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영화 : 광해, 왕이된 남자(2부)-광해군의 비선 실세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97

  • @joonyoungyoo8976
    @joonyoungyoo8976 6 лет назад +8

    굉장히 많이 배웁니다. 특히 근사한 말을 나열해서 감동을 유발하기 보다는 사료에 입각해서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이 많이 와 닿습니다.

  • @조문기-d2e
    @조문기-d2e 6 лет назад +2

    국사책에서 보지 못했던 내용들이 많이 나와서 객관적으로 생각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고맙습니다.

  • @정리나-y2q
    @정리나-y2q 6 лет назад +4

    너무 재밌어서 계속보다보니 새벽4시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학교가야되는데 으엉 ㅠㅠ 전달력 최고에요.

  • @노채균0108
    @노채균0108 7 лет назад +2

    선생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올 한 해도 명강의 부탁드려요. 받기만 하는 것 같아 항상 미안한 마음이 있네요. 감사합니다

    • @김영준-e2v
      @김영준-e2v  7 лет назад +1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ㅋㅋ

  • @2rm730
    @2rm730 7 лет назад +3

    영상 재생 전에 나오는 광고 끝까지 다보고 있습니다! 💪

  • @이상운-j4e
    @이상운-j4e 7 лет назад +2

    역시 김영준 선생님 강의 감사하구여 더 잘 강의 열심히 들을게여

  • @sundongpark5113
    @sundongpark5113 6 лет назад +2

    정말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파이팅!

  • @집에쌀이없어
    @집에쌀이없어 7 лет назад +4

    건승하는 한해 되세요 건강하시구요~^^
    김영준 선생님 넘좋아~;;;

    • @김영준-e2v
      @김영준-e2v  7 лет назад +1

      건승하는 새해 되시길 바랍니다^^

  • @도매니저-f4g
    @도매니저-f4g 6 лет назад +3

    강의가 너무 재미있어서 구독하고 갑니당 :)

  • @멋진훈이-w7v
    @멋진훈이-w7v 5 лет назад +1

    와. 재밌다 ㅎㅎ 처음에 조선역사의 기초좀 배울려고 술이부작 선생님 알게되었는데 그거 다 듣고 다른 심층적인거
    들으니까 더 재미있고 역사에 관심이 생기네요 ㅎ 좋은것중에 한쪽에 치우치지않은 선생님의 판단이 제일
    보기 좋습니다. ㅎ 감사합니다

  • @미쉘몽쉘-i4v
    @미쉘몽쉘-i4v 7 лет назад +2

    새롭게 알아갑니다! 슬픈얘기지만? 넘넘넘 재밌어요 ㅎㅎ 새해복 많이받으세용!!^^

    • @미쉘몽쉘-i4v
      @미쉘몽쉘-i4v 7 лет назад

      아, 광해군의 개인사가 슬픈얘기란 이야기입니다

    • @김영준-e2v
      @김영준-e2v  7 лет назад

      넵 개인사는 참 슬프죠ㅋ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슬픔이여안녕
    @슬픔이여안녕 7 лет назад +1

    오늘날 역사가 수능뿐만이 아니라 공무원시험이나 대기업 입사시험의 필수과목이 된 것은 역사적 사실을 아는것을 너머 그것이 주는 교훈과 반성을 통해 미래를 올바르게 개척해나가야 한다는 취지인 것 같습니다. 제가 김영준 선생님의 강의를 애청하는 이유도 바로 이것입니다.^^ 단순히 우리에게 역사적 사실만을 강의 해주시는것을 너머 그것을 역사학자로서 냉정하고 올바른 잣대로 해석하고 그 의미를 자연스럽게 알아나갈 수 있게 해주시는 점이 너무 좋네요~^^ 영화나 드라마에서 주로 의인으로 표현되었던 광해라는 인물도 역사적 사실을 통해 올바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끔 해주신 점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선생님의 강의 들으면서 의미있는 역사공부 하겠습니다^^

    • @김영준-e2v
      @김영준-e2v  7 лет назад +2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그런데 저는 역사학자는 아니고 그냥 역사가입니다^^ 양자의 차이가 어떻게 되냐고요? 역사학자는 박사학위까지 따고 대학교수 내지는 연구원이 되야 하지만 역사가는 역사적 통찰력만 있으면 누구나 될 수 있습니다. 저는 그러한 역사가를 지향하는 인물입니다. 감사합니다^^

