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listening/reading/writing이 로스쿨 공부를 수행하는데 문제가 없다면 공부하는데 speaking이 일단은 가장 "덜" 중요한 것 같습니다. 학교에서 cold call등이 수업중에 있기는 하지만 이게 성적에 들어가지는 않구요.. 나중에 채용 인터뷰 때는 말하기 실력에 따라 차이를 만들수도 있지만 그 전까지 본인의 노력으로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제가 알기로 학교마다 SJD 장학금 정책이 다른데 일반적인 대학원 박사과정은 (공대같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펀딩을 받고 진학하는 반면 아직 SJD는 경우에 따라 self-funded program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일괄적으로 "JD여야만 돈을 준다" 이런건 아닌 것으로 알고 있고, 입학생 모두가 받는게 아닌 장학금의 형태인 경우에 JD냐 llm이냐가 고려사항이 될 수는 있지만 절대적인 건 아닌 것 같아요. 그보다 지원하신다면 full funded program인 학교들을 잘 알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NYU같은 경우엔 모든 SJD들에게 풀 펀딩을 주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
@@tv-rw6hp wow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멘토스님 그리고 이것은 조금 논외의 질문이기도 한데... 한국 토종의 경우(비법조인), llm만으로 1년만에 bar시험을 통과하는 것은 어려운 일인가요?? 항간에 한국에서 llm하고 bar시험 합격한 비율이 10%도 안 된다는 말이 있어가지구요😂
아, 음.. 저도 전체 한국인 llm분들에 대한 데이터는 없어서 정확히 말씀은 못드리지만, 보통 주변에서 뵙는 llm분들의 경우에는 모두 무난하게 합격하시는 것 같아요. 사실 JD들도 로스쿨 과정 하면서 바시험 공부를 하는 건 아니고 (바시험 과목들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판례는 배우지만) 사실 실제 시험은 시험 2,3달정도 전부터 전문 강의를 가지고 몰아서 하는 편인데,, 일단 한국에서 법조인 활동을 하다 오시면 기본적인 법률개념들에 대한 이해가 있어서 미국법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공부하시면 그렇게 어렵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다만 영어실력이 어느 정도이냐가 변수가 될 수는 있을 것 같아요. 제가 알기로 일단 llm을 합격할 수 있으려면 기본적인 영어실력을 중점적으로 보는 것으로 알고 있어서, 합격 비율이 10퍼센트는 좀 과장 아닐까 싶네요 ^^;
@@tv-rw6hp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ㅠㅠ 진짜 댓글 하나하나가 큰 도움이 됩니다. 한국에서 외국 로스쿨 가신 분들이 점점 많아지지만, 아직도 정보가 많은 편은 아닌데, 진짜 귀한 일 하십니다 ㅎㅎ 전 법조인은 아니고 법대 출신의 사람인데, 여러가지를 고려해보고 결정해야할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너무 간 질문 일 수 있지만, 시험 2.3달 전에 진행되는 bar 수험 전문강의도 대부분 영어로 진행하겠지요??
로스쿨생들이 많이 듣는 강의들은 모두 영어로 진행합니다 =) 다만 제가 주변에서 듣기로 중국 친구들은 종종 중국어로 번역된 버전이 있어서 그걸로 공부한다는 얘기도 언뜻 들었는데, 한국에도 이런 버전이 있는지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ㅠ (혹시 제가 추후 댓글을 놓치면 eliteedutv@gmail.com으로 언제든지 연락 주세요 =)
안녕하세요! 하버드 로스쿨에 지원하고 싶은데, 제가 올해(1학년) 학점이 4.32 정도로, GPA가 3.9정도가 나왔습니다. 앞으로 학점을 더 올리거나 유지한다면 LSAC GPA가 Superior 가 나올 수 있을까요? 이와 관련한 기준이 인터넷에는 잘 나와있지 않아서 궁금합니다ㅠㅠ
