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중국반응│드라마 왕국 홍콩 TVB의 몰락과 한국드라마로 부활 꿈꾸는 홍콩│더 글로리, 사내맞선 등 한드 리메이크로 승부수│제작발표회에 몰려드는 홍콩배우들│중국어로[路]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우리는 그 동안 우리나라의 드라마나 영화들이
    해외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는 뉴스를 많이 접하고 있었지만
    실제로 그런지 쉽게 체험할 방법은 별로 없습니다.
    하지만 중국을 넘어 과거 80~90년대 아시아의 대중문화를 휩쓸었던 홍콩 역시
    우리나라의 영화와 드라마에 열광하고 있다고
    저희 채널은 누차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
    ​과거 아시아를 재패했던 자신들의 영화와 드라마가 현재 몰락의 길을 걷고 있어
    자연스럽게 다양한 한국의 영상 콘텐츠가 홍콩인들의 일상에 스며든 것입니다.​
    그럼 홍콩사람들은 중국드라마는 안 볼까요?
    조사에 따르면 홍콩의 기성세대들은 중국의 사극을 일부 시청하지만
    홍콩의 젊은 세대들을 중국드라마가 끌어들이기에는
    스토리나 배우들의 연기에 한계가 있다고 중화권 매체들은 말합니다.
    홍콩을 대표하는 드라마 왕국이라 불리는 TVB방송국은
    2010년대 이후부터 시청률이 떨어지더니
    지금은 자사에소속된 드라마 배우들의 생계를 걱정해야 할 처지에 이를 만큼
    시청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TVB는 한국드라마를 직수입해 홍콩사람들이 좋아하는 더빙방식을 이용
    시청률을 올리는데 사활을 걸었으며 큰 성공을 거두자
    이번에는 ​더 글로리​를 리메이크 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는데요.
    ​이를 시작으로 홍콩에서는 한국드라마 리메이크 붐이 일고 있으며,
    너도나도 한드 리메이크 제작발표회는 열고 있습니다.
    ​이런 행보를 본 중국은
    중국에서 흥행한 드라마 ​광표(狂飙)는
    왜 홍콩에서 리메이크 되지 않는지
    속이 상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홍콩한류 #홍콩전성기 #한국콘텐츠파워
    채널에 가입하여 중국어로 채널의 가족이 되어주세요!
    / @china_news
    중국어로[路] SNS 계정
    페이스북 : / youtubecreatorfriends
    인스타그램 : / chinese_way
    SNS 팔로우하고 중국어로 채널 소식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Комментарии • 647

  • @크리마-z2n
    @크리마-z2n Год назад +207

    우리는 홍콩의 봄날을 원합니다. 홍콩의 민주주의를 응원합니다.

    • @아인슛타임-l7r
      @아인슛타임-l7r Год назад

      우리나 잘하자 나라꼬라지 개판아이가

    • @blue-sky114
      @blue-sky114 Год назад +7

      이미 작살났음

    • @alltube5639
      @alltube5639 Год назад +8

      한국의 망가진 민주주의나 먼저 걱정하길~

    • @eliyahaverial
      @eliyahaverial Год назад +1

      @alltube5639 ㄹㅇ, 우리나라의 극좌파 홍위병들 때문에 망가진 자유민주주의나 걱정해야할 판.

    • @General_kim-0415
      @General_kim-0415 Год назад +1

      이미 끝난지 오래입니다. 이젠 어찌해볼 수도 없어요

  • @뉴스및시사
    @뉴스및시사 Год назад +164

    우리나라 작가들이 정말 뼈를 깍는 노력이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나 봅니다~
    존경합니다 ^^

    • @5nsd04e
      @5nsd04e Год назад +11

      정확히 얘기하면 드라마 작가들이 아님
      웹툰 작가들이 대단한거

    • @유레-b8k
      @유레-b8k Год назад +7

      문화가 세상을 지배하는 시대가 왔네.,ㅋㅋㅋ 중국도 문화로 점령해서 한국 속국으로 만들자.ㅋㅋㅋ

    • @investa2
      @investa2 Год назад +1

      정반합이죠.
      서로서로 영향을 받고 또 그걸로 자국화 시키고
      그 속에서 글로벌한 무언가를 찾아내면 또 그걸로 시대를 풍미하고...
      특히,
      80~90년대와는 달리 지금은 무언가 만들어지면 그건 곧 글로벌 경쟁을 해야하는 시대라서...
      호불이 명확하죠.
      대중문화는 빨리 달아오르는 만큼, 내리막도 급경사이니 만큼...
      우린, 우리만의 정서와 우리만의 고유한 특색을
      최대한 업그레이드 해나가야할 겁니다.
      즉,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는 것을
      빠르게 셋업해나가야 합니다.
      빠른 인구 감소와
      국내시장 축소는......
      생존이 걸린 문제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시오잘가시오
      @안녕하시오잘가시오 Год назад +1

