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Видео 50
- Просмотров 488 662
찌릿한 이야기 - 전기전자공학 취업 노하우
Добавлен 20 июл 2023
“진짜” 전기전자 취업 노하우를 다룹니다
Видео
5대 대기업 모터설계 연구 현직자 인터뷰
Просмотров 2,7 тыс.5 месяцев назад
모터설계 대학원 졸업 후 5대 대기업 R&D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박사님과의 인터뷰입니다
전기공무 설비관리 현직자 인터뷰
Просмотров 11 тыс.6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기공학 졸업 후 석유화학 대기업에서 전기공무 직무로 근무하시고 공공기관 설비관리로 이직한 현직자의 인터뷰입니다
전기전자공학과에서 제일 후회되는 3가지
Просмотров 39 тыс.Год назад
"진짜" 전기전자 취업 노하우를 알고 싶다면? everycre.com/elec [광고 아님] 대외활동/공모전 검색 사이트 위비티: www.wevity.com/ 올콘: www.all-con.co.kr/ 요즘것들: www.allforyoung.com/
서울근무하고 싶으면 기술영업으로 가세요
Просмотров 6 тыс.Год назад
"진짜" 전기전자 취업 노하우를 알고 싶다면? everycre.com/elec #대기업 #취업 #영업직 #기술영업
엔솔 합격자가 알려주는 전기전자공학과 배터리 기업 취업 전략
Просмотров 22 тыс.Год назад
"진짜" 전기전자 취업 노하우를 알고 싶다면? everycre.com/elec
NCS 고자에서 공기업 전기직 취업 3관왕까지의 여정.. 대방출합니다
Просмотров 12 тыс.Год назад
NCS 고자에서 공기업 전기직 취업 3관왕까지의 여정.. 대방출합니다
지잡대 전기전자공학 나와도 삼성전자 반도체 연구소 취업할 수 있다..!
Просмотров 6 тыс.Год назад
지잡대 전기전자공학 나와도 삼성전자 반도체 연구소 취업할 수 있다..!
지방대 전기전자공학과에서 초봉 7천 대기업 본사에 합격한 딱 1가지 이유
Просмотров 18 тыс.Год назад
지방대 전기전자공학과에서 초봉 7천 대기업 본사에 합격한 딱 1가지 이유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전기과 졸업예정생인데 전력변환 분야로 취업을 도전중입니다. 뒤늦게 현직자 멘토링 기회를 많이 창출해서 해봤는데 연구개발 분야에서도 학사를 많이 뽑는 분야가 있는 반면, 전력변환은 석사가 90%이상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관련해서 혹시 주변에 모빌리티 분야의 전력변환 연구개발 현직자가 계시다면 관련 영상 제작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붙은 사람만 매체에 나와서 그렇지 단순히 경쟁률만 생각해도 1:100이 우스운데... 극대다수의 사람들은 저사람처럼 포기하게 되는게 정상
안녕하세요 선생님 혹시 전 영상의 노션 직무탐색 템플릿은 어디서 얻을 수 있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다다음 영상에 나올 예정입니다. 직무 탐색 특강이랑 같이 준비중이라 시간이 걸리네요ㅠㅠ
@ 넵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인하대가 상위권인가 흠.
선배님 취업 축하드립니다. 저도 열심히 해서 좋은데 들어가겠습니다.
잘 봤습니다
영남대 전자면 대기업은 포기해야겠구나..공무원 준비를 해야겠다
영남대도 간간히 들어가는 것 같던데요 ? 여기저기
?? 영남대 전자는 엘지이노텍 구미사업장에도 많이 입사했어요
아 이건 좀 어나더래벨이네 서류 떨어진 곳도 다 대기업이네 신입 대기업은 진짜 공기업만큼 빡세지 난 또 중견 말하는 줄
오픈챗방 들어가고 싶은데 방이 꽉 차서 못 들어가네요.. 어떻게 방법이 없을까요?
취업이 한번에 되는게 아니네..
평범한 전기전자 취준생들은 절대 모르는 비밀 취업 노하우 특강 (4학년 진학 예정 이상인 분들만 지원 가능합니다) everycre.com/elec
석사를 안하는것은 정말 정말 바보짓입니다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전기공학 직무 인터뷰 더 해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디시 징징이들이 이미지를 깎아서 그렇지 저 3년 다니면서 이직했다는 사람 전체 3명 봤습니다 급여도 적긴하지만 타 공기업처럼 명절상여금을 기본급에 산입했다면 교대 세후 310은 됩니다
개소리 나가는사람 개많구만ㅋㅋㅋㅋ
학부를 설카포쪽 컴퓨터 트랙 밟는데 대학원 석박사과정과 학부취업 어디가 나을까요? 원하는 곳의 티오가 석사보다는 대부분 석박사과정이 4~5년인데 걸릴거 같은데요
안녕하세요. 이렇게 학사 취업과 석사 과정에 대해서 고민중인데 어디 물어볼 곳이 없어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학부연구생을 1년 이상하면서 당연히 석사를 하게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지도교수님이 다른 학교가 되면서 자대 다른 교수님한테 가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되어서 괴리감을 느껴 지금 학사 취준을 생각하게되었는데 현재 스펙에 대해서 객관적인 평가를 받고 싶습니다.. 보고 평가를 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1. 전공 전자공학부(지방국립대) 2. 학점 3.9x/4.5[전공 4.2] 3. 영어 X (지금 당장 준비한 것이 없어서 하게 되면 토스로 준비를 바로 할 것 같습니다. IM) 4. 경력 : 학부연구생 2년 반 --> 학회 참여 4번(포스터), 학회관련 공모전 수상 1회, 아이디어 공모전 본선 1회, --> 해외 논문 IF 3이상 1개 --> 과제 4개월정도 참여(그외 이름만 들어간 것은 제외) 네사소한 것을 제외한 이게 스펙이 끝인 것 같습니다..
