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사람들이 화장실 들어가면 고생한 이유 ㅋㅋㅣ역사를 보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июн 2024
  • 오늘은 허준님과 중동학자 박현도 교수님, 이집트 고고학자 곽민수 소장님, 유라시아 고고학자 강인욱 교수님, 프랑스사 임승휘 교수님을 모시고 옛날 사람들의 화장실 뒤처리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00:00 오프닝
    03:42 옛날에는 화장실 뒤처리를 어떻게 했을까?
    13:11 사실 지금이 1727년이라는 팬텀 타임 가설
    26:13 역사학자들이 음모론을 부수는 방법
    28:55 한국이 유독 다른 나라 역사에 관심이 없는 이유
    📖 강인욱 교수님의 저서
    [세상 모든 것의 기원]
    교보문고 - product.kyobobook.co.kr/detai...
    yes24 - www.yes24.com/Product/Goods/1...
    알라딘 - www.aladin.co.kr/shop/wproduc...
    📖 박현도 교수님의 저서
    [이슬람교를 위한 변명]
    product.kyobobook.co.kr/detai...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역사#화장실
  • РазвлеченияРазвлечения

Комментарии • 417

  • @geerapiujrpiun
    @geerapiujrpiun 14 дней назад +160

    저명한 교수님들의 뒷처리 경험담… 이건 귀하군요.

  • @DynamicJTH
    @DynamicJTH 14 дней назад +129

    밥먹으면서 틀어놓기 좋은 채널인데 오늘 내용은 좀 다른때 봐야 겠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sc1kw9lv5d
      @user-sc1kw9lv5d 14 дней назад +8

      왜요! 응아가 어때서유!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2yeong67
      @2yeong67 14 дней назад +2

      저도 식사 끝나고 다시 틀었어요😂😂

    • @user-us3gr3qm3r
      @user-us3gr3qm3r 13 дней назад +1

      저도 밥먹으면서보다가 끄고 밤에보는중ㅋㅋㅋ

    • @blackstorm6867
      @blackstorm6867 12 дней назад

      전에도 제가 밥먹으면서 보는데 똥 던지는 얘기를 하더군요
      그 다음부터 이 채널은 밥먹으면서는 절대 안본다는..

    • @user-hm3cq7nk7c
      @user-hm3cq7nk7c 9 дней назад

      저도 밥먹으면서만 보다가 볼거없어서 미루다미루다 봄 ㅋㅋㅋ

  • @HHW2369
    @HHW2369 14 дней назад +28

    역사저널 그날에서 강인욱 교수님 젊은시절 발견하고 어찌나 반갑던지 ㅋㅋ 앳된 교수님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ㅋ 궁금하신 분들은 천마총편 보시길 ㅋㅋ

    • @fprpvjaj
      @fprpvjaj 13 дней назад +2

      저도 그편 봤었는데ㅋㅋㅋ 윤근일 원장님 나오신편에 이십몇년전에 같이 찍은 사진이라고 사진들고나오신거ㅋㅋㅋㅋ

  • @sean-dz4zm
    @sean-dz4zm 12 дней назад +8

    역사를 보다에 빠져서 교수님들 나오시는 다른 채널도 막 찾아보고 다니는데 몰입과 재미에 조금씩 차이가 있는건 아마 mc의 능력이라 생각합니다. 허준님 감사하고요. 오래오래 해먹어요

  • @anyyou79
    @anyyou79 13 дней назад +4

    너무 재밌어요!!!교수님들 모시고 다양한 주제 언제든 환영입니다❤❤❤

  • @Iamddongim
    @Iamddongim 14 дней назад +11

    역사를 보다 너무 재미있어요!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 @gallina1703
    @gallina1703 14 дней назад +19