      ⁠@@5nsd04e 모든 드라마가 다 웹툰이 아닌데? 아직까진 드라마 작가가 훨씬 많음

    • @5nsd04e
      @5nsd04e Год назад

      @@안녕하시오잘가시오 최근 메가히트작은 대부분 웹툰기반임돠

  • @훈박-f9u
    @훈박-f9u Год назад +25

    홍콩은 잘 만들거에요 과거 그들이 그랬던것처럼 문화는 흐르는 거니까요 응원합니다

  • @로드플레임
    @로드플레임 Год назад +131

    역시 홍콩은 중국이랑은 다르내여. 돈주고 허락받고 당당하게 리메이크. 홍콩독립을 응원합니다~~

    • @골딩이
      @골딩이 Год назад +2

      독립이요?
      어림도 없지요

  • @wex1506
    @wex1506 Год назад +131

    서울크기보다 작은 홍콩도 판권사서 제작하는데 자칭대국이라는 댁들은 왜 한국컨텐츠를 날로 쳐드실까? 부끄러운줄 알아라

  • @carlosj8637
    @carlosj8637 Год назад +77

    자유가 있었으나 이젠 그렇지 않은 홍콩이 안쓰러울 뿐. 😢

  • @LE_SSERAFIM
    @LE_SSERAFIM Год назад +30

    옛날 주윤발 시절까지 안가더라도
    진짜 무간도 같은 영화가 홍콩에서 다시 나올 일은 없는 것인가... 뭔가 참 슬프네요.

  • @ChoSH1025
    @ChoSH1025 Год назад +115

    외국에서 오래 살다보니 대한민국의 경제력, 제조산업, 국방력, 문화 트렌드의 훌륭함을 깊게 느낍니다. 대한민국 국민임이 자랑스럽습니다.

    • @juabu7175
      @juabu7175 Год назад

      빠르게 식어가고 있습니다.
      깡패 두목이 대톰령이 되고,
      매춘부가 영부인이 되서,
      해외 나가서 쇼핑 하면서,
      세금으로 온갓 사치는 다 저지르고 있습니다.
      아마 퇴임 할 때, 세금 수백조는 빼돌릴 겁니다.

    • @americanokoka4223
      @americanokoka4223 Год назад +35

      글로벌 호구 하나만 빼면 자랑스럽습니다

    • @namjimom
      @namjimom Год назад +9

      쥴리를 보고도 그런 말이 나오냐

    • @골딩이
      @골딩이 Год назад +10

      요즘은 종종
      웃음꺼리도 되어요
      엑스포참패도 그렇지만
      추락하는 국격도
      느껴집니다

    • @따봉냥냥
      @따봉냥냥 Год назад

      @@namjimom 니엄마 쥴리임?

  • @h-kl2622
    @h-kl2622 Год назад +93

    주윤발이 한국의 자유가 부럽다고 밀할때 홍콩은 끝난거지! 홍콩은 이제 중국!

    • @셀렉트-z1t
      @셀렉트-z1t Год назад +3

      일본에 먹힌 조선인들이 자유가 부럽다고 안했겠냐? 그 말을 한다고 일본이 되냐?

    • @h-kl2622
      @h-kl2622 Год назад +5

      뭔 개풀뜯어먹는 소리냐?

    • @박선생-z2s
      @박선생-z2s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셀렉트-z1t 먼 소리 ??

    • @셀렉트-z1t
      @셀렉트-z1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박선생-z2s 일제시대때 안중근 의사가 다른나라의 자유가 부럽다고 말했다고 한국은 이제 일본! 이러고 있잖아 홍콩이 중국에게 독립하고 싶다고 말하면 중국이 되는거야? 뭔 개소리지?

  • @느린곰-d9t
    @느린곰-d9t Год назад +58

    홍콩이 한때 엄청 영화 잘 만들었는데 우찌 이리 되었는지 힘내세요 홍콩

    • @Cecilgreen8695
      @Cecilgreen8695 Год назад

      그 시절 영화 내용들을 보면 전성기에도 이미 한계를 드러낸 셈이죠 예전부터 엘리트주의가 극심한 곳이니까요

  • @러브마피아
    @러브마피아 Год назад +26

    더 글로리 판권이 제작사가 없다는 것이 아쉽네요. 앞으로는 넷플리스와 판권에 관한 권리를 보장 받을 수 있는 협약을 했으면 합니다.

    • @소용돌이-o6n
      @소용돌이-o6n Год назад +1

      돈을 넷플릭스가 주잖아요
      이미 제작부터
      넷플릭스가 판권을 산거나다름없음
      흥해도 망해도 제작사는 리스크가없고
      모든 리스크는넷플릭스가 떠안으니
      넷플릭스로 몰려드는거죠

    • @러브마피아
      @러브마피아 Год назад +7

      @@소용돌이-o6n 다른 나라들은 넥플리스와 투자금도 받지만 판권에 대한 비율 조정도 한답니다. 유독 넥플리스가 한국에만 판권 독점 하는것이 문제이지요

  • @sirocoToyotaJin
    @sirocoToyotaJin Год назад +98

    중국드라마 가장 문제는 후시 녹음에 있습니다.
    배우의 목소리가 아닌 남의 목소리로 책을 읽는듯한 대사 처리가
    배우의 감정 장면에서의 느낌이 전혀 전달이 안되는게 가장 문제입니다.