  • @molonlabe2477
    @molonlabe2477 7 лет назад +2

    유독 조선사 인물들에게는 극단적인 평가가 많더군요 그런의미에서 균형잡힌 강의를 하신다고 봅니다

    • @김영준-e2v
      @김영준-e2v  7 лет назад +3

      이게 다 일제시대 영향이지요. 아무래도 일제시대로 넘어가기 전 왕조가 조선이다보니 이래저래 극단적인 평가를 받을 수 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이건 조선만 그런게 아니라 일본의 에도막부, 중국의 청제국, 프랑스의 부르봉 왕조 등도 다 비슷한 처지이기도 합니다

  • @이호철-g4e
    @이호철-g4e 7 лет назад +6

    광해군의 새로운면을 배웠네요...
    그리고 비선실세는... 작금의 현실이랑 똑같네요.. 최씨... 우씨...
    어떻게 저리 똑같이 되풀이 되는지..
    광해.. 당분간 제가 혼란에 빠지겠네요..

  • @rkwkrkwkrkwkrn
    @rkwkrkwkrkwkrn 6 лет назад +3

    뀰잼영상 감사합니다. ^^*

  • @akslffk
    @akslffk 7 лет назад +3

    감사합니다!

    • @김영준-e2v
      @김영준-e2v  7 лет назад +3

      Satjje-Addle 감사합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akslffk
      @akslffk 7 лет назад +1

      교수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2rm730
    @2rm730 7 лет назад +2

    후일에 흥선대원군에 대한 강의도 해주시면 참 좋겠어요.
    흥선대원군의 이야기가 참 재미있더라구요.

    • @김영준-e2v
      @김영준-e2v  7 лет назад +2

      언젠간....쿨럭... 다룰 날이 오겠죠?

  • @davidpak7267
    @davidpak7267 7 лет назад +6

    아, 재밌어...요즘 이분 강의와 국방티비서 하는 전쟁사가 최곤것 같애..

    • @김영준-e2v
      @김영준-e2v  7 лет назад +1

      국방티비 최고죠... 사실 거기 나오시는 임용환 교수님은 저와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의 레벨이십니다ㄷㄷㄷ

  • @Lawbrother3876
    @Lawbrother3876 7 лет назад +3

    김영준 선생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광해군의 음양술보다 부평역 앞 점집 위치가 궁금하네요~ㅋㅋ

    • @김영준-e2v
      @김영준-e2v  7 лет назад +1

      점집은... 흠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koreanpatternpainting
    @koreanpatternpainting 6 лет назад +1

    선생님 감사합니다^^

  • @2rm730
    @2rm730 7 лет назад +2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김연중-x3g
    @김연중-x3g 7 лет назад +3

    감사합니다.

    • @김영준-e2v
      @김영준-e2v  7 лет назад

      김연중 감사합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김연중-x3g
      @김연중-x3g 7 лет назад

      선생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여.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이한별-g6r
    @이한별-g6r 6 лет назад +2

    2부 ... 3부 정주행 갑니닷.

  • @히가시-x3l
    @히가시-x3l 7 лет назад +3

    임진왜란,정유재란을 거치면서 국가예산은 무엇보다 말도 없이 턱없이 부족했었을테고,, 공명첩이나 납속책 문제로 신분제의동요의 시기도 왔을테고, 그것으로 인해 농민들의 소규모반란이나 그런부분도 없지 않았을것 같다고 생각은 듭니다. 창덕궁,창경궁 외에 인경궁,경덕궁을 지었다고 말씀하셨는데 국가재정은 얼마나 들어갔나요? 역(노동력)적인 인구수, 혹은 궁궐을 짓기위한 자재비용같은걸로 표현한다면 쉽겠지만,, 흥선대원군때 무리한 토목공사를 한 경복궁 증건보다 예산이 훨씬 들어간건 확실하겠는데 솔직히 그부분이 궁금하긴했습니다.

    • @김영준-e2v
      @김영준-e2v  7 лет назад +1

      토목공사 관련해서는 따로 편을 참조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양반아
    @이양반아 7 лет назад +2

    외람되지만 몇가지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1.중단된 조선후기 세도정치 시리즈는 계속 나오는가?
    2.다른 직업도 그렇듯 역사 연구를 직업으로 하면 아마추어적인 열정이 떨어지는가?
    음 물어보고 싶었던건 많았는데 글을 쓰려니 막상 생각이 안나네요...

