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과는 다른 얘기지만 일전에 얘기하셨던 수학의 단권화에 대해서 여쭙고 싶은 게 있습니다 수학의 단권화는 수학 개념의 내용과 쓰임 (어떤 조건이나 단서에서는 어떤 개념을 이용하여 푼다)을 보기 좋게 정리하여 문제에서 필요한 개념을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드는 의문이 있습니다 바로 교과서/교재에 정리된 개념의 순서를 편집해도 되는가입니다 가령 지수법칙에서 a^m*a^n=a^(m+n), (a^m)^n=a^mn 등등은 지수에 따른 밑만 잘 정하면 지수가 자연수일 때, 정수일 때, 유리수, 실수일 때 모두 적용 가능하니 일단 공통으로 적어두고 지수가 자연수이면 밑은 모든 실수, 지수가 정수이면 밑은 0이 아닌 실수, 지수가 유리수, 실수이면 밑은 양의 실수라고 정리하면 보기 더 편하리라 생각합니다 물론 이건 자의적으로 편집하다 보니 고민이 드는 부분이 생기기도 합니다 예컨대 지수로그함수에서 교과서 순서대로 지수함수, 이동, 최대최소 이런식으로 정리하고 로그함수로 넘어갈지 아니면 처음부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를 비교하교 둘의 이동을 비교하고 둘의 최대최소를 비교하는 식으로 하는 게 좋을지 같은 것들 말입니다 교과서나 교재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배치한 순서들은 첫 학습을 기준으로 마련되어 있을 것이기에 일부분 편집이 필요할 거 같다고 생각하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자의적으로 편집하다 보니 이래도 괜찮을까 싶어 댓글 남깁니다 강사님의 고견을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고3 올라가는 학생입니다! 학원도 안 가고 혼자 공부하는데 질문 드립니당 기출 분석이라는 게 문제 유형 나누는 걸 말하는 건가요..? 수능기출의미래 추천해주셨는데 작년 걸 훑어 보니 유형별로 나뉘어 있는 거 외엔 큰 특징이 없는 것 같아요 그리고 3모 수학은 낮은 1, 수능 풀어보면 중간 2 정도 뜨는데 이 시기에 수학 공부에 얼마나 투자해야 할까요? 수능 전과목을 풀어보면 수학이 가장 잘 되어 있고(;;) 나머지는 수학과 등급차이는 크게 안 나는데 다른 과목 성적이 성에 안 차서 요즘 수학을 제쳐두고 국영탐을 하는 중인데 맞게 가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아예 안 하는 건 아니고 하루에 두 시간 남짓 하는 것 같습니다 그마저도 계획을 세우고 하는 게 아니라 수1 수2 미적 중 그날 손에 잡히는 거 하고 있고요… 혼자 이 풀숲을 헤쳐나가는 저에게 단비 같을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ㅏ
단순히 문제를 많이 푼다고 성적이 오른다고 믿는 건 아닌데 그래도 문제를 많이 풀어봐야 된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그런데,선생님께서 비 추천하시는 자이스토리,마더텅 이런 것을 풀어도 괜찮을까요?작년 수능 3등급 재수생이에요.선생님께서 뒤 단원을 하다 앞 단원을 까먹는 걸 우려하시던데 3등급 정도면 어느 정도 전반적인 체계가 잡혀있어서 방대한 문제집을 풀어도 괜찮지 않을까 싶어서요
이번 3모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싶은 분들에게
강력 추천 드립니다. 👇
[강의]
1. 수능 한 권
강의: bit.ly/4edAdhw
문제집: bit.ly/3HYVHk0
2. 그래프 테크닉 - 심화편 (미적분)
링크: bit.ly/4avl0a7
3. 그래프 테크닉 - 심화편 (수학 2)
링크: bit.ly/3VTSIS9
4. 도형의 필연성
링크: bit.ly/3x2YtT2
선생님, '초스피드 수포자 대탈출' 강좌는 언제 업로드되나요? ㅠㅠ
2024 3평 13과 2025 수능 14 굉장히 유사하고
2024 3평 21과 2025 9평 14
굉장히 유사한거 보면
교육청 문제도 열심히 풀어야 할듯
너무 도움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대박타점 공부법 너무 재밌게 읽고 선생님 강의 찾아서 듣고 있는 예비 고 2입니다. 지금은 수능한권으로 공부하고 있어요. 꼭 고난도 정신까지 듣고 수능수학 만점 맞고 싶습니다! 앞으로 잘 부탁드려요ㅎㅎ
선생님 책 중 통합수학 단권화책과 강의는 없나요?
