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뉴스] 기계연, 필터 없는 공기청정기 개발 / 23.04.13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847

  • @YTNSC
    @YTNSC  Год назад +9

    ■ (후속) PICK사이언스
    무필터 공기청정기 개발
    오존 문제 해결됐나
    ruclips.net/video/ANz7fGjKrZ0/видео.html

    • @해남읍배추도둑
      @해남읍배추도둑 Год назад

      신기술이라고 얘기한거 정확하게 얘기하고 넘어가세요 이렇게 넘어갈 문제가 아닙니다 저 기술 발전 한 사람 영상보면 기존에 있는거에 내가 더 기술발전 했다 라는 말이 나옵니다
      확실하게 얘기하세요

    • @2e546
      @2e546 Год назад

      @@해남읍배추도둑 기존기술 단점. 보안수정된 기술이면 신기술이라고 불러도 무방하지 않나요? 왜 화가 나신건지...?

    • @해남읍배추도둑
      @해남읍배추도둑 Год назад

      @@2e546 우선 그 논리로는 절대 신기술이 될수없죠 ㅋㅋㅋㅋ논점흐리기 또는 포장밖에 안되는 말 아닙니까?
      영상제목이 신기술개발이었고
      고정댓에 다른분께서 아니 이게 왜 신기술이냐 기존에있는 기술 아니냐 뒷광고 아니냐 라는 댓글에 뒷광고하지않습니다 허위댓글시 고소할수도 있다 이런 댓 달고
      무슨 문제가 있는지는 말도 안하고
      25억이 절감된다와 다른 좋은 말만하고
      고정댓에 음이온 이온 건강에 나빠 퇴출된 기술 아니냐? 라는 댓글 1도 언급안하고
      제목바꾸고 고정댓도 이 후속기사로 바꿔버림

    • @2e546
      @2e546 Год назад

      @@해남읍배추도둑 저도 며칠전 대충봤었고, 각자가 생각하는 "신기술"이라는 정의가 따로 있을테니 부가설명할건 없고요.
      뒷광고 의심하는건 그것까지는 좋습니다. 간단하게 찾아본 결과 종합해서 말하면 허위사실은 맞죠. 일단 기술개발한 곳이 과기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입니다. 이 기술은 기술이전 단계에 있고, 우선 상용화하려는 곳이 지하철이면 공사입니다. 실제 25억 절감되는지 안되는지는 여러 공기관들이 평가하겠죠. 그러면 대체 어디가 누가 상업적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거죠? 여기서 제가 모르고 생각 못하는게 더 있나요?
      댓글에서 지적했던 과거기술에서 문제되었던 음이온과 오존문제. 검증은 더 필요하겠지만, 기존 문제점들 후속취재 및 한기연 자료보면, 대부분 설명한걸로 보여 더 말하건 없다고 보고요. 그래서 왜 화나신겁니까?

    • @해남읍배추도둑
      @해남읍배추도둑 Год назад

      @@2e546 도대체 어디서 화났다고 생각함?? 혹시 ..아닙니다

  • @eblichli5693
    @eblichli5693 Год назад +266

    필터를 쓰지 않는 것만으로도 대다수의 생활환경에 접목시킬 수 있는 기술인거 같습니다. 어서 민간에게까지 빠르게 보급되길 기원합니다.

    • @justpark2000
      @justpark2000 Год назад +18

      그냥 기존 나온 기술 재탕 한거에요 ;;; 이걸 왜신기술인것처럼 사기치는지

    • @MR-PARK337
      @MR-PARK337 Год назад

      뭔 개소리여. . 저기술 엄청 옛날전부터 있었어.
      이온공기 청정기. 필터 없고 안에 들어있는 쇠판에 미세먼지 달라붙고 그거만 딱아주는거.
      뭔 뉴스가 개똥같은 정보를 전달하냐.
      업체 홍보뉴스냐?
      돈받고 뉴스하냐?

    • @unnamed000
      @unnamed000 Год назад +24

      @@justpark2000 그러니까요 이러니 기래기 소리 듣지
      그리고 이미 민간용 제품 나왔다가 망했는데, 필터 교환 없는대신 전도판 1주일애 한번씩 씻어줘야하는데 더 귀찮음 오염도에 따라 청소 주기는 더 자주해줘야 하고
      또 저거 전기 먹는 하마임 1년 필터값 500만원 아끼겠다고 돈 더씀

    • @cbam990
      @cbam990 Год назад +11

      기사내용상. 짧은시간에 공기질을 올려줄 필요가있었고 필터가없기때문에 공기의 유량을 늘릴수있어서 개방된 다중이용시설에 적용하면 좋다...라는 내용인것 같네요. 덤으로 필터비용 절감도된다..라는거구요. 확실히 가정용으로 쓰기엔 배보다 배꼽이 클꺼같긴하네요, 그래도 기래기 소리 들을만한 내용은 아닌거같긴한데. 저런시설에 적용해서 앞으로 공기질 측정한다고 했으니. 어떻게 적용됬는지 후속기사는 잘내줘야 되겠네요.