    저도1999년에 러시아에서 유학중이었는데요~ 반갑습니다 ^^

  • @Benedicat_me_Dominus.
    @Benedicat_me_Dominus. 14 дней назад +10

    프랑스의 뒤 닦는 문화에 대해 빵 터졌지만 뒤이은 역사 삭제, 저출산 문제를 보니 프랑스혁명-"민중" 손에 최초로 지배층 모가지 날리고 정치하는 이 사건은 인류 최고의 문화유산이고 이 나라가 수많은 죄업을 쌓았음에도 존중받아야 하는 이유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팬텀 가설이 말도 안되지만 그래도 공감받는다면 아마도 승자와 지배층 멋대로 하고 싶은거 다 하고 참 편하게 사는 현실이 와닿아 그런게 아닌가 싶습니다.
    민주주의, 사회주의, 독재 할거 없이 모든 나라엔 카스트가 있고 시스템적으로 상류층 걔들을 끌어내리기가 방법이 아예 없거나 어려운데, 천재지변이 아닌 이상 어지간한 사회문제는 이들이 쓰레기거나 일안해서 생기고 그 피해는 민중이 뒤집어쓰는게 현실이죠. 지들 하고 싶은대로 다 하고 온갖 문제를 일으켰는데 그런 놈들이 하물며 역사도 조작 안했겠냐 이게 팬텀 가설이 지지 받는 이유가 아닐까 싶네요.
    막말로 영상 후반에 저출산 문제도 십수년 전에도 예측되었는데 국회의원들 지금까지 뭐했냐 이겁니다. 쓸데없는 걸로 국회에서 싸우고 토건족과 저질시민단체와 결탁해서 예산낭비하고 먼 미래는 생각안하고 당장의 표만 생각하는 근시안 정책 때문에 나라가 이지경 된거 아닙니까.
    한 10년도 된 일이지만 별거 아닌걸로 사생결단 하는 이놈들이 지들 연금 좋게 주는 법 개정에 거의 만장일치로 심지어 청렴한척 오지게 하는 좌파들도 통과시킨거 잊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우파 한정일지 모르겠는데 노동유연화 쉬운 해고를 외치면서 지들 잘리는 법은 안만들더라고요. 선거가 있으니 그때 심판 받으면 된다지만 못된 정치인이 2년 그 자리에 있어도 열불터지는데 사실 선거시즌 되면 시장가서 뭐 쳐먹고 평소 안하던 봉사활동 하면서 시민들 속이고 또 당선될거면서 말이죠.
    그래서 수틀리면 왕과 귀족들 모가지 날리던 프랑스혁명이 좋습니다. 우리 역사에서도 프랑스혁명 같이 민중이 왕을 끄집어내렸더라면 그리고 쓰레기같고 무능한 정치인들을 내칠 수 있는 시스템이라면 나라 망한다는 소리를 해외 교민이든 국내 주민이든 덜 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 @swissyuna5539
    @swissyuna5539 14 дней назад +4

    어디서도 들을수없는 역사의 뒷이야기...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

  • @user-zb6xs9tb4u
    @user-zb6xs9tb4u 14 дней назад +2

    늘~~~~~재미져요...😊😊😊
    감사합니다 ~~~~

  • @JeongJaeHyeong
    @JeongJaeHyeong 14 дней назад +17

    잘 봤습니다. 정말로 MC허준님은 세세한 피드백까지 잘해주시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aaaayounge
    @aaaayounge 9 дней назад +1

    ㅎㅎㅎㅎ한번 봤다가 지금은 헤어나올 수 없을 정도로 푹 빠졌어요.. 너무 재미있어요 ㅠㅠ 흥미로운 강의 듣는 기분입니다!!

  • @jhss3703
    @jhss3703 14 дней назад +2

    ㅋㅋㅋㅋ너무 잼있어요.ㅋㅋ시간가는지 모르고 봤네요

  • @-gd9913
    @-gd9913 14 дней назад +13

    가습기좀 빵빵하게 틀어주시고
    음료도 마니주세용
    일욜은 역사보다만 기다리는데
    기침소리들리면 너무 고생하신단 느낌듬.

  • @Kang-po7qq
    @Kang-po7qq 14 дней назад +2

    ㅋㅋㅋ 마무리 멘트까지 완벽!!!

