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Generative Design | DAM's Engineering Story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shingundon
    @shingundon 3 месяца назад +6

    코딩도 그렇고 설계도 그렇고 AI가 발전하면 중간이 사라짐. 최상위층 설계자가 많은 것을 독식하는 구조가 되는 거죠.

    • @DAM_3D
      @DAM_3D  3 месяца назад

      저도 그럴 것 같아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 항상 공부하고 있습니다 ㅠㅠ

    • @OneTabbyYeiX
      @OneTabbyYeiX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그래서 개인이 이미 가지고있는 자원에 따라 할수있는 격차가 더 벌어져서 개인간 경제문화적 차이가 초격차로 벌어지겠네요

    • @DAM_3D
      @DAM_3D  3 месяца назад

      너무 확대 해석일 수도 있겠지만, 한국 사회도 미국처럼 그 계층이 더 극명해지지 않을까 조심스레 추측해보네요.

  • @ilpiccolomachiavelli
    @ilpiccolomachiavelli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우와 엄청나네요 이거로 솔리드 모델링도 가능하고, 기구설계도 자동으로 해주고, 금형설계도 자동으로 해주고, 전체 형상에서 파트 분할도 자동으로 해주고 그러나봐요 ㄷㄷ

    • @DAM_3D
      @DAM_3D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아직까지는 솔리드 단품 모델링까지만 가능한 수준이에요. 나중에는 말씀하신 모든 것들이 반자동으로 가능한 순간이 오고, 또 더 나중에는 완전 자동이 되는 순간이 오겠죠?

    • @ilpiccolomachiavelli
      @ilpiccolomachiavelli 4 месяца назад +1

      ​@@DAM_3D 우와 정말 놀랍네요! 솔리드 모델링 방식으로 결과물을 생성하면 필렛값을 다시 주거나 살두께를 바꾸거나 할 수도 있겠어요. 다른 3D 생성모델들은 메시만 생성되어서 재편집을 할수가 없어 불편했거든요. 오토데스크 구독해야 되겠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DAM_3D
      @DAM_3D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말씀하신 게 맞아요 :) 설계한 데이터(히스토리)가 없더라도 모델링을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3D CAD에서 제공하고 있죠. 소프트웨어마다 이름은 다르겠지만 Direct Edit 또는 직접 편집, 단순화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 @a.i.2474
      @a.i.2474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아직 거기까지는 무리임

    • @a.i.2474
      @a.i.2474 4 месяца назад +1

      ​@@DAM_3D금형 설계나 단순한 몇 개의 조립품 까지는 가능할 수도 있지만 무수히 많은 조립품들의 전체적인 조립을 고려한 설계까지는 무리일 겁니다
      여기까지 가면 인간이 이해하기 난해한 결과물이 탄생할 거고 이 부품들을 유지보수 하려면 인간이 절대끼어 들지 못하게 되어 오로지 AI 에만 의존하게 될 겁니다
      예시로 나사에서 프린팅 기술로 만든 엔진처럼요
      이건 유지보수가 불가능해서 통짜로 재출력해야 됩니다

  • @johnyu2003
    @johnyu2003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아예 처음부터 막연한 형상에서 점차점차 구체화시켜나가는 것을 챗GPT통해서 대화로 주고 받으며 설계를 하는것도 괜찮을것 같다. 그많은 설계툴의 모든 기능을 일일이 외울 필요없이.

    • @DAM_3D
      @DAM_3D  4 месяца назад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완전한 무에서 창조를 하는 것보다는 Ai가 제시하는 몇 가지에서 수정하는 것이 더 빠르고 안전할 수 있겠죠. 다만, 그 기술에 너무 빠져들어 엔지니어의 창조성이 사라지지 않도록 경계는 해야 할 것 같아요.

  • @csk1078
    @csk1078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영상처럼, 기구설계에서 일부 부품(특히 3D 프린팅으로 가능한..)에 한정될 것입니다. 실제 제품에서는 전장(H/W)의 보드, 케이블 등의 내부 조립 및 배치와 추후 조립 라인에서의 작업자의 접근성, 엄청난 부품간의 간섭체크 및 이를 고려한 설계 등을 고려했을 때, 단순히 부품 하나만의 최적화 만으로는 그 후단에서의 작업을 고려했을 때, 현시점에서는 거의 불가능 합니다.
    저도 기구설계에서 26년째 일하고 있지만, 기구설계 및 제품 설계야 말로 인간의 업무를 대체하기가 어려운 분야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러나, 모르죠. AI의 발전을 고려했을 때, 저의 경력은 1~2시간 정도 수준의 학습만 필요한 정도일 수 있습니다.)

    • @DAM_3D
      @DAM_3D  4 месяца назад

      저도 아직까지는 부족한 부분이 많다는 것에 동감합니다. 아직 단품 설계의 영역에서 활용도가 높은 것도 사실이죠. 다만, 최초 개발되었을 때보다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어 내고 있는 것도 맞습니다. 그래서 미래가 기대되는 것도 있죠 :)

    • @shingundon
      @shingundon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사실 기계/기구설계를 AI가 다 하면 인류가 일을 안해도 됩니다....

  • @허니-c6j
    @허니-c6j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브라켓 설계에 딱이네요 ㅋㅋ

  • @cleandust530
    @cleandust530 4 месяца назад +6

    신입이 필요 없는 세상이야...

