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DB형 VS DC형 어떤게 이득일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6

  • @영원한청년-k5g
    @영원한청년-k5g Год назад +2

    겸손❤❤❤

  • @kyle-ux6xb
    @kyle-ux6xb Год назад +2

    가장 정확한 비교이군요, dc형으로 매년 5% 수익내기 쉽지 않습니다. ㅠ

  • @김경호-w3k
    @김경호-w3k 2 года назад +3

    퇴직연금제도를 운영하는 회사는 DB, DC, 혼합운영을 하는데 혼합운용의 경우 최초 1년간 DB로 운용하고 2년차부터 직원에게 선택을 주어진다고 합니다.
    저는 퇴직금제도의 회사를 다니고 있지만 만일 사회초년생이 되어 퇴직연금제도를 운영하는 회사에서 사회생활을 할 기회가 주어지면 업무를 익히고 실력을
    쌓고 내 몸값을 올리는 것이 우선이므로 몇년간 DB로하고 이후 월급의 상승이 멈추는 시기가 다가오면 그때부터 DC로 바꾸어 직접 운영하겠습니다. 그전에
    투자공부를 잘해서 어떤 상품을 굴릴 것인가,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등등...을 구상할 것입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twodongja
      @twodongja  2 года наза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늘 생각하지만 최고의 선택보다는 자신의 상황에 맞게 최선의 선택을 하면 되는것 같습니다. :)

  • @평사원
    @평사원 2 года наза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강필수-i2r
    @강필수-i2r Год назад +2

    영상 잘봤습니다^^
    근데 DB형과 DC형을 엑셀로
    구현해서 테스트 하려고 하니 힘드네요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함수가 설정되어 있는
    엑셀 자료 받아볼 수 있을까요?
    부탁드립니다.^^

  • @일산갈렙
    @일산갈렙 Год назад +2

    지방공기업에 20년차 근무중입니다. 2010년쯤 퇴직금 중간정산을 해서 퇴직연금 개시 시점부터 지금까지 12년정도 지난것 같고, 임피까지는 7년정도 남았습니다. 공무원 임금 인상율을 따르다보니, 임금인상율은 평균 2~3%대인것 같아요. 현재 DC로의 전환을 고민중인데, 한직급 정도 더 승진의 기회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 ㅎ 알수 없는 일이기도 하고 DC수익률이 중요하겠지만 보수적으로 접근해도 DB보다는 낫지 않을까란 생각이 드네요.
    근속연수가 안정적이긴 하지만 임금 상승율이 낮을것 같고, (총인건비 비율을 맞춰야하는 상황에서 실제 임금 상승율은 더 낮을수도 있답니다.)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 @AnthonyQueen-vt4rx
    @AnthonyQueen-vt4rx 2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영상보고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연말정산 때문에 IRP가입을 고려중인데 정보가 부족해서요. 관련해서 영상을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hamsch3737
    @hamsch3737 Год назад

    그리고 월급이 더이상
    다같이 오르는 거 말고는 오르지 않아요 ㅜ

  • @appletree3599
    @appletree3599 2 года назад +3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isa,irp,연금저축도 다뤄주시면 좋겠어요~
    어떤 경우에 가입이 좋은지, 굳이 어떤 사람들에게는 필요없다든지..궁금합니다

  • @댕구리-n9k
    @댕구리-n9k Год назад

    지금 db형입니다 db형은 퇴직전 3개월급여÷3에 근속년수 곱하는걸로 알고있어요
    dc형으로 전환한다는건 dc형 전환시점에 퇴직금을 개인계좌로 받고 운영하고 매년연봉12분의1을 계좌로 지급받는다는게 맞는건가요?
    생애최고연봉이 언제일지는 모르나 그때 dc형으로 바꾸는게 좋겠군요?
    너무 어려워요 ^^

  • @yadang1539
    @yadang1539 Год назад

    혹시 5%정도 안정적인 예금형etf없을까요?? 국채나 미국채 etf포함요

  • @호빵맨-h7b
    @호빵맨-h7b Год назад

    사회초년생인 저도 라고 하시면서 본 영상 때문에 퇴직금에 대해서
    많이 알게되셨다고 작성하신분도 계시네요
    저는 사회말년생인데도 , 영상을 보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습니다.
    DB의 경우는 퇴직전 3개월 평균임금 X 근속년수 인데 ..
    엑셀에서 운용수익부분 도저히 이해가 불가했습니다 . (설명도 없고 , 또 DB에 무슨 운용수익이 있다는것인지 ? )
    사실 그냥 DB ,DC 개념윤곽만 좀 알수있는 수준이며 , 영상으로 DB. DC형을
    정확히 이해하기는 불가능 하다고 판단됩니다.