저는 재료공학과 출신입니다! IP에서 특허분야와 저작권 분야가 hard IP/soft IP로 나뉘며 다소 차이가 있는데, 특허분야라면 이공계 전공이 있는 것이 요즘은 거의 필수처럼 여겨지고 있구요.. 저작권 분야에 관심이 있으시면 그만큼 필수는 아니지만 음악 등 관심분야에 대한 지식이 있으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학부순위에 따라 학점차별이라고 하기엔 좀 뭣하지만, 로스쿨 입학을 관장하는 기관에서 그동안 쌓은 데이터가 있는데, 특정 로스쿨에 합격하는 학생이 특정 학부 출신인 경우에 학점을 보통 어느 정도 받았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있습니다. 로스쿨 지원시에 절대적인 학점과 함께 이걸 고려해서 각 학교별 차이를 고려하는 것 같습니다. 상대적으로 뛰어난 학생들이 많은 학부에서 지원하는 학생들의 경우 학점을 잘 받기가 그만큼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특별히 유럽학부가 불리하다기보다는 로스쿨 지원시에 이전 학교에서의 학점을 LSAC이라는 기관에 보내서 정량화된 리포트를 받아야 하는데, 이걸 미국/캐나다 이외의 학부는 다른 기관에서 받아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기관이 학점 정량화를 미국 학부처럼 세분화시켜서 정리하지를 않고, 크게 Average, Above Average 이런 식으로만 정리를 하기 때문에, 학점이 좋은 경우에는 불이익이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LSAT점수를 학점보다 중요하게 본다고들 합니다 (미국 학부 지원자에 비해서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추천서에 관한 정보를 좀 더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꼭 저의 개인적인 스토리나 세세한 이야기를 아시는 분들께 추천서를 받아야하는 걸까요? 추천서를 고려해서 2분 정도 교수님이랑 친분을 쌓아뒀지만.. 그 분들과 구체적으로 저의 이야기나 경험에 대한 것을 이야기해 본 적은 없는 상황에서 졸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Alan 선생님 생각은 어떠신지 알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추천서 관련해서도 따로 영상을 준비해볼게요! 일단 간단히 말씀드리면, 일차적으로 대부분의 교수님들이 "추천서 써주는 가이드라인" 같은게 있으세요. 자기와 어느정도의 교류가 있어야만 써준다는 식의 룰같은걸 만들어놓고 계신분이 많아서, 애초에 충분한 교류가 없으면 써주지 않는 분들이 많구요. 그리고 추천서라는 게 학생에 특화될 수 있을 정도로 이 학생의 프로페셔널적인 성취를 교수님이 충분히 알고 있어야 일반적인 다른 추천서와 차별화할 수 있고, 그래야만 추천서가 추천서로서의 제 역할을 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교수님들이 본인이 스스로 보고 느껴서 확신이 없는 점에 대해서는 학생이 얘기해도 써주는걸 꺼려하시는 것 같습니다 (스스로 검증할 수 없는 측면에 대해서는 안써주시는거죠). 만약 대학원 등을 고민하셔서 추천서가 필요할 것 같다면 지속적으로 관심사가 맞는 교수님 두세분 정도는 교류를 지속적으로 하시는 것이 좋고, 졸업을 이미 하셨더라도 (학교 근처에 아직 계신다면) 종종 찾아가서 연구분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거나, 그게 안된다면 이메일로라도 교류를 지속적으로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tv-rw6hp 저는 한국에서 변리사로 일하고 있고 미국 특허시장진출을 위해 미국 로스쿨을 가고 싶은데요, 외국에서의 생활경험이 거의 없다면 미국 로스쿨에서의 생활이 많이 힘든지 그리고 lsat고득점으로 toplawschool에 진학했을때 대형로펌 혹은 특허법인?(이런개념이 있는지 모르겠네요)에 취직혹은 내부 생활에 많은 제약이 있는지 궁금합니디ㅡ. 개인적으로 영어는 어느정도 할수 있어서 괜찮은데 아무래도 한국인이다 보니 발음이나 이런부분은 좀 안좃아서 많이 망설여지네요
혹시 미국에서도 patent prosecution (특허출원)분야로 일하실 계획이신가요? 그렇다면 아무래도 이공계 백그라운드가 필수이고 하는 식으로 엔트리 배리어가 많은 편이라, 이런 자격을 갖추고 계신 분들의 경우에 취직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편입니다. 미국에서도 hard IP, 특허분야 (출원/소송)는 최근에 이공계 백그라운드가 없으면 거의 진입이 불가능한 쪽으로 흘러가는 경향이라서요. 솔직히 말씀드리면 말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상대방과의 의사소통에 무리가 없으면 된다고 생각하고, 오히려 로스쿨이든 로펌이든 살아남으려면 reading과 writing실력이 훨씬 중요한 것 같아요. 액센트가 있으면 로펌 인터뷰때 조금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애초에 로펌 취업 자체가 로스쿨의 명성과 로스쿨에서의 학점으로 80% 이상 결정되는 것 같습니다 =)