  • @poong322
    @poong322 14 дней назад +107

    허준님 진행은 편암함이 느껴져 좋군요

    • @tongue007
      @tongue007 14 дней назад +3

      ㅋㅋㅋ

    • @cyh447
      @cyh447 14 дней назад +9

      게임채널부터 이어져 온 짬바 무시못하죠

    • @Maseemaro
      @Maseemaro 14 дней назад +3

      내공이 너무 쌓임;;

    • @yhansookim7850
      @yhansookim7850 13 дней назад +1

      토전사가 주효

    • @shinshinshin9348
      @shinshinshin9348 13 дней назад +3

      역사 토크 방송에서는 독보적 존재죠. 게임 전문 mc에서 성공적으로 스위칭한 케이스

  • @user-bo9kg3hb4j
    @user-bo9kg3hb4j 14 дней назад +5

    점심 먹으며 보려고 제목도 안보고 눌렀는데 밥 다목고 봐야겠다..^^^

  • @Khancho5941
    @Khancho5941 14 дней назад +6

    영상에 언급된 메소아메리카에 대한 내용도 나오면 재미있을것 같습니다.

  • @ddang-ub4dg
    @ddang-ub4dg 14 дней назад +6

    영화 데몰리션맨에서 조개 껍데기 3개가 화장지 대신 미래에 진보한 화장실 뒤처리 도구로 등장하던데 나름 근거가 있던 연출이군요ㅋㅋ😲😲

  • @user-sn9mq9bf2q
    @user-sn9mq9bf2q 14 дней назад +37

    그.. 밥을 먹을라 했는데.. 다 보고 먹을게요..

    • @abc-ey1er
      @abc-ey1er 14 дней назад +6

      먹고 보는게 맞지 않나..

    • @bjh09
      @bjh09 14 дней назад +2

      ㅋㅋ 익숙해지면 보면서 먹으면 되긴한데 ㅋㅋㅋ

    • @ggalsek
      @ggalsek 14 дней назад +3

      영상이 에피타이저군요

    • @user-go2rj9om5v
      @user-go2rj9om5v 14 дней назад +2

      썸네일 보고 바로 햇반 돌림

    • @Ribbon5323_
      @Ribbon5323_ 14 дней назад

      보면서 같이 먹어야지

  • @mijinjoo3511
    @mijinjoo3511 5 дней назад +1

    영상 감사하게 봤습니다

  • @lyonq_1617
    @lyonq_1617 13 дней назад +2

    허준님 진행 넘 잘하세요

  • @hyunjaelee007
    @hyunjaelee007 13 дней назад +2

    언제들어도 감미로운 강인욱교수님👍👍👍👍🚬

    • @respectyou1163
      @respectyou1163 7 дней назад +1

      강인욱 교수님 목소리가 좋으시고 말씀이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

  • @ultexrock9194
    @ultexrock9194 14 дней назад +21

    진짜 90년대에도 서강대 화장실에는 화장지가 충분하게 비치되어 있었습니다. 홍대에서 놀러온 사촌형이 화장실 갔다가 화장지가 있다며 놀라워했던 게 기억나네요.

  • @MYUxAimar
    @MYUxAimar 14 дней назад +20

    원피스 이야기까지 나오고 또 잘아시니 신기하네요 ㅋㅋ 애굽민수님 역시 이집트배경과 고고학자출신 니코로빈 최애캐 ㅋㅋㅋ

  • @user-tf8gm1lq3b
    @user-tf8gm1lq3b 13 дней назад +2

    메소아메리카 정혜주교수님 강의가 팟빵에 있어요 몇년전에 재밌게 들었어요 책도 잘 읽었어유

  • @user-jz2eb6rd6u
    @user-jz2eb6rd6u 14 дней назад +5

    역사를 보다 항상 너무 재미있어요~
    진행의 허준님과 여러 교수님 감사합니다

  • @SWAAG14
    @SWAAG14 12 дней назад +1

    의식의 흐름 좋아요 ㅎㅎ

  • @riversideu
    @riversideu 14 дней назад +8

    익산 왕국박물관에 가보면 옛백제궁궐에서는 길다란 막대기로 처리했다는 유적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시골에서는 신문지도 귀하니까 새끼줄로 처리하기도 했고 짚을 부드럽게 해서 처리한 후 똥에 던져두면 썩으면서 거름이 되었죠. 암튼 옛 사람들도 그 나름대로 다 처리하면서 살았습니다.