    • @이양반아
      @이양반아 7 лет назад

      아 추가로 질문 드리고 싶은 것이
      3.역사학자들도 자신의 정치적 견해로 역사를 판단하는 경우가 있는가?
      4.역사속 인물이 도덕적 과가 있지만 그 시대 사회에 공이 있는 경우 무엇을 우선해야 하는가?
      이상입니다. 예전부터 댓글에 답을 잘 달아주셔서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광고 붙이면 다 볼게요.

    • @김영준-e2v
      @김영준-e2v  7 лет назад +1

      1.고민중입니다. 한다면 다시 새로 찍어야 하는지라...ㅠㅠ
      2.흠... 아마추어적인 열정의 정의가 무엇인지 명확하진 않습니다만... 역사 연구를 직업으로 갖게 되면 열정이 올랐다 식었다 하는 경향이 있는거 같습니다ㅋㅋ 뭐, 저만 해도 학원 가서 강의할 때는 말 그대로 노동으로 인식하는데다가 매번 같은 이야길 반복해서 하는거다보니 항상 열정이 불타오르긴 힘들죠. 하지만 종종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거나 새로운걸 시도해보고 싶을 때, 또 새로운 연구주제를 접하거나 하면 저도 모르게 열정이 솟아오르더군요.

  • @세상을구하는경제학
    @세상을구하는경제학 7 лет назад +2

    지금은 조선왕조실록 한국어 번역이 전부 끝났나요? 몇 년 전에 번역이 진행 중이라는 말을 들었었는데... 여튼 광해군에 대한 정보는 기본적으로 국사에 긍정적으로 나온 걸 학교 다닐 때 배웠던 거랑 왕의 여자?라는 지성 나온 드라마가 전부였고 기타 여기 저기 사람들이 긍정적으로 써놨던 거랑 가장 최근에는 징비록에서 노영학이 맡았던 역할이 단데, 그때는 조금 음흉하게 나왔었지만, 부정적인 사실을 알게 된 것은 붕당 특집 1부가 처음이었습니다. 참 흥미로운 사실임에도 이제 알게됐다는 게 더 신기할 정돕니다.

    • @김영준-e2v
      @김영준-e2v  7 лет назад

      그렇게 하나씩 다양한 시각을 알아가는게 역사학의 묘미지요^^

  • @hchoi001
    @hchoi001 6 лет назад +1

    인조와 소현세자에 대한 강의도 있나요?

  • @kyufweqw
    @kyufweqw 4 года назад +1

    공과 과를 구분해야 한다는 말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 @김태경-e2q
    @김태경-e2q 6 лет назад +2

    지금 강사로 먹고 사시니깐
    그 점쟁이 정말 용한 것 같아요

  • @jinsa.
    @jinsa. 7 лет назад +1

    한번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을 혹시? 알고게신지 저는 전편을 다 읽어보아서 항상 강사님의 의견과 책을 비교하며 봅니다 강사님은 박시백 화백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신지 궁금합니다.

    • @김영준-e2v
      @김영준-e2v  7 лет назад +2

      무척 훌륭한 책입니다. 박시백 화백이 역사학 전공자는 아닙니다만 역사학 전공자가 보더라도 정말 날카로운 통찰력을 지녔습니다. 비록 박화백이 제도사나 사상사, 군사사, 경제사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미흡하게 다루긴 했지만 정치사 하나만 놓고 보면 10점 만점에 10점을 주고 싶을 정도로 매우 훌륭한 역사가이십니다^^