    • @초미남-d7r
      @초미남-d7r Год назад +6

      인정

    • @박우리-e4i
      @박우리-e4i Год назад +9

      일본은 아날로그 그 자체 ㅋㅋㅋㅋㅋ 발전할 수 없는 나라

    • @hrcustom
      @hrcustom Год назад +11

      후시녹음은 할리우드도 자주 하는거니 후시녹음 자체는 문제없고, 다만 하는 방법이 문제겠지요. 자연스럽게 할려면 돈이 아주 많이 드는데 중국 드라마들은 여기서 돈을 일절 안쓴달까.

    • @novaviscose9819
      @novaviscose9819 Год назад +11

      후시녹음 하면서 현장음이 제대로 반영이 안되는 것도 문제죠 더빙 느낌이 너무 나요

    • @fun22smile
      @fun22smile Год назад +14

      울나라도 가끔 후시가 들어감.... 근데 울나라 후시는 배우 본인이 하지만 중국 후시는 다 성우가 연기하죠 ㅋ 그래서 배우는 연기를 안함... ㅋㅋㅋ

  • @zinoc.2501
    @zinoc.2501 Год назад +29

    홍콩 영화의 과거 영광과 여러분의 자유, 그리고 민주주의를 응원합니다.

  • @조환-n6x
    @조환-n6x Год назад +4

    진짜 배우들 없다~사내맞선 홍콩 배우들 그것이 최선인지 묻고 싶네요~ㅋㅋ 비주얼 무슨 코미디인지~

  • @신혜정-v1j
    @신혜정-v1j Год назад +14

    우리나라 배우들이 비쥬얼도 갑이구나

  • @정병창-y8w
    @정병창-y8w Год назад +22

    첨밀밀.. 아직도 홍콩 최고의 영화입니다. 지금도 흥얼거리고 있었습니다.

  • @choichoi4729
    @choichoi4729 Год назад +13

    우리나라도 현실에 안주해 이 황금의 시간을 놓지지말고 반드시 세계에 통할 강력한 방송미디어플렛폼 하나를 집중해 키워야 할듯,,지금 중구난방 난립하고 있는데 통합이 필요,,

  • @yrk6838
    @yrk6838 Год назад +5

    미드 프리즌브레이크 로스트 브레이킹배드 보면서 우리는 언제 이런 드라마 만드냐했는데 참 많이 따라잡은듯. 특히 가성비측면에서는 한드가 최고인건 인정

  • @kpsychology848
    @kpsychology848 Год назад +11

    홍콩의 영화계가 최고의 부흥기였던 시절을 겪어보지 못했던 분들은 현재의 상황을 보며 격세지감이라고 하는 사람들의 말이 와닿지 않으실거라 생각됩니다. 마치 2002년 월드컵의 뜨거웠던 열기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요즘 어린 학생들의 심정 처럼요ㅎ

  • @송원석-m3k
    @송원석-m3k Год назад +9

    KOREA =>> "K" 이니셜로 대표되는 팝, 드라마, 푸드에 연이어 한국 영화의 전성기를 볼 수 있어
    정말 기쁘고 우리나라가 참 대단하다는 말 외에는...
    지금의 성취에 자만하지 말고 더욱 비상하여 아시아는 기본, 전세계적으로 더욱 이름을 날리길
    진심으로 기도하는 마음입니다.
    오늘도 반장님 이하 스텝분들 덕분에 홍콩 현지의 분위기를 알 수 있게 되어 감사한 마음입니다

    • @china_news
      @china_news  Год назад

      송원석 님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샴시르
    @샴시르 Год назад +51

    세상 오래 살고 볼일이네요...예전에 비디오 빌려보던 시대는 추억으로...

    • @china_news
      @china_news  Год назад +1

      그 시절 홍콩은 정말 잊혀지지 않죠 추억의 영화들~

    • @Namkun11
      @Namkun11 Год назад +1

      아 정말 그러게 말입니다. 그 시절 쾌찬차는 최고의 영화였는데

  • @코헨-m3q
    @코헨-m3q Год назад +9

    격세지감 이라는 말로 대신할까 합니다. 지금 상황을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할지...
    국내 작가님들의 창작 열정은 대단하네요.지금처럼 작가님들과 배우분들 스태프들 모두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 @johnnydoo7937
    @johnnydoo7937 Год назад +5

    7~80년대생이라면 홍콩영화에 열광안한사람이 없었을겁니다.저도 그세대인데..영운본색에 빠져보다가 도신,도성시리즈에 빠져서 우리는 왜 저런영화 드라마를 못만들까라는 생각을 하던 시기가 이었는데 진짜 격세지감입니다.
    오래살고볼일이라는말이 실감납니다.

  • @Biggestaa
    @Biggestaa Год назад +3

    주윤발 왕조현 유덕화 양조위같은 홍콩스타들을 보면서 자란세대로서 이런날이 올지몰랐네요 참 뿌듯합니다

  • @솔이산이
    @솔이산이 Год назад +4

    정말 격세지감을 느낍니다. 몇 주 전에도 홍콩여행에서 주윤발이 자주 간다는 식당과 무간도에 나온 스테레오 판매점을 들를 정도로 예전 홍콩영화를 참 좋아했었는데, 이젠 반대 상황이 되었네요

  • @Legiomariaehadang
    @Legiomariaehadang Год назад +32

    중공에 반환된 이후 중공화 된 홍콩 옛 영광을 되찾기는 힘들지 않을런지~
    옛 홍콩은 참 대단했지만

  • @wnqkrtm
    @wnqkrtm Год назад +10

    오늘도 멋진 하루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china_news
      @china_news  Год назад +1

      주복 님 댓글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wonhong8287
    @wonhong8287 Год назад +4

    케이드라마 만들어 내는 작가, 감독, 배우, 스텝 모든 분들의 창의력과 노고 덕분에 국격이 올라가고 있어요. 덕분에 저같이 연예계와 전혀 상관없는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득을 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케이팝이나 캐릭터, 웹툰, 게임 등 모든 케이콘텐츠 업계에도 열렬히 박수 보냅니다. 각자 자기 분야에서 열심히 힘내 보자고요.

