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각 최대 지원 램 클럭이 아닌, 3200MHz cl16으로 오버클럭한 테스트라 오버클럭을 하지 않는다 가정하면 차이는 좀 더 벌어질겁니다. 2. 결론적으로 2060 SUPER 급을 쓰시는 1~2세대 유저 분들도 갈아탈만 하고, 그 이상의 그래픽카드를 쓰시는 분들은 업그레이드시 체감이 더 클거에요. 3. 여전히 5600X 가격은 30만원 초반선에서 오르락 내리락하는 편인데, 3600은 18만원이라... 1~2세대 유저분들은 쓰던거 중고로 처분하고 갈아타셔도 될듯. 4. FHD 기준이기 때문에, FHD → QHD → UHD로 갈수록 프레임 향상폭이 낮아져요. (특히 UHD에선 3600이랑 5600X의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5. 역시 소켓을 유지하는게 유저 입장에서 좋긴 하네요. 6. 게임 옵션 : 매우 높음 (예외 : 오버워치 스케일 100% 고정, 배그 3트라) ▪ Chapter 00:01 오프닝 00:22 테스트 세팅 00:32 FHD 게임 테스트 01:54 왜 RTX 2060 SUPER를 사용했나 02:41 그래프 - 과연 업그레이드를 해도 될까요? 03:01 작업 영역 테스트 03:31 그래프 - 멀티 코어 테스트 03:47 그래프 - 싱글 코어 테스트 04:05 결론은 이렇습니다 04:40 업그레이드 전 유의하세요 🔎 다나와 최저가 비교 라이젠5 5600X : bsl.gg/X0CjC 라이젠3 3600 : bsl.gg/P8pXw
2060 보다 낮은 그래픽카드를 써도 갈아탈만 할까요? 지금 i7 4790 에 1060 6기가 쓰는데 예전부터 ddr4로 업그레이드 시키고 싶었거든요. 그래픽카드까지 좋은걸로 가기에는 그 정도로 게임을 많이 하는것 같지는 않구요. 아니면 ddr5 나올때까지 기다렸다가 갈아타야 되려나요?
@@사드-k4e 컴을 하나 맞추려니까 (7000cpu 로 ..) 3000번때 글카때는 130이면 맞추던 컴이 글카랑 cpu랑 파워 맞추는데 130쯤 나와서 걍 지금 컴에서 업글 .. 근데 막상 맞추니까 고사양겜 안하게됨 일단 확실한건 롤 프레임 드랍이 없어서 캐릭터가 순간이동이나 늦게 움직이는게 사라졌음 메인보드같은게 가격이 넘 오르니까 넘 힘듬
인텔이 6,7,8,대가 워낙 병맛이 지금도 중고 가격이 높아서 상대적으로 라이젠 5,7 cpu가 괜찮은 듯 합니다. 11세대 인텔 f 버전은 라이젠과 가격 성능은 크게 차이는 안 나는 듯 해요. 발열면에서는 인텔이 관리가 좀 더 쉽고요. 라이젠 5천번대는 수냉이 거의 필수적이더라고요. 다행히 수냉도 저렴한 제품들이 이제는 많아져서 좋습니다. 저는 게임은 안하고 그래픽, 영상,음향 편집 위주로 5600X 2년 좀 넘게 쓰고 있고, 마이크로닉스 팬리스 케이스에 커세어 수냉 2팬짜리와 120mm팬 4개 달고 메인보드에서 온도에 따라서 제어하게 만들어 놓고 쓰니 cpu 100% 시에도 65도 전후로 아주 조용하고 좋습니다. 그래픽 카드는 RTX3060ti보다 GTX1080이 gpu 점유율은 반이 안되고, 속도는 같아서 6년된 1080 안바꾸고 쓰고 있습니다.(제가 쓰는 영상 편집 프로그램 cuda 가속 특성이 그렇더라고요. 덕분에 아들이 RTX3060ti를 득템했죠...ㅎㅎ)
농협쿨러로 커버가 가능하다는건 케이스 쿨링이 좋다는 가정 하에 대한 얘기인 것 같은데 사실 5000번대로 오면서, 2세대 보다 전력 소모가 오히려 줄었습니다. (동일 코어 기준) 그래서 생각보단 발열이 적고요. 만약 농협 쿨러로 구비하신다면 올코어를 쓸때에만 0.1~0.2GHz 정도 떨어지는 수준이라 성능에 치명적으로 차이가 크진 않을겁니다. 케이스가 막혀있거나 하지 않은 이상.. 다만 개인적으론 5950X 지르시는 김에 일체형 수랭도 하나 같이 구비하시는게 좋을 것 같고요 성능상으로는 2700X의 2.5배 정도 성능 낸다고 보시면 돼요. 다만 물론 사용하시는 프로그램이 렌더링을 돌린다거할때 16코어 다 쓰는지 미리 확인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구글링 해보시고 만약 8코어까지 쓴다? 그럼 5800X로만 기존 쿨러 이용해서 쓰시면 될 것 같네요.