  • @user-cq8yc9if1o
    @user-cq8yc9if1o 14 дней назад +1

    진짜 재미있음 ㅋㅋㅋ

  • @JayPChoi
    @JayPChoi 13 дней назад +1

    강인욱 교수님 문득 보니 피부가 타셨네요ㅎㅎㅎㅎ 날 풀리면서 발굴 다녀오신 걸까요ㅋㅋㅋ

  • @ms-06-zaku
    @ms-06-zaku 14 дней назад +1

    허준형님 너무 재밌어 ㅋㅋㅋ

  • @kim1210AAA
    @kim1210AAA 14 дней назад

    참.. 상상이 되어서 웃음이 나옵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IiDd-pq9hf
    @IiDd-pq9hf 10 дней назад +1

    이런채널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

  • @user-go1mt5mn1b
    @user-go1mt5mn1b 13 дней назад

    와~~~궁금했던 내용이 드뎌 나왔네요ㅋㅋ
    드러운 얘기지만 지금이나 그때나 항문(덩싸기, 치질)은 중요한 부분이죠ㅋㅋ
    처리보다 뭘로 어떻게 닦았을지 궁금 했는데ㅋㅋ
    오늘도 재밌는 내용 감사합니당^^❤

  • @user-qj8ns4io4x
    @user-qj8ns4io4x 14 дней назад +3

    오늘 언급되신 정혜주선생님도 나오시면 좋을것같아요 마야잉카문명 음모론?만많지 진짜 궁금한게많은데!

  • @user-iy8ls6sk4k
    @user-iy8ls6sk4k 14 дней назад +8

    허준씨 최고입니다~!

  • @altaikim
    @altaikim 14 дней назад +38

    산이나 들에서 휴지나 뒷처리할 만한 종이가 없을 때 가장 좋은 대용품이 쑥입니다. 아무 풀이나 나뭇잎을 쓸 경우에 영상에서 말씀하셨듯 상처가 날 수 있는데 쑥은 그럴 걱정이 전혀 없습니다. 예전에 시골 어른들이 나무하러 가거나 들에서 일하다 신호가 오면 쑥을 뜯어서 사용하셨다 합니다. ㅋㅋㅋ

    • @user-ki4gj6xu4f
      @user-ki4gj6xu4f 14 дней назад +2

      겨울에는요? 시골에서 여름에는 자연에서 충분히 해결되죠 ㅎㅎ

    • @jinyoungkim2775
      @jinyoungkim2775 14 дней назад +4

      @@user-ki4gj6xu4f 겨울에 눈이 쌓여있다면 당연히 눈 이고요.. 눈이 없을경우엔 마른갈대(지푸라기과 비슷함)를 엮어서 닦습니다.

    • @Maseemaro
      @Maseemaro 14 дней назад +1

      전쟁후 전쟁터에 쑥이 가장먼저 잘 자란다죠 ㅋㅋㅋ 쑥대밭

    • @user-em5dq5vx8o
      @user-em5dq5vx8o 14 дней назад +2

      쑥은 여자좌욕할때도 쓰이는거니까...왠지 괜찮을꺼 같음...ㅋㅋㅋㅋㅋ😮

    • @chicaquila
      @chicaquila 14 дней назад +2

      @@jinyoungkim2775 눈은 천연비데죠.

  • @user-pt7yb8wu7w
    @user-pt7yb8wu7w 14 дней назад +1

    시골집 화장실 옆엔 단풍나무를 심었었죠
    호박도 심어 놓고 ㅎ

  • @user-px9kd5er9s
    @user-px9kd5er9s 14 дней назад +4

    막 싸고 와서 보는 옛날 사람 싸는 이야기... 이거 귀하네요.

  • @daymoon__
    @daymoon__ 11 дней назад +1

    아 너무좋아 고급지식인분들과 친구되서 얘기듣는 느낌

  • @hive1q84
    @hive1q84 7 дней назад

    안협소님 수염길러도 어울리시네요😊

  • @wyunu3767
    @wyunu3767 13 дней назад +1

    과학은 역사보다 조금 더 일상생활에 가까운 경우가 많아서 내용 자체가 재밌다고 느끼는데,
    역사는 사실 재미 없고 관심 없을 수도 있는 얘기를
    허준님이 너무 매끄럽고 깔끔하게 진행해주셔서 이야기가 잘 들려요.