  • @gm_nam7
    @gm_nam7 2 года назад +1

    DB 운용수익을 직원 개인이 가져가는건 아닐텐데요.
    영상의 예시 기준 DB 선택의 경우
    퇴직금은 대충 33백만원 같은데요.

    • @twodongja
      @twodongja  2 года назад

      맞습니다. 운용 수익을 같이 계산하다보니 총액에 반영을 해버리는 실수를했네요. 말씀하신것처럼 예시에서 월급 상승률이 3% 라고봤을때 DB형은 대략 3260만원 정도가 퇴직금 산정액입니다. 감사합니다.

  • @hamsch3737
    @hamsch3737 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2010년 입사해서 지금 까지 다니고 있는데요 제 퇴직금이 DC라는 것만 아는데요
    제 퇴직금이 2900이라치면
    이번에 보니 연말정산 한도가 1800만원인가 그렇던데요
    제 퇴직금이 한도보다 많은데
    이건 어찌 해야 되는지ㅜ
    뭔가 손해 보고 있는건가
    알수가 없네요 ㅜ

  • @seoul8429
    @seoul8429 Год назад

    영상을 해석하자면 모두가 이익을 받을수없다는 말인거조ㅡ?

  • @kimjang.
    @kimjang. 2 года назад +2

    소장님 감사합니다 ㅎㅎ
    사회초년생인 저도 db, dc 뭔지 모르고 귀찮기만 했었는데 이러한 영상 덕분에 퇴직금 관련해서도 많이 알게 된것 같습니다.
    db,dc에 개념말고 논외의 질문을 한번 하자면
    사회 초년생 입장에서의 irp 계좌는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국가에서 이정도의 세액 공제 상품을 주는 경우가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당연하게도 장기적으로 운용하기로는 irp 상품에 계속 불입을 해서 돈을 넣는게 이익이라고 생각은 한다만
    전체 자금을 복리효과를 누리는데에 있어서 분산하는 게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때가 많았거든요
    또한 내가 원하는 자산에 투자 하는것이 일부 제한되어있고 만 55세가 되기 전까지는 찾기도 힘든 상품인건 맞잖아요? 과연 이러한 기회비용을 버리면서도 세재해택을 위해 irp계좌개설이 이익인지가 궁금합니다.
    항상 좋은 영상, 답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twodongja
      @twodongja  2 года назад +1

      사실 저는 irp, 연금저축에 대해서 좀 회의적인 사람입니다. 각자 상황에 따라 누군가에게는 좋겠지만.. 저한테는 글쎄요 입니다.. 영상으로 한번 만들어 볼 생각입니다. :)

    • @kimjang.
      @kimjang. 2 года назад

      @@twodongja 감사합니다. 영상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 @Mark-Hur
      @Mark-Hur 2 года назад

      @@twodongja 오 저도 회의적인 사람 중 한명입니다. 채권도 국채가 가장 신용도 높듯이 국가에서 운영하는 연금들이(국민,공무원,군인 등) 가장 믿음직하지만 고갈되어 못받는다 어쩐다고 하는데(군인은 진작 고갈되었죠) 회사에서 운영하는 연금들을 미래에 믿을 수 있을까요? 영상 기대하고 있겠습니다.(+사학연금도 부탁드립니다)

  • @금빛열대어-m8z
    @금빛열대어-m8z Год назад +1

    대기업이지만 임금상승률이낮아
    DC입니다 ㅋㅋ

  • @twodongja
    @twodongja  2 года назад +5

    * 정정 04:16
    운용 수익을 같이 계산하다보니 DB형 총 금액에 운용수익금을 반영을 해버리는 실수를했네요. 😮‍💨
    DB형은 퇴직금이 확정되어있는 방식입니다. DB형의 운용 수익은 회사로 귀속됩니다.
    엑셀 표에서 DB형의 '내 퇴직금은 대충' 항목과 DC형의 '총 금액' 항목을 비교해야합니다.
    결국 DC형에서 4.5%정도의 수익을 낼 수 있다면
    월급 상승률이 6% 정도는돼야 DB형이 메리트가 있게됩니다.

  • @poiug1004
    @poiug1004 2 года назад

    저희는 지방공기업인데도 퇴직연금제도를 시행하지 않고 있네요. 지금 15년째 근무중인데 처음부터 연금제도에 가입했다면 참 좋았겠다 생각이 드네요.

    • @twodongja
      @twodongja  2 года назад +1

      퇴직연금 제도가 의무 시행으로 바뀐줄 알았는데... 지방공기업은 아직 안해도 되나보군요!?

    • @poiug1004
      @poiug1004 2 года назад +1

      @@twodongja 노사합의에 의해 결정된다는거보니 강제성은 없는것같습니다. 직원이 600명정도되는 공기업인데 돈이 없다는 이유로 매년 미루고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