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물리1 04H기본힘 / 약력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인하대 물리학1 4강 운동 법칙/힘의 법칙
    H. 기본힘/약력
    약력에 대해 어떻게 알게 됐는지, 약력은 무엇인지 설명한다.

Комментарии • 44

  • @junainoakuma
    @junainoakuma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 교수님 수업 정말 이해가 쉽습니다

  • @음미음미
    @음미음미 Год назад

    중학교 2학년인 나는 언제 이걸 다 이해할 수 있을까..ㅠㅠ

  • @두번은없다
    @두번은없다 2 года назад +2

    저는 물리에 문외한 입니다만 물리와 우주에 관심이 많습니다. 선생님의 강의가 전부 이해되지는 않습니다만 올려주시는 영상들 보고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TKLee0301
      @TKLee0301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해 안 되는 게 당연합니다. 이해를 위한 강의가 아니라, 열거식 강의, 주입식 강의라 아쉽습니다. 이는 비단 차 교수님 강의만의 문제가 아니라, 오늘날 대다수 학계에서 경험되는 바라, 안타깝습니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에 걸맞게 인터넷을 통해 관측자료를 마음껏 열람하실 수 있으니, 자가학습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 @JunTube-c8e
    @JunTube-c8e 3 года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한스-j5p
    @한스-j5p 3 года назад +1

    5:14 이 부분에서 두 입자가 있을 때 한 입자가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나오면 나머지 입자가 조금 나오는 상황이 에너지값을 연속적으로 나오게끔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dcha
      @dcha  3 года назад

      방사성 붕괴와 같이 미시세계에서 일어나는 반응의 반응 전과 반응 후의 총 에너지는 보존되어요. 원자핵의 높은 에너지 상태에서 낮은 에너지 상태로 변하면서 입자 하나가 나오면 그 입자가 가지고 나오는 운동에너지는 원자핵의 두 상태 에너지 차이와 같아야 에너지 보존이 성립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두 입자가 나오면 원자핵의 두 상태 사이의 에너지 차이를 두 입자가 나눠 갖고 나와서, 예를 들어 원자핵 두 상태의 에너지 차이가 10이면 두 입자 A와 B가 1+9 로 에너지를 나눠 갖고 나올 수도 있고 2+8, 3+7, .....식으로 나눠 갖고 나올 수가 있어요. 베타 붕괴의 경우 두 입자중 하나는 관찰되지 않고 한 입자만 관찰되어서 처음에는 B가 1, 2, 3, ... 등 바뀌는 에너지를 갖고 나오는 것이 이상했던 것이어요. / 두 입자가 에너지를 연속적으로 갖고 나오게 하는 것은 아니고, 두 입자가 어떤 비율로 에너지가 배분되어야만 한다는 조건이 없어서 그렇게 되는 것이지요 / 멤버십 새로 가입한 것을 환영합니다 !!! 자주 댓글과 질문 올려주세요 !!

  • @songlee498
    @songlee498 2 года назад

    어이 차교수 강의할때 유선 마이크 써서 강의하게 거 소리가 붕붕 떠서 잘 안들리네

    • @dcha
      @dcha  2 года назад +1

      미안합니다!!! 최근 녹화에서는 고급 유선 마이크를 이용하고 있어요. 음질이 좀 더 좋아야 할텐데 ...

    • @김찬-y5g
      @김찬-y5g Год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ㅠ 너무하시네요

  • @seiljang352
    @seiljang352 3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교수님, 멋진 강의 감사합니다! 추가 질문이 있는데요, 원자폭탄이 폭발할때는 원자핵의 쪼개짐을 통한 강한핵력이 나오고 강한 방사능을 통한 약한핵력이 나오며 마지막으로 강한 빛 섬광이 나오는 전자기력 이렇게 3가지 힘이 동시에 발생되는 것이 맞나요?

    • @dcha
      @dcha  3 года назад +2

      힘은 나오거나 발생하는 것이 아니어요. 힘은 계속 작용합니다. 4강을 다시 복습해보세요. 핵분열이 일어나면 에너지가 나오고 그렇게 에너지가 나오는 가장 큰 이유는 핵력 때문인 것은 맞아요.

