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Видео 43
- Просмотров 6 813
제주대학교 국어문화원
Добавлен 26 ноя 2020
전화번호: 064-754-2712, 2738
전자우편: halla2712@jejunu.ac.kr
누리집: malgeul.jejunu.ac.kr
인스타그램: jejumalgeul
주소: 제주시 제주대학로102 인문대학 1호관 2층 8230호 국어문화원
전자우편: halla2712@jejunu.ac.kr
누리집: malgeul.jejunu.ac.kr
인스타그램: jejumalgeul
주소: 제주시 제주대학로102 인문대학 1호관 2층 8230호 국어문화원
(4화) 2024년 국어책임관과 함께하는, 이렇게 바꿔요! 공공언어
■ ④리터러시, 아웃리치
현행 국어기본법 제14조에 따르면
공공기관 등은
공문서를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고
어문 규범에 맞춰
한글로 작성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습니다.
그럼, 난해한 외래어보다
우리말로 바꿔 사용해 볼까요?
SW, AI 미래인재 양성 및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한다.
교육지원청에서는
학교로 찾아가는 생명존중 및 학교폭력 예방
아웃리치를 운영하고 있다.
여기서 리터러시와 아웃리치는 외래어인데요.
리터러시는 이해력 또는 문해력으로
아웃리치는 현장 지원 활동으로
바꿔 사용하면 좋겠습니다.
소프트웨어(SW), 인공지능(AI) 미래인재 양성 및
디지털 이해력 교육을 강화한다.
교육지원청에서는
학교로 찾아가는 생명존중 및 학교폭력 예방
현장 지원 활동을 운영하고 있다.
충분히 한글로 의미가 전달되죠?
앞으로 리터러시는 이해력으로
아웃리치는 현장 지원 활동으로
바꿔 사용해주세요.
현행 국어기본법 제14조에 따르면
공공기관 등은
공문서를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고
어문 규범에 맞춰
한글로 작성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습니다.
그럼, 난해한 외래어보다
우리말로 바꿔 사용해 볼까요?
SW, AI 미래인재 양성 및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한다.
교육지원청에서는
학교로 찾아가는 생명존중 및 학교폭력 예방
아웃리치를 운영하고 있다.
여기서 리터러시와 아웃리치는 외래어인데요.
리터러시는 이해력 또는 문해력으로
아웃리치는 현장 지원 활동으로
바꿔 사용하면 좋겠습니다.
소프트웨어(SW), 인공지능(AI) 미래인재 양성 및
디지털 이해력 교육을 강화한다.
교육지원청에서는
학교로 찾아가는 생명존중 및 학교폭력 예방
현장 지원 활동을 운영하고 있다.
충분히 한글로 의미가 전달되죠?
앞으로 리터러시는 이해력으로
아웃리치는 현장 지원 활동으로
바꿔 사용해주세요.
Просмотров: 5
Видео
(7화) 2024년 국어책임관과 함께하는, 이렇게 바꿔요! 공공언어
Просмотров 1День назад
■ ⑦심도, 큐레이션, 수범 사례 세계에서 인정받는 우수한 한글이 있음에도 무분별한 외래어나 어려운 한자어를 거리낌 없이 쓰는 일은 올바르지 않은데요. 올바른 우리말을 쓰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일. 여러분도 한번 실천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한국현대사에 대한 교류 연수를 더욱 심도 있게 진행할 예정이다. 제주형 교육복지 운영 사례를 전국적인 수범 사례로 손꼽고 있다. 월별 소주제를 선정해 북 큐레이션 사업을 운영한다. 심도는 깊은 정도를 뜻하는 한자어로 심도는 깊이로 바꾸는 게 좋겠습니다. 수범 사례는 모범적인 사례를 뜻하는 한자어로 모범 사례, 잘된 사례로 바꾸면 됩니다. 외래어 큐레이션은 추천, 정보 추천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한국현대사에 대한 교류 연수를 더욱 깊이 있게 진행할 예정이다. 제주형 교...