    • @DAM_3D
      @DAM_3D  4 месяца назад

      다른 유형의 직업과 신입이 필요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ㅠㅠ

    • @achfactory
      @achfactory 4 месяца назад +2

      @@cleandust530 ㅋㅋ. 게으른 고참이 사라지고 박멸되는거요. ㅎㅎ 완전꺼꾸루 보시네. ㅎㅎ

    • @cleandust530
      @cleandust530 4 месяца назад +2

      @@achfactory 게으런 고참은 이전보다 살아남기 쉬워젔고 모든 신입은 실무경력 쌓기가 이전보다 어려워 젔어. 생각좀 하려무나. 온갖 테스트 하고 샘플만들고 하면서 신입들이 경험 쌓는거야.

    • @choimoriarty7451
      @choimoriarty7451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저걸 다룰줄 아는 신입이필요한것

    • @achfactory
      @achfactory 4 месяца назад +1

      @@cleandust530 게그른 고참은 평생 상사 개로 살고 부리런한 신입은 더이상 경험 많은 고참이 필요없으니 스스로 러브콜로 우대받는 신입이 됨. ㅎㅎ 게으른 신입은 AI 핑계대며 개의개로 살고 잇어요. ㅎㅎ

  • @stormglaive
    @stormglaive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전장 설계도 대신 해줬음 좋겠다...

    • @a.i.2474
      @a.i.2474 4 месяца назад +2

      @@stormglaive 전장설계도 가능해질거
      아트웍도

  • @a.i.2474
    @a.i.2474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제너레이티브 디자인이 해주는 모델링은 기본이 넙스모델링이라 3D프린팅에 적합한 방식이지 현재 존재하는 보편적인 가공법에 적합한 방식은 아님.
    AI 가 만능인 것처럼 다루곤 하지만
    영상에서 처럼 특정 부품을 매우 비싼 가격으로 3D 프린팅을 하는 경우라면 모르겠지만 복합적인 환경에서는 사람을 완전히 대체하는 건 거의 불가능함.
    예시로 더 저렴한 가격에 가능했다고 하지만 더 단순하게 파팅 제대로 하면 금속 3D 프린팅으로 했을 때 보다 수십 수백배는 더 저렴해집니다.
    규모에 따라서는 수천 수만배도 차이날 수 있습니다.

  • @achfactory
    @achfactory 4 месяца назад +8

    AI로 설계자가 사라지는게 아니라 설계자인척 하던 무능한 놈들이 사라지는거지. ㅎㅎㅎ

    • @DAM_3D
      @DAM_3D  4 месяца назад

      워딩이 과격하시긴 하지만, 모든 시장이 지속적인 자기 개발 또는 계발을 하지 않는다면 도태되니까요 ㅠㅠ

    • @fockco44
      @fockco44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설계자이지만 맞는 말인듯. 점점 설계자들이 없어지고 있는건 사실임.

  • @bumjunkim1424
    @bumjunkim1424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제너레이티브 디자인. 아는데 구려. ... 멀었어 한 30년은 필요해

  • @todietfordietbydiet3814
    @todietfordietbydiet3814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신입ㆍ평범한 개발자는 필요 없어지겠넹.. 개발자ㆍ기획자 수요도 팍 줄듯

    • @DAM_3D
      @DAM_3D  4 месяца назад

      누가 학교 졸업하면 공부 안해도 된다고 했을까요 ㅋㅋ

  • @royce-rich
    @royce-rich 4 месяца назад +2

    AI때문에 안없어지는 직업 좀 알려주세요...

    • @ldw1120
      @ldw1120 4 месяца назад +3

      노가다가 제일 나중에 없어짐

    • @blackjoy315
      @blackjoy315 4 месяца назад +3

      @@ldw1120인정ㅋㅋㅋ 제조업에서 로봇이 효율적일진 몰라도, 건설현장에서는 로봇이 사람 따라오려면 ai는 둘째고 베터리랑 경제성이 나오기 엄청 힘들듯!!

    • @younchanjoo7081
      @younchanjoo7081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블루칼라는 ai 결합된 옵티머스봇 나오는 순간 제조업 건설업 가리지 않고 쓸려나감. 사업가, 정신과 의사, 정치인 정도가 유망함.
      요즘 뭐 노가다는 대체 안된다, 인테리어는 대체 안된다, 이런 소리가 떠도는데 5년 전만 해도 예술가는 절대 대체 안된다고 떠들던게 대중들임. 건설업은 극소수 관리직, 엔지니어 제외하고 장기적으로 전부 로봇으로 대체될 운명임.

    • @DAM_3D
      @DAM_3D  4 месяца назад

      대신 그만큼 다른 유형의 직업이 생기지 않을까요?

    • @blackjoy315
      @blackjoy315 4 месяца назад +1

      @@younchanjoo7081 인공지능은 그럴수도 있지만, 베터리가 문제임

  • @dongugkim6969
    @dongugkim6969 4 месяца назад +5

    현직 설계잡니다 근 100년내로는 AI가 절때 몬함니다

    • @kangphilpark7066
      @kangphilpark7066 3 месяца назад +4

      플래그 새워주시지 마세요...
      오토데스크같은 기업에서 계속 시도중입니다.
      기록 쌓으면서..

    • @dongugkim6969
      @dongugkim6969 3 месяца назад +1

      @@kangphilpark7066 해치웠ㄴ....... 응......?

    • @OneTabbyYeiX
      @OneTabbyYeiX 3 месяца назад +2

      플래그는 세워줘야 제@맛이죠 예아

    • @DAM_3D
      @DAM_3D  3 месяца назад +1

      ???: 이제 설계자는 없어졌습니다.

    • @bban1550
      @bban1550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세돌도 그런 소리하다 쳐 발렸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