    • @jinsa.
      @jinsa. 7 лет назад +1

      김영준 역시 강사님도 인정해주시는 군요 ^0^

  • @김필성-i7r
    @김필성-i7r 6 лет назад +16

    설민석보다 낫다

  • @minkim8322
    @minkim8322 6 лет назад +5

    광해군이 대단한 점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처음에 내가 광해군에 대해서 인간적으로 관심을 가진 이유 이기도 합니다. 1623년 폐위된 이후에 1641년 사망할 때까지 무려 18년을 버티었다는 것이죠. 위리안치된 죄인으로서 죽음보다 못한 삶을 그토록 오래 견디었다는 것은 분명 대단한 것이죠. 연산군은 독살설이 있기는 하지만 폐위후 바로(2개월후) 사망하죠. 광해군은 폐위된 1623년 아들과 며느리 그리고 부인까지 모두 잃고도 18년을 더 살다가 만66세에 사망하죠. 조선왕 중에서 장수순으로도 영조, 태조에 이어서3위(고종=공동3위) 정도 일겁니다. 아마도 세자 시절 풍찬노숙을 하며 분조를 이끌던 그 강인한 기질이 폐위후에도 나타난 것이 아닐까 합니다. 1641년 음력 7월1일(양력으로는8월7일) 광해군이 죽었을 때 그즈음 내린 비를 '광해우'라고 해서 제주민들이 광해군을 기리는 비로 부른다는 것을 본 적이 있습니다.

  • @허믈-u7j
    @허믈-u7j 6 лет назад +5

    광해군이 도를 넘은 숙청을 하고
    말만 중립외교지 군사들이 죽어나가게 하고
    국가예산을 초과하는 경복궁 10규모의 궁궐공사를 하고
    했던 것들을 정작 어렸을 때 본 교과서나 다큐에서는 한마디도 본 적이 없어요.
    게다가 종교적인 것까지.
    정작 그 시대에 살았으면 어땠을까 하는 실질적인 고민과 접근없이
    광해군을 안타까워 하고 심지어 존경하기까지 한다는 사람들을 보면
    지금이나 그 때나 별 차이가 없네요.
    광해군이 무엇 무엇을 어떻게 잘못했는지를 말했다고 해서
    왜 개인의 견해를 넣느냐. 라고 말하면
    대체 누가 역사를 말합니까.ㅋㅋ
    다들 정신 좀 차렸으면

    • @blur99009
      @blur99009 5 лет назад

      박시백이란 작가가 쓴 만화 조선왕조실록에서 광해군 일기편에서 광해군이 어떤 안물인가 라는 부분을 다루고 있어요.
      거기서 보면 광해군은 '그는 보통의 시각과 달리 개혁군주는 아니었다'라고 분명히 밝히고 있고, 어떤 실정을 저질렀고, 어떤점을 잘했는지는 나름대로 객관적으로 보여주니 참고하세요

  • @김태경-e2q
    @김태경-e2q 6 лет назад

    허균의 옥사가 뭔가요?
    광해군 때의 옥사 특집도 해주시면 않되나요?

  • @user-Ou38uwHZ3
    @user-Ou38uwHZ3 5 лет назад +2

    3:37 으음, 선생님. 재위시절엔 없었다고는 하지만 임란때 활약한 사람이 광해군 아닌가욤.. 그래도 신성군을 포함한 왕자둘을 조선에 놔두고 중국으로 튀려고 했던 선조보단 낫다고 할순 있지 않을까요. 제 개인적인 소견입니다만

    • @blur99009
      @blur99009 5 лет назад +2

      영상에서도 나오지만 선조가 그렇게 무능한 왕은 아니었고, 광해군이 왜란때 활약한거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 활약과 별개로 광해군은 왕으로써는 실책이 너무 많았고, 이건 사실 실록 기반으로 보면 쉴드칠수 없는 부분입니다.
      참고로 전쟁사 입장에서 당시 관점은 국방TV에서 다룬 적이 있긴 합니다.
      거기서도 광해가 중립외교를 한건 아니라고 밝히고 있죠.
      또 당시 정치인들이 그렇게 멍청한게 아니라서 광해군~인조시절에 왜 그런 결정을 내렸는지에 대해서도 여러모로 분석하고 있으니 전쟁사 관점에서 보려면 국방 TV를 보시는게 좋습니다.

  • @shsh09608
    @shsh09608 6 лет назад

    강의 유료로있는 것도 있나요? 시험말고 그냥 이런 학문적인것,,

  • @justicejustice7458
    @justicejustice7458 6 лет назад +6

    광해군은 개땍기다.....뭔 나라를 생각해...........나라 망치고 나서 후회한다고 그게 나라 생각한거냐..........엉터리로 미화 하지 말거라....

    • @0humam0
      @0humam0 6 лет назад

      Justice Justice 아니 조선시대때 나라 생각과 현재 지금 나라 생각과 같겠습니까?
      지금은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조선은 왕의 왕에 의한 왕을 위한이죠ㅋㅋㅋ

    • @김영준-e2v
      @김영준-e2v  6 лет назад +1

      침소봉대는 적당히...^^;;

  • @목마와숙녀
    @목마와숙녀 2 года назад

    개 밑에서 나온 호랑이가 끝내 환골을 못하고 개꼬리를 달고 나왔네요. 아쉽다.