(8화) 2024년 국어책임관과 함께하는, 이렇게 바꿔요! 공공언어
Просмотров 2День назад
■ ⑧정주하다, 제반, 주안점, 해득하다 우리 어휘의 대략 60%가 한자어로 구성돼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알기 쉽고 아름다운 우리말이 있음에도 어려운 한자어 사용이 증가하고 있기에, 우리말 순화의 필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전략사업을 살펴보고 제주에 정주할 수 있는 지역인재육성 방향을 모색할 예정이다. 원서 접수처를 방문해 신분 확인 및 제반 과정을 거치면 원서접수가 완료된다. 독서를 생활화하는 문화 만들기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한글 해득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하나씩 우리말로 바꿔볼까요? 제주특별자치도의 전략사업을 살펴보고 제주에 거주할 수 있는 지역인재육성 방향을 모색할 예정이다. 원서 접수처를 방문해 신분 확인 및 여러 과정을 거치면 원서접수가 완료된다. 독서를...
(6화) 2024년 국어책임관과 함께하는, 이렇게 바꿔요! 공공언어
Просмотров 31День назад
■ ⑥퍼실리테이션, 하브루타 외국어 능력에 따라 알 권리를 차별하는 일이 공적 영역에서 벌어진다면 문제가 크겠죠? 쉬운 우리말을 쓰면 단어와 문장은 길어질 수 있지만 더 쉽게 이해하고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습니다. 이번 학생회연합회 연수는 학생자치회 역량 강화 퍼실리테이션 코칭으로 진행했다. 오는 하반기 회의는 ‘하브루타로 교실 수업 실천하기’를 주제로 진행될 예정이다. 퍼실리테이션. 문제 해결 활동 또는 문제 해결 촉진을 뜻하는 외래어입니다. 하브루타는 짝지어 토론 또는 유대인식 토론으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꿔 다시 볼까요? 이번 학생회연합회 연수는 학생자치회 역량 강화 문제 해결 활동 지도로 진행했다. 오는 하반기 회의는 ‘짝지어 토론으로 교실 수업 실천하기’를 주제로 진행될...
(5화) 2024년 국어책임관과 함께하는, 이렇게 바꿔요! 공공언어
Просмотров 2День назад
■ ⑤에듀테크, 원데이 클래스 교육 현장에서 쓰는 단어는 생활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는 만큼 누구나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데요. 대중적이지 않고 불필요한 외래어 대신 이해가 쉬운 우리말로 바꿔 사용해야 합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육 과정, 수업, 평가, 기록의 일체화를 주제로 진행된다. 지난 강의는 성인 12명을 대상으로 한 원데이클래스로 제주도서관 평생학습실에서 운영됐다. 우선 에듀테크는 Education과 Technology를 합쳐 만든 외래어인데요, 교육 정보 기술, 교육 기술 서비스로 바꿔 사용해야 되고 원데이 클래스는 일일 강좌로 바꿔 사용하면 좋겠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교육 정보 기술을 활용한 교육 과정, 수업, 평가, 기록의 일체화‘를 주제로 진행된다...
(3화) 2024년 국어책임관과 함께하는, 이렇게 바꿔요! 공공언어
Просмотров 12День назад
■ ③UOI, 도슨트 사람의 생각과 마음까지도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문자. 바로 한글이죠. 그만큼 불필요한 외국어 교육용어 대신 쉬운 우리말 표현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학교에서 4학년 학생들이 UOI 우리는 제주시민 단원을 통해 지역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작품 전시 부스에서는 중학생 작품들을 도슨트하며 관람객을 맞이할 예정이다. Unit Of Inquiry의 약자 UOI는 탐구 단원으로 바꿔 쓰고 외래어 도슨트는 전문 안내원, 도슨트하다는 안내하다로 바꿔서 쓰면 좋겠습니다. 학교에서 4학년 학생들이 탐구 단원 우리는 제주시민을 통해 지역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작품 전시 공간에서는 중학생 작품들을 안내하며 관람객을 맞이할 예정이다. 쉬운 우리말로 바르게 다듬어 쓰면...