  • @솔나무21
    @솔나무21 Год назад +15

    반장님 수고 많으십니다.

    • @china_news
      @china_news  Год назад

      오늘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peacemaker977
    @peacemaker977 Год назад +6

    항상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 @china_news
      @china_news  Год назад

      전범기 👎반대 님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나미르-l5w
    @나미르-l5w Год назад +135

    홍콩의 빠른 탈중국을 기원합니다. 공산주의 노노해여

    • @aawasmae7643
      @aawasmae7643 Год назад +4

      아무리 떠들어봐야 홍콩이 잠식되는건 시간문제임

    • @eliyahaverial
      @eliyahaverial Год назад +5

      솔직히 말해서 이미 늦음.
      반환될 때 중국국기 흔들면서 "조국의 품에 돌아갑니다~" ㅇㅈㄹ할게 아니라 유니언잭 흔들면서 "우리는 영국에 남고 싶다~!" 를 외쳤어야 함.

    • @애국사랑-love대한민국
      @애국사랑-love대한민국 Год назад

      울나라의 친중친북 정치인 거르세요

    • @zishanzen
      @zishanze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애국사랑-love대한민국 亲日的呢?最近有韩国政客说你们是日本的国民哦

  • @김은식-s4c
    @김은식-s4c Год назад +2

    8~~90년대 홍콩영화가 있어서 눈부시게 아름답던 내청춘 .그립다그시절..유덕화 주윤발 장국영 원표 그시절 젊은우리들의 우상이였는데..에휴..벌써 😵😵오십이 넘었네..😵😵

  • @shalessandro
    @shalessandro Год назад +376

    솔직히 중국 보단 홍콩이 낫지.....

    • @user-wr4my7go5i
      @user-wr4my7go5i Год назад +63

      홍콩도 뭐 이젠 옛 영광이지 중국한테 먹힌 뒤론

    • @grant70000
      @grant70000 Год назад +41

      당연히 공산독재에 찌든 중국보다는 한때 민주주의 통치의 자유를 만끽했던 홍콩이 천만배는 낫지

    • @unka2007
      @unka2007 Год назад +31

      그 나물에 그 밥😂😂

    • @재생목록-b7c
      @재생목록-b7c Год назад +31

      홍콩
      이미 홍콩 간지 오래

    • @한섬-b7l
      @한섬-b7l Год назад

      이제 중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으로 중국이 완전 장악하고 있습니다 홍콩=중국 입니다 차라리 대만이 낫지요

  • @그땐미안
    @그땐미안 Год назад +11

    아~~~홍콩 내가 사랑한 홍콩 , 그리운 90년대 임청하 " 동방불패 "

  • @SYJOUNG-i3o
    @SYJOUNG-i3o Год назад +11

    물은흐르고 태양은 뜰때가있으면 질때가있다는것을 생각하여 한국도 자만하지말고 늘 문명의성쇠에대비하여 조심히대처해야할것이다😊

    • @investa2
      @investa2 Год назад

      그렇죠..
      정반합이죠.
      서로서로 영향을 받고 또 그걸로 자국화 시키고
      그 속에서 글로벌한 무언가를 찾아내면 또 그걸로 시대를 풍미하고...
      특히,
      80~90년대와는 달리 지금은 무언가 만들어지면 그건 곧 글로벌 경쟁을 해야하는 시대라서...
      호불이 명확하죠.
      대중문화는 빨리 달아오르는 만큼, 내리막도 급경사이니 만큼...
      우린, 우리만의 정서와 우리만의 고유한 특색을
      최대한 업그레이드 해나가야할 겁니다.
      즉,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는 것을
      빠르게 셋업해나가야 합니다.
      빠른 인구 감소와
      국내시장 축소는......
      생존이 걸린 문제이기도 합니다.

  • @jmayaj
    @jmayaj Год назад +3

    반장님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도대체 어떻게 이 많은 자료와 정보를 모아서 하루 이틀만에 방송을 만드시는지.

    • @china_news
      @china_news  Год назад +3

      저희 노력을 알아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매일매일 영끌하고 있는거죠 ㅜㅜ Jeie Kim 님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 @ykl4202
      @ykl4202 Год назад

      ​@@china_news저도 감탄하며 시청하고 있습니다. 하나 더 궁금한 건 반장님, 광동어도 하시는 건가요?