  • @김대희-g6w
    @김대희-g6w 6 лет назад

    전란을 격으면서 수많은 인재와 충신들이 있었을텐데 이의첨 같은 자에게 권력을 몰아주다니
    선조의 사람보는 안목 1/10도 못 물려받았구나!

  • @WildBoarHunting-w4k
    @WildBoarHunting-w4k 4 года назад +1

    이원익은 서인이 아니고, 남인입니다.

  • @sanglee1755
    @sanglee1755 5 лет назад

    프리드리히 프로이센 광해군

  • @jinkim427
    @jinkim427 7 лет назад +5

    비판까지는 아니지만 좋은 강의에 흠을 내는 부분은 바로 강사님 스스로 청중이 동의하지 않는 전제를 깔고 해석한다는 것입니다.
    이를테면, 광해군의 궁궐 건축에 대하여 누구도 잘했다 한적 없을텐데, 마치 그리 주장하는 사람이 상당수 있다는 듯 전제하고 반론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제 상식으로는 누구도 그런 생각을 하지 않을 것 같거든요.
    일부 견해에 대한 반론을 하시려면 주제와 범위, 대상을 명확히 하시고 진행하면 더욱 좋을 듯 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의 경청하겠습니다.

    • @김영준-e2v
      @김영준-e2v  7 лет назад +1

      Jin Kim 그건 광해군 특집 댓글들을 보시면 압니다 설마 제가 없는 말을 말을 지어냈을라고요^^

    • @andrewchoi8706
      @andrewchoi8706 7 лет назад

      Jin Kim well,,at least he s got a back bone of his learning firmly established in his lecture,,,he's not a some tv personality acting like a historian

    • @인간-u8t
      @인간-u8t 6 лет назад +1

      그럼 궁궐 건축이 잘못인걸 알면서도 광해군을 맹목적으로 쉴드 쳐주는 건가

    • @heyday183
      @heyday183 6 лет назад

      뭔 말인지 ...

    • @axiom2204
      @axiom2204 6 лет назад

      김영준 궁궐건축한거에 대해서는 대부분 비판하던데요? 앞으로는 대중이 이럴것이라는 선입견을 가지지 마시고 그냥 본인의 의견을 편히 얘기하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제가 본 유튜브 역사 강사중 강의력 최고시네요ㅎ

  • @최일성-s2d
    @최일성-s2d 6 лет назад +1

    강의는 잘하시는데 역사를 보는 견해는 다를수도 있는데 본인의 견해를 밝히는것 보다 시청자들 한테 물음표를 남기는 것이 더 낫지 안을까요

    • @김영준-e2v
      @김영준-e2v  6 лет назад

      충고 감사합니다 앞으로 반영토록 하겠습니다^^

    • @woo0293
      @woo0293 6 лет назад +3

      저는 개인적으로 다른 의견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어요! 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허믈-u7j
      @허믈-u7j 6 лет назад +1

      견해를 밝히는 게 더 도움이 될 수도 있죠.

  • @2rm730
    @2rm730 7 лет назад +1

    역사는 돌고 도는것인가요~ 박근혜씨도 쿨럭....

  • @카타르시스-p1x
    @카타르시스-p1x 6 лет назад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기에 반정을 일으킨 인조에 의해 얼마나 침소봉대 되었는지 가늠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중립외교 라는것도 후세에 이르러 그것이 외교력으로 인정받았을뿐 당시엔 친명배척 정책으로 비난받았을 뿐이였죠...개인적으로 억울하고 안타까운 인물이 광해가 아니였나 싶습니다. 그래서 광해에대한 비판을 올곧이 받아들이지 않지않나 생각해 봅니다.

    • @김영준-e2v
      @김영준-e2v  6 лет назад +4

      카타르시스 광해군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도 그 승자의 역사라고 하는 실록을 근거로 하는거라는점도 기억해 주셨으면 합니다

    • @인간-u8t
      @인간-u8t 6 лет назад +2

      승자의 기록이라도 조선왕조실록이 그나마 가장 사실적이 역사서인데 그 역사서 안 믿고서 무조건적으로 자기 뇌피셜로 광해군 쉴드 치는게 더 문제 아닐까 싶은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