    • @LKKVMD
      @LKKVMD Год назад +3

      이미 90년대부터 ISS나 우주왕복선등에서 쓰던 기술이에요
      그걸 상용화 했다 정도 ? 좀 너프된 방식으론 음이온 공기청정기들이 리스크는 크지만 저거의 맛보기 같은 기술입니다.

  • @호재-j7t
    @호재-j7t Год назад +154

    필터분야 발전이 너무 없었는데 좋은 소식이네요 산업용 필터쪽에도 사용가능하면 좋겠네요

    • @unnamed000
      @unnamed000 Год назад +5

      참고로 물자 수송이 어려웠던 우주정거장에서 사용하던 기술입니다
      일부 상용화된 가정용도 있지만 전기를 많이 먹고 필터역활을 하는 전도판을 자주 씻어줘야해서 많이 귀찮아요
      지하철 청소하시는 분들 고생이 많아질거 생각하니 조금 걱정입니다

    • @user-se7cp5iw3e
      @user-se7cp5iw3e Год назад +2

      이미 산업용으로 사용하는 기술임

    • @hclee5391
      @hclee5391 Год назад +1

      미세입자제거, 정전기제거, 순수물질내불순물제거등 너무많이 쓰이고 있음

  • @Iceland_Siglufjordur
    @Iceland_Siglufjordur Год назад +46

    저런 기술은 오존을 발생시키는 거로 아는데, 그 문제는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 @밍민지민
      @밍민지민 Год назад +3

      동감

    • @장비보고물약드립니다
      @장비보고물약드립니다 Год назад +1

      일단 다음세대에 바톤을

    • @Dtchbh
      @Dtchbh Год назад

      안발생한다 뭔소리지

    • @ieyakejae5390
      @ieyakejae5390 Год назад +1

      기존 집진기 방식은 금속 와이어 방식으로 하전을 했을때 큰 에너지를 줘야만 방전과 플라즈마가 발생하면서 공기분자의 결합을 분해할정도로 큰 에너지가 공급이 되어 라디컬과 오존이 발생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하전부에 마이크로 전도성 섬유를 사용해서 가는 섬유가닥에 적은 에너지를 가해도 방전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그래서 플라즈마 발생량이 매우 적고 섬유전극에서 튀어나온 전자는 공기분자에 붙는 수준의 적은 에너지만 공급된다고 합니다

  • @cholpark6265
    @cholpark6265 Год назад +129

    과거에는 오존 발생량이 너무 많아서 눈과 허파 같은 점막이 손상되는 사람들도 있었는데, 지금은 나아졌겠지만 먼지를 줄이고 오존이 늘어난다면 더 손해일테니 면밀한 검사와 평가가 요구됩니다.

    • @doom9344
      @doom9344 Год назад +26

      음이온의 문제는 오존도 올라가서 폐에 안좋음. ytn은 늘 짭기술 중소기업 홍보뉴스 잘 만듬 ㅋ

    • @DesFrog
      @DesFrog Год назад +16

      오존발생 때문에 서울에서도 시범설치했다가 직원들 항의로 안 쓰는 정전식 먼지포집기랑 얼마나 차이가 있는 설비인지?

    • @su-gyeomchoi8363
      @su-gyeomchoi8363 Год назад +12

      오존발생 얘기는 없고 뉴스가 자꾸 홍보방송이 되는건가요,..

    • @kimbobchunkook9950
      @kimbobchunkook9950 Год назад +3

      저도 아주 예전에 청풍에서 나온 음이온 방식 청정기를 사용했었는데, 오존 발생 문제도 그렇고 전극에 먼지가 달라붙으며 효율이 떨어져서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줘야 했었죠 결국 그 청소 인건비나 필터비용이나 큰 차이는 없을 것 같네요

    • @SimonYoo
      @SimonYoo Год назад +1

      @@kimbobchunkook9950 전기세까지 하면 오히려 돈이 더 많이 드는 기술입니다

  • @전성운-l2p
    @전성운-l2p Год назад +41

    저 방식이 예전에 오존 발생 위험있다고 했던 기술 아닌가요 ?

  • @errorwindows-1
    @errorwindows-1 Год назад +45

    이런 것에 모든 과학기술과 지원을 쏟아부어야 한다. 지금 전국이 미세먼지로 난리다.

  • @iromotnemem
    @iromotnemem Год назад +26

    과학은 정말 대단하네요.

  • @레오나르도-n9c
    @레오나르도-n9c Год назад +2

    음이온 문제로 현재는 거의 사용을 안하는걸로 아는데 무슨 신기술 인양 홍보를 하나?

  • @operonx
    @operonx Год назад +25

    음이온 발생 기술이 관건인데요. 기존에는 오존까지 발생하는 현상이 있어서 문제가 있었죠.