  • @semoligic
    @semoligic 14 дней назад +3

    니코로빈ㅋㅋㅋ수줍민수네요 ㅋㅋ 귀여워-

  • @Jungwan0
    @Jungwan0 14 дней назад +5

    저도 중학교때 장래희망 적을떄까지는 고고학자였는데 ㅠㅠ 현실에 타협해서 살고있습니다.

    • @123carth
      @123carth 14 дней назад

      만 명 중에서 1등할 정도 되면 고고학 전공해도 밥 먹고 살 수 있음.

  • @Marin.27
    @Marin.27 14 дней назад +6

    1582년 10월 달력 확인하고 왔어요ㅋㅋㅋ넘 재밌네요😆

  • @user-xq6um3ui4f
    @user-xq6um3ui4f 13 дней назад

    잘가요 ㅠ 나의 최애채널~~

  • @songkim1437
    @songkim1437 10 дней назад +1

    드럽게 재미있네. 🤣🤣😂😂

  • @sbj77
    @sbj77 14 дней назад +1

    허참씨 진행 여전히 좋네요

  • @j-nacho9614
    @j-nacho9614 14 дней назад

    급하면 뭐든~ ㅋㅋ
    개울있음 땡큐고 보통 짚푸라기, 식물잎등 사용했겠쥬.

  • @user-tn7kn9zw6h
    @user-tn7kn9zw6h 13 дней назад +1

    볼때마다 재밌고 유익하고 꿩먹고 알먹고❤❤ 혹시 고정 역사보다 멤버 팬아트 그려볼까 하는데그리면 보내드려도 되나용…..😮 가능하면 방법 알려주시면 그림 그려볼게용 ❤

  • @mapx2100
    @mapx2100 14 дней назад +1

    학자분들이 생생하게 들려주는 똥얘기 잘 들었습니다. ㅋㅋ
    언제나 그렇지만 시간이 어떻게 가는지도 모르고 잘 봤네요.

  • @nalong731
    @nalong731 14 дней назад

    올라와ㅛ댜!!!!!!!

  • @sssseeeeoooonnnn
    @sssseeeeoooonnnn 14 дней назад

    보통 밥먹으면서 보는데 타이틀보고 한참 고민하다가…. 그냥 밥먹으면서 봅니다….😅

  • @moriaan2115
    @moriaan2115 14 дней назад

    곽민수소장님 시계 매니아 맞음 오늘은 옷과 어울리는 시계 하신거 같은데 어떤건지 궁금하네요

  • @katieacher
    @katieacher 13 дней назад

    와 정말 살면서 다른나라의 고고학을 궁금해해본적이 한번도 없던것같아 머리를 띵 하고 맞은 느낌입니다.. 고고학자가 되는게 꿈인적도 있었는데 너무 늦어버렸네요😢

  • @suquemi
    @suquemi 13 дней назад

    음 밥먹을 때마다 즐겨보는 컨텐츠인데 이번편은 다른 때 봐야겠군..

  • @wjdxoekd917
    @wjdxoekd917 14 дней назад +2

    역사를 보다도 책 만들어주세요~!!!!!

  • @user-pu4ik4ch3l
    @user-pu4ik4ch3l 14 дней назад

    어릴때 신문지도 귀해서 금은방 일력 썼던기억이 있어요. 화장실도 공용 푸세식..

  • @user-de5vx4jk8l
    @user-de5vx4jk8l 14 дней назад

    어렸을때 산에서는 나뭇잎으로 닦았고 바닷가에서는 둥근 돌맹이로 닦았어요.ㅎㅎ

  • @Kmec516
    @Kmec516 13 дней назад +6

    포브스 선정 제일 돈안되는 학과 1위 고고학. 역사학. ㅠㅠ

  • @pvp7600
    @pvp7600 14 дней назад +9

    아침부터 변이야기 ㅋㅋㅋ

  • @user-zb5ty3qq2q
    @user-zb5ty3qq2q 14 дней назад +2

    허준님의 진행은 정말 최고입니다❤❤❤❤

  • @hihi8692
    @hihi8692 13 дней назад

    유럽도 좋은데 동아시아나 오세아니아 남미 등등 다른 곳 전문가들도 나와서 이야기 해주시면 좋겠어요!!