저도 3600 사용하는데, load 별로 한것도 없는데, CPU 온도가 높게 찍히고 쿨러 팬속도가 빨리 돌고 시끄럽게 느껴져 , 더 큰 쿨러로 바꾼적 있습니다. 이게 보니, 여기 벤치할때도 온도가 높게 찍히는게 제품의 자체의 발열이 이전 제품보다 높은것 같네요. 제품 전력소모는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발열은 높아져 공정 미세화의 장점이 별로 돋보이진 않은 것 같아요.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개인적으로 7년전에 구매했던 노트북을 아직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i7-4710hq, GTX860M 조합이고요...게임도 많이 안하는데다 아직까지는 작동을 잘해서 좀 더 쓸 생각이긴 한데, 계속해서 새로운 모델에 대한 욕구가 생기네요...그래도 좀 버벅일 때가 있어서, 요즘의 괜찮은 스펙 노트북과 비교하면 얼마만큼 차이가 있을지 궁금해서...혹시 가능하시다면 인텔 아주 구형 세대부터(1세대부터 가능할런지...?) 11세대까지의 비교도 괜찮겠고(영상 말미에 준비한다고는 하셨는데 6세대부터네요ㅠ) GTX 시리즈의 비교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어쨋든 다음 영상 벌써부터 기대되는군요.
i7 6700에 3070 쓰고있는데, 병목때문에 CPU 업글 고민중입니다 ㅎㅎ 3600, 5600x 고민중인데, 어차피 QHD 환경이라 cpu빨이 그리 심하지 않을 것 같아 3600으로 맞추고 DDR5 나오기전까지 한 2년정도 존버용으로 싸게 쓸까 했는데, 이 영상 보니까 5600x 역시 너무 잘만들긴 했네요... 고민고민 ㅠㅠ
목소리가 감기 걸린 목소리네요. 저는 i5-3570에서 라이젠 3600으로 옮겼을때 자주하던 게임 gta5랑 와치독스2, 파크라이는 프레임차이가 별로 안나더라구요. 암튼 최신 고사양으로 옮기는 분들은 대부분이 자기만족 같습니다. 컴퓨터로 게임 주구장창 하는 분들에게는 필수지만 대다수 유저들은 게임 몇번 하다가 인터넷이나 유튜브 전용머신으로 되지 않을까 싶어요.
1. 각 최대 지원 램 클럭이 아닌, 3200MHz cl16으로 오버클럭한 테스트라
오버클럭을 하지 않는다 가정하면 차이는 좀 더 벌어질겁니다.
2. 결론적으로 2060 SUPER 급을 쓰시는 1~2세대 유저 분들도 갈아탈만 하고,
그 이상의 그래픽카드를 쓰시는 분들은 업그레이드시 체감이 더 클거에요.
3. 여전히 5600X 가격은 30만원 초반선에서 오르락 내리락하는 편인데, 3600은 18만원이라...
1~2세대 유저분들은 쓰던거 중고로 처분하고 갈아타셔도 될듯.
4. FHD 기준이기 때문에, FHD → QHD → UHD로 갈수록 프레임 향상폭이 낮아져요.
(특히 UHD에선 3600이랑 5600X의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5. 역시 소켓을 유지하는게 유저 입장에서 좋긴 하네요.
6. 게임 옵션 : 매우 높음 (예외 : 오버워치 스케일 100% 고정, 배그 3트라)
▪ Chapter
00:01 오프닝
00:22 테스트 세팅
00:32 FHD 게임 테스트
01:54 왜 RTX 2060 SUPER를 사용했나
02:41 그래프 - 과연 업그레이드를 해도 될까요?
03:01 작업 영역 테스트
03:31 그래프 - 멀티 코어 테스트
03:47 그래프 - 싱글 코어 테스트
04:05 결론은 이렇습니다
04:40 업그레이드 전 유의하세요
🔎 다나와 최저가 비교
라이젠5 5600X : bsl.gg/X0CjC
라이젠3 3600 : bsl.gg/P8pXw
You익하군요
음 그러쿤요
2060 보다 낮은 그래픽카드를 써도 갈아탈만 할까요? 지금 i7 4790 에 1060 6기가 쓰는데 예전부터 ddr4로 업그레이드 시키고 싶었거든요. 그래픽카드까지 좋은걸로 가기에는 그 정도로 게임을 많이 하는것 같지는 않구요. 아니면 ddr5 나올때까지 기다렸다가 갈아타야 되려나요?