    • @china_news
      @china_news  Год назад

      @@ykl4202 아니요. 광동어는 못합니다 ㅜㅜ

  • @longtail9230
    @longtail9230 Год назад +117

    조국의 모든 창작자분들께 경의를 표합니다~

  • @Cyk_9831
    @Cyk_9831 Год назад +2

    진짜, 격세지감이네요😂
    곽부성 천장지구 팬이었는데……
    아무튼 늘 감사합니다❤

    • @china_news
      @china_news  Год назад

      천윤교 님 시청 댓글 정말 감사드립니다~

  • @user-hpkxzlsk554
    @user-hpkxzlsk554 Год назад +2

    각종 책받침이며 광고의 주인공이었던 홍콩 스타들~~어릴적 추억의 한 페이지~~^^♡

    • @china_news
      @china_news  Год назад

      참 많이 따라했었죠~ㅋㅋㅋ

  • @joonlacas3261
    @joonlacas3261 Год назад +2

    홍콩 연예계가 아시아를 주름잡던 80년대를 거쳐 90년대... 세상을 떠다니던 시절.. 제일 많이 들었던 이야기는 홍콩사람 닮았다는 이야기. 당시엔 그게 칭찬이었지만.. 한국인의 자부심때문인지 별로 달갑게 여겨지지 않았다. 이제 세상이 바뀌니 참 격세지감을 느낀다.

  • @김나그네-s3j
    @김나그네-s3j Год назад +8

    80 90년대 극장가에 한국영화보다 홍콩영화가 많이 붙어 있었는데 격세지감이다 이제 홍콩에서 한국 드라마나 웹소설을 리메이크해야 버티는 시대가 오다니 주윤발 성룡
    양조위 장국영 이연결 그많던 홍콩스타들 어디갔냐

  • @devangerdevanger3871
    @devangerdevanger3871 Год назад +4

    양조위의 의천도룡기 , 이수현의 유성검 ... TVB작품들 비됴가게서 인기 있었는데.....

  • @big-gamehunter6285
    @big-gamehunter6285 Год назад +1

    사내맞선 여배우는 사내맞짱 뜨게 생겼는데ㅋ
    예전에는 홍콩 영화가 아시아를 주름 잡았는데 이제는 모든게 나가리 되버렸으니 홍콩인들은 얼마나 아쉬울까?

  • @박승환-s6q
    @박승환-s6q Год назад +4

    8~90년대 우리에게 홍콩영화는 대단했지

  • @이영철-l2s
    @이영철-l2s Год назад +1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화이팅 하세요...

    • @china_news
      @china_news  Год назад +1

      이영철 님 응원 감사합니다😊

  • @insoos
    @insoos Год назад +1

    중국어로가 예전처럼 조회수가 잘나와서 참 다행입니다. 앞으로도 재미있는 소식 많이 전해주세요.

    • @china_news
      @china_news  Год назад +1

      CROA 님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만큼 회복된 것도 모두 시청자분들 덕분이고 정말 감사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하겠습니다~

  • @zainph
    @zainph Год назад +2

    8,90년대 한국영화는 기억나는게 애마부인, 뽕 이런 류 뿐이네요. 다른 종류의 영화도 분명히 상영은 했었는데 기억이 1도 안남.
    하지만 천녀유혼, 첩혈쌍웅, 영웅본색, 동방불패 등등 홍콩 영화는 아직까지 기억에 강하게 남아 있습니다.
    사실 그 때는 한국 영화 본다면 엥? 그걸 왜 봐? 이런 분위기였죠. 진짜 격세지감..

  • @영점이프로
    @영점이프로 Год назад +4

    힘내라 홍콩
    그래도 내 마음속엔 천장지구와 정전자가 있다

  • @김용찬-p4u
    @김용찬-p4u Год назад +1

    홍콩영화를 보며 자란 40대로서 마지막맨트처럼 정말 격세지감을 느끼네요.

  • @조커는조커서조커-v9z
    @조커는조커서조커-v9z Год назад +14

    경제나 예술이나 모든것에는 멈추는 순간 도태된다고 봐야 됨 ... 그러니 끊임없이 부단히 노력하고 개발하고 노력 개발 노력 개발...
    이것만이 살 길이다

  • @김영숙-m6i1s
    @김영숙-m6i1s Год назад +2

    주윤발, 장국영이 주연으로 나왔던 종횡사해를 봤을때가 홍콩영화의 전성기였었지. 주윤발영화는 거의 다 본거 같다.

  • @던힐-u1j
    @던힐-u1j Год назад +12

    그나마 홍콩은 돈주고 사서 리메이크라도 하네 중국은 그냥 배껴서 할텐데

  • @fir2789
    @fir2789 Год назад +3

    과거 홍콩은 아시아에 머물렀지만 지금 한국은 전세계를 무대로 휘젓고 있으니 차이가 크지요... ㅎ

  • @hjhj561
    @hjhj561 Год назад +5

    더글로리 리메이크 기대되네요 ㅋㅋ 리메이크작은 또 다른맛이잇죠 ㅋㅋ

  • @zptmxmkim1209
    @zptmxmkim1209 Год назад

    오늘도 영상 감사합니다.