  • @user-eo3qs8gg1s
    @user-eo3qs8gg1s 14 дней назад

    달력좋아!!!!

  • @muamua_73ii
    @muamua_73ii 14 дней назад

    아바라 마시면서 보다가 입맛을 잃었....😂😂😂ㅋㅋㅋㅋㅋㅋ

  • @StellaDito
    @StellaDito 14 дней назад

    31:25 애굽민수 소장님 고맙습니다~
    전에 차승원 배우님과 몇분이서 멕시코가서 찍은 방송이 흥미로웠어서 마야 관련 검색어 넣고 찾아봤었는데 나오는게 단편적이더라구요.
    말씀하신 교수님 이름 넣고 뒤에 마야 붙여서 검색해보니 총 몇강인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마야문명 3천 년의 이야기' 20강까지 유튜브에 올라와있는걸 찾았습니다. 덕분에 잘 보겠습니다^^

  • @Hulkbottle0526
    @Hulkbottle0526 13 дней назад

    어렸을때 노란 재활용봉투 찢어서 엄청 비빈다음 부드럽게 만들고 닦았던 기억이 나네요.

  • @kuutann
    @kuutann 14 дней назад +1

    1분전은 못참지

  • @Terry0724
    @Terry0724 14 дней назад +2

    갤럭시에선 1902년부터 보이는군요. 1582년 보고 싶었는뎅

  • @vinniesalla8974
    @vinniesalla8974 14 дней назад +24

    90년대만해도 시골집은 신문지 많이사용했어요 ㅋㅋ

    • @user-th3dy5dq6j
      @user-th3dy5dq6j 14 дней назад +6

      신문지, 달력,일력 등등ㅋㅋㅋ

    • @user-jh6yr8ks5q
      @user-jh6yr8ks5q 14 дней назад +2

      뜯는 달력이 최고지 일제시대부터 휴지는 서양도 70년대부터라고 유학교수들이 얘기하지않소 오일쇼크때 일본(68~세계2위경제대국)이나 화장시파동(사재기)있었던거지

    • @user-jh6yr8ks5q
      @user-jh6yr8ks5q 14 дней назад

      휴지도 기억이 가물가물 하긴한데 지금과 다르게 한겹이고 잡화가게에서 팔지도 않았고 크리넥스는 최초선전하던게 기억?가물 두루마리30개?없었고 가격도 5백원~천원?(10배?

    • @user-jh6yr8ks5q
      @user-jh6yr8ks5q 14 дней назад +1

      하여간 서울도 88올림픽?아시안?게임 정도에 휴지와 생수 크리넥스란 신문물이 들어온거같음

    • @j-nacho9614
      @j-nacho9614 14 дней назад

      ​@@user-jh6yr8ks5q88은 아니죠.ㅋ 80년전후.

  • @user-tf8gm1lq3b
    @user-tf8gm1lq3b 13 дней назад +1

    야식이 땡겼는데 듣다보니 물만 먹어도 충분히 참아지네요..