최근 라이젠 프로세서 만큼 매 세대마다
드라마틱한 향상을 보인 시피유는 없었죠
현재 3800X에서 3600으로 갈아탔지만
3600에서 5800x로 갈까합니다
나 3600에 1080ti 쓰는데 ㅠㅠ
공순이 컴퓨터 들고 스타벅스 갈때까지 존버합니다
어? 그럼 저도 존버 좀 할게요
후 .....
ㅋㅋ
들고만 가면 어쩌실려고... 커피 한잔에 배그 한판!
존버 존버!!
콩순이 컴에 rtx3080 들어갈때까지 존버탄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ㄹㅇ ㅋㅋ
ㅗㅜㅑ...
아 그건 2077 년에 가능할뜻..
20년후에는 가능...
??? : 자 이제 세대별에 걸쳐 뚜껑이 얼마나 빡세게 봉인 되어 있는지 뜯어 볼게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게 진짜 뻘짓이지 ㅋㅋㅋㅋㅋ
라이젠은 뜯으면 시퓨 못써요...뚜껑에 코어가 붙어있는 형태라
ㅋㅋㅋㅋ
허su아비 뚜갈 중딩이 생각나네
리사수 그녀는 대체...
아름다울 미!
인텔: 세대가 지날수록 우리는 방법만 터득함
와 최고네요. 제가 가장 궁금해하던 부분이었는데
직접 벤치 비교데이터 일일이 찾아봐야하는데
속시원하게 모두 비교해주시네요.
도움이 되셨다면 감사합니다
1세대와 2세대 차이가 거의 없는 거에 놀랍다..
2000번대 처음 나왔을 때 좀 끊김이 있어 인텔보다 좀 낮지만 배그 할만하다 생각했는데 1000번대와 차이가 크지 않네 ㅎㄷㄷ
인게임에서 살짝 살짝씩 끊기는 "마이크로 스터터링"이 점차 개선된거라 (1→2→3)
3세대부턴 이 스터터링 이슈는 없어졌죵
이번영상은 추천이죠
이런개 진짜필요한실험같아요
콩순이 노트북을 미니 냉장고로 쿨링할 때까지 숨 참는다
아니 ㅋㅋㅋㅋㅋㅋㅋㅋ
x
죽은자의 온기가 느껴지는 댓글입니다.
@@박창주-q7x 이미 식었어요
싸늘하다...
대체 이 죽음은....
뻘짓님 콘텐츠야 뭐 말할것도없지만 , 웃상이셔서 그런지 영상보면서 요즘 정말 힐링받고 있어요!
혹시 뻘짓으로 점철된 하루? 같이 뻘짓님 위주로 촬영된 브이로그하나 팬서비스로 찍어주실 의향은 없으실지 ㅠㅠㅠ
와우....이거 궁금했던 내용인데 영상 제작 해 주셔서 감사힙니다....ㅎㅎ
진심 원했던 영상입니다 업글 고민중이던차에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정말 궁금했던 유용한 뻘짓이네요. 요즘 좋아요~ bbb
아직 콩순이 충격에서 못벗어난 댓글러들ㅋㅋㅋ
그래서말인데 형님 콩순이들고 스벅에서 둠 하는거 "Eng SUB" 넣고 꼭 해주세요
외국 양덕까지 모여들어 조회수 떡상각임다
1600의 등장이 정말 혁신이였죠. 인텔 익스트림 라인업을 20만원대에 쓸 수 있다니! 당시 병목이나 각종 발적화로 말은 많았지만 HEDT를 일반 데스크탑에 데려와준 최고의 공신이라고 생각합니다
원하던 컨텐츠~!!! 감사!! 허나... 살이... 많이 찌신것 같습니다. 건강이 최우선 입니다~!! 예전 모습으로 고고
와 이렇게 정리하니까 성능차이가 확 와닿네요
추가적으로 전력사용량이 중요한데 이것도 그래프가 같이 있으면 더 좋았을거 같아요! (별 차이 없어보이지만)
와..제가 라이젠 1600-2600-3600-5600x 이렇게 썼었거든요. 이런 비교 영상을 만들어주시니 감사합니다. 지인들에게 이걸 언급할때 제 말빨?에 조금 더 근거가 붙겠네요. ㅎㅎ
와우 정말 모든 세대를 거치셨군요 ㄷㄷㄷ
@@BullsLab 어쩌다보니 2000년대 중반부터 AMD를 쭉 써 왔습니다 ㅎㅎ
멀티코어 미쳤네 ㅋㅋㅋㅋㅋㅋㅋ
😋
우리가 감사해야 될 사람은 리사수도 있지만 크르자니크가 삽질을 해주었기에 이런 놀라움이 더 극대화가 되는게 아닐지 고민이 되는 밤입니다.