    • @china_news
      @china_news  Год назад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EunTerry
    @EunTerry Год назад +2

    평소 영상을 즐겨 보고 있습니다. 중국 사회에 대한 상당한 식견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지금 중국에 출장 중인데, 우리보다 앞서가는 부분이 상당히 많습니다. 특히 제조 분야에서는 전세계에서 중국에서만 생산되는 물품이 너무나 많습니다. 과연 탈 중국이 가능할까 하는 의구심이 듭니다. 그들의 강점도 소개하고 우리가 어떻게 지혜롭게 대처할 수 있는지 이런 컨텐츠도 있다면 정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EunTerry
      @EunTerry Год назад +2

      요즘 유튜브를 보면 착중죽중 과 같은 컨텐츠들이 너무 난무하는 것 같습니다. 이런 것들은 우리에게 결코 도움이 되지 못할 것 같습니다. 일본 국우파들이 혐안으로 정신승리하는 것과 그 근본은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hunhun95.
      @hunhun95. Год назад

      그러게 언론들도 중국 곧 망할 것처럼 보도하는데
      현실은 지금 중국 제품 직구 열풍임
      여행 유튜버들 영상들 보면 유럽은 이미 중국 자동차가 점령 했고 중동 아프리카는 거의 죄다 중국폰 쓰던데 ㄷㄷ
      중국 관광 산업도 해외 관광객들 발길 끊어서 망한 것처럼 방송하던데
      현실은 관광지 마다 사람 미어터짐
      땅이 워낙 크고 인구가 많으니까 자체 내수 관광 많으로도 돌아가는 상황...
      내수시장이 너무 커서 절대 망할 수가 없는 구조임
      혐중이 진짜 정신병이라는걸 실감했음 😅

  • @alexyoon1379
    @alexyoon1379 Год назад +1

    저가 어렸을 적에는 주윤발, 유덕화, 알란탐, 장국영등이 출연한 홍콩의 영화를 보고 자랐는데...이제는 홍콩에서 한국드라마가 널리 퍼지고 있다니...역시 한류가 세계적으로 붐이기는 한것 같군요. 오늘 영상도 잘 봤습니다.

    • @china_news
      @china_news  Год назад +1

      추억의 홍콩이네요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주서-h1d
    @주서-h1d Год назад +4

    영원한건 절대 없어~ 명언이네

  • @alwaystoyou
    @alwaystoyou Год назад +1

    가장 알차고 무게감있는 내용으로 채워주셔서 언제나 믿고보는 채널입니다.
    이 영상에 아직 안본 드라마가 많아서 그것부터 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ㅎ

    • @china_news
      @china_news  Год назад

      이필립 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좋은 영상을 보답하겠습니다.

  • @saineiss14
    @saineiss14 Год назад +5

    홍콩이 중공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하지 않는 이상. 옛 영광을 찾기 어려워요.

  • @Jinagada-u9z
    @Jinagada-u9z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옛날 어린시절 홍콩스타들이 우리의 우상 이었었는데...무협시리즈. 비디오를 밤새워가며 보던때가 엊그제같은데 세월이 이렇게나 . ...

  • @S스티브-q7j
    @S스티브-q7j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주변이 어두워지면 내 그림자도 나를 떠난다...한국드라마는 이런 멋진 문구도 나온다

  • @inhoj9295
    @inhoj9295 Год назад

    저도 정말 격세지감을 느낍니다.

  • @강상구-h3w3d
    @강상구-h3w3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으로 다양한 장르를 센스있게 전해주시는 중국 1타강사 반장님!! 중국 어느 성에 계신지, 한국에 있는지 무엇을 하는 분인지 궁금할 정도입니다🎉!!

  • @까무론
    @까무론 Год назад +1

    이 흐름을 계속 유지하게 노력해야겠죠

  • @thisorigin131
    @thisorigin131 Год назад +2

    와 홍콩어랑 중국어 구분을 못했는데 홍콩사람 인터뷰 들으니까 알겠네요. 예전 홍콩영화 그 억약 그대로네 ㅋ

  • @Kyu2389
    @Kyu2389 Год назад

    국가든 문화든 전성기가 오면 반드시 꺾이는 현상이 있는대 우리나라도 현재에 안주하지 말고 더 열심히 해야할듯

  • @kingjun6778
    @kingjun6778 Год назад +7

    한류도 언제 끝날지 모르고 어느나라가ㅠ이어 받을 지 모르는 일.... 헐리웃처럼 꾸준 할 수 있도록 기반을 잘 다져야 할것임

  • @Arina_ring
    @Arina_ring Год назад

    굿

  • @조영권-w6w
    @조영권-w6w Год назад +5

    문화 일등국이 되자!

  • @eeheehee4063
    @eeheehee4063 Год назад +4

    홍콩 영화가 아시아를 주름 잡았던것도 진짜 옛날 이야긴데.
    그나마 많이 잡아줘도 90년대 중반이니 거진 30년 전 이야기고.
    사실 그 때도 매번 느와르, 쿵후, 가끔 멜로 정도고 자기 복제가 이미 너무 심했음.
    무간도는 정말 정말 끝물이었고. 이거 봤을 때 진짜진짜 오랜만에 볼만한 홍콩 영화가 나왔구나 생각했었으니까.
    일본도 우리나라거 리메이크 많이 하지만 일본도 과거의 영광의 시대는 최소 20여년 전이고, 홍콩은 더 오래됐으니
    두 나라 다 제작 기술적 면이나 인재 풀에서 과거의 영광 덕을 조금이라도 보기에는 세대가 너무 지난 듯.