    • @ieyakejae5390
      @ieyakejae5390 Год назад

      기존 집진기 방식은 금속 와이어 방식으로 하전을 했을때 큰 에너지를 줘야만 방전과 플라즈마가 발생하면서 공기분자의 결합을 분해할정도로 큰 에너지가 공급이 되어 라디컬과 오존이 발생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하전부에 마이크로 전도성 섬유를 사용해서 가는 섬유가닥에 적은 에너지를 가해도 방전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그래서 플라즈마 발생량이 매우 적고 섬유전극에서 튀어나온 전자는 공기분자에 붙는 수준의 적은 에너지만 공급된다고 합니다

  • @cats_meows
    @cats_meows Год назад +58

    와.. 요즘 같은때에 너무 훌륭한 기술이군요~
    좀 궁금한 점은.. 어찌 댔던 필터링 된 먼지들이 어딘가에는 물리적으로 쌓이고 있을텐데 이게 어떻게 처리가 되는지 궁금하기도 하네요!

    • @노네임-l9d
      @노네임-l9d Год назад +3

      물로 씻어내서 자동으로 하수구로 흐르게돼요.

    • @_eevee_
      @_eevee_ Год назад

      ​​@@노네임-l9d럼 그 물은 바다로 가나요?? 어차피 하수도 정화하니까 괜찮은건가...

    • @박진호-u7k
      @박진호-u7k Год назад +13

      ​@@_eevee_ 너 똥싸면 그 물 바다로 직행하니?

    • @user-Javid-King
      @user-Javid-King Год назад +1

      @@박진호-u7k ㅋㅋㅋㅋㅋㄱㅋㅋ아낰ㅋㅋㅋ

    • @2e546
      @2e546 Год назад +1

      과거 기술은 물로 씻어내는 방식이고, 이번 기술은 진공청소기처럼 건식으로 흡입 제거된다고 합니다

  • @larer_
    @larer_ Год назад +66

    음전하를 발생시킬때 오존 등 ROS 가 많이 발생하지 않는지 확인이 필요할 것 같네요.
    음전하 성분을 외부로 뿌리지 않고 내부로 흡입한 공기를 음전하로 대전시키고 그대로 나오기 전에 양전극판에 흡착 시켜서 활성기체가 없는 상태로 내보내는 구조면 걱정이 덜 할텐데....
    구조를 저렇게 만든 이유가 있겠죠?

    • @Lee-fb6ch
      @Lee-fb6ch Год назад +2

      아마도 특별한 개조 없이 기존 정화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그런 거 같네요.
      영상에 보면 기존 정화기의 내부 구조는 필터만 제거하고 그 자리에 양전극판만 끼워 넣은 거라 개조가 필요 없고 정화기 위에 음전하 방생기만 얹어 따로 올려두었으니 새로운 정화기 제작과 교체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일 수 있지 않을까요? 500개 역사의 필터 교체만도 연 25억이라는데 정화기를 모두 새로 제작해 교체하려면 비용이 엄청날 거 같네요.

    • @ieyakejae5390
      @ieyakejae5390 Год назад

      기존 집진기 방식은 금속 와이어 방식으로 하전을 했을때 큰 에너지를 줘야만 방전과 플라즈마가 발생하면서 공기분자의 결합을 분해할정도로 큰 에너지가 공급이 되어 라디컬과 오존이 발생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하전부에 마이크로 전도성 섬유를 사용해서 가는 섬유가닥에 적은 에너지를 가해도 방전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그래서 플라즈마 발생량이 매우 적고 섬유전극에서 튀어나온 전자는 공기분자에 붙는 수준의 적은 에너지만 공급된다고 합니다

  • @정동진-z7e
    @정동진-z7e Год назад +10

    좋은기술이네요

  • @sanghoon21c
    @sanghoon21c Год назад +13

    기술은 기술자와 개발자가 개발하면 되고 인체 무해한가요?? 가습기 청소액처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요??
    3D 프린트 처럼 유용하지만 장기간 노출했으때 부작용 없는지 검증 필요할것 같네요

  • @jjshim1
    @jjshim1 Год назад +8

    오 멋진 기술이네요 잘 적용되길 바랍니다.

    • @SimonYoo
      @SimonYoo Год назад

      이미 나온지 오래된 기술이고, 성능유지를 위해 매우 자주 일일히 분해해서 청소해야 하며, 전기료가 필터값에 필적하게 나오는 기술입니다. 게다가 저 전하방식은 오존을 발생시켜 호흡기에 오히려 악영향이 있다고 확인되어서, 안쓰게 된 기술입니다. 신기술도 아니고, 그닥 좋은 기술도 아님

  • @킹갓제너럴-w8q
    @킹갓제너럴-w8q Год назад +2

    필터 비용은 더 줄었다 치고
    전기를 얼마나 쓰는지
    유해성은 없는지가 문제겠지

  • @yginkr
    @yginkr Год назад +6

    예전부터 있던 ESP방식인데 과연 비용대비 효과가 얼마나 좋을지...