😂😂
인텔빠 로써 그사람 진짜 뚝빼기를....
이런 테스트 너무 좋습니다~
1600X -> 3600X -> 5600X
넘어왔습니다.
그래픽카드 RTX3080 사용중인데
차이 많이 나네요
콩순이 컴퓨터 스벅 데뷔할때까지 숨참는다 흡!!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라고 써져있는뎁쇼 행님?
5000번대에서 CCX구조 변경과 캐쉬 크기라 인한 레이턴시 속도 크죠.
단일 CCX인 3300X도 기존에 쓰던 580에 1600x 쓰던 시절보다 3300x로 교체후 배필 최소 프레임 30% 늘어났내요
4:47
지금 1800 x 에서 5700x 로 b350 보드 쓰는데 기다리는 자가 승자인거시닷 !!
1060 6 에서 4070ti 로 업글 ^오^
@desipe9404 그거 성능 ㅈ망일텐데 ..
글카 성능 다 뽑아내긴 힘들겠네요ㅋㅋㅋ 그래도ㅈ글카는 계속쓸수 있으니 나쁘진 않을듷
@@사드-k4e 컴을 하나 맞추려니까 (7000cpu 로 ..) 3000번때 글카때는 130이면 맞추던 컴이 글카랑 cpu랑 파워 맞추는데 130쯤 나와서 걍 지금 컴에서 업글 .. 근데 막상 맞추니까 고사양겜 안하게됨 일단 확실한건 롤 프레임 드랍이 없어서 캐릭터가 순간이동이나 늦게 움직이는게 사라졌음 메인보드같은게 가격이 넘 오르니까 넘 힘듬
@@포카포카 더 참았다가 5700x3d하고 70tis로 샀으면..
@@제잘못입니다 1년하고 2개월 전인데 .. 거기다 5800도 멀티가 안돼는데 고작 5700따위를 .. 1800x이랑 비교하면 멀티 성능이 월등 하지만 음 ..
요번에 1600에서 3600으로 이사했는데 체감이 꽤 좋네요. 3세대부터 라이젠이 많이 좋아졌었다고 들었는데, 이제야 돈이 생겨서 6세대전에 1년만 쓰려고 3600으로 이사햇는데 만족감 높음
오오 이거 제가 테스트 해봐달라고 했던 영상인거같은데 드디어 올라왔네요!!!
결정장애 있어서 아직도 업그레이드를 못하고 있습니다.. ㅜ_ㅜ
헉 아직도 업그레이드를 못하고 계시다니ㅠ
@@BullsLab 신형 맥북이 있어서 작업은 거의 그걸로 하긴해서 급하진 않다고 생각해가지고여 ㅋㅋ (고민은 배송을 늦출뿐...ㄷㄷ)
수고하셨습니다
정말 알고싶은 내용이엇는데
곧 업글 해야겟네요 ㅋㅋ
:)
역시 뻘짓님!!! 2600사용하고 있는데 5600으로 갈아주려고 하는데 어느정도 성능향상이 있을까 했는데 역시 이런 영상 만들어 주셨었군요 !!!
이거 보고 3600 캉리적 갓성비로 메인보드 그래도 쓰는선에서 넘어왔습니다 감사합니다 굿굿 체감 오짐 로딩속도라 프레임방어보고 만족
이런거 좋네요~ 궁금했었는데 ㅎ
감사합니다 ㅎㅎ
인텔의 흑우에서 벗어나게해준 리사수누님 감사하긴한데 요즘 인텔을 따라가는듯한 암드의 짓거리에 좀 걱정되는건 사실
컨텐츠도 좋고, 주인장님 날씬하군요^^
하스웰 i5 쓰다가 올초에 라이젠 3600으로 업글했습니다. 슬프게도 글카는 rx570 그대로 쓰지만, 프레임의 비약적인 상승이 있어서 만족합니다 ㅎㅎ
최고의 가성비를 찾으신다면 라이젠3600+B450보드 추천합니다. 이젠 구세대가 되었지만, 잘 찾아보면 CPU+메인보드 합쳐서 25만원 아래로 구매가 가능하니까요.