@@tv-rw6hp 네 제가 알아본결과 미국은 patent agent attorney? 이렇게 두개가 있더라고요. 한국변리사는 이중간정도 인것 겉은데 아무래도 특허출원, 심사, 심판, 소송 대리까지 모두 하고 싶은 마음에 로스쿨에 진학하고 싶네요 제 학부는 서울대 기계공학관데 석박사는 하지 않아서...이정도면 이공계쪽 background가 충분할까요? 아무래도 한국에서 변리사생활을 짧게는 했으니 patent에대한 이해 및 배경지식은 어느정도는 있다고 생각하는데 충분한 스펙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영어 listening이랑 reading은 쪼금 되는데 스피킹이 간단한 길 물어보는 수준입니다 혹시 스피킹이 힘들면 현실적으로 많이 힘들까요? 아니면 미국에서 자연스럽게 늘까요? 토익기준으로는 950입니다
만약 미국 로스쿨 들어갔을 때의 수업과 생활기준으로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listening/reading/writing이 로스쿨 공부를 수행하는데 문제가 없다면 공부하는데 speaking이 일단은 가장 "덜" 중요한 것 같습니다. 학교에서 cold call등이 수업중에 있기는 하지만 이게 성적에 들어가지는 않구요.. 나중에 채용 인터뷰 때는 말하기 실력에 따라 차이를 만들수도 있지만 그 전까지 본인의 노력으로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영상 감사합니다:) 보다가 궁금점이 생겼는데요~! 만일 학교에 llm에 졸업한 뒤, 동대학 SJD 과정으로 입학 할 경우 장학금 혜택은 거의 없나요? 애초에 장학금을 받을려면 JD로 입학 해야하나요ㅠㅜ
안녕하세요! 제가 알기로 학교마다 SJD 장학금 정책이 다른데 일반적인 대학원 박사과정은 (공대같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펀딩을 받고 진학하는 반면 아직 SJD는 경우에 따라 self-funded program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일괄적으로 "JD여야만 돈을 준다" 이런건 아닌 것으로 알고 있고, 입학생 모두가 받는게 아닌 장학금의 형태인 경우에 JD냐 llm이냐가 고려사항이 될 수는 있지만 절대적인 건 아닌 것 같아요. 그보다 지원하신다면 full funded program인 학교들을 잘 알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NYU같은 경우엔 모든 SJD들에게 풀 펀딩을 주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
@@tv-rw6hp wow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멘토스님 그리고 이것은 조금 논외의 질문이기도 한데... 한국 토종의 경우(비법조인), llm만으로 1년만에 bar시험을 통과하는 것은 어려운 일인가요?? 항간에 한국에서 llm하고 bar시험 합격한 비율이 10%도 안 된다는 말이 있어가지구요😂
아, 음.. 저도 전체 한국인 llm분들에 대한 데이터는 없어서 정확히 말씀은 못드리지만, 보통 주변에서 뵙는 llm분들의 경우에는 모두 무난하게 합격하시는 것 같아요. 사실 JD들도 로스쿨 과정 하면서 바시험 공부를 하는 건 아니고 (바시험 과목들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판례는 배우지만) 사실 실제 시험은 시험 2,3달정도 전부터 전문 강의를 가지고 몰아서 하는 편인데,, 일단 한국에서 법조인 활동을 하다 오시면 기본적인 법률개념들에 대한 이해가 있어서 미국법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공부하시면 그렇게 어렵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다만 영어실력이 어느 정도이냐가 변수가 될 수는 있을 것 같아요. 제가 알기로 일단 llm을 합격할 수 있으려면 기본적인 영어실력을 중점적으로 보는 것으로 알고 있어서, 합격 비율이 10퍼센트는 좀 과장 아닐까 싶네요 ^^;
@@tv-rw6hp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ㅠㅠ 진짜 댓글 하나하나가 큰 도움이 됩니다. 한국에서 외국 로스쿨 가신 분들이 점점 많아지지만, 아직도 정보가 많은 편은 아닌데, 진짜 귀한 일 하십니다 ㅎㅎ 전 법조인은 아니고 법대 출신의 사람인데, 여러가지를 고려해보고 결정해야할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너무 간 질문 일 수 있지만, 시험 2.3달 전에 진행되는 bar 수험 전문강의도 대부분 영어로 진행하겠지요??