  • @양성제-n4x
    @양성제-n4x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고생하셧습니다

  • @서래-t6t
    @서래-t6t Год назад +1

    캬 지렸다

  • @cdcd33cdcd7
    @cdcd33cdcd7 Год назад +188

    와 인류전체에 꼭 필요한 기술 입니다 !!
    너무 좋습니다!

    • @천궁-m9t
      @천궁-m9t Год назад +4

      나온지 오래인데요 ㅋ

    • @kanra80
      @kanra80 Год назад

      @@천궁-m9t나온지 2년정도되긴했지만 실제상용화는 이번이 처음아닌가요?

    • @doom9344
      @doom9344 Год назад +5

      음이온 공기 청정 기술이라고 나온게 이미 20년전이다. 문제는 음이온은 오존을 같이 발생시켜 폐에 안좋음.

    • @MR-PARK337
      @MR-PARK337 Год назад +6

      이건 뉴스가 아니고 업체에서 돈받고 광고 하는거여.
      뒷광고 뉴스.

    • @wyyeon
      @wyyeon Год назад +2

      인류 전체? 중국 한국 등 일부 말곤 미세먼지 별로 없어요 ㅋㅋㅋㅋㅋ

  • @ymbooby
    @ymbooby Год назад +3

    역시 우리나라 기술력은 탑이다~😊
    연구진님 기술자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

  • @피자왕-n7b
    @피자왕-n7b Год назад +46

    중요한건 음이온 발생시키면, 오존이 발생하는데
    오존이 발생하는걸 줄였다고 말은 하지만, 진짜 오존이 많이 발생 안하는지 제대로 검증을 해야함....

    • @bluelemon9434
      @bluelemon9434 Год назад +3

      위닉스 플라즈마제로 타워 출시하자마자 사서 지금껏 쓰구있는데
      너무 건강하다 ㅡㅡ
      공기청정기 사용중 발생하는 이상한 냄새가 플라즈마 웨이브 기능에서 나오는
      오존 때문에 나는 냄새는 아닌가요?

      오존은 사람이 생활하는 환경 어디에나 존재합니다.
      높은 산, 해안, 산림들의 공기에도 존재하며 우리가 상쾌하다고 느끼는 근원이 된다고 합니다.
      극장, 학교, 병원 등에서도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오존을 공기 정화 및 소독과 표백에도 사용합니다.
      다만 기준치 이상의 많은 양이 존재할 때는 오히려 불쾌감을 느끼게 하기도 합니다.
      위닉스 공기청정기 전 제품은 CA인증 시험 중 오존 방출량 시험 결과 0.01PPM 이하로 오존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편하다 느끼실 경우 고객님이 직접 제품에서 플라즈마웨이브 기능을 OFF 하신 후
      제품 사용 하시길 권장 드립니다.
      ※ 참고
      한국공기청정협회 CA인증 기준 오존발생 허용치 0.03PPM 이하임
      위닉스 공기청정기 시험 결과 0.01PPM 이하로 TR 표기됨.
      TR = TRACE(극소량) 줄임말
      서울시 최근 10년 오존농도
      서울시 오존농도는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나 (초)미세먼지,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등 다른 대기오염물질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오존주의보 발생 가능성이 높은 5월∼9월 중 오존농도와 기상과의 상관성 및 오존농도 기여인자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서울시 오존농도는 1995년 0.013 ppm, 2005년 0.017 ppm, 2015년 0.022 ppm, 2020년 0.025 ppm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오존농도가 높은 2020년 5월∼9월 중 서울의 월평균 오존농도는 0.031 ppm으로 최근 10년 평균(2010년∼2019년)인 0.029 ppm보다 높았으며, 특히 6월의 월평균 오존농도는 0.044 ppm으로 지난 10년간 월평균 농도 중 가장 높았다.

    • @bluelemon9434
      @bluelemon9434 Год назад +4

      @@danielkim8293 ㅋㅋㅋ 그래서 내가 죽었냐???? 2017년에 나온 제품인데 2023년 지금까지 6여년간 써가구 건강하구만 뭔 헛솔하노 원댓글자가 음이온 오존 걱정해서 쓰는 글이구만
      너 골이 아프냐???

    • @bluelemon9434
      @bluelemon9434 Год назад +3

      @@danielkim8293 시비까냐?

    • @bluelemon9434
      @bluelemon9434 Год назад +4

      @@danielkim8293 가습기 살균제랑 오존이 같디? ?