  • @ebk543
    @ebk543 14 дней назад

    와 화장지가 보편화된게 생각보다 얼마 안되었나보네요,,,,신기합니다ㅎㅎ

  • @user-jo4ns2it9p
    @user-jo4ns2it9p 14 дней назад +1

    왔다 주말 내 간식❤

  • @activisionblizzardkorea
    @activisionblizzardkorea 14 дней назад +15

    밥먹기전에 봐서 다행이다

  • @user-le1cy3fb9i
    @user-le1cy3fb9i 12 дней назад

    최민식씩 영화배우인줄만 알았는대 역사 교수로도 활동중이셨군요 응원합니다

  • @user-po6rd7lk8r
    @user-po6rd7lk8r 6 дней назад

    인트로에 왜 자기소개 하실 때 다들 매 번 수줍으세요 ㅎㅎ

  • @YujinYoon-xr1tw
    @YujinYoon-xr1tw 14 дней назад +5

    일요일 아침 모닝똥을 챙겨주는 역사를보다 😂😂

  • @space27
    @space27 14 дней назад +1

    오랬동안 그냥 풀잎을 사용했을텐데요.
    아니면 그냥 대변 보고 마르기까지 기다리던가..-_-

  • @WhereIsMyName0
    @WhereIsMyName0 9 дней назад

    데이터가 사물에 해당되는 지 궁금합니다.

  • @user-py6pg5zq7y
    @user-py6pg5zq7y 8 дней назад

    정말 급해서 산에서 휴지없이 볼일 본적이 있는데
    나뭇잎 매끈한거 말고 좀 거친걸로 닦아야 됩니다
    매근한면은 안닦입니다.. 참고하시길

  • @kkittkkattt
    @kkittkkattt 14 дней назад +2

    교수님들 빵 드시면서 하세요

  • @user-gf8bu7iw5m
    @user-gf8bu7iw5m 14 дней назад +4

    휴지도 없고, 종이도 귀했던 시절에는 차라리 지푸라기가 제일 현실적이고 합리적이었을 듯.

  • @cosmosdust
    @cosmosdust 14 дней назад

    역사를 보다와 과학을 보다를 볼때마다 느끼는거지만 시간이 이렇게 긴데 엄청 빨리 지나가고 너무 짧게 느껴진다는 겁니다ㅎ

  • @ptu_chanw
    @ptu_chanw 13 дней назад

    29:03 어라ㅋㅋㅋㅋㅋ 이거 전에 제가 댓글 달았던거 같은데 다 읽으시는구나ㄷㄷ

  • @tgr1092
    @tgr1092 14 дней назад

    콩잎이 최고

  • @g04jee
    @g04jee 14 дней назад +1

    산에 가면 칡잎이 최고 ㅋㅋㅋ

  • @user-vc9mg7ft3r
    @user-vc9mg7ft3r 14 дней назад +4

    뾰족까지는 그렇고
    적당한 돌과 잎사귀들이
    산에는 많아요.❤

  • @cat_emperor
    @cat_emperor 8 дней назад

    28:22 아쉽지만 옛날 사람들은 똥을 어떻게 닦았을까 입니다 민수님 ㅋㅋㅋ

  • @user-ol3rj4gw2j
    @user-ol3rj4gw2j 14 дней назад

    도자기 파편이요???

  • @emptyspace8358
    @emptyspace8358 14 дней назад

    밥먹으려는데 추천 영상이 떠서 밥 다 먹고 봄...

  • @user-wy8fx3xn3j
    @user-wy8fx3xn3j 14 дней назад +2

    똥닦이라니, 감개무량 합니다. 역시 보다!

  • @real0027
    @real0027 14 дней назад

    문명발전이 이렇게 고마운건 처음이다

  • @user-wl7yr8ru8f
    @user-wl7yr8ru8f 14 дней назад +2

  • @mindy83
    @mindy83 14 дней назад

    이게 뭐라고 이렇게 진지하신거예요 ㅎㅎㅎㅎㅎㅎ

  • @user-nw1be9yj2j
    @user-nw1be9yj2j 10 дней назад

    22:00 역시 MC허준의 짬이란. 혹시라도 누군가 오해해서 비난 받을 수도 있으니 바로 풀어서 설명해주네.

  • @user-lh8vy3qk5y
    @user-lh8vy3qk5y 2 дня назад

    아프리카 역사도 재미있을것같습니다!!
    그레이트 짐바브웨!!!

  • @user-jq5cl8xr8m
    @user-jq5cl8xr8m 13 дней назад

    괴베클리테페얘기해주세요

  • @user-py3qq9bg6p
    @user-py3qq9bg6p 12 дней назад

    11:12 몸이 기억하는 손놀림 ㅋㅋㅋㅋ

  • @mindy83
    @mindy83 14 дней назад +1

    몸이 기억하는 ㅋㅋㅋ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