(2화) 2024년 국어책임관과 함께하는, 이렇게 바꿔요! 공공언어
День назад
■ ② R&E, STEAM 4차 산업혁명과 고도로 발달한 정보통신 시대에도 한글은 가장 최적화된 문자로 그 위상을 높이 평가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필요한 영어식 표현으로 소통의 벽이 생긴다면 심각한 문제겠죠? 참가 학생들은 R&E 활동 외에 문화 역사적 시설 탐방을 병행해 시야를 넓혔다. 이번 캠프는 STEAM 탐구프로그램으로 학생이 문제 해결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느낄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한다. 여기서 R&E는 Research & Education의 약자로 연구 교육으로 바꿔 써야하고 STEAM은 창의 융합 교육으로 바꿔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 참가 학생들은 연구 교육 활동 외에 문화 역사적 시설 탐방을 병행해 시야를 넓혔다. 이번 캠프는 창의 융합 교육 탐구프로그램으로 학생이 문제 해결 필요성을 구...
(1화) 2024년 국어책임관과 함께하는, 이렇게 바꿔요! 공공언어
Просмотров 1День назад
■ 국어책임관이란? 안녕하세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국어책임관 한문성입니다. 국어기본법에는 쉬운 공공언어 사용을 위해 공공기관에서 국어책임관을 반드시 지정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국어책임관은 공공기관이 수행하는 정책을 국민에게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하여 쉬운 용어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직원의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직장교육을 마련하는 등 쉬운 공공언어 쓰기 문화를 장려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처의 우리말 지킴이! 국어책임관 한문성입니다. ■ ① ATL&IB 언어는 의사소통의 도구를 넘어 국민의 알 권리와 인권을 실현하는 연장이라고 합니다. 특히 교육용어 중 외국어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아 그 의미를 이해하기 어려울 때가 있는데요. 외국어로 표기하는 교육용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
2023 제주어 말하기 대회 금상(청소년부)
Просмотров 514 дней назад
2023 제주어 말하기 대회 금상(청소년부) - 이동근·강현근(제주사대부고) ‘의지ᄒᆞᆯ 사람 ᄒᆞᆫ 사람 이서도 살아가는 게 인생이우다’
2023 제주어 말하기 대회 대상
Просмотров 1,1 тыс.14 дней назад
2023 제주어 말하기 대회 대상 - 황별아·고민성(영주고등학교) ‘제주 제사 문화 ᄀᆞᆯ아보쿠다’
제17회 전도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 대상
Просмотров 1814 дней назад
제17회 전도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 대상 파툰니사 소푸라 아기스다(인도네시아) - 나는 내가 선택한 길을 살겠다
너무 귀엽네요😅
말도 이쁘고 학생들도 이뻐요^^
네? 자 번역 와주세요.
이 영상 므사케 본 사름 엇수꽈 너무나 바름이 좋다게 딴 친구덜언 바름 어식허곡 어미뻮이 모름신디 양씨넌 역씨 제주양씨란 그런지 잘도 허신다이 앞으로도 영 열심허시게잉 응원허우다
제주어 죽어감신디 제주대이서난 므사 제주어 교육 아직도 안헴시꽈
🎉🎉
저도 제주에서 어학당을 마치고 지금 한양대 국어국문학과에 다니고 있습니다. 영상을 보니 제주대 어학당 시절이 그리워지네요. 영상에 보면, 1:38그리고2:00에 '많거나'와 '옳고'를 발음할 때 [만거나], [올고]라고 발음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만커나], [올코]가 맞는 발음인데, 받침 ㄶ, ㅀ 에서 ㅎ이 다음 초성에 영향을 끼쳐 ㅋ로 발음하게 되는 것이 저에게도 아직 어려운 일이기에 잘 기억하고 표준발음을 잘하자는 생각에 댓글을 답니다. 😊😊😊
역시 한국어는 한국언가.. 하나도 못 알아들었는데 무슨 말 하는지 다 알아들었어..
3:20 맞수다 게
나 이 연설 들엉 좀 감동받아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