로스쿨생들이 많이 듣는 강의들은 모두 영어로 진행합니다 =) 다만 제가 주변에서 듣기로 중국 친구들은 종종 중국어로 번역된 버전이 있어서 그걸로 공부한다는 얘기도 언뜻 들었는데, 한국에도 이런 버전이 있는지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ㅠ (혹시 제가 추후 댓글을 놓치면 eliteedutv@gmail.com으로 언제든지 연락 주세요 =)
안녕하세요! 하버드 로스쿨에 지원하고 싶은데, 제가 올해(1학년) 학점이 4.32 정도로, GPA가 3.9정도가 나왔습니다. 앞으로 학점을 더 올리거나 유지한다면 LSAC GPA가 Superior 가 나올 수 있을까요? 이와 관련한 기준이 인터넷에는 잘 나와있지 않아서 궁금합니다ㅠㅠ
안녕하세요! 저도 정확한 기준을 알려주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주변 친구들한테 들은 걸로는 보통 상위 5~10% 정도가 superior 나오는 것 같더라구요..!
@@tv-rw6hp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하나만 더 여쭤봐도 될까요?ㅠㅠ
상위 5~10%면 제가 다니는 학교에서의 비율인가요 아니면 LSAC에 점수를 보내는 사람들 속에서의 비율인가요??
학교마다 계산법이 다르니 학교 기준인 것 같습니다! range가 있다는건 학교별로 학생들의 역량 차이가 있어서 그런 것 같아요! :)
@@tv-rw6hp 자세하게 답변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ㅠㅠ
안녕하세요, 요즘 쉴때마다 영상들 정주행하고 있습니다 :) 좋은 영상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혹시 한국학사 미국석사 졸업후 미국로스쿨 지원시 어느 학점이 반영되는지 궁금해서 여쭈어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지원할 때 학사와 석사 성적 모두 제출은 해야 하고, 고려도 모두 하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학사과정 성적을 더 중점적으로 보는 것 같아요! (객관적 비교가 가능) 흔히들 얘기하는 학점+엘셋점수 공식같은 것들에는 학부학점만 고려하는 것 같습니다 =)
@@tv-rw6hp 앗 그렇군요! 조언 정말 감사드립니다 :)
혹시 대학교는 어떤 학과를 나오셨나요? 특허, 저작권 관련 변호사가 되고 싶은데 추천하시는 학과가 궁금해요!
저는 재료공학과 출신입니다! IP에서 특허분야와 저작권 분야가 hard IP/soft IP로 나뉘며 다소 차이가 있는데, 특허분야라면 이공계 전공이 있는 것이 요즘은 거의 필수처럼 여겨지고 있구요.. 저작권 분야에 관심이 있으시면 그만큼 필수는 아니지만 음악 등 관심분야에 대한 지식이 있으면 도움이 됩니다 =)
@@tv-rw6hp 정치외교학과를 들어가는 것이 해외 로스쿨 진학과 졸업 이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아무래도 로스쿨에서 배우는 내용의 성격상 실제 로스쿨에 정외과 출신 학생들이 많아요 =) 요즘은 워낙 다양한 전공에서 로스쿨에 진학하기는 하지만 전통적으로 로스쿨에 많이 진학하는 학생들이 영문학/정치외교/철학 등 전공입니다!
@@tv-rw6hp이 채널을 통해 정말 양질의 정보를 얻어가네요ㅜㅜ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내용 항상 고민해 보겠습니다 =)
학부순위에따른 학점차별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학부순위에 따라 학점차별이라고 하기엔 좀 뭣하지만, 로스쿨 입학을 관장하는 기관에서 그동안 쌓은 데이터가 있는데, 특정 로스쿨에 합격하는 학생이 특정 학부 출신인 경우에 학점을 보통 어느 정도 받았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있습니다. 로스쿨 지원시에 절대적인 학점과 함께 이걸 고려해서 각 학교별 차이를 고려하는 것 같습니다. 상대적으로 뛰어난 학생들이 많은 학부에서 지원하는 학생들의 경우 학점을 잘 받기가 그만큼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항상 영상 덕분에 좋은 정보 얻어가네요! 저는 해외 거주 경력 약 10년 (4개국) 정도 되고 네덜란드 RSM Erasmus 경영대학을 졸업했는데 혹시 유럽학부를 졸업한 사람들은 합격 확률이 미국학부 학생들에 비해 낮나요..?