    • @gregory000
      @gregory000 Год назад +1

      @@danielkim8293 항산화 안되고 뭐좀 늙고 위험군이면 암좀 걸리고 그러는거지 뭐 백퍼 죽는건 전혀 아님. 내년에 죽는사람은 당근있지

  • @밤그림-y5e
    @밤그림-y5e Год назад +6

    고전압 단자를 통해 먼지에 극성을 주고 끌어당겨 정화하는 원리 자체는 이미 있는 걸로압니다. 공장 굴뚝에 사용하는 걸 시설안에 사용하는 형태로 개발했다는 점이 핵심인 것 같네요.
    그리고 승강장 초미세먼지 29면 좋음~보통 수준이라 차도 옆 공기보다 훨씬 깨끗할걸요

  • @gpjoy
    @gpjoy Год назад +3

    꼭 성공 하시길 빕니다. 정정기를 이용한 미세먼지 포집기술이 만들기는 쉽지만 상용화 시키는게 매우 힘든 일인데.... 남들보다 특화된 기술이시라면 보안에 신경쓰시고 대중교통에 많이 적용해주시길 바랍니다. 도로 중앙분리대, 도로 방음벽, 터널에도 안전하게 설치되었으면 좋겠네요. 포집에만 치우치지 않고 설치된 주변 환경의 변위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주변 생활 시설에도 같이 할수 있으면 좋겠네요. 꼭 뿌리기업이 되셨으면 합니다.

  • @jkk5232
    @jkk5232 Год назад +1

    이런 기술개발은 박수 받을만 하다!
    개발한다고 고생하셨어요 부자되세요^^

  • @VVWP
    @VVWP Год назад +1

    오존농도 딱 기준치까지 최대로 당겨 쓰나...

  • @스카이워커제주
    @스카이워커제주 Год назад +1

    정전기이용 또는 고압전기로 먼지 태우는 방법사용하것지

  • @o0v_v0o
    @o0v_v0o Год назад +24

    기존 공기청정기가 필터에 의존하는 방식밖에 없어서
    아쉬웠는데 좋은 시도네요.

    • @yginkr
      @yginkr Год назад +1

      오래된 기술이고 예전 삼성 공기청정기에도 쓰이던 방식입니다 최근제품은 왜인지 기능을 빼고 나오더라구요.

    • @김밥마리-o9x
      @김밥마리-o9x Год назад +5

      @@yginkr 저런 방식은 오존발생이 필연적이라
      가정같은 작은 공간에선 오히려 공기질이 악화될수도 있어서 그런듯여

  • @WooDong
    @WooDong Год назад +3

    플라즈마로도 만들어 주세요
    가정 집에도 필요 해요

  • @양현서-m1o
    @양현서-m1o Год назад +2

    요즘 계속해서 미세먼지 경보가 울릴 정도로 미세먼지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데 마침 기존의 필터를 이용하던 공기 청정 방식에서 벗어나 필터 없는 공기 청정 기술을 발전시켰다는 사실이 너무 멋진 것 같습니다.

  • @sh-ester
    @sh-ester Год назад

    정말 우리나라 연구진들 너무 대단하고 훌륭하십니다. 감사합니다 👍👍👍🇰🇷

  • @JonForest-ci5mg
    @JonForest-ci5mg Год назад +1

    그럼 달라붙은 먼지는 어디로 가는데?
    인에 쌓이는 건가?

  • @김복겸-o2b
    @김복겸-o2b Год назад +8

    너무 좋다... 얼른 실용화돼길 바래봅니다

  • @stomsvin9257
    @stomsvin9257 Год назад

    빠르게 상용화 되기를
    바랍니다
    연구진.개발진
    미리 감사합니다

  • @turbo-s9178
    @turbo-s9178 Год назад +4

    얼른 가정에서까지 하루빨리 상용화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kkkim2320
    @kkkim2320 Год назад +49

    반도체에 쓰던 기술인데, 전전자로 인한 발암율도 점검해야한다. 반도체 공장처럼 혈액암 등을 유발할 가능성 있음

    • @robinjs_
      @robinjs_ Год назад +4

      지나가던 이과인데, 근거없는 불안감 조성 하지 맙시다 ㅋㅋ 전기장으로 먼지잡는건데 뭔 뜬금없는 혈액암 ㄷㄷ

    • @훈수장-h5c
      @훈수장-h5c Год назад +1

      이런게 48추천 ㄷㄷ

    • @이윤건-i6v
      @이윤건-i6v Год назад +1

      [속보]정전기로 암걸려!

  • @banpei0127
    @banpei0127 Год назад +4

    오존 발생 어쩔거임?
    물리적 오염을 없애려고 생화학적 오염을 얻는건가?

  • @giannay9952
    @giannay9952 Год назад +1

    마이너스 성질을 띤 전자가 어떻게 발생해서 나오는건가요..? 인체에 무해한지, 검증되었는지 궁금합니다.

  • @카레마스터-r1p
    @카레마스터-r1p Год назад

    이런 분들이 세상을 더 살기 좋게 만든다

  • @paloma184
    @paloma184 Год назад +1

    전에 청풍공기청정기로 한참 유행하다가 오존때문에 사라졌는데, 그문제는 해결한건지..

  • @남냥이-c6o
    @남냥이-c6o Год назад

    이런 노력들 정말 좋다~!

  • @ersione
    @ersione Год назад +1

    와...멋진 기술 좋네요
    근데 저기 달라붙은 먼지는 어떻게 처리하나요?
    궁금하네... 빼서 털거나 해야하나..?

