기 해결 방안에 대한 분석
    1:02:39: 📚 이 책은 경제와 인류 역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며, 전 세계적인 시스템의 리스크와 산업 문명의 미래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1:02:39: 리먼 브라더스의 붕괴는 우발적인 사건이었고, 이로 인해 폴슨 재무장관 등이 대책을 마련했으며, 이 시스템은 물을 불에 붓는 것과 같이 돈을 퍼부어 부채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다.
    1:03:41: 만약 디플레이션이나 인플레이션의 문제가 발생하면 전 세계 경제가 위기에 빠질 수 있으며, 미국의 경기 호황으로 금리가 올라가고 있지만 부채 문제로 인해 한계가 있다.
    1:05:57: 산업 사회 운명은 기술 변화, 사회 세력, 제도의 변화로 인해 복잡하며, 생태적 한계, 사회적 불평등, 출산율 문제 등이 산업 문명의 위기를 야기할 수 있다.
    1:09:15: 지구적 시스템의 리스크와 생태계, 금융 시스템의 한계 등을 책에서 다루고 있으며, 산업 문명의 끈이 끊어질 가능성을 다루고 있다.
    1:10:48: 📚 언어와 경제사에 대한 책을 소개하는 영상
    1:10:48: 단독자로서 홀로 있는 것도 아니고인간의 역사 단선적으로 있는게 아니고다 혼합되어 있는 복잡
    1:10:53: 언어를 경제사가 저희한테 그런 해안을 주는책이기 때문에 한번 꼭 읽어 보시라고
    1:11:04: 경찰차 홍기민 선생님과 함께한어나더라고요긴 시간 함께 해주셔서 진심으로
    1:11:13: 감사합니다인사드리겠습니다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Recapped using Tammy AI

  • @여연재-b1r
    @여연재-b1r Год назад +7

    다시 시청했습니다.
    책도 읽었는데 한번만 읽어선 안 되고 여러번 읽어야 될 것 같습니다.
    3권도 흥미진친할 것 같고 제일 중요할 것 같습니다. 빨리 출판되길 기다리겠습니다.

  • @김주언-v7b
    @김주언-v7b Год назад +3

    주옥 같은 말씀이네요 얼마나 많은 책을 읽어야 두분 처럼 자연 스럽게 대담이 나올지 부럽네요

  • @Y2000-l5l
    @Y2000-l5l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홍기빈 선생님 짱👍❤️

  • @hongkimin-gs2zz
    @hongkimin-gs2zz Год назад +3

    통찰이 미쳤네요...

  • @디인고
    @디인고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빈부격차가 크다는 건 상위0.1~1퍼센트와 비교하는 게 아니고 하위평균과 상위평균의 차이가 큰 걸 말한다. 우리 할아버지 시대만 해도 동네네 큰 부자는 한 두집 정도는 다 있었다. 옛날엔 다 그런 구조였다. 큰 부자 몇 말곤 다 고만고만해서 빈부격차가 크지 않았다. 동서양이 다 그렇다.

  • @디인고
    @디인고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소비학은 경제학자만 모르지 정부든 기업이든 다 잘 아는 것.

  • @fastdunn
    @fastdun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컴퓨터 와 디지탈 문명은 홍기운 박사과 얘기하는 Synchronous Symbolic link 로부터
    오히려 해방되는 반대방향의 진화 입니다. Non-symbolic Meta Data based Asynchronous Simulation 입니다.

  • @youngkikim6818
    @youngkikim6818 Год назад

    그래서 주식 가격은 왜 어떻게 정해지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