추후 5000번대 업글도 노려볼수 있구요
작년에 라이젠 3천번대 씨피유 리뷰를 여기서 보고 구입하자마자 몇달뒤에 5천번대 나와서 후회 했는데
이영상 보니 업그레이드 다시 하고 싶네요 ㅎㅎ
근데 확실히 1600이 진짜 잘 만든 것 같아요 17년도에 샀는데 아직까지도 잘쓰고있고 6코어 12스레드라는 미친성능이니 ㅋㅋㅋ
뭘 잘 만들어 이제 관짝이지 ㅋㅋㅋ
@@Mr-fy4rc 아 ㅋㅋㅋ 그럼 제껀 이미 자연으로 돌아가버린 퇴비네요. i5 4670 ㅋㅋㅋㅋ 아직 ddr4도 맛을 못봄ㅋㅋㅋㅋㅋㅋㅋ
@@Mr-fy4rc 우리 샌디 할배도 현역임
유용한 영상 감사합니다. ^^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2600이 아직은 현역이지 하며 사용해왔는데 이 영상으로 업그레이드 하고 싶어지네요.
깔끔하게 요약 잘했네요.
6코어 i7 6800k 사려고 했는데 라이젠이 나와서 무야호~~ 리사수 만세!
이런 영상 너무 좋아요!
감사합니다🙇
와 정말 제가 알고 싶었던 정보들이었는 데 감사합니다 ㅠㅠ 어쩌다 보니 2600x에 2070super 사용하고 있었는 데, cpu를 바꿔야 되나 고민이 많았었거든요 ㅠㅠ 정말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항상 건강하고 흥하세용
이런 비교 너무 좋아
감기 걸리셨나요? 목소리가 평소랑 다르네요. 몸 챙기면서 하세요..
인텔이 6,7,8,대가 워낙 병맛이 지금도 중고 가격이 높아서 상대적으로 라이젠 5,7 cpu가 괜찮은 듯 합니다. 11세대 인텔 f 버전은 라이젠과 가격 성능은 크게 차이는 안 나는 듯 해요. 발열면에서는 인텔이 관리가 좀 더 쉽고요. 라이젠 5천번대는 수냉이 거의 필수적이더라고요. 다행히 수냉도 저렴한 제품들이 이제는 많아져서 좋습니다. 저는 게임은 안하고 그래픽, 영상,음향 편집 위주로 5600X 2년 좀 넘게 쓰고 있고, 마이크로닉스 팬리스 케이스에 커세어 수냉 2팬짜리와 120mm팬 4개 달고 메인보드에서 온도에 따라서 제어하게 만들어 놓고 쓰니 cpu 100% 시에도 65도 전후로 아주 조용하고 좋습니다. 그래픽 카드는 RTX3060ti보다 GTX1080이 gpu 점유율은 반이 안되고, 속도는 같아서 6년된 1080 안바꾸고 쓰고 있습니다.(제가 쓰는 영상 편집 프로그램 cuda 가속 특성이 그렇더라고요. 덕분에 아들이 RTX3060ti를 득템했죠...ㅎㅎ)
이번에 2600x 에서 5600x로 업그레이드 하는데 기대되네요.. 소켓도 Am4유지해줘서 고맙고요, A320 아수스 보드는 5600X도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지원하더군요, 근데 B450보드가 가격이 더 싼것도 있다는건 함정..
이런 영상 앞으로도 많이 올려주세요~
남휘종 선생님 잘보고 갑니다☆
이런 영상을 원했습니다!!
얼마전 2600에서 5600x로 갈아탔는데 와... 신세계더군요. 4K에선 씨퓨 영향 별로 없다지만 3070 쓰면서 역시 2600과 5600은 차이가 꽤 나던..
저도 2600x쓰는데 교체하면 체감느껴지시나요? ㅎㅎ
@@임재원-w7x 2600과 2600x가 그렇게까지 차이는 없어서.. 체감 되실꺼에요 ㅎㅎ
사실 2세대 라이젠까지는 당시 암드빠들이 바득바득 우기긴했지만 게임에서 쓸게 못되는게 팩트라서
5000번대는 11세대까지 인텔도 이겼으니
2000번대
이 컨텐츠를 원했는데 감사합니다
저야말로 감사합니다
0:00 형 왜 인트로 멘트가 바꼈어? 안녕하세요 뻘짓연구소의 뻘짓입니다가 더 좋아
3,4세대가 전세대에 비해 많이 좋네요 역시 어떤 제품이든 초기세대는 사는게 아닌가 봅니다
시간이 곧 성능인 반도체 업계라 ㅎㅎ
성능을 미리 돈으로 사는거죠
으아.. 뽑기운이 좋아 1600 코어부활을 아직도 쓰고있는데 슬슬 놓아줘야할때가 온거같아 슬프네요 ㅋㅋ ㅠㅠㅠ
헉 레어템 쓰시고 계시는군요 ㅋㅋㅋㅋㅋㅋ
저도 구하려고 웃돈주려다가 하..
포기했습니다
안녕하세요 뻘짓님 항상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연초에 원래 계획했던 3080 구매를 실패하여 cpu라도 업글하는게 어떨까싶어 고민적어봅니다.