학벌 많이 보는 대기업 예시 : sk하이닉스 학벌 거의 안 보는 대기업 예시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입사 컷 (공대기준) : 건동홍+부산경북+아주인하
안녕하세요 정보 감사합니다! 뭐좀 여쭤봐도 될까요? 인서울 중위권대학 전자공학과 3학년올라가는 학생입니다. 학점은 현재 4.0/4.5이고 대기업 취업 희망하고 있습니다. 1.첫번째 고민은 어떤 트랙을 선택할지 입니다. 저희학교 전자공학과가 반도체 트랙 vs 회로 설계 및 시스템 트랙 vs 통신 트랙으로 나뉩니다. 저는 학사 졸업으로 대기업을 희망하는데 통신은 좋은기업 들어가려면 석사가 필수라고 해서 나머지 두개(반도체 트랙 vs 회로 설계 및 시스탬 트랙)중 하나로 정하려고 합니다. 나중에 취업하고 교대근무를 하기싫고 R&D업무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트랙 vs 회로 설계 및 시스탬 트랙중에 어떤 트랙으로 가야 R&D업무의 일자리가 더 많을까요? 2.두번째 고민은 엇학기로 졸업할지 말지 입니다. 엇학기 졸업은 상반기에 졸업하는것을 의미합니다.(3~7월에 4-2로 졸업) 하지만 그렇게 졸업하면 하반기에 뽑는 to가 적다고해서 중간에 휴학을 한번 하고 직무관련경험을 쌓을지 고민입니다. 1)조금이라도 더 빨리 취업전선에 들어가기위해 엇학기로 졸업라기 2)중간에 휴학 한번 하고 그시간에 직무관련경험을 쌓기 1),2)중에 어떤게 더 좋아보이시나요?
노션 링크 빨리 알고싶어요ㅠㅠ 방학 땐 호다닥 정리하고 싶은데 영상 언제쯤 업로드 하시려나용,,,
이제 전공시험을 시작하려고 하는 3학년입니다 전공 공부 처음에 시작할때 개념공부 안하고 기출부터 해도 되나요?
기출공부하시면서 필요한 개념 정리하는게 효율적입니다
요즘은 kbs한국어도 해야됨ㅋㅋㅋ 필기도 어렵고 면접도 가보니깐 어려움
전기직 공기업 전공시험에서는 발전 계열 공기업이 아니더라도 전기(산업)기사 전력공학 과목의 수력발전, 화력발전 파트가 출제되나요?
평소에 취업 걱정이 있었습니다. 방법을 알게 되고, 걱정이 해소되었습니다. 덕분에 정말 많은 도움을 얻고 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4학년올라가는 전자공 학생입니다 학사 후 대기업과 공기업 둘다 다녀보셨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전기기사같은 자격증도 따셨을 것 같은데요 1. 대기업 취업할때 그런 자격증이 도움이 되셨는지 2. 전자쪽 취업을 한다면 그런 자격증이 도움이 될만한 직무에는 어떤것들이 있는지 3. 요즘 공기업 취업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정말 궁금합니다
1. 저는 기술영업으로 취업했어서 도움 안됐습니다 2. 전기기사는 전기공무, 설비관리쪽에 도움이 됩니다. 3. 너무 고인물 시장인것같습니다
이직 준비중인데 생각 정리하는데 많은 도움되엇습니다 감사해요
선생님 수도권 전자과대학교 다니고 있는 1학년으로서 정말 큰도움 되고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1학년때부터 미래를 준비하는 모습이 정말 보기 좋습니다ㅎㅎ
전자공학이 취업이 잘된다고하여 1학년 입학예정인데 수강신청부터 학교 생활 전반에 대해 궁금해요
정말 너무 도움이 돼요!! 이 정도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시다니…
좋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가 생각 하기에는 공기업 : 전기 사기업 ( 반도체 계열 ) : 전자 유리해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대학 진학하는 학생입니다 학과가 고민인데 전자공,모빌리티공을 넣어놨는데요 취업측면에서 전자 공학이 더 끌리긴 하는데 고등학교때 대충 해봤던 회로 설계가 걱정이에요 그냥 완전 기초적인 회로 설계였는데 너무 어렵고 재미가 없었어서 전자공학을 가서 잘 버틸 수 있을지가 고민입니다
대충 해본걸로는 적성 판단이 어려울거 같네요. 그리고 전자공학과에는 회로설계말고도 다양한 분야가 있습니다
건대출신도 이번에 합격함여
저도 직무 포커스를 못맞추고 자격증 같은 정량적인 스펙만 추구하면서 시간을 보내다 보니 나이를 많이 먹었네요..나이를 먹으면 3기사+컴한토 싹 준비해도 다 서탈이더라구요..ㅋㅋ 일부 블라인드 공기업 빼고..