  • @saepho3815
    @saepho3815 Год назад +6

    오랜 전통이 있기 때문에 탈중국만 할 수 있으면 홍콩의 대중문화는 빠르게 복원될 겁니다.

  • @hskim3077
    @hskim3077 Год назад

    한국은 웹툰 작가들의 활약이 대단한 듯하다. 앞으로도 더욱 빛을 발해주길!

  • @sungminkim9698
    @sungminkim9698 Год назад

    좋게 생각합니다.

  • @안알랴줌-x9r
    @안알랴줌-x9r Год назад +2

    요즘 해외여행 다니면서 느끼는건데...
    중국사람들 한국패션으로 많이 다님. 이게 그냥 내가 국뽕에 도져서 그렇게 말하는게 아니라, 걔네들이 그렇게 말함. 한국 스타일이라고.
    코로나 이전에는 여자애들이 대부분이었는데, 지금은 남자애들도 한국인들처럼 스타일링하고 다님. 여자들은 겨털 안깎기로 유명했는데, 요즘 20대부터 30대 초반 동남아 여행오는 여자애들 겨털 다 깎음. 대만이나 홍콩, 마카오 애들이 아니라 본토 애들이 깎고 다닌다.(그래봐야 다들 텐진, 항저우, 베이징, 상하이 여기 출신이지만...)
    남자애들이 한국남자들처럼 머리스타일 하고다님. 거기에 일본 남자애들은 해외여행 하다가 보기 쉽지 않음 특히 20대는 진짜 보기 어려워. 20대 여자애들은 간간히 보는데 남자애들은 진짜 못보는데, 일본 20대 남자애들이 예전에 그 이상한 긴 머리에다가 노란색 염색하고 다니는 그런 패션이나 장발 패션 거의 없고 다 한국애들처럼 머리하고 다님.
    좀... 이상함.
    유럽에서는 코로나 이전에는 나한테 게이 같다고 한 애들 진짜 많았는데... 유럽도 한국 스타일을 따라가면 존나 웃길 것 같음. 물론 미국은 불가능함. 여기는 진짜 게이가 아니면 한국남자 스타일로 절대 안다닐거 같음. 얘들이 찐 마초새끼들이더라고.

  • @소드마스터척춘경장군
    @소드마스터척춘경장군 Год назад +1

    반장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10bul9
    @10bul9 Год назад

    더글로리 리메이크 쉽지 않을건데 배우 한명한명이 개성이있어서 똘끼도 있어야하고 느끼함 등 이런게또 글로리 매력중 하나인데 기대해봅니다

  • @NellKune
    @NellKune Год назад +2

    아내가 마카오 출신이라 한국드라마와 홍콩드라마를 번갈아 같이 봄.
    국뽕을 다 떠나서 홍콩 드라마에선 확실히 영상미, 분위기, 줄거리 전개 방식 등 여러부분에서 싸구려 느낌이 남.
    아내에게 듣기론 예전에 비해 제작예산이 갈수록 줄어들고 중국의 간섭이 잦아지니 점점 퇴화되고있는것 같은데.. 좀 안타까움.
    한국드라마나 Kpop등 한국콘텐츠가 엄청 세련된건데 그런것들이 일상인 한국인들은 한국의 콘텐츠가 세련됬다라는걸 잘 인지못하는것같음.

    • @덕후맘81
      @덕후맘81 Год назад +2

      와 진짜요 ..한국 배우들 스타일이며 메이크업 등 다 따라하고 외모는 나라별 취향차이로 쳐도 광나는 피부며 여러가지 부분에서 세련미는 못따라오더라구요. 가끔 넷플에서 중국 현대드라마 보는데 비슷하게 따라하는데 뭐가 다르지 했는데 세련됨과 디테일이 확실히 떨어지는..다른나라꺼 좀 보면 진짜 한국꺼 엄청 세련되고 잘 만들었다는걸 느껴요 저도 몰랐다가 요새 넷플에서 중드 몇개 보고 깨달은점입니다.

    • @china_news
      @china_news  Год назад

      Nellium_Yada 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번갈아 본다면 그 차이를 더욱 크게 느낄수 있었겠네요~

  • @kennycho3446
    @kennycho3446 Год назад +1

    영원한 따거의 나라. 아시아에서 최고로 웃긴 배우가 있는 나라. 대한민국 X세대의 첫사랑이 있는 나라. Hongkong Free~~

  • @cueole
    @cueol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옛날에는 홍콩영화나 일본드라마 보면서 왜 한국은 저렇게 만들지 못할까 아쉬웠었는데 요즘은 그 반대이니 참 시대가 많이 변했다는 생각이 든다~

  • @ryukiryung
    @ryukiryung Год назад

    진짜..어려서 주윤발 장국영 적룡 이덕화 양조위 금성무 곽부성 이연걸 성룡…기타등등 넘 많아서 패스…
    보면서 자랐는데..이제는 홍콩 사람들이 한국 드라마 보면서 생활하는거 아직도 꿈 같네요…😅
    방심 하지말고 더욱더 열심히 해서 한국의 이미지를 머리속에 확 박아줍시다…😊

  • @user-chh0613
    @user-chh0613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팬트하우스가 인기가 있었다니 ㅋ
    막장 드라마가 중독성있는데 ㅋ

  • @凸-w5u
    @凸-w5u Год назад +1

    저도 중드중애 일반거 안보고 무협 선협물만 보는편입니다!