  • @taewonseo1823
    @taewonseo1823 Год назад +3

    가정용으로도 개발해줘요

  • @neoeobz
    @neoeobz Год назад

    1:10 논리설명 부분. 과학적 사기가 아닐까요? 음전하가 나와 먼지에 붙고 양전하 필터에 붙는다. 로 요약할 수 있는데요.. 집진 능력 좋아졌다고 봐도 집진기에 먼지는 무한이 쌓일 수 있나요? 차이점 부분이 설명이 중요하고 이미 전기 집진 방식 이미 사용하고 있지 않나요? 음전하 부분을 좀 더 분리 한 차이로만 보이고 음전하 처리한 먼지가 강제 흡입 되어야 되는 건데요. 차라리 사이클론 집진 방식을 효과적으로 개선한 다있서 청소기가 먼지 막힘으로 성능 저하 없이 더 오래 사용할 것 같네요. 단순 필터 방식보다는 유용할 수 있으나 이미 상용화되어 있고 유사 변경으로 개발호도하지말고 같은 유사 같은 기능의 제품과 비해야 할 것 같네요.

  • @user-rg8vx4cx7n
    @user-rg8vx4cx7n Год назад

    가정용으로는 언제발전될까요?
    공청이 우후죽순 늘어나는게 필터값으로 먹고살기때문이거든요

  • @Hyeon2662
    @Hyeon2662 Год назад +1

    원래 있던 기술 아닌가요 음이온 방식 단점은 초미세먼지는 거르기 힘들다는것....

  • @kbsmd0
    @kbsmd0 Год назад +4

    아주 예전에 비슷한 원리로 청정기를 만든게 있었는데 그 장치는 미세먼지를 태워 버렸었죠. 근데 미세먼지를 태워 더 작은 미세먼지로 만드는건 아닌지 걱정입니다.
    부디 안전성 여부 꼭 확인 부탁드려요.

    • @내가니형이다
      @내가니형이다 Год назад

      오존 나오는 방식임
      청풍이 수십년전부터 만들어 팔다 망했지.
      오존 만들어지니까

  • @Loveteeth
    @Loveteeth Год назад +2

    재철소,화력발전소같은데 좋을듯
    도시곳곳에 미세먼지탑 세우면 상징성도 좋을듯

    • @LKKVMD
      @LKKVMD Год назад +1

      화력발전소에선 전기식 집진기 진작부터 쓰고있습니다.
      저게 가정용으로 상용화 안되는건 가정에서 쓰기엔 전기를 너무 많이먹고 감전되면 플라즈마를 이용하기에 엄청 높은 고전압이라 걍 끔살이기 때문입니다.
      추가로 찾아보니 ytn보다 자세하게 설명한곳이 있는데
      저 방식은 필연적으로 오존이 발생합니다.
      기존에 산업용에서 쓰이던 방식은
      오존 발생량이 15ppm이나 이번건 5ppm으로 줄였다
      라는 정도가 가장 큰 개선점인거 같더군요
      그 외에는 거의 기존 있던 기술들 인거 같습니다.

  • @더워욧
    @더워욧 Год назад +5

    이 기술을 몽골이나 중국에 알려주고 그 두 곳의 공기 질을 먼저 바꾸면 우리나라는 이런거 설치안해도 갠춘하지 않을까싶습니다

    • @stms4331
      @stms4331 Год назад +1

      중국은 단교

    • @user-yongoo
      @user-yongoo Год назад

      중국에 알려주면 고대로 지들이 기술 써먹고 지들꺼라고 선언할듯

  • @tvkyeongseonlee4954
    @tvkyeongseonlee4954 Год назад +2

    좋네요. 쬐그만 제품은 이런게 있었는데 대형화가 되었네요. 굿굿!!! ㅎㅎ

  • @user-gorani-b1b
    @user-gorani-b1b Год назад

    와 최고네요

  • @par953
    @par953 Год назад

    이건 앞으로 공청기 뿐 아니라 에어컨,히터에도 적용가능하다 너무 좋네

  • @류류천
    @류류천 Год назад

    어찌됐던 포집을한 먼지들은 어찌 처리하는지 등의 문제등은 어찌될까요...?

  • @beanOdri
    @beanOdri Год назад

    공기중에 있는 산소를 이용해 음이온을 생성하는 기존 기술을 활용한건데,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오존발생에 대해서는 기준치 이하로 검증된 부분인가요?

  • @god-v6s
    @god-v6s Год назад +1

    +에 붙은 먼지 등은 어떻게 처리하는 지도 보도해야 기사 아닌가?
    어디로 보내고 어떻게 처리하는데? 물로 씻어? 밖에 털어? 무슨 기사가 반쪽이야!!!

  • @terrychoikorea114
    @terrychoikorea114 Год назад +1

    뒷광고 뉴스의 특징,
    개발했다고 뉴스만 나오지
    샹용화된걸 본적이 없음.

  • @Noname-ju9vm
    @Noname-ju9vm Год назад +3

    어쨌든 미세먼지가 청정기에 달라붙으면 달라붙을 공간을 소모하는데, 기능저하가 하나도 없다는게 신기하네요.