그래도 다 방법이 있습니다ㅎㅎ 화이팅입니다!
안녕하십니까 지방대에서 곧 3학년이될 학부생입니다 3학년에 학부녕하십니까 지방대에서 곧 3학년이될 학부생입니다 배전계통의 안정성 연구나 배전용 ess 에 관해서 전압안정하는 거에 대해 학부연구생을 할 예정인데요 질문드립니다!! 1. 3학년에 학부연구생을 하고, 4학년엔 인턴을 하려고 생각중인데 괜찮을까요??? 2. 배전계통 관련한 사기업은 LS,효성,현대 정도고 공기업은 생각도 못하고있습니다만 배전계통 직무로 취업하려면 문이 좁을거 같은데 배전계통 취업난이도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배전계통에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수천가지일텐데 어떤 어플리케이션이냐에 따라 다르겠죠
실제 지방국립대 (지거국 x) 전자공학과 졸업한 사람인데요 본인이 방향에 맞게 열심히 하면 삼전 갈 수 있습니다. 가신분들 있습니당
토목도 마찬가지입니다 ㅠ
전기 현장일은 4년제는 절대 안하나요? 전봇대를 탄다거나 전선을 자른다거나 등등
절대 까진 아니더라도 잘 하진 않는 편이죠
@ 보통 실업계,초대졸분들이 현장일을 하고 4년제 분들이 설계나 행정업무를 하는건가요? 제가 군무원을 하면서 현장일을 1년간 했는데 여기 여단장님이나 만나는 사무관님들마다 공부도 잘하시는분이 여기 왜 왔냐 해서 뭔가 잘못 되었구나 하는일이 다른건가 싶어서요
@@기회비용이커 그런거 신경쓰지 마시고 만족스러우시면 그냥 다니시면 됩니다
skct랑 gsat은 전혀 다름...😂😂😂😂😂😂
안녕하세요 인하공전 전기과 울산대 전전과 둘중 어디로 진학할지 고민이 되어 질문해봅니다 어중간한 지방대보다는 상위권 전문대인 인하공전에 가서 대기업 생산직을 노릴지 그래도 2년제보다 선택의 폭도 넓은 울산대에 갈지 조언을 구해봐도 될까요??
제가 전문대 취업은 잘 몰라서 답변이 힘들거 같습니다. 죄송합니다
선생님 다음 영상 기다리다 목이 이미 빠졌습니다 허허
흑흑.. 면목이 없습니다. 연말이라 너무 바쁘네요..ㅠㅠ 빨리 찍어볼게요!
@ 술 조금만 드십쇼 슨생님
@ 그 톡방은 1500명 꽉 찼던데 들어갈 방법은 없는거겠죵…?
@@seo981017 저는 술 못 먹고 안 먹습니다ㅎㅎ 일 때문에 바빠요.. 톡방은 하루에 3~4분 정도 나가셔서 계속 새로 고침 하시다보면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
25학번 지방대 전기전자 신입생인데 SW쪽을 많이 융합해서 활동하고 공부하면 취업에 많이 유리하겠죠? 원래 컴공쪽 생각하다 취업이 힘들것 같아서 전전으로 갈아탔어요
잘 하셨습니다! 전전의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전기 필기 기출만 보고 실기 기출은 보지 않아도 괜찮을까요
필기기출만 보셔도 됩니다ㅎㅎ
합격 하신 주요 기업들 모두 기술영업 직무로 합격하신건가용??
그건 아닙니다ㅎㅎ
안녕하세요 현재 지방에서 2순위 정도 되는 학교의 전자공학과 재학중인 대학생입니다. 곧 4학년인데 그동안 쌓아놓은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학점은 3점 후반대 정도이고 희망 분야는 반도체 공정 쪽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4학년 1학기에 학부연구생을 들어가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스펙을 쌓는데 더 좋다고 생각되는 방법이 있으시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도체 공정은 요새 취업이 너무 어렵습니다. 직무경험을 쌓을 수 있는 쪽으로 가시는게 좋겠습니다. 학부연구생도 좋고요
전자공학과에서 요즘 취업이 가장 잘되는 분야는 어디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