영상과는 다른 얘기지만 일전에 얘기하셨던 수학의 단권화에 대해서 여쭙고 싶은 게 있습니다
수학의 단권화는 수학 개념의 내용과 쓰임 (어떤 조건이나 단서에서는 어떤 개념을 이용하여 푼다)을 보기 좋게 정리하여 문제에서 필요한 개념을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드는 의문이 있습니다 바로 교과서/교재에 정리된 개념의 순서를 편집해도 되는가입니다
가령 지수법칙에서 a^m*a^n=a^(m+n), (a^m)^n=a^mn 등등은 지수에 따른 밑만 잘 정하면 지수가 자연수일 때, 정수일 때, 유리수, 실수일 때 모두 적용 가능하니 일단 공통으로 적어두고 지수가 자연수이면 밑은 모든 실수, 지수가 정수이면 밑은 0이 아닌 실수, 지수가 유리수, 실수이면 밑은 양의 실수라고 정리하면 보기 더 편하리라 생각합니다 물론 이건 자의적으로 편집하다 보니 고민이 드는 부분이 생기기도 합니다 예컨대 지수로그함수에서 교과서 순서대로 지수함수, 이동, 최대최소 이런식으로 정리하고 로그함수로 넘어갈지 아니면 처음부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를 비교하교 둘의 이동을 비교하고 둘의 최대최소를 비교하는 식으로 하는 게 좋을지 같은 것들 말입니다
교과서나 교재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배치한 순서들은 첫 학습을 기준으로 마련되어 있을 것이기에 일부분 편집이 필요할 거 같다고 생각하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자의적으로 편집하다 보니 이래도 괜찮을까 싶어 댓글 남깁니다 강사님의 고견을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4는 했고 23은 배송 했는데 엄청 기대되요 쌤
감사하무니다
안녕하세요 고3 올라가는 학생입니다! 학원도 안 가고 혼자 공부하는데 질문 드립니당
기출 분석이라는 게 문제 유형 나누는 걸 말하는 건가요..? 수능기출의미래 추천해주셨는데 작년 걸 훑어 보니 유형별로 나뉘어 있는 거 외엔 큰 특징이 없는 것 같아요
그리고 3모 수학은 낮은 1, 수능 풀어보면 중간 2 정도 뜨는데 이 시기에 수학 공부에 얼마나 투자해야 할까요? 수능 전과목을 풀어보면 수학이 가장 잘 되어 있고(;;) 나머지는 수학과 등급차이는 크게 안 나는데 다른 과목 성적이 성에 안 차서 요즘 수학을 제쳐두고 국영탐을 하는 중인데 맞게 가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아예 안 하는 건 아니고 하루에 두 시간 남짓 하는 것 같습니다 그마저도 계획을 세우고 하는 게 아니라 수1 수2 미적 중 그날 손에 잡히는 거 하고 있고요…
혼자 이 풀숲을 헤쳐나가는 저에게 단비 같을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ㅏ
선생님 노베이스 강좌 1월 말에 오픈된다고 하셨는데 언제 오픈되는걸까요?
단순히 문제를 많이 푼다고 성적이 오른다고 믿는 건 아닌데 그래도 문제를 많이 풀어봐야 된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그런데,선생님께서 비 추천하시는 자이스토리,마더텅 이런 것을 풀어도 괜찮을까요?작년 수능 3등급 재수생이에요.선생님께서 뒤 단원을 하다 앞 단원을 까먹는 걸 우려하시던데 3등급 정도면 어느 정도 전반적인 체계가 잡혀있어서 방대한 문제집을 풀어도 괜찮지 않을까 싶어서요
2025 수학의단귄화 교재 개정판 나오나요? 안 나오면 24년꺼 구매하려고요
쌤 수학의 단권화를 작년에 강의를 듣고 하다가
올해 들어 다시 한 번 정리하고 싶단 생각에
오르비를 봤는데 수학의 단권화 강의만
구매하려고 봤는데 그건 안되는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혹시 그 강좌만 따로 구매는 못하는걸까요?
김지석쌤 지금 저는 예비고1입니다. 3모 수학을 잘보고싶은데요. 근데 방학때 공수1,2 하기도 바쁜데 중학교 수학 공부를 어케하죠 ㅠㅠ 아니면 가끔씩 예전 3모를 풀어보는게 낫나요? 방법을 알려주세요!!
그냥 고등수학 하세요 내신이 중요하죠 고1 3모는 아무짝에 쓸모없음
고1 3모는 중학교 범위라서 선생님들도 별로 신경 안써요
그냥 첫 중간고사 잘 보시는게 인생에 훨씬 도움되실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