  • @plan7733
    @plan7733 Год назад

    한국의 희망은 천재 연구원이 많다는 것이다. . .진심 멋지세요.

  • @infernorex7717
    @infernorex7717 Год назад

    음이온 이면 살균 효과 있지 않나요??인체에는 무해 한건가요??

  • @user-ff8vo7bq2p
    @user-ff8vo7bq2p Год назад

    응원합니다

  • @Dlores-k6f
    @Dlores-k6f Год назад +1

    아니 무슨 스크린 도어도 있는 나라가 저렇게 호들갑을 떠냐 뉴욕 지하철 한번 타봐야 아 이게 진짜 미세먼지구나 하지 ㅋㅋㅋㅋㅋ

  • @Drakan0810
    @Drakan0810 Год назад

    하여튼 똑똑하다. 가정용으로는 부적합한가 궁금하네요. 공동주택 환기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한지 궁금.

  • @jyseo
    @jyseo Год назад

    전기집진기 검색해보니 먼지가 쌓이면 꺼내서 세제 담그고 고압수로 세척을 해야하네요 필터값보다는 세척하는게 돈이 덜드나요??

  • @해리어
    @해리어 Год назад

    미세먼지에 결합된 음전자가 양전자에 붙어서 걸러낸다고 하셨는데......양전자쪽에 붙은 먼지들은 결국 쌓일텐데.....그것도 씻어내든지,닦아내던지 해야하는건 아닌지요? 기존 필터가 필요없는건 이해했지만 .......설마 먼지가 사라지는건 아닐테죠?

  • @QK100
    @QK100 Год назад +8

    건물마다 다 설치했으면 좋겠네요

  • @금별불
    @금별불 Год назад

    과거 유행하던 전기집진식일텐데 한동안 왜 판매 중지되었을까?

  • @johnha7067
    @johnha7067 Год назад

    원래있던 전기집진방식인거 같은데.. 필터가 없다뿐이지 또다른 유지보수가 필요하겠죠

  • @fxanXnan1Xn1
    @fxanXnan1Xn1 Год назад

    1:56 근데 왜 계산을 저렇게 하죠? 이 새로운 기술은 설치, 유지 비용이 0 원인가요? ㅎㅎ

  • @TV-kz5us
    @TV-kz5us Год назад +1

    달라붙은 미세먼지는 어떻게 제거하죠?

  • @popcat1216
    @popcat1216 Год назад +1

    내가 예상했는데 정전기같은원리로 할줄 알았는데 적중 ㄷㄷ

  • @극진도
    @극진도 Год назад

    와 필터 시키는거 청소 교체 등등 귀찮은데 어서 나왔으면 좋겠네요

  • @ej8002
    @ej8002 Год назад +3

    가정에서도 사용할수 있기를 바래요..

    • @justpark2000
      @justpark2000 Год назад +3

      가정에서 사용하면 고전압으로 누전사고 나면 바로 뒤져요 생각도 마셈
      고전압 방전기술로 50년도 더된 기술임 안전사고 문제 때문에 산업용으로 쓰는거지

  • @우명호-v1m
    @우명호-v1m Год назад

    걸러지는 먼지 크기가 어디까지인지 궁금하네요
    일반필터에 비해 유지보수 절감에는 유리하지만
    미세먼지 나 초미세먼지 까지 걸러질까요?

  • @bluelag0on
    @bluelag0on Год назад

    되게 좋은 개발입니다
    서울 지하철에도 어서 설치가 됐으면 좋겠어요

  • @김태윤-b8o9w
    @김태윤-b8o9w Год назад

    기존에 있건 기술은 음이온 생성되는 과정에서 오존이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건 어떤지 알고싶네요 오존도 위험한데... 이건 아니겟죠??

  • @L33H1
    @L33H1 Год назад

    필터가 없다는건 이해하겠는데, 그럼 기기 청소만으로 유지보수가 가능하단건가?
    걸러진 미세먼지들이 어딘가에는 축적될텐데 그걸 어떻게 관리한다는거지?

  • @villiv00001
    @villiv00001 Год назад +11

    ㅎㅎㅎㅎ 이거 아주 예전 공기청정기 엄청 비쌌던 시절의 방식입니다. 같은 방식의 구형 공기청정기를 좀 대형화 한건데 무슨 신기술이라도 나온양 기사를 만드셨네요. 달라붙은 먼지 주기적으로 물청소 해줘야하는게 매우 불편해서 지금의 필터방식으로 바뀐겁니다. 필터방식이 교체도 편하고 효과도 훨씬 확실합니다.

    • @지붕위의기병
      @지붕위의기병 Год назад

      그러게요 20년 전에도 있던 기술인데;;;;;;;;;

    • @shlee5261
      @shlee5261 Год назад +1

      아무리 옛날에 나온 기술이라도, 그걸 실용으로 써먹을 수 있을 정도로 개선하는 것도 훌륭한 연구 성과임.
      님이 뭐안다고 정출연급 연구를 내리깜? 님 뭐 됨? 석사라도 땄음? 논문 한편이라도 써서 투고라도 해봤음?