2700X 사용중인 유저이구요
주사용은 3DS MAX 와 스케치업 모델링 및 V-RAY5 렌더링 입니다.
마음같아서는 5950X로 가고싶은데요 현제 마초rt 역방향 쌍팬 공랭 사용중이기도 하고
일체형수냉으로 옮기고 싶지 않은 마음이큰 와중에 농협쿨러로 제한된 성능이지만 실사용 가능하다(?)는 글을 접하게 되어 5950이 눈앞에 어른거립니다.
사실 2700x 이상의 cpu를 접해보지 못해서 작업의 향상이 어느정도인지 와닿지가 않아 업글이 유의미한가
지금 시점에서 투자는 필요한가 싶은 마음도있어요 . 내년에는 ddr5 메모리 방식으로 넘어간다는 말도있어서
내년 중반까지는 존버를 해볼까 어쩔까 생각도 들구요 .
공랭 마지노선으로 어느정도의 cpu를 추천하시나요 ~ ?
공랭 마지노선이라는 5800x 인지 코어뽕에 취할수있는 5950인지 고민입니다 . 조언 부탁드려요 ~
농협쿨러로 커버가 가능하다는건 케이스 쿨링이 좋다는 가정 하에 대한 얘기인 것 같은데
사실 5000번대로 오면서, 2세대 보다 전력 소모가 오히려 줄었습니다. (동일 코어 기준) 그래서 생각보단 발열이 적고요.
만약 농협 쿨러로 구비하신다면 올코어를 쓸때에만 0.1~0.2GHz 정도 떨어지는 수준이라
성능에 치명적으로 차이가 크진 않을겁니다. 케이스가 막혀있거나 하지 않은 이상..
다만 개인적으론 5950X 지르시는 김에 일체형 수랭도 하나 같이 구비하시는게 좋을 것 같고요
성능상으로는 2700X의 2.5배 정도 성능 낸다고 보시면 돼요.
다만 물론 사용하시는 프로그램이 렌더링을 돌린다거할때 16코어 다 쓰는지 미리 확인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구글링 해보시고 만약 8코어까지 쓴다? 그럼 5800X로만 기존 쿨러 이용해서 쓰시면 될 것 같네요.
@@BullsLab 와 자세한 덧글 감사합니다 !!. 현재 사용중인 케이스가 저소음 케이스인 3rsys -l900입니다 전면은 녹투아 140mm 팬 두개로 교체했구요 상단부는 막아놨으나 쿨링이 필요할때는 열어놓고 전면 기존팬 140mm 달아놓고 사용합니다. 후면 팬은 a12x25 사용중이구요 쿨링 필요할때는 옆판마져 열어버리고 사용하는편이라 쿨링에 지장이 있을까도 고민이 됩니다. 마초rt 쌍팬인데 여기서 농협을 들이는건 아닌것 같기도하구요... 일체형 수랭은 아쉽게도 제가 펌프소음하고 지인거 터져서 작업에 지장 생긴적이 있기에 공랭을 고집하는 버릇이 있습니다 ㅠ 5950x 가도 될까...요? ㅎㅎ ;; 젠3+ 소식이 쏙 들어가버려서 갈팡질팡하고있습니다 ㅠ
인트로 바꼇어!!
아.... 이런리뷰 넘 좋당
뻘짓연구소 라길래 이상한짓 하나 싶었는데
개인적으로 해보고 싶었던 것들이나 필요한 정보가 정말 많네요
안녕하세요 뻘짓연구소의 뻘짓입니다 어디갔나요?
뭔가 색다르네요 그냥 뻘짓연구소라고만하니까
B350이라 4세대는 못쓰고 2700에서 3600으로 갈아탔는데 2코어가 줄었음에도 완전좋아졌음을느껴요
게임프레임뿐아니라 전체적으로 시스템이 빠릿빠릿해졌어요 2700은 중고처분하면서 비용도 얼마안들구요
저도 3600 사용하는데, load 별로 한것도 없는데, CPU 온도가 높게 찍히고 쿨러 팬속도가 빨리 돌고 시끄럽게 느껴져 , 더 큰 쿨러로 바꾼적 있습니다. 이게 보니, 여기 벤치할때도 온도가 높게 찍히는게 제품의 자체의 발열이 이전 제품보다 높은것 같네요. 제품 전력소모는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발열은 높아져 공정 미세화의 장점이 별로 돋보이진 않은 것 같아요.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개인적으로 7년전에 구매했던 노트북을 아직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i7-4710hq, GTX860M 조합이고요...게임도 많이 안하는데다 아직까지는 작동을 잘해서 좀 더 쓸 생각이긴 한데, 계속해서 새로운 모델에 대한 욕구가 생기네요...그래도 좀 버벅일 때가 있어서, 요즘의 괜찮은 스펙 노트북과 비교하면 얼마만큼 차이가 있을지 궁금해서...혹시 가능하시다면 인텔 아주 구형 세대부터(1세대부터 가능할런지...?) 11세대까지의 비교도 괜찮겠고(영상 말미에 준비한다고는 하셨는데 6세대부터네요ㅠ) GTX 시리즈의 비교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어쨋든 다음 영상 벌써부터 기대되는군요.