    • @seiljang352
      @seiljang352 3 года назад +1

      @@dcha 네 교수님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4강도 복습하겠습니다!

    • @songlee498
      @songlee498 2 года назад

      발생이란 것은 없던 것이 새로 생겨나는 것을 발생이라 하는 것이야 핵력이든 약력이든 원래 있었던 것이야 새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란다

  • @lord1road729
    @lord1road729 4 года назад +3

    약력은 방사성원소에서만 관측되나요?

    • @dcha
      @dcha  4 года назад +2

      방사성 원소에서는 자연 방사능 붕괴가 관찰됩니다. 자연 방사능 붕괴란 알파붕괴, 베타붕괴, 감마붕괴 세 가지를 말합니다. 학자들이 베타붕괴가 일어나는 원인에 약력이라는 이름을 붙였지요. 베타붕괴가 그래서 약력의 존재를 처음 알게해준 현상입니다.

    • @lord1road729
      @lord1road729 4 года назад

      @@dcha 감사합니다

  • @kimchanghyun9512
    @kimchanghyun9512 3 года назад

    10:05 교수님 매개입자를 교환하는 그림은 어떻게 읽으면 돼요? 양쪽 화살표 방향대로, 아래쿼크랑 전자 중성미자가 매개입자를 주고 받고 아래쿼크는 위쿼크로, 전자 중성미자는 전자가 됐다는 건가요? 아니면 알려주신 베타- 붕괴처럼 아래쿼크만.... 음.. 입력(?) 되고 나머지를 결과로 읽으면 되는 건가요?

    • @dcha
      @dcha  3 года назад +1

      어떤 방향으로 읽더라도 다 맞아요. 다시 말하면 아무렇게나 읽더라도 그 도표에서 말하는 보존법칙만 위반하지 않으면 다 맞는 설명이 되어요.

    • @kimchanghyun9512
      @kimchanghyun9512 3 года назад

      @@dcha 오오 대박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ㅎㅎ

  • @최락준-p8d
    @최락준-p8d 2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혹시 모든 힘은 작용하는데 시간이 걸리나요?
    또한 약력이나 강력과 같은 핵력의 작용을 장이론으로 설명하나요?
    혹시 모든 힘의 작용을 장이론으로 설명하나요?

    • @dcha
      @dcha  2 года назад

      힘이 작용하는데 시간이 걸리냐는 질문은 매우 어려운 질문이어요. 그것을 알고 싶은 문제가 무엇이냐에 따라 답이 다를 수 있어요. 힘을 장이론으로 설명한다는 것은 힘의 동작원리를 설명한다는 의미이어요. 네 가지 기본힘 중에서 만유인력을 제외한 세 가지가 동작하는 원리는 장이론으로 설명합니다. 중력은 일반 상대성이론으로 설명해요.

    • @최락준-p8d
      @최락준-p8d 2 года назад

      @@dcha 답이 다를 수 있다는 게 어떤 말씀이신건가요??

    • @dcha
      @dcha  2 года назад +1

      @@최락준-p8d 예를 들어 야구방방이가 야구공을 치는 힘이 작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묻는 것인지 아니면 원자에서 원자핵과 전자 사이에 힘이 작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묻는 것인지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지요. 다시 말하면 "모든 힘은 작용하는데 시간이 걸리나요"라는 식으로 묻는 것은 엄밀한 질문이 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그보다 왜 그런 질문을 하는지 아는 것이 답을 하는데 필요해요 ~~.

  • @문성환-p4v
    @문성환-p4v 3 года назад

    제가 고등학교 1학년인데 핵융합에 대해서 잘 이해가 안됩니다. 질량차이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 이해가 잘 안가네요. 단순하게 질량 차이로 인해서 에너지를 방출한다는 것은 아무리 고민해봐도 틀린 표현 같아서요. 어려운 용어 사용하셔서 설명 해주셔도 되요.