    • @onnya4753
      @onnya4753 Год назад +1

      연구자들이 그걸 모르고 한것같진않고, 문제점들을 개선해서 내놓은게 아닐까요

  • @194-p2n
    @194-p2n Год назад +1

    필터 교환하려면 너무 비샀는데 좋은소식이네

  • @rkdxrkd
    @rkdxrkd Год назад

    궁금해서 물어보겟는데 전자흐름이 전류아님?
    전위차생겨잇다는거라면 정전기 안일어나나요

  • @skrkfp
    @skrkfp Год назад

    이게 공기를 빨아들이고 그 빨아들인 안쪽에서 오존을 발생시켜 미세먼지를 포집 포집된 미세먼지와 결합된 오존을 공기를 빨아들이고 있는 와중에 오존과 미새먼지를 같이 다시 기계 안쪽에서 포집하고 나서 남은 깨끗한 공기만 내뱉는다면. 예전 오존 보내던 공기청정기 보다 좋은 기술인데. 제대로 오존을 포잡 못하고 공기랑 결합된 상태로 같이 내보내면 그냥 예전 쓸모때기 없는 공기오염기랑 다를시 없는거고 정확히 어느정도 성능인데?

  • @mixpixmixable
    @mixpixmixable Год назад

    음전하를 내뿜는건 부방전을 이용하는거 같고.. 기존 전기집진을 미세먼지 제거에 쓴거 같은데 부품교체가 필요할텐데.. 집진판에 미세먼지가 계속 달라붙으면 기계 끄고 집진판도 털어줘야되고 음전하를 내뿜는 전극도 교체를 해줘야될텐데.. 부방전 사용하는거면 오존도 나오고..

  • @Fidelio20
    @Fidelio20 Год назад

    음이온 공기청정이랑 어떤면이 다른거지?

  • @옥수수-d7s
    @옥수수-d7s Год назад

    상용화해서 집에서도 쓸수있게 보급하면 좋겠네요!

  • @LikeWoz
    @LikeWoz Год назад

    저게 기존의 정전집진 방식과 무엇이 다를까요
    기존 빙식은 오존이 발생해 눈과 피부 점막에 자극을 주고, 폐포를 상하게 한다는 연구가 있었는데 그것과 무엇이 다른지 궁금하네요

  • @AlphaGo27
    @AlphaGo27 Год назад

    필터 관련은 지금까지 개발을 못한게 아니고, 개발을 안한건데...
    다른 가전과 다르게 공기청정기는 만들기도 쉽고, 필터값이라는 유지비용이 계속 들어가니 기업 입장에서는 고정 비용을 계속 받으니까.

  • @zestyxz
    @zestyxz Год назад

    오존 때문에 버렸던 기술을 다시 꺼낸건 이유는? 개선 된건가?

  • @와이낫-g7n
    @와이낫-g7n Год назад

    음이온방식은 예전부터 있던 방식인데
    이거 몸에 안좋아서 대부분 지금 적용 안되고 있는거 아닌가?

  • @5-tz8cb
    @5-tz8cb Год назад

    지하철같은 환경에는 최고겠네 와 너무 대단한 일을 해내셨네요 멋집니다

  • @oglego1019
    @oglego1019 Год назад

    대전 기술인가?
    왜 대전에.먼저 설치했지?

  • @user-ci4dg7xg3d
    @user-ci4dg7xg3d Год назад +1

    계속 쌓인 먼지는 어케 치워짐??

  • @flythecloud
    @flythecloud Год назад

    상용화 가능성은 몇% 인가요?

  • @TV-gy6cx
    @TV-gy6cx Год назад

    달라붙은 먼지는 그냥 비우기만 하는건가요?

  • @pookika7878
    @pookika7878 Год назад +2

    필터를 제거하는것도 좋지만,
    중국을 제거하는게 가장 좋을거 같아요

  • @kangsimchan
    @kangsimchan Год назад +3

    역시 대한민국 엔지니어 최고

  • @빨간망토챠차
    @빨간망토챠차 Год назад

    문제는 포집 된 먼지를 누군가는 청소를 해야할텐데 그거 청소하는 비용은 생각안하냐? 청소비용나 필터 교체비용이나 큰 차이 없을껄

  • @siso707
    @siso707 Год назад

    내 먼지 어디 갔지? 쌓인 먼지는 어디로 가는가요? ㅠ

  • @쿠x용
    @쿠x용 Год назад

    먼지가 달라 붙으면 그먼지는 어케 처리함?

  • @jinsim1004
    @jinsim1004 Год назад

    므찌따!

  • @pjwook626
    @pjwook626 Год назад

    그래도 어딘가에 모인 먼지는 제거하려면 청소기 필터든 뭐든 또 써야되는거 아닌지?

  • @해바라기-w1m
    @해바라기-w1m Год назад

    괜찮네 꼭 상용화 되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