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월부인의 섭정과 도전받는 왕권 |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통일신라와 후삼국시대편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фев 2025
  •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통일신라와 후삼국시대편 #0210] 만월부인의 섭정과 도전받는 왕권 | KBS라디오 20081025 방송
    방송일자 2008-10-25
    진행자 김연갑
    연출자 임종성
    작가 이상락
    출연자
    김태연,이병용,김석환,백승철,장민혁,남도형,김희진,정성훈,전승화,조규준,김태영,이문희,강유경
    초록
    서기 760년, 경덕왕 앞으로 왕위를 물려받을 어린 태자를 위해 귀족 세력을 두루 포용할 것을 천명하고 자신이 출궁시킨 옛 왕비의 조카인 이찬 김옹을 중시에 임명
    서기 762년 지금의 황해도 지역에 해당하는 패강 유역 일대에 여섯 개의 성을 축조하고 태수라는 지방관 파견
    신라가 패강 지역을 얻기 위해 당나라에 저자세 외교를 펼쳤던 이유 ; 그 지역의 경제적 활용가치 때문
    경덕왕 22년, 벼슬을 그만두고 남악으로 들어가 중이 되고 왕을 위하여 단속사라는 절을 세워 종신토록 속세를 떠나 왕의 복을 빌었 다는 신충과 이순이라는 인물에 대한 기록과 경덕왕과의 관계 분석
    서기 765년 6월, 경덕왕 사망(재위 24년) - 경덕왕의 사망 시기에 대한 기록이 국내 기록과 중국 기록 사이에 2년이라는 시차가 나는 이유
    경덕왕 시기에 안민가, 찬기파랑가, 도솔가 등의 향가가 등장하게 된 배경
    충담이라는 승려가 경덕왕에게 지어 바친 안민가
    월명이 지은 도솔가 탄생 배경
    도솔가의 탄생 배경인 하늘에 두 개의 해가 나타났다는 현상에 대한 해석
    신라 제36대 임금 혜공왕 즉위 기사
    여덟 살짜리 어린 왕을 대신하여 실질적으로 국사를 이끌며 섭정을 한 만원부인 인물 분석 및 정치적 성향
    만월부인과 경쟁관계에 있거나 견제세력이라고 부를 만한 사람들
    김옹이 만월부인과 남매지간이라고 주장하는 이영호 경북대학교 수가 말하는 만월부인과 김옹의 가계에 대한 설명
    혜공왕 2년 정월에 하늘에 두 개의 해가 나타났다는 기록이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와 두 해가 상징하는 것
    혜공왕 시기에 이변을 나타내는 기사가 자주 나타나는 배경
    혜공왕 4년 봄, 당나라 황제가 만월부인을 대비로 책봉
    당나라 황제의 대비 책봉이 섭정을 하는 만월부인에게 힘을 실어 준 결과
    인서트리스트
    01경덕왕 21년에 지금의 예성강 유역을 일컫는 패강 지역에 6개의 성을 축조하고 지방관을 두게 되는 배경을 분석하는 이문기 경북대역사교육과교수 06:02 06:44
    02신라가 패강 지역을 얻기 위해 당나라에 지나치리만치 저자세 외교를 펼쳐왔던 이유를 분석하는 윤선태 동국대역사교육과교수 07:15 07:55
    03경덕왕 시기 벼슬을 버리고 속세를 떠나 승려가 된 '이순' 이라는 인물이 경덕왕을 찾아와 거침없는 간언을 했다는 내용이 삼국사기에 실린 배경을 분석하는 이문기 경북대역사교육과교수 13:01 13:54
    04경덕왕의 사망 시기가 우리의 옛 기록인 고기에는 서기 765년으로 돼 있는데 중국 사서인 구당서나 자치통감에는 서기 767년으로 2년이나 늦은 것으로 기록된 배경을 분석하는 이문기 경북대역사교육과교수 윤선태 동국대역사교육과교수 15:58 17:20
    05하늘에 두 개의 해가 나타나는 변괴가 상징하는 것과 도솔가의 탄생 배경에 대해 분석하는 이문기 경북대역사교육과교수 25:54 26:43
    06도솔가의 탄생 배경인 경덕왕 19년 하늘에 두 개의 해가 나타나는 변괴는 경덕왕 말기, 그리고 혜공왕 초기의 정국불안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분석하는 윤선태 동국대역사교육과교수 27:09 27:45
    07경덕왕 후반기의 불안했던 사회상을 서로 공유하면서 해결해보려는 의도가 향가라는 노래로 만들어져 불리운 것이라고 분석하는 윤선태 동국대역사교육과교수 28:16 28:53
    08어린 혜공왕을 대신하여 섭정을 한 만월부인이라는 인물과 집안의 정치적 성향에 대해 분석하는 권덕영 부산외국어대학교수 30:36 31:23
    09만월부인이 섭정을 해나가는데 있어서 경쟁관계에 있거나 견제세력이 되었던 사람들에 대해 분석하는 권덕영 부산외국어대학교수032:04032:50
    10만월부인의 견제세력으로 김옹을 지적한 권덕영 교수 의견과 달리 김옹이 만월부인과 더불어 실권을 쥐고 전횡을 했을 것으로 보는 배경을 설명하는 이영호 경북대학교수 33:59 34:33
    11만월부인과 김옹의 가계에 대해 설명하는 이영호 경북대학교수035:14035:50
    12경덕왕 19년과 혜공왕 2년에 하늘에 떴다는 두 개의 해가 만월부인과 김옹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분석하는 이영호 경북대학교수 39:09 39:37
    13경덕왕 19년과 혜공왕 2년에 하늘에 떴다는 두 개의 해가 혜공왕과 만월부인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분석하는 권덕영 부산외국어대학교수 40:08 40:51
    14혜공왕 시기에 유달리 이변을 나타내는 기사가 많은 배경을 분석하는 이영호 경북대학교수 권덕영 부산외국어대학교수 42:33 44:12
    15혜공왕을 대신하여 섭정을 하는 만월부인에 대한 당나라 황제의 대비 책봉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는 이영호 경북대학교수 50:13 50:51
    16만월부인이 당나라 황제로부터 대비 책봉을 받으려 했던 이유를 분석하는 권덕영 부산외국어대학교수 51:20 52:06

Комментарии • 3

  • @김병진-p6p
    @김병진-p6p 2 года назад +1

    신라 경덕왕때 충담이라는 승려가 그 당시 왕인 경덕왕에게 왕의 은덕을 칭송하는 향가를 지었으며, 그게 안민가였어요

  • @zorba763
    @zorba76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왕은 시호가 아니고 묘호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