    • @dcha
      @dcha  3 года назад

      이 강의는 핵융합을 설명한 강의가 아니어요. 다음 강의를 들어보고 이해되지 않는 부분 있으면 다시 질문하세요 ~~. blog.naver.com/dcha/222099598207

    • @문성환-p4v
      @문성환-p4v 3 года назад

      @@dcha 일단 그냥 교수님 강의 보이는거에 질문한거에요 주제에 어긋났다면 죄송합니다

    • @dcha
      @dcha  3 года назад

      @@문성환-p4v 이 강의의 어느 부분에 대한 질문인지요? 찾기가 힘들어요. 구체적으로 알려주세요 ~~.

    • @문성환-p4v
      @문성환-p4v 3 года назад

      @@dcha 선생님의 핵융합 강의를 듣고 완벽히 이해가 됬어요. 감사합니다

  • @kimchanghyun9512
    @kimchanghyun9512 3 года назад

    댓글 읽다 보니 저도 궁금해지는데요, 에너지 상태에 따라 양성자가 더 무거운 중성자로 바뀌는데,
    음 애초에 베타+붕괴 같은 경우 당연하게도 질량 보존법칙을 만족하나요?

    • @dcha
      @dcha  3 года назад

      아니오. 질량 보존법칙이란 원래 물리에 없어요. 질량에 관한 내 강의들이 있어요. 한번 들어보세요. blog.naver.com/dcha/222210080919

    • @kimchanghyun9512
      @kimchanghyun9512 3 года назад

      @@dcha 감사합니다 :)

  • @roadmap-maetan
    @roadmap-maetan 3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감마선의 에너지 값과 알파선의 에너지 값이 불연속적인 이유가 정해진 에너지 준위사이에서 나오기 때문이라고 하셨는데요... 여기서 정해진 준위는 무엇인가요??
    정확히 알파선과 감마선이 왜 불연속적인 에너지를 갖는지 모르겠습니다ㅠㅠ

    • @roadmap-maetan
      @roadmap-maetan 3 года назад

      아 이제 감마선이 왜 불연속한 에너지 준위를 갖는 지는 알 것 같습니다!

    • @roadmap-maetan
      @roadmap-maetan 3 года назад

      그런데 아직 알파선이 불연속한 에너지를 갖는 이유는 잘 모르겠어요ㅠㅠ

    • @songlee498
      @songlee498 2 года назад

      이해가 안되면 일단 외워라 훗날 그런 현상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 @김명박-t4q
    @김명박-t4q 3 года назад

    지금설명자는 약력을 설명한다 아인슈타인도중력을제외한3대힘은규명할수 있다고했다 그는 통일장 완성을위해 전생을 투자했지만 실패했다 그는솔직히고백했다 중력이 무엇인지 기초부터모르겠다

    • @김명박-t4q
      @김명박-t4q 3 года назад

      중력을 지배하고 응용하며 사용할수있다면 21세기는 과확적 혁명의 세기가 될것이다 왜 중력을 강조하느냐 하면은 과학자자신들이 먼저 잘알고 있기때이다 이것 해결되면 시간여행 성간비행 모두해결되기때문이다 두사건 충격적이지않나?

  • @kimchanghyun9512
    @kimchanghyun9512 3 года назад

    메존이 곧 보손인가요?

    • @dcha
      @dcha  3 года назад +2

      아니오. 메존은 보존이다는 맞는 말이지만 보존은 메존이다는 틀린 말이어요. 메존은 보존에 속해요.

    • @kimchanghyun9512
      @kimchanghyun9512 3 года назад

      @@dcha 감사합니다 ㅎㅎ 이번 주제 질문 좀 많을 것 같아요.. 양해 부탁드립니다..일단 최대한 혼자 고민해보고 질문 올리겠습니다!

    • @dcha
      @dcha  3 года назад +2

      @@kimchanghyun9512 주저 말고 질문 생기면 바로바로 올리세요 !!!

  • @asdjkl3467
    @asdjkl3467 5 лет назад +1

  • @아벨-i2i
    @아벨-i2i 4 года наза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