1600->3600으로 사용중 개꿀 리사수누님 감사합니다 5600X가격떨어지면 또바꿀거임ㅋㅋ리사수만세
i7 6700에 3070 쓰고있는데, 병목때문에 CPU 업글 고민중입니다 ㅎㅎ
3600, 5600x 고민중인데, 어차피 QHD 환경이라 cpu빨이 그리 심하지 않을 것 같아 3600으로 맞추고
DDR5 나오기전까지 한 2년정도 존버용으로 싸게 쓸까 했는데, 이 영상 보니까 5600x 역시 너무 잘만들긴 했네요... 고민고민 ㅠㅠ
진짜 2세대까지는 마이크로스타터링이랑 호환성때문에 정말 던져버리고 싶었지만 3세대부터는 인텔이랑 거의 차이가 없고 가격도 오히려 싸니까 라이젠에 애정이 생기네요.
비교영상이 같은 영상 같은데, 어덯게 cpu를 비교를 하는거죠?
cpu를 다르게 꽂거나, 또는 이미 셋팅된 4개의 컴퓨터라는 건데,
어떻게 영상이 동일 한지 이해가 되지 않네요.
비교영상들 당연히 다른 영상들입니다 위에 프레임 나오잖아요...게임 내에서 벤치마크용 영상을 제공하거나 게임 리플레이 재생등으로 가능합니다
라이젠은 요새 노트북 칩셋에서 더욱 차이가 심하던데 공정 미세화가 진짜 중요하다는걸 느끼네요
암드 2600 vs 인텔 9400f 때부터 봐왔는데 정말 감회가 새롭네요 ㄷㄷ
그시절부터 관심있게 보셨다면
일취월장이죠 ㄷㄷ
목소리가 감기 걸린 목소리네요. 저는 i5-3570에서 라이젠 3600으로 옮겼을때 자주하던 게임 gta5랑 와치독스2, 파크라이는 프레임차이가 별로 안나더라구요. 암튼 최신 고사양으로 옮기는 분들은 대부분이 자기만족 같습니다. 컴퓨터로 게임 주구장창 하는 분들에게는 필수지만 대다수 유저들은 게임 몇번 하다가 인터넷이나 유튜브 전용머신으로 되지 않을까 싶어요.
갓사수의 변천사다 이건
하지만 난지금 3900x사용하지만 존버해서 라파엘로 가겠습니다!!!(5900가고 싶었지만 DDR5생각하면 )
라이젠 출시한거보고 암드 들어가면 되겠다 생각했습니다. 그생각이 맞더군요
주주 등장 ㄷㄷ
92층입니다 살려주세요 ㅜㅜ
3600쓰는데 이번엔 존버좀 타다 다음세대 나오면 넘어가야지.
항상 벤치는 최고사양 부품만 사용해서 중고사양 유저들에게 어느정도 향상이 있을지 궁금했었는데 좋은 벤치 고맙습니다
이런 상황에도 끄떡하지않고 11500사고 닉값 제대로하는 내인생 ㄹㅈㄷ
i5은 가성비 ㅇㅈ
@@BullsLab ㄹㅇㅋㅋ 라젠5가 지금 가격대가 애매해서 그냥 할인 먹여서 23에 샀는데 대만족중.
1빠~ 암드의 리사 수 사장님이 콘솔을 잡지 않았다면 라이젠도 못봤겠네요. 2012년에 합류해서 콘솔게임 커스텀 APU로 풀칠하여 적자를 면한 다음에 바로 라이젠 CPU로 개발했으니까요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기인 이유가 있죠
유일한 반도체업계 여성 CEO이기도 하고요
@@BullsLab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건 리사 수 사장님 그 자체가 AMD라는 사실이져ㅋ
지금 3600 + 1060 3gb 조합 사용중이라 5600x 2060 조합은 얼마나 다른가 항상 궁금했는데 이거 보고 어제 주문한 5600x + 2060 소비의 합리화가 매우 잘 됐습니다ㅋㅋㅋ
라이젠 빠돌이로써 말씀드리자면, 1세대 2세대 별 차이 없습니다. 근데 여기서 3세대로 교체하게 된다면 드라마틱까진 아니지만 성능차이가 생깁니다 근데 또 여기서 4세대 (5000번대)로 업그레이드를 하면 미친성능변회가 생깁니다. 진짜 어미어마한 발전이네요..