  • @nanapark4894
    @nanapark4894 Год назад

    예전에 ,tvb 드라마 vcd 많이 사서 봤었는데... 중국에 넘어간 이후로 볼게 없었죠

  • @holidaysummer9256
    @holidaysummer9256 Год назад +4

    홍콩 힘내라 화이팅

  • @트리플H-x3f
    @트리플H-x3f Год назад

    응원합니다~

  • @한상수-p6n
    @한상수-p6n Год назад

    중국이 선물한 팬더믹? 센스가있는 문장이네요 ㅎㅎㅎ😂

  • @oamici
    @oamici Год назад

    딱 이 말이 어울림. 격세지감

  • @jerzunhanl
    @jerzunhanl Год назад +4

    한국의 드라마....
    방송제작 여건이 좋지 않았던 60년대의 방송계는 시청률이 잘나오는 외화를 방영하기 위해선 일부 국내제작 프로그램을 방송해야 하는 할당제를 채우기 위해 저예산으로 한국드라마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재방송도 많았었지요. 그 시작이 저예산이다 보니 방송 제작자들은 가성비를 높이는 방법을 찾아내고 연구하다보니 지금처럼 연출력이 좋아진 드라마가 제작 되었습니다.
    이것은 절대 거대자본의 투입으로는 따라 잡을 수 없는 인적 인프라 구축을 할 수 있던 계기가 되었습니다. 물론 그 과정에서 노동권이 존중 받지 못하는 암울한 시기도 있었지만 우리는 그것을 슬기롭게 극복해나가고 있습니다.
    홍콩이 드러머를 저채재작햐는게 시청률이 안나오는 것은 한국 드라마가 인기 있어서가 아니라 공산당의 간섭이 크기 때문 이리라 생각됩니다. 홍콩에도 오랫동안 영상 제작을 가성비 좋게 만드는 인적 인프라를 구축 했었으니까요.
    홍콩이 하루 빨리 자유로워 지기를 기도합니다.

  • @정병준-q6e
    @정병준-q6e Год назад

    일상의일이 영화화되는것 있을법한 일이라는 다큐같은 스토리가 히트를 치는 시절이 되었네

  • @biba6291
    @biba6291 Год назад +2

    어릴적 홍콩영화 감성 때문인지 중국 북경어보단 홍콩 광둥어 더빙이 거부감 없이 친숙하게 들리네.

  • @wave7486
    @wave7486 Год назад +31

    김대중 정부에서 한국 문화 컨텐츠를 해외에 수출해야 한다는 청사진과 한한령으로 인한 피해를 회복하고자 한국 문화 사업이 중국을 벗어나 유럽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소리를 들었을 때 매번 속으로 비웃었던 지난 나를 반성합니다

    • @shinwoori84
      @shinwoori84 Год назад

      님같이 냉소적인분들이 있어서 보란듯이 한걸지도….

    • @investa2
      @investa2 Год назад +2

      과거를 복기해보고 타산지석으로 삼고 반면교사로 삼는 당신의 자세는.... 베스트입니다.
      한국민들이 가져야할 자세가 바로 온고지신인거죠.
      자녀나 후배들에게 꼭 그 반성과 경험을 전하시길......
      결국 사람이 재산입니다.

  • @octoberjim4309
    @octoberjim4309 Год назад

    사내맞선 홍콩편 봤는데 차마 눈뜨고 볼수 없을 정도 ㅋㅋㅋ

  • @wlgurtj
    @wlgurtj Год назад

    중경삼림 만 봐도 언제 꼭 한번 가야겠다고 생각하지만 현재의 홍콩은 굳이 가야되나 라는 생각으로 바꼈습니다....그 사진대충찍어도 가고싶게 한다는 홍콩은 어디로 갔냐....

  • @ilililililil3266
    @ilililililil3266 Год назад +1

    난 애니메이션이면 모르겠는데
    실제 사람이 나오는 걸 더빙으로 하는 건 절대로 안 봄..
    다른나라 작품을 한국사람이 했다고 해도 안 봄
    감정선 자체가 전달 하는 게 다를텐데 더빙을 즐겨보는 게 내 입장에선 아이러니 하네

  • @emptyroom2290
    @emptyroom2290 Год назад

    역시 문화가 가장 힘이 세다.

  • @오자라
    @오자라 Год назад

  • @10번멧돼지참수
    @10번멧돼지참수 Год назад +1

    도적떼 중국과는 달리 적어도 판권은 사는 홍콩의 독립과 민주화를 응원합니다~ㅋ

  • @서울유감
    @서울유감 Год назад +1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감독, 제임스 건...
    _"60년대는 프랑스, 70년대는 미국, 90년대는 홍콩, 2010년대는 한국이다"_
    ✔ *James Gunn Twitter 2020/2/11...*
    Yellow Sea, Train to Busan, Villainess, Man from Nowhere, The Handmaiden: the list is endless. What France was to cinema in the 60's, the US in the 70's, and Hong Kong in the 90's, Korea is to the 2010's.

  • @jiji-s9l
    @jiji-s9l Год назад

    사내맞선 홍콩판 보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