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강 고대의 불상 [최태성의 교과서에 나오는 우리 문화재]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큰별쌤 최태성의 교과서에 나오는 우리 문화재 시리즈]
불상은 부처의 형상을 회화나 조각 등의 형식으로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은 왕권을 강화하는 동시에 민심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
불교를 도입했고 불상을 만들었다.
그래서 삼국시대 불상들에는 공통점이 있으니 바로 ‘온화한 미소’다.
삼국의 불상읕 통해 친근하고 온화한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려던 불교의 모습을 이해한다.
문화유산채널 www.k-heritage.tv
시각 자료를 자세히 보면서 감상할 수 있어 넘 좋아요~~감사합니다~
1:28 삼국시대 미륵보살반가사유상
9:54 백제 마애여래삼존상
고맙다
인간아 구만 미륵 미륵 해라 미륵은 지금 인간세상에서 처참하게 되여 있다
12:08 신라 석조여래삼존입상
7:20 고구려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12:54 통일신라 석굴암 본존불
안녕하세요 논산관촉사 은진미륵불이 대한민국에 1100년만에 환생했습니다 유튜브 하늘부모교 110강과 140강 123강을 구경하십시요 논산관촉사 은진미륵불
삼국시대반가사유상이아니라 신라시대반가사유상 얼마전신라절터에서 초기 반가사유상 발굴해서증명역사유물까지아리가리하게사기치지마라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기억이 안 날 것 같아요. 마애여래삼존... ㅋㅋㅋ 이름이 너무 어렵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