게임 말고도 전문가용 작업도 궁금하네요
그 3d 모델링 렌더 2d작업을 병행할때 그 짬뽕된 프로그램과 아직도 단일코어나 듀얼만 지원하는 별잡스러운 프로그램과 난잡한 플러그인들 모두 문제없이 원할히 돌아갈지가... 항상 걱정이더라고요. 호환성은 어떤가요?
호환성은 업데이트 지원이 끊긴 아주 옛날 프로그램 아니면 괜찮습니다.
현업에서도 라이젠이 많이 들어가는 중이라 이젠 안돌아가면 클레임 걸리죠
개별 플러그인은 각 회사나 개인의 최적화 정도 차이가 있지 않을까 싶긴합니다
1세대 3세대 5세대 다 써봤지만 1세댄 진짜 ....
투반 1055t 노인학대 존버중입니다. 이렇게 된 이상 더 존버해서 6600x 나오면 그때....
팔병장 아직 근무중!!!!(사무용과 월탱용으로 ㅋ) 저 성능그래프에 넣어주세요. 명예직으로 ㅋㅋㅋ
라이젠 1600쓰고 있었는데 5600x으로 바로 갈아타야겠군요.. 메인보드 호환 안되서 존버하고 있었는데 이제부턴 b350도 호환 된다는..ㅠㅠ
성능 향상도 높고 호환도 지금까지 많이 해줬으니 다음 세대에선 제발 무뽑기 개선좀..
킹반인들은 구리스 다시 바르지않고 오래오래 쓰는데 3년에 한번 마음먹고 청소 한번 하거나 부품 분리하려고 하면 굳은 구리스 때문에 무뽑기 되버려 발암걸림..
다음 세대부턴 인텔 처럼 좀 바뀌었으면 좋겠어요..
amd가 확실히 평이 좋아진게 젠2기반 라이젠3세대라고 생각되네요 3000대-5000번때 씨피유 나올때쯤 인텔은 10세대 11세대 나오면서 발열문제로 골머리 앓고 있는걸로 압니다. 그래픽카드의 경우에도 과거에는 라데온이 n비디아 g포스에 처참히 발리는 경우가 많았었는데 최근에는 그것도 많이 극복한 모습이다 라고 생각되네요 저번에 뻘짓님께서도 6700xt 리뷰 하시지 않으셧나요? 시대가 바뀐만큼 인식도 변화되어야한다 생각하네요
N비디아 g포스 이러네ㅋㅋ 인텔 라이젠도 in텔 ry젠이라 하지 왜?
리사수 누님의 명작을 보는거 같아!!
계속 인텔쓰다가 라이젠 바꿨는데
개인적으로 소음 젤 적고 모든 활동에 다 쾌적해서 너무 만족
구매한지 대략 5년은 된거 같은데,, 2600에 gtx 1660 사용중인데
어차피 유튜브 주로 보면서 게임이라고 해봐야 디아2 수준인지라
퍼질때까지 쓸 예정 ㅎㅎㅎ;
이왕 존버한거
Ddr5 까지 존버닷!
- 라이젠 1600사용자
이런영상 조아
간만에 컴터 영상 나이따!
8300도같이해주셨어야 얼마나 놀라운지알수있는건대 ㅋㅋ 잘봤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 불도저는..... 넣으면 능욕이죠 ㅋㅋㅋ
그래픽카드 로드율에 차이가 보이는 이유를 생각해 보면 CPU에서 지원하는 PCI-E 대역이 3.0 이냐 4.0 이냐의 차이가 있을 것 같네요.
+ ccx 구조차이
다들 콩순이컴 한마디씩 하는군요..
그럼 저도...
콩순이 컴에 스레드리퍼 달때까지...
아니... 어째서 이번 영상은 뻘짓이 아닌거죠 ㅠㅠㅠ
이런 영상이 종종 있습니다 😃
2:35 저는 3천번대 기다리려고 3700X 1080TI 조합으로 한동안 썼어요 ㅋㅋㅋㅋ
1660 슈퍼 나올때 같이 라이젠 3600으로 갔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잘 산듯
근데 그래픽 업글은 언제쯤 할수있을까요?
ㄴ 라이젠은 5600x부터임
다음세대 딸5를 기다릴지
5600x로 갈지 너무 고민이다..
지금 3600 에 2070슈퍼인데 ㅠㅠ
5600x가 진짜 너무 잘나왓네
통통하니 귀여워지고계시네~