안녕하세요! 특별히 유럽학부가 불리하다기보다는 로스쿨 지원시에 이전 학교에서의 학점을 LSAC이라는 기관에 보내서 정량화된 리포트를 받아야 하는데, 이걸 미국/캐나다 이외의 학부는 다른 기관에서 받아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기관이 학점 정량화를 미국 학부처럼 세분화시켜서 정리하지를 않고, 크게 Average, Above Average 이런 식으로만 정리를 하기 때문에, 학점이 좋은 경우에는 불이익이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LSAT점수를 학점보다 중요하게 본다고들 합니다 (미국 학부 지원자에 비해서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추천서에 관한 정보를 좀 더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꼭 저의 개인적인 스토리나 세세한 이야기를 아시는 분들께 추천서를 받아야하는 걸까요? 추천서를 고려해서 2분 정도 교수님이랑 친분을 쌓아뒀지만.. 그 분들과 구체적으로 저의 이야기나 경험에 대한 것을 이야기해 본 적은 없는 상황에서 졸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Alan 선생님 생각은 어떠신지 알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추천서 관련해서도 따로 영상을 준비해볼게요! 일단 간단히 말씀드리면, 일차적으로 대부분의 교수님들이 "추천서 써주는 가이드라인" 같은게 있으세요. 자기와 어느정도의 교류가 있어야만 써준다는 식의 룰같은걸 만들어놓고 계신분이 많아서, 애초에 충분한 교류가 없으면 써주지 않는 분들이 많구요. 그리고 추천서라는 게 학생에 특화될 수 있을 정도로 이 학생의 프로페셔널적인 성취를 교수님이 충분히 알고 있어야 일반적인 다른 추천서와 차별화할 수 있고, 그래야만 추천서가 추천서로서의 제 역할을 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교수님들이 본인이 스스로 보고 느껴서 확신이 없는 점에 대해서는 학생이 얘기해도 써주는걸 꺼려하시는 것 같습니다 (스스로 검증할 수 없는 측면에 대해서는 안써주시는거죠). 만약 대학원 등을 고민하셔서 추천서가 필요할 것 같다면 지속적으로 관심사가 맞는 교수님 두세분 정도는 교류를 지속적으로 하시는 것이 좋고, 졸업을 이미 하셨더라도 (학교 근처에 아직 계신다면) 종종 찾아가서 연구분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거나, 그게 안된다면 이메일로라도 교류를 지속적으로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혹시 한국학부 나오셨나요?
안녕하세요! 저는 미국학부 나왔습니다 =)
@@tv-rw6hp 저는 한국에서 변리사로 일하고 있고 미국 특허시장진출을 위해 미국 로스쿨을 가고 싶은데요, 외국에서의 생활경험이 거의 없다면 미국 로스쿨에서의 생활이 많이 힘든지 그리고 lsat고득점으로 toplawschool에 진학했을때 대형로펌 혹은 특허법인?(이런개념이 있는지 모르겠네요)에 취직혹은 내부 생활에 많은 제약이 있는지 궁금합니디ㅡ.
개인적으로 영어는 어느정도 할수 있어서 괜찮은데 아무래도 한국인이다 보니 발음이나 이런부분은 좀 안좃아서 많이 망설여지네요
혹시 미국에서도 patent prosecution (특허출원)분야로 일하실 계획이신가요? 그렇다면 아무래도 이공계 백그라운드가 필수이고 하는 식으로 엔트리 배리어가 많은 편이라, 이런 자격을 갖추고 계신 분들의 경우에 취직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편입니다. 미국에서도 hard IP, 특허분야 (출원/소송)는 최근에 이공계 백그라운드가 없으면 거의 진입이 불가능한 쪽으로 흘러가는 경향이라서요.
솔직히 말씀드리면 말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상대방과의 의사소통에 무리가 없으면 된다고 생각하고, 오히려 로스쿨이든 로펌이든 살아남으려면 reading과 writing실력이 훨씬 중요한 것 같아요. 액센트가 있으면 로펌 인터뷰때 조금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애초에 로펌 취업 자체가 로스쿨의 명성과 로스쿨에서의 학점으로 80% 이상 결정되는 것 같습니다 =)
준비하시면서 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eliteedutv@gmail.com으로 연락 주세요 =)
@@tv-rw6hp 네 제가 알아본결과 미국은 patent agent attorney? 이렇게 두개가 있더라고요. 한국변리사는 이중간정도 인것 겉은데 아무래도 특허출원, 심사, 심판, 소송 대리까지 모두 하고 싶은 마음에 로스쿨에 진학하고 싶네요
제 학부는 서울대 기계공학관데 석박사는 하지 않아서...이정도면 이공계쪽 background가 충분할까요?
아무래도 한국에서 변리사생활을 짧게는 했으니 patent에대한 이해 및 배경지식은 어느정도는 있다고 생각하는데 충분한 스펙인지는 잘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